KR20080014704A -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이러한 승강기 지지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이 승강기 설비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이러한 승강기 지지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이 승강기 설비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704A
KR20080014704A KR1020070080866A KR20070080866A KR20080014704A KR 20080014704 A KR20080014704 A KR 20080014704A KR 1020070080866 A KR1020070080866 A KR 1020070080866A KR 20070080866 A KR20070080866 A KR 20070080866A KR 20080014704 A KR20080014704 A KR 2008001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elevator
drive
elevator suppor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른스트 아흐
뤽 보나르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1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10Driving belts having wedge-shaped cross-section
    • B29D29/103Multi-ribbed driv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04General structure or appearance
    • D07B2201/1008Several parallel rop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4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7B2201/2086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cerning the external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7Jackets or coverings being of the coated ty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Handcart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체 (2), 하나 이상의 구동 리브 (3) 를 구비한 구동측, 이 구동측의 반대편에 있으며,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 (4) 를 갖는 편향측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된 인장 캐리어 배열체 (5) 를 포함한다. 구동 리브 (4) 는 구동 리브 (3) 보다 더 큰 플랭크 높이 (h4) 및/또는 더 큰 플랭크 폭 (t4) 을 갖는다.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폭 (w) 에 대한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높이 (h4) 의 비 (h4/w) 는 0.4 이상이다. 각각의 안내 리브 (4) 는 최대 3 개의 구동 리브 (3) 와 관련된다.

Description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이러한 승강기 지지 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이 승강기 설비의 조립 방법{LIFT SUPPORT MEANS FOR A LIFT SYSTEM, LIFT SYSTEM WITH SUCH A LIFT SUPPORT MEANS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LIFT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이러한 승강기 지지 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이 승강기 설비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승강기 지지 수단이 구동기로부터 승강 통로에서 또는 프리-스탠딩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승강실까지 힘을 전달한다. 승강실은 다른 승강기 지지 수단에 의해 승강실과 동일하게 또는 반대로 이동하는 균형추 또는 보상 중량부와 연결될 수 있다.
청구항 1 의 도입부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을 구비한 이러한 승강기 설비가 EP 1 446 348 B1 에 공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승강기 지지 수단은 구동 휠과 결합하기 위해서 구동측에 5 개의 쐐기-리브형의 구동 리브를 가지며, 구동측의 반대편인 편향측에 편향 휠과 결합하기 위해 쐐기형 리브 형태와 유사한 안내 리브를 갖는다. 안내 리브 및 구동 리브는 편향 및 구동 휠에 형성 된 쐐기형 홈에 대응하여 결합한다.
리브는 일반적으로 도 2 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플랭크 각 (α) 을 포함하는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플랭크를 갖는다. 쐐기형 리브에서, 플랭크는 상대적으로 서로 기울어져 있고 다각형 리브에서 플랭크는 플랭크 각 (α=0°) 으로 서로 평행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펼쳐진 평면상에서의 플랭크의 투영을 플랭크 폭 (t) 으로 부른다. 다각형 리브에서, 예컨대, 플랭크 폭은 0 과 같고 플랭크 길이 (f) 를 갖는 쐐기형 리브에서 경사진 플랭크는 일반적으로 t=f×sin(α/2) 이다. 따라서, 본체의 길이방향 또는 중간 평면에 대한 플랭크의 투영은 플랭크 높이 (h) 로 부른다. 예컨대, 플랭크 높이는 플랭크 길이 (f) 를 갖는 다갹형 리브에 대응하고 쐐기형 리브에서는 일반적으로 h=f×cos(α/2) 이다.
쐐기 효과로 인해, 승강기 지지 수단의 동일한 인장력에 대해서 쐐기형 리브형의 구동 리브는 증가하고, 구동 리브의 플랭크에 작용하는 수직력 및 그에 따른 구동의 구동력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들은 승강기 지지 수단을 구동 휠의 횡방향으로 안내하는데 유리하다.
뒤쪽에서 안내 리브는 승강기 지지 수단을 편향 휠의 횡방향으로 안내하고, 편향 휠에 걸쳐 승강기 지지 수단은 편향되어 예컨대 승강실 또는 평형추와 상호협력하게 된다.
구동 리브에서 힘을 보다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서 쐐기형 리브형의 구동 리브는 가능한 한 일정한 간격에서 너무 멀지 않은 거리로 인장 캐리어 배열체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이는 구동 리브가 더 평평한 플랭크 각 외에 더 작은 플랭크 높이 및 플랭크 폭을 갖도록 해준다.
승강기 지지 수단은 보통 승강기 설비의 구동 휠 상에 위치되어서 구동 휠 주위의 홈에서 고유 중량으로 인해 재배치된다. 반대로, 승강기 지지 수단은 하부로부터 또는 측면으로 편향 휠을 감싸 돌아서 고유의 중량으로 인해 편향 휠 주위에서 홈 외부로 승강기 지지 수단을 밀어내거나 재배치하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승강기 지지 수단의 진동 또는 균형추 또는 승강실의 관성에 의해 승강기 지지 수단이 느슨해진다면, 안내 리브는 완전히 편향 휠의 관련된 홈 외부로 미끄러진다. 그 후에 편향 휠에서 횡방향 안내의 부재 없이, 통상 조립 허용 오차, 부하 주행의 꼬임 등으로 인해 승강 시스템에 존재하는 대각선 방향 인장력은, 승강기 지지 수단이 원하는 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안내 리브도 승강기 지지 수단이 다시 조여질 때 더이상 편향 휠의 홈으로 되돌아가려 하지 않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승강기 지지 수단은 통상 편향 휠보다 더 큰 각으로 둘러싸며 승강기 설비의 구동 휠을 감싸 돌아서 구동 휠에서 Euler-Eytelwein 식에 대응하여 승강기 지지 수단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따라서, 구동 리브는 종종 편향 휠의 안내 리브보다 구동 휠에서 더 큰 각 범위로 종종 결합한다. 또한, 작은 랩 각을 갖는 편향 휠에서, 휠 주변에서 홈의 리브를 억제하는 반경 방향 힘은 더 큰 랩 각을 갖는 구동 휠에서보다 작다. 예컨대, 승강기 지지 수단이 180°로 구동 휠을 감싸 돈다면(단, 편향 휠은 90°로만), 승강기 지지 수단의 최종 반경 방향 힘은 편 향 휠에서보다 구동 휠에서
Figure 112007058266570-PAT00001
배만큼 크게 된다.
또한, 예컨대 조립 허용 오차에 의해 유발된, 승강기 지지 수단의 더 강한 대각선 방향 주행이 인접한 편향 휠에서 발생한다. 또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변형에 의한 보상이 인접한 편향 휠 사이의 상당히 더 작은 공간에 의해서 제공된다. 이에 따른 대각선 방향 인장력은 횡방향에서 편향 휠에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변위를 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편향측에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안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 의 일 이상의 대안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18 은 이러한 승강기 지지 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를 보호하고 청구항 22 는 이러한 승강기 설비의 장착 방법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은 본체, 하나 이상의 구동 리브를 구비하며 승강기 설비의 구동 휠과 마찰결합하는 구동측, 및 구동측의 반대편에 편향측,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 및 본체에 배치된 인장 캐리어 배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는 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한 인장 캐리어 배열체가 배치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구동 리브 또는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를 참조할 때, 이 경우에 여러 개의 구동 리브 또는 안내 리브를 동일하게 잘 파악할 수 있으며, 적어도 구동 리브 또는 안내 리브에 대해 정의된 사항은 지지 수단의 여러 개의 구동 또는 안내 리브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구동 및/또는 안내 리브,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구동 및/또는 안내 리브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보다 큰 플랭크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횡방향 승강기 지지 수단의 안내성을 더 좋게 해준다.
플랭크 높이는, 리브가 구동 또는 편향 휠의 외부 원주에 있는 관련된 홈으로부터 완전하게 빠져나가서 횡방향으로 승강기 지지 수단을 더이상 안내하지 못하기 전에 승강기 지지 수단이 경험하게 되는 구동 또는 편향 휠에 대한 반경 방향 변위를 결정한다.
구동 리브에 대한 안내 리브의 플랭크 높이의 연장을 통해, 서두에서 설명한 효과에 대한 부분적인 보상이 제공될 수 있고, 동시에 구동측과 인장 캐리어 배열체 사이에 힘이 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승강기 지지 수단이 미시적으로 또는 거시적으로 처진 경우에, 더 높은 안내 리브는 횡방향 안내성을 완전하게 잃어버리지 않고도 편향 휠로부터 더 멀리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기 지지 수단이 다시 팽팽하게 되면, 더 큰 플랭크 각으로 인해 언제나 여전히 부분적으로 편향 휠의 홈 내부에 들어가 있는 안내 리브는 편향 롤러 상에 승강기 지지 수단을 다시 유리하게 중심맞춤시키게 된다. 또한, 편향 휠 원주의 홈에 결합하는 안내 리브의 플랭크 면적이 증가하여서 편향각이 작을 때에도 충분한 횡방향 안내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 까지 더 큰 대각선 방향 인장력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비교적 낮은 구동 리브를 통해, 구동측으로부터 인장 캐리어까지의 간격 및/또는 최대 간격의 변화가 동시에 감소될 수 있어 구동 리브에서 더 균일하게 힘이 분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의 플랭크 높이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 높이의 비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예컨대, 1.5 이상의 비는 더 작은 랩 각으로 인한 편향 휠에서의 안내성의 악화를 보상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예컨대, 2.0 이상의 비는 승강기 지지 수단을 편향 휠상의 제 위치로 되돌려 보내지 않거나 심지어는 그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게 하는 자체 질량으로 인해 편향 휠에서의 안내성의 악화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2.5 이상의 비는 더 큰 대각선 방향 인장력을 가능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더 큰 플랭크 높이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보다 큰 플랭크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또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횡방향 안내성을 더 좋게 한다.
플랭크 폭은 횡방향 오프셋 리브가 홈 내부로 들어가거나 홈 외부로 나올 수 있지만, 홈 안으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가는 횡방향 오프셋, 즉 리브가 구동기 또는 편향 휠의 홈에 여전히 포획되는 "포획 범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안내 리브의 플랭크 폭이 구동 리브의 플랭크 폭보다 더 크기 때문에, 안내 리브는 횡방향으로 더 넓고, 결과적으로 구동측으로부터 인장 캐리어까지의 간격이 더 작음으로 인해 더 좁은 구동 리브에 구동 리브에서 보다 균일한 힘의 분포가 제공될 수 있고, 승강기 지지 수단은 동시에 편향 휠에 걸쳐 편향될 때 더 넓은 안내 리브로 인해 더 나은 안내성을 갖게 된다.
이는 편향측의 더 작은 랩 각 또는 자체 중량으로 인해 더 강한 대각선 방향의 인장 및/또는 더 약한 안내성의 상기 설명된 효과에 대해 부분적인 보상을 제공한다. 승강기 지지 수단이 미시적으로 또는 거시적으로 처진 경우에, 더 넓은 안내 리브는 횡방향 안내성을 완전히 잃지 않고도 편향 휠에서 횡방향으로 더 강하게 변위할 수 있다. 승강기 지지 수단이 다시 팽팽하게 되면, 더 큰 플랭크 폭으로 인해 항상 편향 휠의 홈에 걸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안내 리브는 편향 롤러에 승강기 지지 수단을 유리하게 중심맞춤시키게 된다. 또한, 편향 휠 원주에 있는 홈에 결합하는 안내 리브의 플랭크 면적이 증가하여서 랩 각이 더 작은 경우에도 충분한 횡방향 안내성이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더 큰 대각선 방향 인장이 안내 리브가 구동 리브보다 더 큰 플랭크 폭을 갖는 승강기 지지 수단으로 동일하게 실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의 플랭크 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 폭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7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예컨대, 비가 1.5 이상이면 더 작은 랩 각으로 인한 편향 휠에서의 안내성의 악화를 보상하기에 충분하다. 예컨대, 비가 1.75 이상이면, 승강기 지지 수단을 편향 휠 상의 제 위치로 되돌려 보내지 않고 또는 되돌려 보내더라도 그 자체 중량으로 의해 편향 휠에서의 안내성의 악화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예컨대, 비가 2.0 이상이면, 더 큰 대각선 방향 인장을 가능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구동 리브에 비해 더 큰 플랭크 폭 또는 플랭크 높이를 갖는 안내 리브의 상 기 이점은 이미 자명하다. 그러나, 더 높고 더 넓은 안내 리브가 반경 방향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도 변위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증심맞춤된 상태에서 편향 휠의 안내 리브에 의해 안내되도록 두 가지 특징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더 큰 대각선 방향 인장이 편향휠에서 실현될 수 있고, 동시에 더 낮고 좁은 구동 리브에 의해서 더 균일한 힘의 분포가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상의 구동 리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 폭 및/또는 플랭크 높이의 비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 높이의 비는 0.4 이상, 바람직하게는 0.45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다.
승강기 지지 수단이 더 넓게 형성될수록, 미시적으로 또는 거시적으로 처짐이 발생할 때 더 큰 관성 질량이 편향 휠에서부터 밀려나간다. 더 넓은 승강기 지지 수단은, 그의 기하학적인 관성 모멘트때문에, 더 강한 횡방향 힘 또는 더 강한 대각선 방향 힘을 가능케 하고, 이는 편향 휠에서 더 나은 안내성을 필요로 한다. 시험을 통해서, 안내 리브 높이와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 사이의 상기 비로 편향 휠에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매우 우수한 안내성이 얻어질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예컨대, 이 경우에 0.4 이상의 비는 더 작은 랩 각으로 인한 편향 휠에서의 안내성의 악화에 대해 충분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0.45 이상의 비는, 승강기 지지 수단을 편향 휠 상의의 제 위치로 되돌려 보내지 않거나 또는 멀리 떨어져 있게 하는 자체 중량으로 인해 편향 휠에서의 안내성의 악화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0.5 이상의 비는 더 큰 대각선 방향 인장력을 가능하게 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 높이의 비는 제 1 실시형태의 구동 리브와 비교하여 안내 리브의 플랭크 폭 또는 플랭크 높이의 비와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설명된 이점은 구동 및 안내 리비의 플랭크 높이 및/또는 플랭크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고 넓은 구동 리브로도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더 짧거나/짧고 좁은 구동 리브에서 보다 균일한 힘의 분포뿐만 아니라, 높고/높거나 넓은 안내 리브의 더 나은 안내성도 달성될 수 있도록 두 실시형태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내 리브는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에 적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구동 리브에 대한 안내 리브의 플랭크 폭 및/또는 플랭크 높이의 비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그리고/또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에 대한 안내 리브의 플랭크 높이의 비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및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는 플랭크 각을 갖는 쐐기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의 플랭크 각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 각보다 더 크다.
보다 예리한 안내 리브는 편향측에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횡방향 안내성을 개선시키고, 따라서 예컨대 더 큰 대각선 방향 인장력, 더 작은 랩 각 및/또는 자체의 중량으로 인한 상기 설명된 효과에 대한 더 나은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승강기 지지 수단 전체를 넓히지 않고도 리브 베이스 변적에 비해 진입 깊이가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더 무딘 구동 리브는 승강기 지지 수단에서 힘의 분포를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구동측으로부터 개별 인장 캐리어까지의 간격이 보다 일정하고 또한 최대 간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플랭크 각의 비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와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진입 깊이가 보다 작은 플랭크 각에 의해 베이스 면적에 비하여 증가되는 더 짧거나 더 좁은 안내 리브로도 상기 설명된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작은 플랭크 각에 의해 안내 리브의 플랭크 각이 유리하게 더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 120°, 바람직하게는 80°~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90°인 플랭크 각이 쐐기형 리브로서 구성된 구동 리브에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어서 한편으론 충분한 쐐기 효과를 달성하여서 수직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과도한 면압, 재료 부하 및 이와 관련된 소음 발생 및 승강기 지지 수단의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60°~ 100°, 바람직하게는 70°~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인 플랭크 각이 쐐기형 리브로 구성된 안내 리브에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어서 한편으론 편향 휠의 홈에서의 충분한 안내성을 보장해주고 다른 한편으론 과도한 면압 및 이와 관련된 승강기 지지 수단에 대한 부하 그리고 소음 발생을 방지해준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 리브의 플랭크 폭 및/또는 플랭크 높이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그리고/또 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 리브의 플랭크 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1, 2 또는 3 개의 안내 리브와 관련된다.
편향 휠에서의 횡방향 안내성은 대각선 방향의 인장에 의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이동을 방지하는데 특히 유리한데, 대각선 방향의 인장은 예컨대 구동 휠과 편향 휠 사이에서의 승강기 지지 수단의 대각선 방향 주행때문에 생긴다. 구동 휠과 편향 휠 사이에서 가능한 대각선 방향 인장은, 특히 구동 휠에서 승강기 지지 수단을 안내하는 구동 리브의 수에 따라 제한된다. 실험을 통해서 최대 3 개, 바람직하게는 최대 두 개의 구동 리브,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구동 리브에 대해 하나의 안내 리브로 승강기 지지 수단의 특히 확실한 안내성이 보장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외부 구동 리브 및 관련된 안내 리브 사이의 레버 암이 유리하게 감소하고 따라서 승강기 지지 수단에 작용하고 플랭크 폭에 수직하게 경사진 플랭크에 작용하는 힘의 성분으로부터 기인한 토크가 감소하게 된다.
유리하게 제 4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2 및/또는 3 실시형태와 결합된다. 특히,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안내 리브가 구동 리브 또는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에 비해 높고/높거나 넓게 구성되고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안내 리브가 예리하게 구성된다면, 안내 리브에 대한 구동 리브의 비가 최대 3:1 일 때 유리한 안내성 및 레버 조건이 얻어진다.
안내 리브는 두 개의 인접한 구동 리브 사이에 중앙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리브의 플랭크에 가해지는 면하중의 합력은 구동 리브의 플랭크에 가해지는 면하중의 합력의 두 작용점 사이에서 정적으로 안정한 방식으로 작용된다. 또한, 승강기 지지 수단은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세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높이에 대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의 비는 최대 0.95 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0.93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91 이다.
따라서, 특히, 상대적으로 예리하고/예리하거나 높은 안내 리브가 제공될 수 있고, 그 플랭크 높이로 인하여 승강기 지지 수단의 우수한 횡방향 안내성을 보장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세형 승강기 지지 수단은 또한 횡방향에서 더 큰 기하학적 관성 모멘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횡방향 축에 대한 굽힘에 대해 평벨트보다 더 강성이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승강기 지지 수단은 구동 또는 편향 휠 주위로 편향될 때, 공도 변형되지 않은 위치로 가게 하는 더 큰 바이어성을 경험하게 된다. 이 바이어성은 구동 또는 편향 휠의 관련된 홈에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구동 또는 안내 리브의 재밍을 억제하여서 재밍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다른 이점은 승강기 지지 수단의 높이의 방향에서 추가적인 부피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추가적인 부피는 진동을 감쇠시켜서 충격을 약화시키고, 이에 따라 이러한 벨트의 주행을 보다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인장 캐리어와 구동 휠 사이의 원주 방향 힘의 전달은 전단을 받는 승강기 지지 수단의 일시적인 변형을 수반한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교번적인 변형은 장기적으로는 승강기 지지 수단의 파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사용 수명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높이 방향에서 추가적인 부피는 한편으론 전 단 변형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고 다른 한편으론 더 큰 부피에 대해, 특히 더 큰 표면적에 대해서 발생된 열을 더 잘 소산시킨다.
본 발명의 승강기 지지 수단의 구동측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3 개, 바람직하게는 정확하게 2 개의 구동 리브 및 편향측에서는 하나의 안내 리브를 갖는다. 이러한 승강기 지지 수단은 세형 구조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에 설명된 이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 리브의 하나 또는 두 개의 플랭크는 각각의 인장 캐리어와 관련되어서 힘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하나 또는 두 개의 인장 캐리어가 구동 리브와 관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구동측이 두 개 또는 세 개의 구동 리브만을 갖는다면, 두 개(드 구동 리브 각각은 하나의 인장 캐리어와 관련된다)에서 최대 6 개(세개의 구동 리브 각각은 두 개의 인장 캐리어와 관련된다)까지 인장 캐리어로 이루어진 인장 캐리어 배열체가 얻어진다. 상이한 인장력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수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은 병렬로 연결되어서, 두 개 또는 세 개의 구동 리브를 구비한 승강기 지지 수단은 모듈성을 상당히 증가시키게 되는데, 왜냐하면 병렬 승강기 지지 수단의 조합에 의해 전달가능한 인장력이 상당히 더 미세하게 등급화될 수 있고 개별 요건에 맞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는 평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서 경사로 인해 관련된 홈에서 리브의 자기 중심맞춤을 가능하 게 한다. 동일하게, 예컨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어서 재료를 절약하게 되고 동시에 큰 플랭크 높이 및/또는 플랭크 폭을 달성하게 된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의 플랭크는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희생 재료를 사용가능하도록 하여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동 리브의 최소 폭은 구동 휠의 관련된 홈의 최소 폭보다 크다. 이에 따라 구동 리브의 말단 플랭크 영역은 완전히 진입한 구동 리브 아래에서 여전히 더 테이퍼져 있는 관련된 홈의 대응하는 상대 플랭크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대 플랭크는 그 홈 베이스에서 구동 리브에 어떠한 노치 효과도 나타내지 않는다.
반경을 갖는 홈이 두 개의 인접한 구동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승강기 설비의 구동 휠의 관련 리브의 선단에 형성된 반경에 대한 상기 반경의 비는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75 미만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이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인접한 구동 리브 사이에서 결합하는 구동 휠의 리브는 구동 리브의 기단 플랭크 영역에 노치 효과를 전혀 주지 않거나 약간만 주게 된다.
본체, 하나 이상의 구동 리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는 엘라스토머, 특히 폴리우레탄 (PU), 폴리클로로프렌 (CR), 천연 고무 및/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 (EPVM) 로 구성된 단일 또는 다중 구조일 수 있다. 이 재료들은 구동측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인장 캐리어의 인장력으로 전환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또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진동을 제거하는데 유리하다. 구동 및/또는 편향측은 마모 및 동적 파괴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서 예컨대 직조 섬유 등으로 된 하나 이상의 케이싱을 가질 수 있다.
단일체 구성은 특히 컴팩트하고 균일한 승강기 지지 수단을 제공한다. 반대로, 하나 이상의 구동 리브의 그룹이 하나 이상의 그룹을 갖는 다중 구성이면, 예컨대 승강기 지지 수단이 구동 리브 및 여기에 연결된 부분을 포함하고 안내 리브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된 이중 구성이라면, 상이한 재료 특성이 구동측 및 편향측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측은 편향측보다 경도(특히, 쇼어 경도)가 더 낮고/낮거나, 편향측보다 더 큰 마찰 계수를 가져서 더 우수한 구동 성능을 달성할 수 있고, 반대로 편향측의 더 낮은 마찰 계수는 편향 동안에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특히, 구동측 및/또는 편향측은 본체와 상이한 마찰 계수, 경도 및/또는 내마모성을 갖는 코팅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가질 수 있다. 이 코팅 대신에, 기상 증착 또는 플로킹도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및 안내 리브의 다중 구성 및/또는 구동 및/또는 편향측의 코팅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은 구동측에서 0.2 ~ 0.6 의 마찰 계수(μ) 를 갖고, 편향측에서는 0.3 이하의 마찰계수 (μ) 를 바람직하게 가질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측으로부터의 인장 캐리어의 배열체까지의 간격은 편향측으로부터의 간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구동측에서보다 균일한 힘의 분포 및 동시에 편향측에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더 우수한 안내성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컨대, 상기 간격은, 플랭크로부터 인장 캐리어까지의 최대 간격, 평균 간격 및/또는 플랭크의 면적 부하의 합력의 힘 작용점으로부터 인장 캐리어까지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장 캐리어의 직경은 1.5 ~ 4 mm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장 캐리어는 구동 및 편향 휠 주위에서 충분한 굽힘성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서 본체에 쉽게 끼워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인장 캐리어 배열체의 각각의 인장 캐리어는 코어 와이어와 이 주위에 둘러싸인 두 개의 와이어 층을 갖는 이중 플라이 코어 스트랜드, 및 이 코어 스트랜드 주위에 배치되며 코어 와이어와 이 주위에 둘러싸인 와이어 층을 갖는 단일 플라이 외부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예컨대 1+6+12 의 스틸 와이어로 된 하나의 코어 스트랜드 및 1+6 의 스틸 와이어로 된 8 개의 외부 스트랜드를 가질 수 있는 이러한 인장 캐리어 구성은 강도, 제조의 용이함 및 굽힘성에 있어 유리하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유리하게는, 이 경우 코어 스트랜드의 두 와이어층은 동일한 랩 각을 가지며, 외부 스트랜드의 와이어층은 코어 스트랜드의 랩 방향과 반대로 감기게 되고, 외부 스트랜드는 그 자신의 와이어층의 랩 방향과 반대로 코어 스트랜드 주위에 감긴다. 따라서 인장 캐리어는 SSZS 또는 ZZSZ 형을 갖는다. 이는 스트랜드의 연신을 감소시킨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여러가지의 승강기 지지 수단으로 된 승강기 지지 수단 조합체의 모듈러 구성은 상이한 인장력 요건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이 경우에 승강기 지지 수단은 구동 휠 및 편향 휠에 평행하게 안내된 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은 갭을 두고 떨어져 위치한다. 이는 장착을 간단화하고 상호 마찰하지 않고 또는 구동 휠 또는 편향 휠의 홈 외부에서 상호 작동하지 않은 채로 각 승강기 지지 수단이 경미하게 변형되는 것을 허용해준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갭은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의 3 % 이상,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인 것이 유리하다.
장착하기 위해서, 승강기 지지 수단은 예비 제품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예비 제품은 일체형의 본체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 지지 수단으로 구성된다. 예비 제품은 구동 리브와 안내 리브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분할되어서 이런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분리된 승강기 지지 수단은 승강기 설비에 장착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본체 웨브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승강기 지지 수단의 취급을 쉽게 하며 구동 휠과 편향 휠에 정확하게 위치 배열되도록 한다. 또한, 장착을 위해서 승강기 설비에 장착되기 전에 조립 밴드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승강기 지지 수단을 영구적으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기 설비의 구동 휠 및/또는 편향 휠은 각 구동 또는 안내 리브를 위해 관련 홈을 갖는데, 승강기 지지 수단이 소정 위치에 있을 때, 구동 또는 안내 리브의 플랭크가 관련 홈의 상대 플랭크에 대응하여 접촉하도록 관련된 홈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홈은 승강기 지지 수단의 리브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리브 또는 구동 리브가 특정 플랭크 높이, 플랭크 폭 및/또는 특정 플랭크 각을 갖는다면, 관련 홈의 상대 플랭크는 실 질적으로 동일한 플랭크 높이 및/또는 플랭크 폭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플랭크 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가 편향 휠의 홈 내부로 진입하는 진입 깊이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가 구동 휠의 혼 매부로 진입하는 진입 깊이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편향 휠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홈은 이 홈에 배치된 안내 리브의 플랭크와 이 홈의 대응하는 상대 플랭크 사이의 접촉면의 투영이, 구동 휠에서 구동 리브와 관련되는 홈의 대응하는 상대 플랭크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사이의 접촉면의 대응하는 투영에서보다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휠은 각각의 승강기 지지 수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몇 개의 구동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승강기 지지 수단은 180°, 바람직하게는 180°미만, 바람직하게는 150°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미만 및 특별히 90°의 랩 각으로 구동 휠을 둘러싼다.
가능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작은 굽힘 반경때문에, 구동기를 개별 구동 풀리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구동 출력 통로의 구동 영역을 구동기와 하나로 결하하게 할 수 있다. 구동 풀리 및 구동 영역을 갖는 통로는 통일되게 구동 휠로 부른다. 유리하게는, 구동 휠의 직경은 220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90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 mm 이하이다. 인장력은 마찰 결합 및/또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구동 휠에 의해 벨트에 전달된다.
승강기 지지 수단은 무단 벨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단부는 벨트 로크에 고정된다. 특히 어려운 편향 조건일 경우에, 벨트는 예컨대 개구부를 통해 유도되거나, 비정렬식으로 장착된 벨트 휠에 배치된다.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종속항 및 이하의 실시형태의 예를 통해 증명된다. 이를 위해, 부분적인 개략도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안내성이 개선된 승강기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승강기 설비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승강기 통로 (12) 에 설치된 승강기 설비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승강기 설비는 구동 휠 (20) 을 구비하고 승강기 통로 (12) 에 고정된 구동기, 승강실 지지 롤러 (21.2, 21.3) 의 형태로 승강실 바닥 아래에 장착된 두 개의 편향 휠을 구비하고 승강실 안내 레일 (11) 에서 안내되는 승강실 (10), 평형추 지지 롤러 (21.2) 의 형태의 다른 편향 휠을 구비한 평형추 (13), 및 승강실 (10) 및 평형추 (13) 에 대해서 구동 유닛의 구동 휠 (20) 의 구동력을 승강실 및 평형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리브형 벨트 (1) 로 구성되는 여러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각 쐐기형 리브형 벨트 (1) 의 일단부는 구동 휠 (20) 아래에서 제 1 벨트 고정 지점 (14.1) 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부터 벨트는 평형추 지지 롤러 (21.1) 까지 하방으로 연장하고, 이 롤러를 감싸 돌아서 구동 휠 (20) 까지 연 장하고, 이 휠을 감싸 돌아서 평형추측의 승강실 벽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서, 승강실 (10) 의 각측에서 아래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승강실 지지 롤러 (21.2, 21.3) 를 약 90°로 감싸 돈 후에 평형추 (13) 에서 먼 쪽의 승강실 벽을 따라 상방으로 이어져 제 2 벨트 고정 지점 (14.2) 까지 간다.
구동 휠 (20) 의 평면은 평형추측에서 승강실 벽과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 수직 투영은 승강실 (10) 의 수직 투영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휠은 220 mm 이하, 바람직하는 18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90 mm 이하, 또한 바람직하게는 80 mm 이하의 작은 직경을 가져서, 이러면 평형추 측의 승강실 벽과 그 맞은편의 승강 통로 (12) 의 벽 사이의 간격이 가능한 한 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 휠 (20) 의 작은 직경은 구동 유닛으로서 상대적으로 작은 구동 토크를 갖는 무기어 구동 모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벨트 고정 지점 (14) 은 전문가들에게 알려진 장치이며 이 벨트 고정 지점에서 쐐기형 리브형 벨트 (1) 가 쐐기와 하우징 사이에 클램핑된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의 쐐기형 리브형 벨트의 형태인 승강기 지지 수단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는 4 개의 인장 캐리어의 인장 캐리어 구조 (5) 가 배치되어 있는 본체 (2) 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인장 캐리어는, 직경이 0.19 mm 인 코어 와이어, 그 주위에 S 랩(wrap)으로 둘러싸이며 직경이 0.17 mm 인 6 개의 와이어로 된 와이어층, 및 그 주위에 S 랩으로 둘러싸이며 직경이 0.17 mm 인 12 개의 와이어로 된 와이어층을 갖는 이중 플라이 코어 스트랜드, 및 직경이 0.17 mm 인 코어 와이어 및 코어층 주위에 S 랩으로 둘러싸이고 주위가 Z 랩으로 둘러싸인, 직경이 0.155 mm 인 6 개의 와이어로 된 와이어 층을 갖는 8 개의 단일 플라이 외부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구동측 (도 3 의 바닥부에 있는) 은 구동 휠 (20) 및 평형추 지지 롤러 (21.1) 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승강기 지지 수단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휠 (20) 의 홈 (20.1) 과 결합하며 옆에서 이 홈에 의해 안내되는 쐐기형 리브 (3) 의 형태인 두 개의 구동 리브를 갖는다. 이에 따라 가압력은 유리하게 증가하여 구동의 견인 능력도 증가하게 된다.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편향측 (도 4 의 상부에 있는) 은 승강실 지지 롤러 (21.2, 21.3) 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이를 위해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휠 (21.3) 의 홈 (21.5) 과 결합하고 옆에서 이 홈에 의해 안내되는 쐐기형 리브 (4) 형태의 안내 리브를 갖는다.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치수 크기는 도 2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구동 리브 (3) 또는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높이 (h3 또는 h4) 는 리브를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중간면 상에 투영했을 때의 크기이다. 상기 중간면은 길이 방향 축선과 높이 방향 축선 (도 2 에서 수직임) 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전체 높이 (h1) 는 구동 및 안내 리브 (3, 4) 의 플랭크 높이 (h3, h4) 및 본체 (2) 의 높이 (h2) 로 구성된다. 플랭크 높이 ( h4) 가 크기 때문에, 전체 높이 (h1) 는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 (w) 보다 크고, 이 결과 승강기 지지 수단은 그 횡방향 축선에 대한 굽힘 강성이 유리하게 증가되어서 홈 (20.1 또는 21.5) 에서의 재밍(jamming)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w/h1의 비는 0.906 이다.
구동 리브 (3) 또는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폭 (t3 또는 t4) 은 리브를 플랭크 높이에 수직인(도 2 에서 수평인)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본체 (2) 상에 투영했을 때의 크기이다. 전체 폭은 w 로 나타낸다. 리브의 폭은 (평평한)선단부의 폭 외에 두 플랭크 폭 (t) 로부터 생긴다. 따라서, 구동 리브 (3) 의 폭은 예컨대, 2 × t3 + d3(도 2, 3 참조) 이다.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각 (α4) 은 안내 리브 (4) 의 두 플랭크 사이의 내각이고 실시형태에서 예로서는 80°이다. 이에 따라 결정되는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각 (α3) 은 실시형태에서 예로서 90°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높이 (h4) 는 두 개의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 높이 (h3) 보다 크다. 이에 따라 안내 리브 (4) 는 도 3 과 도 4 를 비교해보면, 구동 리브 (3) 및 구동 휠 (20) 의 관련 홈 (20.1) 의 경우보다 편향 휠 (21.3) 의 관련 홈 (21.5) 내부로 더 깊게 들어갈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기 지지 수단 (1) 에 처짐이 생긴 경우 예컨대 이 지지 수단의 자체 중량 때문에 반경 방향 이탈(도 4 에서 하방으로)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내 리브 (4) 는 홈 (21.5) 안에서 더 오랫동안 유지되고, 또한 승강기 지지 수단 (1) 이 팽팽하게 된 후에 이 지지 수단을 편향 휠 (21.3) 에 다시 자동으로 중심맞춤시키게 된다. 한편, 구동측으로부터의 인장 캐리어 (5) 까지의 최대 간격은 더 작아서, 구동 리브 (3) 에서 힘의 분포가 보다 균질하게 된다.
도 2 에서 유사하게 알 수 있듯이,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폭 (t4) 은 또한 두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 폭 (t3) 보다 더 크다. 휠 (20, 21) 상의 승강기 지지 수단이 그 최대 플랭크 폭 (t) 만큼 외측으로 이동하면 경사진 플랭크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돌아간다. 따라서 더 큰 플랭크 폭 (14) 때문에,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횡방향으로 더 넓은 영역에 걸쳐서 편향측에서 안내된다. 따라서 특히, 보다 큰 대각선 방향 장력이 허용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더 큰 경사로 도입하는 승강기 지지 수단도 더 큰 플랭크 폭 때문에 평향 휠의 대응 홈 (21.5) 에 여전히 '포획'되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편향 휠 (21.2, 21.3) 의 장착 공차뿐만 아니라 이들 편향 휠 사이의 작은 간격으로 인해, 편향측에서의 안내성의 향상에 불리한 더 큰 대각선 방향 장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편향 휠 (21.3) 과 벨트 고정 지점 (14.2) 사이에서는 더 큰 공차가 허용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더 넓고 더 높은 안내 리브 (4) 가 더 큰 대각선 방향 장력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승강기 지지 수단의 변형에 의한 이러한 대각선 방향의 장력에 대해 구동 휠 (20) 과 편향 휠 (21.2) 사이에 부분적인 보상이 제공될 수 있어서, 더 짧고 더 좁은 구동 리브 (3) 는 더 작은 대각선 방향 장력으로 구동 휠 (20) 안으로 이동한다.
실질적으로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전체 폭 (w) 에 걸쳐서 연장하여서 그 폭이 두 구동 리브 (3) 의 약 두 배가 되는 안내 리브 (4) 가 두 구동 리브 (3) 와 관련되어 있다. 진입 깊이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각 (α4) 은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각 (α3) 보다 더 작은 80°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안내 리브 (4) 는
Figure 112007058266570-PAT00002
인 구동 리브 (3) 보다 상당히 더 큰
Figure 112007058266570-PAT00003
인 큰 플랭크 면적을 갖는다. 한편, 인장 캐리어 (5) 는 구동 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더 큰 플랭크각 (α3) 때문에 구동 측으로부터의 공간은 약간만 변한다. 또한, 두 인장 캐리어 (5) 가 각 구동 리브 (3) 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이 실질적으로 구동 리브 (3) 의 각 플랭크 구동에 의해서 구동 휠 (20) 로부터 관련된 인장 캐리어 (5) 에 전달될 수 있고, 이 때문에 구동 리브에서 힘이 특히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3 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 리브 (3) 의 납작한 선단부는 폭 (d3) 을 갖는데, 이 폭 (d3) 은 구동 휠 (20) 에 있는 홈 (20.1) 의 두 상대 플랭크의 최소 간격 (d20) 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넓다. 이 상대 플랭크에 형성되고 경사진 상대 플랭크가 홈 베이스의 직사각형 홈 내부로 진행하는 가장자리는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이 가장자리는 대응하는 노치 효과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이는 도 4 에서 알 수 있듯이 안내 리브 (4) 및 이와 관련된 홈 (21.5) 에도 해당된다.
한편, 구동 휠의 인접한 홈 (20.1) 의 상대 플랭크들을 서로 연결하는 반경 (R20) 은 인접하는 구동 리브 (3) 의 상호 마주보는 플랭크들을 서로 연결하는 반경 (R3) 보다 더 크다. 따라서,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와 홈 (20.1) 의 상대 플랭크 사이의 접촉은 큰 노치 효과 없이 부드럽게 일어나게 된다.
구동측은, 구동 휠 (20) 의 플랭크와 마찰결합하는 적어도 쐐기형 리브 (3) 의 영역에서, PA 필름으로 된 코팅부(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유리하게 전체 구동측은 제조를 간단화하는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공정으로 코팅된다. 코팅 대신에, 기상 증착 및/또는 플로킹(flocking)도 제공될 수 있다. 기상 증착은 예컨대 금속 기상 증착물일 수 있다. 플로킹은 예컨대 짧은 합성 또는 천연 섬유로 된 플로킹일 수 있다. 이 기상 증착 또는 플로킹은 전체 구동측에 걸쳐 연장할 수 있고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인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쐐기형 리브의 플랭크만이 홈과 마찰 결합하는 쐐기형 리브와 홈이 한 쌍을 이루는 경우에, 쐐기형 리브의 이들 플랭크에만 코팅 또는 기상 증착 및/또는 플로킹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구동 휠 (20) 과 접촉하지 않는 리브 플랭크 사이의 이 영역들은 코팅되지 않는다. 또한, 리브 (4) 에 마찰 계수 및/또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코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4 에 점선(dshed line)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기 지지 수단과 별개로, 바람직하게는 구조가 동일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이 배치되는데 승강기 지지 수단이 변형되더라도 구동 또는 편향 휠에 있는 승강기 지지 수단과의 상호 접촉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갭 (23) 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이러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조합을 통해서, 다루기 쉬우며 원하는 좁을 폭을 갖는 개 별 승강기 지지 수단을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및 재고 저장, 운송 및 장착 및 분리가 상당히 간단하게 된다. 4 개의 인장 캐리어가 관련되는 두 개의 구동 리브 (3) 를 갖는 구성때문에, 조합된 승강기 지지 수단의 총 하중 지지력은 개별 승강기 지지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세미세한 단계로 조정될 수 있다. 좁은 개별 승강기 지지 수단을 통해, n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과 조합된 승강기 지지 수단이 대응하는 큰 하중 지지력 단계에 의해 더 넓은 승강기 지지 수단 (n+1) 에 의해 보강되어서 n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에 의해 이용가능한 하중 지지력이 필요한 전체 하중 지지력보다 약간만 작을 때 상당히 과도한 치수로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된 승강기 지지 수단을 장착하기 위해서, 승강기 지지 수단 (1) 이 도 5 및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제품 (7) 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예비 제품 (7) 은 일체형 본체 (2) 를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승강기 지지 수단 (1) 으로 이루어진다. 예비 제품 (7) 은 구동 리브 (3) 및/또는 안내 리브 (4)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분리되어서 승강기 지지 수단은 승강기 설비에 장착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얇은 본체 웨브 (17) 에 의해 연결된 채 유지된다. 도 6 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3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 (1) 이 두 개의 본체 웨브 (17) 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웨브 (17) 는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편향측에 장착되어서 개별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구동측은 복합적일 때도 자유롭게 접근가능하다. 특히, 복합적인 개별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그의 구동측에서 구동 휠 (20) 의 대응 홈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체 웨브 (17) 는 구동 휠 (20) 에서 승강기 지지 수단 (1) 사이의 정확한 횡방향 간격 (23) 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서로간의 횡방향 조립 간격을 두고 본체 웨브 (17) 에 의해 연결되고, 이 조립 간격은 구동 휠 (20) 상의 개별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횡방향 간격 (23) 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장착한 후에, 본체 웨브 (17) 는 찢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본체 웨브 (17) 는 구동 휠 (20) 상의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횡방향 간격 (23) 보다 약간 짧고 본체 웨브 (17) 는 발생된 응력하에서 제어되는 방식으로 찢어진다.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구동측에 본체 웨브 (17) 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와 달리, 이러한 승강기 지지 수단 조합물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조립 밴드 (30) 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조립 밴드 (30)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승강기 지지 수단 (1) 을 둘러싼다. 예컨대 2, 3, 4, 6 또는 8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이 조합물을 형성하는데, 이 조합물은 조립 밴드 (30) 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루프로 감겨져서 승강 통로 (12) 내부로 문제 없이 간단하게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립 밴드 (30) 는 재료 잠금에 의해 승강기 지지 수단 (1) 에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 면에 접착층이 있는 얇은 플라스틱재 밴드가 유리하다. 플라스틱재 밴드는 접착층을 통해서 승강기 지지 수단 (1) 과 연결된다. 가역적인 재료 잠금인 경우에, 접착 밴드를 잡아당기는 것은 승강기 지지 수단 (1) 에서 떼어내면 승강기 지지 수단이 분리된다. 유리하게는, 조립 밴드 (30) 는 승강기 지지 수단의 편향측에 장착되어서 개별 승강지지 수단 (1) 의 구동측은 조합된 경우에도 자유롭게 접근가능하다. 특히, 조합된 상태의 개별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그의 구동측에서 구동 휠 (20) 의 대응 홈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립 밴드 (30) 는 구동 휠 (20) 에서 상호 승강기 지지 수단 사이의 정확한 횡방향 간격 (23) 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서로 횡방향 조립 간격을 두고 조립 밴드 (30) 로 상호 연결되고, 이 조립 간격은 구동 휠 (20) 상의 개별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횡방향 간격 (23) 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구동측에 조립 밴드 (30) 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기 설비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 는 상기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을 도시한다.
도 3 은 라인 Ⅲ-Ⅲ 을 따라, 도 1 의 승강기 설비의 승강기 지지 수단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도 4 는 라인 Ⅳ-Ⅳ 를 따라, 도 1 의 승강기 설비의 승강기 지지 수단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도 5 는 도 2 의 승강기 지지 수단의 예비 제품을 도시한다.
도 6 은 도 5 의 예비 제품으로부터 제조된, 도 2 의 승강기 지지 수단의 조합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7 은 도 2 의 승강기 지지 수단의 조합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Claims (23)

  1. 본체 (2), 하나 이상의 구동 리브 (3) 를 구비한 구동측, 이 구동측의 반대편에 있으며,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 (4) 를 갖는 편향측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된 인장 캐리어 배열체 (5) 를 구비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 으로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 (4) 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3) 보다 더 큰 플랭크 높이 (h4) 를 가지고/가지거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 (4) 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4) 보다 더 큰 플랭크 폭 (t4) 을 가지고/가지거나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폭 (w) 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높이 (h4) 의 비(h4/w)가 0.4 이상이고/이거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 각 (α3) 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각 (α4) 보다 크며/크거나 각각의 안내 리브 (4) 는 최대 3 개의 구동 리브 (3) 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 높이 (h3) 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높이 (h4) 의 비 (h4/h3) 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3) 의 플랭크 폭 (t3) 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 (4) 의 플랭크 폭 (t4) 의 비 (t4/t3) 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높이 (h1) 에 대한 승강기 지지 수단의 폭 (w) 의 비 (w/h1) 가 최대 0.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측은 두 개 또는 세 개의 구동 리브 (3) 를 가지고, 편향측은 하나의 안내 리브 (4)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3) 는 60°~120°의 플랭크 각 (α3) 을 갖는 쐐기형 리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 (4) 가 60°~100°의 플랭크 각 (α) 을 갖는 쐐기형 리브로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3) 의 최소 폭 (d3) 이 승강기 설비의 구동 휠 (20) 에 있는 관련된 홈 (20.1) 의 최소 폭 (d20) 이상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경 (R3) 을 갖는 홈이 두 개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인접한 구동 리브 (3) 사이에 형성되고, 승강기 설비의 구동 휠 (20) 에 있는 관련된 리브 (20.1) 에 형성된 반경 (R20) 에 대한 상기 반경 (R3) 의 비 (R3/R20) 는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안내 리브 (4)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3) 의 본체 (2) 는 엘라스토머, 특히 폴리우레탄 (PU), 폴리클로로프렌 (CR), 천연 고무 및/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VM) 로 구성된 단일 또는 다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측 및/또는 편향측은 마찰 계수, 경도 및/또는 내마모성이 본체와는 다른 피복재 또는 코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구동 리브 (3) 의 그룹 및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안내 리브 (4) 의 그룹이 다중 구조이고, 구동 리브의 그룹은 안내 리브의 그룹보다 더 작은 경도, 특히 더 작은 쇼어 경도, 및/또는 더 큰 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장 캐리어 배열체 (5), 특히 두 개의 인장 캐리어 배열체 (5) 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리브 (3) 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 캐리어 (5) 의 직경이 1.5 mm ~ 4 mm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측으로부터의 인장 캐리어 배열체 (5) 까지의 간격은 편향측으로부터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 캐리어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인장 캐리어 (5) 는, 코어 와이어와 이 주위에 둘러싸인 두 개의 와이어 층을 갖는 이중 플라이 코어 스트랜드, 및 이 코어 스트랜드 주위에 배치되며 코어 와이어와 이 주위에 둘러싸인 와이어 층을 갖는 단일 플라이 외부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7. 제 16 항에 있어서, 코어 스트랜드의 두 와이어 층은 동일한 랩 각을 갖고, 외부 스트랜드의 하나의 와이어 층은 코어 스트랜드의 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기며, 외부 스트랜드는 코어 스트랜드 주위에 그 자신의 와이층의 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18. 승강실 (10), 이 승강실에 연결되며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강기 지지 수단 (1) 및 승강실 (10) 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구동측과 마찰 결합하여 상호협력하는 구동 휠 (20) 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승강실 (10) 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여러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제공되고, 각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그 구동측으로 구동 휠 (20) 및 그 편향측으로 하나 이상의 편향 휠 (21)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고, 구동 휠의 원주에 있는 하나 이상의 홈 (20.1) 은 각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각 구동 리브 (3) 와 관련되고, 하나 이상의 편향 휠의 원주에 있는 하나 이상의 홈 (21.5) 은 각 승강기 지지 수단의 각 안내 리브 (4) 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0. 제 19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갭 (23) 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갭 (23) 은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폭의 3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2.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승강기 설비에 승강기 지지 수단을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일체형 본체 (2) 를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승강기 지지 수단 (1) 으로 구성된 예비 제품 (7) 이 구동 리브 (3) 및/또는 안내 리브 (4)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분할되어 있고, 승강기 지지 수단 (1) 은 승강기 설비에 장착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얇은 본체 웨브 (17) 에 의해 연결된 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장착 방법.
  23.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강기 설비에 승강기 지지 수단을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두 개 이상의 승강기 지지 수단 (1) 이 승강기 설비 에 장착되기 전에 조립 밴드 (30) 와 영구적으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지지 수단 (1) 의 장착 방법.
KR1020070080866A 2006-08-11 2007-08-10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이러한 승강기 지지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이 승강기 설비의 조립 방법 KR20080014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8824 2006-08-11
EP06118824.9 2006-08-11
EP06127168 2006-12-22
EP06127168.0 2006-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704A true KR20080014704A (ko) 2008-02-14

Family

ID=3909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66A KR20080014704A (ko) 2006-08-11 2007-08-10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이러한 승강기 지지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이 승강기 설비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1886959B1 (ko)
JP (1) JP2008044791A (ko)
KR (1) KR20080014704A (ko)
AR (1) AR062351A1 (ko)
AT (1) ATE470644T1 (ko)
AU (1) AU2007205744A1 (ko)
BR (1) BRPI0703336A (ko)
CA (1) CA2596726A1 (ko)
DE (1) DE502007004052D1 (ko)
ES (1) ES2347288T3 (ko)
HK (1) HK1117810A1 (ko)
MX (1) MX2007009682A (ko)
NO (1) NO20074151L (ko)
RU (1) RU2007130684A (ko)
SG (1) SG139721A1 (ko)
TW (1) TW2008295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4623B (zh) * 2008-12-22 2013-09-04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承载机构、用于此类承载机构的制造方法以及具有此类电梯承载机构的电梯设备
EP3243785B1 (en) 2016-05-11 2021-04-07 KONE Corporation Rope, elevator arrangement and elevator
US10894696B2 (en) * 2016-07-11 2021-01-19 Otis Elevator Company Belt with guide elements
CN109335617A (zh) * 2018-11-30 2019-02-15 哈尔滨岛田大鹏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低能耗高稳定性的侧置驱动升降辊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4577A (en) * 1966-07-18 1968-10-08 Gates Rubber Co Power transmission belt
JPS5578856U (ko) * 1978-11-27 1980-05-30
DE8516604U1 (de) * 1985-06-07 1985-08-01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Keilriemen
JPS62199553U (ko) * 1986-06-09 1987-12-18
US5273496A (en) * 1991-06-18 1993-12-28 Dayco Products, Inc. Belt construction, the combination of the belt construction and a puley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308291A (en) * 1992-10-16 1994-05-03 Dayco Products, Inc. Belt construction, the combination of the belt construction and a pulley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558070Y2 (ja) * 1992-11-04 1997-12-17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Vリブドベルト
US5624338A (en) * 1994-07-27 1997-04-29 Mitsuboshi Belting Ltd. Double V-ribbed belt
CN1107174C (zh) * 1999-01-25 2003-04-30 三星皮带株式会社 V形带肋传动带
EP1063448A3 (de) * 1999-06-22 2003-11-12 NORDDEUTSCHE SEEKABELWERKE GMBH & CO. KG Riemen, insbesondere Förderriem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10240988B4 (de) * 2002-09-05 2014-02-27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aus Riemen und Scheiben bestehenden Antriebsübertragungsanordnung
DK1555234T3 (da) * 2004-01-06 2006-08-21 Inventio Ag Elevator
JP2006182566A (ja) * 2004-12-24 2006-07-13 Inventio Ag ベルト状の駆動手段をもつ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おける電気エネルギーまたは信号を伝達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47288T3 (es) 2010-10-27
TW200829503A (en) 2008-07-16
SG139721A1 (en) 2008-02-29
NO20074151L (no) 2008-02-12
RU2007130684A (ru) 2009-02-20
BRPI0703336A (pt) 2008-04-01
CA2596726A1 (en) 2008-02-11
EP1886959B1 (de) 2010-06-09
EP1886959A1 (de) 2008-02-13
AR062351A1 (es) 2008-11-05
ATE470644T1 (de) 2010-06-15
DE502007004052D1 (de) 2010-07-22
AU2007205744A1 (en) 2008-02-28
HK1117810A1 (en) 2009-01-23
JP2008044791A (ja) 2008-02-28
MX2007009682A (es)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2098B (zh) 电梯支持装置、具有该电梯支持装置的电梯系统及组装方法
US8550216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flat belt with wedge-shaped ribs
EP1056675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US6364063B1 (en) Elevator rope arrangement
US5855254A (en) Cable-clamping device for a synthetic fiber cable
EP3456676B1 (en)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for a traction belt
US20080116014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belt, belt for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of producing such a belt, composite of such belts and method for assembly of such a composite in an elevator installation
CA2564577C (en) Support means system with drive pulley and support means as well as lift installation with such a support means system
MX2012004353A (es) Sistema de ascensor y medio de soporte de carga para un sistema de este tipo.
WO1998029326A1 (en) Elevator rope arrangement
US20190112156A1 (en) Compact belt termination assembly
JP2006335568A (ja) せん断力を許容することができ数本のケーブルを接続する接続部を有する支持手段
KR20080014704A (ko) 승강기 설비용 승강기 지지 수단, 이러한 승강기 지지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이 승강기 설비의 조립 방법
JP4922665B2 (ja) 数本のケーブルを接続する、機械的にプラスの接続部を有する支持手段
EP1097101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US20080135343A1 (en) Elevator support means for an elevator system, elevator system with such an elevator support means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n elevator system
EP1911715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RU2230143C2 (ru) Подъёмная система,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й работающий на растяжение элемент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ередачи направленного вверх усилия к кабине подъёмной систе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