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276A -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276A
KR20080013276A KR1020060074577A KR20060074577A KR20080013276A KR 20080013276 A KR20080013276 A KR 20080013276A KR 1020060074577 A KR1020060074577 A KR 1020060074577A KR 20060074577 A KR20060074577 A KR 20060074577A KR 20080013276 A KR20080013276 A KR 20080013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recording
error signal
tilting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하나
신윤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3276A/ko
Publication of KR2008001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7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using the near-field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는 제 1빔이 기록매체에 입사되도록 하는 제 1대물렌즈 및 SIL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제 1빔으로부터 갭 서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와, 제 2빔이 상기 기록매체에 입사되도록 하는 제 2대물렌즈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제 2빔으로부터 틸팅 에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지션 센서와, 상기 갭 서보 신호와 틸팅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서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광 기록재생 장치, 포토 디텍터, 포지션 센서

Description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recording meduim}
도 1은 니어 필드 데이터 기록장치에 구비되는 SIL과 기록매체의 측면도.
도 2는 귀환광량과 갭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포지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 2빔의 광 스폿.
본 발명은 광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의 서보 동작 제어시 기록매체의 틸팅 에러를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에 대한 것이다.
광 기록매체의 사이즈에 대한 소형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트랙폭이 협소하게 되어야 고밀도 기록용량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보호층, 기록층, 반사 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층상구조 및 그에 따른 집광 방식의 차이에 의한 제한, 기록매체의 기록층에 비트를 형성하기 위해 기록매체 상에 집광되는 광의 스폿 크기의 회절한계에 의한 제한등의 문제로,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광 기록재생방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파 필드(far-field) 방식의 광 기록재생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 광의 회절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에서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니어 필드(near-field)를 이용한 광 기록재생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니어 필드 데이터 기록장치에 구비되는 SIL과 기록매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귀환광량과 갭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록매체(1)와 대물렌즈(OL,미도시) 사이에는 소정의 임계각 이상의 광에 대해서 전반사되도록 전반사면을 가지는 SIL(Solid Immersion Lens, 2)이 구비되고, 상기 SIL(2)과 기록매체간에는 소정의 간격(갭)(d)을 가진다.
대물렌즈를 통과한 광은 기록매체(1)로 입사되기 전에 상기 SIL(2)로 입사되고, 상기 SIL(2)로 입사된 광중에서 소정의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SIL(2)의 반사면에서 전반사되어 이를 관찰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SIL(2)의 반사면에서 맺히게 되는 광의 사이즈 및 상기 SIL(2)과 기록매체(1) 사이의 간격(d)와 관련하여서, SIL(2)에 입사된 광의 파장 λ에 의해 d≤λ/2로 정의되는 영역이 니어 필드(near-field)이다.
그리고, 상기 간격(d)가 d ≥λ/2를 만족시키고, 데이터 기록재생층으로 광이 스며 나오지 않는 상태를 파 필드(far-field) 상태라 한다.
그런데, 파 필드 상태인 경우, SIL(2) 단면에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된 광은 모두 전반사되어 귀환광이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 필드 상태에서의 전반사 귀환광량은 일정값으로 되어 있다.
한편, 니어 필드 상태인 경우, SIL(2)의 반사면에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된 광의 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SIL(2)의 반사면(즉, 반사경계면)에서 기록매체(1)의 데이터 기록재생층에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반사된 광의 귀환광량은 상기 기록매체(1)의 데이터 기록재생층(정확하게는, 기록매체 표면)에 가까워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IL(2)의 단면 위치가 니어 필드 상태에 있을 때는, 전반사 귀환광량이 간격(d)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리니어 부분을 갭 에러 신호로서 피드백 서보를 행하면, SIL(2)의 단면과 기록매체(1)의 데이터 기록재생층면과의 갭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사 귀환광량이 제어 목표값 P가 되도록 제어를 행하면, 상기 간격(d)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니어 필드 상태에서 갭 에러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통해 서보 동작이 제어되는데, 이를 위한 틸팅 구성으로서 제안되는 것들은 모두 니어 필드 상태인 것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기록매체의 스큐(skew)에 의한 틸팅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중에는, SIL과 기록매체 간의 간격이 파 필드 상태에 놓여지게 되는 경우가 있고, 이때에는 SIL에 의해 전반사된 광이 일정하게 되어 이를 이용한 갭 에러 신호의 검출 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SIL에 의해 전반사된 광의 광량을 이용하여 갭 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들은 기록매체의 틸팅에 의해 파 필드 상태에 놓여지는 경우에 SIL에 의해 전반사되는 광량이 일정하게 되므로 이들의 광량차를 이용한 갭 에러 신호의 검출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의 서보 동작시 기록매체의 틸팅 에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는 제 1빔이 기록매체에 입사되도록 하는 제 1대물렌즈 및 SIL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제 1빔으로부터 갭 서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와, 제 2빔이 상기 기록매체에 입사되도록 하는 제 2대물렌즈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제 2빔으로부터 틸팅 에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지션 센서와, 상기 갭 서보 신호와 틸팅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서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기록재생 방법은 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제 2빔을 수광하는 포지션 센서에 의해서 틸팅 에러 신호가 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제 1빔을 수광하는 포토 디텍터에 의해서 갭 서보 신호가 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틸팅 에러 신호와 갭 서보 신호를 이용한 서보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틸팅량이 보다 정확히 검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추가, 부가, 삭제, 변경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매체(15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광학계와 함께 상기 기록매체(150)의 틸팅량을 검출하기 위한 광학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는 소정 대역(예컨대, 405nm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10)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0)에서 방출된 빔을 평행광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터 렌즈(111)와, 입사빔의 편광 성분에 따라 입사빔이 투과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제 3편광 빔 분리기(PBS)(112)와, 빔의 발산각 또는 수렴각을 제어하기 위한 빔 익스팬더(115)와, 상기 제 3편광 빔 분리기(112)를 투과한 빔의 편광 성분에 따라 입사빔이 투과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와,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를 투과한 빔의 편광성분에 따라 투과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제 2편광 빔 분리기(119)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에 의해 반사되어 기록매체(150)로 이동되는 빔은 상기 기록매체(150)의 틸팅 에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에 의해 검출되는 틸팅 에러 신호는 상기 기록매체(150)의 틸팅에 의해 파 필드 상태에 놓여지는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광 기록재생 장치에는 상기 기록매체(150)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를 통해 입사된 RF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 1포토 디텍터(118)가 포함되고,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와 제 1포토 디텍터(118) 사이에는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1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150)에서 반사된 후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제 3편광 빔 분리기(112)에서 반사되어 제 2포토 디텍터(113)로 입사되고, 상기 제 2포토 디텍터(113)는 입사된 빔으로부터 갭 에러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제 2포토 디텍터(113)로 귀환되는 광은 니어 필드 상태에서 SIL(후술함)의 반사면으로부터 전반사된 광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포토 디텍터(113)를 통해서는 니어 필드 상태에서의 갭 에러 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앞서 간단히 살펴본 제 2편광 빔 분리기(119)를 중심으로 광학계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0)를 통해 방출된 빔중에서 제 1빔은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에 의해 반사되어 기록매체(150)에 입사되며, 상기 제 1편광 빔 분 리기(116)를 투과한 제 2빔은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를 통해 반사되어 상기 기록매체(150)로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를 통해 상기 기록매체(150)로 입사된 후 상기 기록매체(150)에서 반사된 빔으로부터 상기 기록매체(150)의 틸팅 에러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지션 센서(12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포지션 센서(120)를 통해 감지되는 광을 통해서 상기 기록매체(150)의 틸팅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포지션 센서(120)를 통해 감지되는 틸팅 에러 신호는 상기 기록매체(150)가 파 필드 상태에 놓여진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 및 제 2편광 빔 분리기(119)를 통해 반사된 빔이 기록매체(150)에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픽업장치의 구성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광 기록재생 장치에는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에 의해 반사된 제 1빔을 상기 기록매체(150)에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제 1대물렌즈(131)와 SIL(Solid Immersion Lens)(132)이 형성된 액츄에이터(131)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에 의해 반사된 제 2빔을 상기 기록매체(150)에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제 2대물렌즈(14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와 제 2대물렌즈(141) 사이에는 입사빔의 파장이 변환되도록 하는 QWP(Quater Wave Plate)(142)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 기록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0)에서 방출된 빔은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111)에서 평행광으로 변환되고, 상기 제 3편광 빔 분리기(112)를 거쳐 상기 빔 익스팬더(115)에서 발산각 또는 수렴각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빔 익스팬더(115)를 지나온 빔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에서 반사되어 상기 기록매체(150)로 입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를 투과하여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로 입사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로 입사된 빔은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에서 반사되어 상기 기록매체(150)로 입사된다.
즉, 상기 제 3편광 빔 분리기(112)를 투과한 광중에서 제 1빔은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에 의해 반사되어 제 1대물렌즈(131) 및 SIL(132)를 지나 기록매체(150)로 입사되고, 제 2빔은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 2대물렌즈(141)를 지나 기록매체(150)로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150)로 입사된 빔(제 1빔 및 제 2빔)은 상기 기록매체(150)에서 반사되어 다시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와 제 2편광 빔 분리기(119)로 입사된다.
상기 기록매체(150)에서 반사된 제 1빔 중 RF 신호가 포함된 빔은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를 투과하여 상기 제 1포토 디텍터(118)로 입사되고, 상기 기록매체(150)의 갭 에러 신호가 포함된 빔은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 및 제 3편광 빔 분리기(112)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 2포토 디텍터(113)로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150)에서 반사된 제 2빔은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를 투과하여 상기 포지션 센서(120)로 입사된다. 특히, 상기 기록매체(150) 에서 반사된 제 2빔을 수광하는 상기 포지션 센서(120)를 통해서 상기 기록매체(150)의 틸팅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기록매체(150)가 파 필드 상태에 놓여지는 경우에도 그의 틸팅량 검출이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제 2포토 디텍터(113)를 통해 검출되는 갭 에러 신호는 상기 기록매체(150)가 니어 필드 상태에서 틸팅량이 포함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제 1편광 빔 분리기(116)에서 반사되어 상기 기록매체(150)로 입사되는 제 1빔이 상기 SIL(132)의 반사면에서 전반사된 후, 상기 제 2포토 디텍터(113)로 입사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록매체(150)가 파 필드 상태에 놓여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 2포토 디텍터(113)를 통해서 정확한 틸팅량이 검출되기 어려울 것이나, 상기 제 2편광 빔 분리기(119)에서 반사되어 기록매체(150)로 입사되는 제 2빔이 대물렌즈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150)가 파 필드 상태에 놓여지는 경우에도 그의 틸팅량 검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포지션 센서(120)를 통해 검출되는 틸팅 에러 신호(제 1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130)를 구비한 픽업 장치는 상기 기록매체(150)가 파 필드 상태에서 니어 필드 상태에 놓여지도록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130)를 구비한 픽업 장치는 상기 기록매체(150)를 지지하는 턴 테이블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픽업 장치의 틸팅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파 필드 상태에서 니어 필드 상태로의 보상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SIL(132)의 반사면으로부터 전반사된 빔으로부터 검출되는 에 러 신호(제 2에러 신호)를 이용해서는, 상기 SIL(132)이 형성된 액츄에이터(130)를 이용하여 니어 필드 상태에서의 서보 동작이 수행된다.
결국, 재생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포지션 센서(120)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해서는 파 필드 상태에서의 에러 신호를 검출하여 니어 필드 상태로의 보상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SIL(132)의 반사면으로부터 전반사된 빔으로부터 검출된 에러 신호를 이용해서는 니어 필드 상태에서의 갭 서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대물렌즈(131)와 SIL(132)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픽업에 앞서서 상기 포지션 센서(120)가 상기 제 2대물렌즈(141)를 통해 기록매체(150)의 다음 트랙의 위치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광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제어 구성 및 픽업 장치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에는 기록매체가 파 필드 상태로 놓여진 경우에도 그의 틸팅량을 검출하기 위한 포지션 센서(120)와, 기록매체의 갭 에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12)와, 상기 포지션 센서(120)로부터 감지되는 기록매체의 틸팅량을 읽어들여 데이터의 재생이나 기록시 서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대물렌즈(131)와 SIL(132)을 갖는 액츄에이터(130)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포토 디텍터(12)는 앞서 설명한 기록재생 장치에서 제 1포토 디텍터 또는 제 2포토 디텍터가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 2포토 디텍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포토 디텍터(12)는 상기 액츄에이터(130)에 구비된 SIL(132)의 반사면에서 전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그로부터 갭 에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포지션 센서(120)의 빔 입사를 안내하는 제 2대물렌즈(141)가 제 1대물렌즈(131)보다 앞서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포지션 센서(120)를 통하여 기록매체(150)의 틸팅량이 먼저 검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13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기록매체의 트랙 또는 재생하고자 하는 기록매체의 트랙 보다 앞서서 상기 제 2대물렌즈(141) 및 포지션 센서(120)를 통하여 기록매체(150)의 틸팅량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는 감지된 틸팅량을 반영하여 상기 액츄에이터(130)에 의한 서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세히, 기록매체(150)가 회전하면서 픽업장치가 데이터의 기록 또는 데이터의 재생을 진행하는 도중에, 상기 포지션 센서(120)는 픽업의 앞에서(즉, 기록매체의 특정 트랙을 기준으로 하여 액츄에이터 보다 선행하는 위치에서) 다음 트랙에서 집광하여 현재 기록 또는 재생중인 트랙에 비해 다음 트랙의 높이와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록매체(150)는 도시된 X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제 1빔(170)은 제 1대물렌즈(132)와 SIL(131)로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포지션 센서(120)에 의한 틸팅량 검출에 사용되는 제 2빔(171)은 제 2대물렌즈(141)를 지나 상기 기록매체(150)에 입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 장치에는 상기 제 1대물렌즈(131) 및 제 2대물렌즈(141)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160,161,162)가 형성된다.
그리고, 데이터의 기록 또는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150)는 회전되고, 상기 기록매체(150)의 회전에 따른 특정의 트랙은 상기 제 2빔(171)에 의한 기록매체의 틸팅량이 검출된 후에 상기 제 1빔(170)에 의한 RF 신호의 검출이 수행된다.
즉, 기록매체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지점 또는 재생하고자 하는 지점은 도시된 X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특정의 지점이 상기 제 1빔(170)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에 앞서서 상기 제 2빔(171)이 그러한 지점으로부터 반사하게 된다. 그리고, 반사된 제 2빔(171)은 제 2대물렌즈(141)를 지나 상기 포지션 센서(120)에 입사하게 되고, 상기 포지션 센서(120)에 의한 기록매체의 틸팅량 검출이 수행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빔(171)을 이용한 기록매체의 틸팅량이 검출된 후에는, 상기 제어부(10)가 감지된 틸팅량을 반영하여 상기 액츄에 이터(130)에 의한 서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기록매체(150)에서 반사된 제 2빔(171)으로부터 기록매체(150)의 틸팅량을 검출한 다음에는, 다음 트랙으로 픽업이 진행시 기록매체(150)와 SIL(131)간의 충돌이 발생되도록 않도록 한다.
상기 포지션 센서(120)에 의한 기록매체(150)의 틸팅량 검출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포지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 2빔의 광 스폿이다.
먼저, 도 6과 도 7에는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제 2빔의 광 스폿이 검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밝게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지션 센서는 다분할된 포토 디텍터로 구현될 수 있다.
기록매체(150)에 틸팅이 발생되지 아니한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매체(150)에서 반사된 제 2빔은 특정의 영역에 소정의 크기의 스폿이 형성될 것이나, 기록매체(150)에 틸팅이 발생된 경우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된 제 2빔의 광 스폿은 어느 일측으로 이동되거나 형상이 일그러질 수 있다.
상기 포지션 센서(120)로 입사된 제 2빔의 광 스폿이 일그러진 형상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기록매체에 틸팅이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맺혀진 광 스폿의 중심이 이동된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기록매체의 틸팅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 또는 데이터 재생 이전에 해당 트랙의 틸팅량을 검출함으로써, 서보 동작이 보다 정확히 수행되도록 하고, 이로부터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시에 기록매체와 픽업 장치간 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틸팅량이 보다 정확히 검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제 1빔이 기록매체에 입사되도록 하는 제 1대물렌즈 및 SIL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제 1빔으로부터 갭 서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와,
    제 2빔이 상기 기록매체에 입사되도록 하는 제 2대물렌즈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제 2빔으로부터 틸팅 에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지션 센서와,
    상기 갭 서보 신호와 틸팅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서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광 기록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틸팅 에러 신호에 대한 서보 동작의 수행 후에 상기 갭 서보 신호에 대한 서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대물렌즈는 상기 기록매체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대물렌즈에 앞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물렌즈와 SIL을 갖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픽업 장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 장치에 의한 서보 동작의 수행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한 서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파 필드 상태에 놓여지는 경우에, 상기 기록매체의 틸팅량은 상기 포지션 센서에 의해 수광되는 제 2빔으로부터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6. 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제 2빔을 수광하는 포지션 센서에 의해서 틸팅 에러 신호가 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제 1빔을 수광하는 포토 디텍터에 의해서 갭 서보 신호가 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틸팅 에러 신호와 갭 서보 신호를 이용한 서보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기록재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동작은 상기 상기 틸팅 에러 신호에 대한 서보 동작후에 상기 갭 서보 신호에 대한 서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기록매체의 특정 트랙에 대하여, 상기 제 2빔에 의한 틸팅량이 검출이 수행된 다음에 상기 제 1빔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KR1020060074577A 2006-08-08 2006-08-08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20080013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577A KR20080013276A (ko) 2006-08-08 2006-08-08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577A KR20080013276A (ko) 2006-08-08 2006-08-08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276A true KR20080013276A (ko) 2008-02-13

Family

ID=3934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577A KR20080013276A (ko) 2006-08-08 2006-08-08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32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8287A (ja) 記録媒体にデータを記録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からデータを再生する装置及び方法
US4977552A (en) Split type optical pick-up device with a tracking error detector on the moving part
JPH0373935B2 (ko)
JP2001134961A (ja) 光記録再生装置
KR20080013276A (ko)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0782201B1 (ko) 근접장 광 저장장치 및 광 픽업 콘트롤 방법
US7002893B2 (en) Optical head with passive temperature compensation
US5559771A (en) Tracking control apparatus and optical pickup having the same
JPH03141039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768985B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4046915A (ja) 光記録媒体再生装置
JPH05120690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993391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4112124B2 (ja) 光記録媒体と、これに対して情報の記録再生を行なうため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KR100739660B1 (ko) 광픽업장치 및 기록매체의 두께 검출방법
KR100656643B1 (ko) 재생장치
US5621707A (en) Method for erasing rewritable optical disk using two laser beams and an erasingspacehead therefor
US20060187776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s of optical pickup device and objective lens used for the apparatus
JP4410012B2 (ja) 光記録/再生システム
KR100214581B1 (ko) 광픽업장치
US6381209B1 (en) Multi-channel optical head for optical recording and reading optical storage data
JPH11232677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740368B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670457B1 (ko) 데이터 저장매체
KR20080004716A (ko)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