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920A -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적응적 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적응적 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920A
KR20080012920A KR1020077027936A KR20077027936A KR20080012920A KR 20080012920 A KR20080012920 A KR 20080012920A KR 1020077027936 A KR1020077027936 A KR 1020077027936A KR 20077027936 A KR20077027936 A KR 20077027936A KR 20080012920 A KR20080012920 A KR 2008001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communication unit
packet
wireless communication
p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씨 제이. 윌슨
제임스 에이. 버틀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통신부(120)는 소정의 주파수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폴링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부(120)는, 패킷이 폴링에 응답해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210),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비율을 결정한다(220). 다음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수를 변경하도록 폴링 주파수를 조정한다(230).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리폴링한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소정 시간에서 패킷을 재생한다(250). 택일적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폴링없이 패킷을 수신하고(310), 패킷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도달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를 결정한다(220). 그 다음, 폴링 주파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에 근접하게 설정된다(330).
무선 통신 패킷, 폴링 주파수, 액세스 포인트, 통신부, 네트워크

Description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적응적 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O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폴링(polling)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 패킷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은 패킷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들은, 일반적 패킷 무선 서비스(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관련 시스템, 소정의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시스템, 소정의 무선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 기반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및 다른 관련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이들 시스템의 각각에서 전송될 때, 데이터는 개별 패킷으로 나뉘고, 각 패킷은 또한 다수의 블록 또는 프레임으로 나뉜다.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또는 기타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은 네트워크 또는 다른 데이터 소스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다. 그 다음,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패킷을 무선으로 무선 통신부에 전송한다. 그러나, 데이터가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도달하는 타이밍 및 주파수는 종종 일정하지 않다. 이러한 타이밍 문제는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의 재생 동안과 같은 데이터의 재생에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시스템에서 지터(jitter)로서 지칭된다.
소정의 시스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패킷이 송신되어야만 하는 것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폴(poll) 또는 업링크 패킷을 수신할 때까지, 패킷을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도달하는 주파수는 종종, 무선 통신부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폴링하는 주파수와 다르고, 이는 다시 지터 또는 재생 문제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패킷이,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폴링 후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도달한다면, 무선 통신부는 패킷을 놓치고 언더런(under run)을 경험할 것이다. 음성 데이터에 대해, 언더런은 놓친 패킷의 길이에 대한 침묵 윈도우를 발생시켜서, 음성 품질을 열화시킨다.
시스템을 디지터(dejitter)하기 위해서 임의의 종래 시스템들이 무선 통신부에서의 버퍼 메모리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2개의 버퍼 시스템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부가, 제1 패킷의 재생이 시작하기 전에 2개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한다. 이 시스템은, 폴링 후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도달할 때 패킷의 손실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 디지터 시스템은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패킷을 수신 및 압축복원(decompress)하기 위한 시간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패킷 의 적어도 길이의 지연을 일으킨다.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되는, 특히 도면과 함께 고찰될 때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적응적 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요구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바와 같은 블록도를 포함한다.
도 2는 무선 통신부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바와 같은 순서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바와 같은 도 2의 단계들에 관련된 선택적 단계들의 순서도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바와 같은 순서도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전송의 표시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도면의 구성 요소들이 명료성 및 명확성을 위해서 도시된 것이고, 반드시 크기에 맞추어 도시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치수 및/또는 상대적 배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의 증진을 돕기 위해 다른 구성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가능한 실시예에서 유용하거나 필수적인 일반적이고 공지된 구성 요소들은 종 종,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명확한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 표현들은, 본 명세서에서 특정 의미가 정의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조사 및 연구의 대응하는 각 영역에 있어서 그러한 용어 및 표현들과 일치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이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통신부는 소정의 폴링 주파수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폴링한다. 다음으로, 패킷이 폴링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되고,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비율이 결정된다. 그 다음, 소정의 폴링 주파수가 수정되어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비율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무선 통신부는, 폴링에 응답해서 수신된 패킷의 비율을 증가시키면서, 데이터 패킷의 재생에 있어서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패킷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적은 패킷이 떨어져서 데이터 전송을 개선시킨다. 예를 들어, 개선된 데이터 전송은, 음성 전송의 사운드 품질을 개선시키고 사운드의 재생시 지연을 줄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멀티미디어 재생 품질이 향상될 것이고, 소정의 시간 결정적인(time-critical) 데이터 스트림이 향상된 품질로 전송 시간이 감소되어 수신될 것이다.
이제 도면,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10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와 통신한다. 네트워크(10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무선 패킷을 통해 송신될 데이터의 소정의 소스일 수 있다. 이러한 소스는 인터넷 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소스는 대안적으로, 전화, 컴퓨터, 또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데이터 생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송신될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의 소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송수신기(130), 폴링 제어기(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120)와 무선 통신한다. 송수신기(130)는, 업링크 폴 및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부(120)는 송수신기(130)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와 통신한다.
폴링 제어기(140)는 전용 회로, 소프트웨어, 또는 무선 통신부(120)로부터의 폴링 주파수 및 리폴링(repolling)을 포함하는, 폴링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인에이블링 구조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소프트웨어 루틴을 실행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폴링에 응답한 패킷 수령의 결정 및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지는 폴의 비율의 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택일적으로, 폴링 제어기(140) 및 프로세서(150)는 집적 구조(160) 또는 회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또한 음성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스피커(170)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스피커에 대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비디오 스크린 또는 시간 결정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같은 재생 디바이스로서 다양한 다른 구조가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무선 통신부(120)에 의한 패킷의 수령은 도 2를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무선 통신부(120)는 제어기(140)를 폴링함으로써 설정된 소정의 주파수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폴링한다(200). 양호하게,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업링크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폴링한다(200). 그 다음,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업링크 패킷의 수신에 응답해서 하나 이상의 패킷을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송신할 것이다. 당업자는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다른 폴링 방법이 동작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50)는 패킷이 폴링(200)에 응답해서 무선 액세스 통신부(120)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210). 프로세서(150)는 또한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비율을 결정한다(220). 그 다음, 폴링 제어기(140)는 폴링 주파수를 조정하여(230)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패킷의 수신시에 얻어지는 폴의 비율을 변경할 것이다. 양호하게, 폴링 주파수는, 폴에 응답하여 수신된 패킷의 비율을 소정 양이 되게 하도록 조정된다(230). 소정 양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다양한 팩터들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조정되어, 비율이 항상 미리 설정된 소정의 양이 되게 할 수 있다. 양호하게, 소정 양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서의 데이터의 예상 도착과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폴링(200) 간의 지연을 최소화하면서,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패킷의 수를 최대화하기에 충분할 만큼 높은 패킷의 비율이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프로세서(150)가 패킷이 폴에 응답해서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면(210), 폴링 제어기(140)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리폴링한다(240). 리폴링(240)은 소정의 시간에 발생한다. 이 소정의 시간은 양호하게 대략, 네트워크(100)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수신될 패킷에 대한 최대 지연 시간이다. 이와 같이, 리폴링에 대한 시간은, 정규 폴에 응답해서 수신되지 않는 패킷이 리폴링에 응답해서 수신될 것을 본질적으로 보장하도록 설정된다.
패킷의 수신 후에,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패킷을 소정 시간에서 재생한다(250). 양호하게, 수신된 패킷을 재생하는(250) 소정의 시간은 대략, 네트워크(100)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수신될 패킷에 대한 최대 지연 시간이다. 양호한 재생 시간을 사용해서, 패킷 재생 지연은, 정규 폴링에 응답해서 수신되지 않은 패킷을 검색하도록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리폴(240)을 대기하는 것만으로 최소화될 것이다. 당업자는, 재생 시간이, 재생 전에 데이터의 압축복원 또는 다른 프로세싱을 위한 시간을 계산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플레이(play)" 및 "재생(playback)"은, 스피커(170)를 통한 음성 데이터의 재생, 스크린 및/또는 스피커(170)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간 결정적인 데이터 스트림의 프로세싱 및 판독, 또는 다른 경우 개선된 데이터 전송 효율을 활용하는 것과 같은 액션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부(120)의 폴링 주파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정될 수 있다. 우선, 무선 통신부(120)는 송수신기(130)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무선 통신부(120)로부터의 폴링없이 패킷을 무선 통신부(120)로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 송신한다(300). 다음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소정 수의 패킷을 수신한다(310). 폴링없이 수신된 패킷을 이용해서, 프로세서(15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를 결정한다(320).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는, 무선 통신부(12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주파수이다. 이 주파수는 또한 패킷이 네트워크(100)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도달하는 레이트에 대응하고, 이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폴링을 대기하지 않고 패킷을 송신하기 때문이다. 당업자는, 원하는 측정의 정확도 및 시스템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를 결정하기 전에, 광범위한 패킷이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프로세서(150) 및/또는 폴링 제어기(140)를 통해, 무선 통신부(120)의 폴링 주파수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에 근접하게 설정한다(330). 그 다음,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부(120)로부터의 폴링에 응답해서만 패킷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 송신한다(340). 따라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패킷을 수신하는 주파수에 근접한 주파수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폴링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지터를 최소화할 것이다.
대체 실시예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네트워크(10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400), 메모리에 패킷을 저장한다(405). 패킷은 일반적으로 가변 지연 시간으로 주어진 주파수에서 도달한다. 그 다음,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배터리 절약 모드에서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업링크 패킷을 수신한다(410). 당업자는, 폴링, 또는 업링크 패킷의 송신이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고, 이에 따라, 무선 통신부(120)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무선 통신부(12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폴링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양호하게, 무선 통신부(120)는 업링크 패킷을 소정의 폴링 주파수에서 송신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업링크 패킷의 수신(410)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부(120)로 패킷을 송신한다(415).
다음으로, 프로세서(150)는, 무선 통신부(120)가 송신된 업링크 패킷에 응답해서 패킷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420). 프로세서(150)는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업링크 패킷의 비율을 결정할 것이다(425). 다음으로, 폴링 제어기(140)는 폴링 주파수를 조정하여, 업링크 패킷의 송신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부(120)에 의한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업링크 패킷의 비율을 변경한다. 양호하게, 폴링 주파수는 업링크 패킷의 비율이 소정의 양이 되게 하도록 변경된다.
무선 통신부(120)가 업링크 패킷의 송신에 응답해서 패킷을 수신하는데 실패하면,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수신될 제2 업링크 패킷을 송신한다(435). 제2 업링크 패킷은 양호하게,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패킷의 수신(400)시 대략 최대의 가변 지연 시간에서 송신된다(435). 따라서, 제2 업링크 패킷은 소정의 폴링 주파수에서 정규 폴링에 의해 놓쳐진 패킷을 검색할 것이다.
무선 통신부(120)에서 수신된 패킷은, 소정의 폴링 주파수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를 폴링한 후에, 소정 시간에서 재생된다(440). 양호한 실시예에서, 소정 시간은 대략, 네트워크(100)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수신될 패킷에 대한 최대 지연 시간이다. 당업자는, 재생 시간이, 재생 전에 데이터를 압축복원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간을 계산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폴링 주파수는 무선 통신부(120)의 배터리 절약 모드로의 진입 전에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 절약 모드에서, 무선 통신부(120)는 업링크 패킷의 송신에 응답해서만 패킷을 수신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패킷이 네트워크(100)로부터 수신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지 않은 무선 통신부(120)로 패킷을 송신한다(445). 그 다음, 프로세서(15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주파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폴링 제어기(140)는 폴링 주파수를, 무선 통신부(120)가 배터리 절약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주파수에 근접하게 설정할 것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패킷을 수신하는 주파수에 근접하게 폴링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시스템은 지터를 최소화한다.
당업자는,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지 않을 때 폴링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이 전송의 개시 또는 전송 동안 수행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무선 통신부(120)는 배터리 절약 모드를 벗어나도록 변경하여, 전송 과정 동안 배터리 절약 모드로 돌아가는 변경 전에 상기 방식으로 폴링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소정의 장점들은 도 5를 참조하고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해서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네트워크(100)로부터의 패킷 도달의 주파수가 주어지기 때문에, 예상 시간 A에서 네트워크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400). 그러나, 패킷은 종종 가변 지연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도달한다. 이 지연은 참조 번호 500으로 표시되는 라인에 의해 표시되고, 이는, 시간 A에서의 패킷의 예상 도달 후에, 패킷이 소정 시간에 도달할 가능성의 감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서의 패킷의 예상 도달 후의 이러한 시간 윈도우 동안,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시간 B에서 무선 통신부(120)로부터의 폴 또는 업링크 패킷을 수신할 것이다(410). 이 폴에 응답해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수신되어 저장된 패킷을 시간 C에서 송신하거나(415),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네트워크(100)로부터의 패킷이 업링크 폴 전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패킷을 송신하지 않으면, 무선 통신부(120)는, 프로세서(150)를 통해, 업링크 패킷의 송신에 응답해서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하고(420), 무선 통신부(120)는 시간 D에서 제2 업링크 패킷을 송신할 것이다(435). 시간 D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가 네트워크(100)로부터 패킷을 수신(400)할 가능성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시간 B에서 제1 업링크 패킷의 시간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업링크 패킷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패킷 송신(510)으로부터 얻어질 것이고, 이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놓쳐진 패킷의 수가 감소될 것이다.
무선 통신부(120)는 양호하게, 패킷이 제1 또는 제2 업링크 패킷에 응답해서 수신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시간 E에서 패킷을 재생할 것이다. 시간 E에서 패킷을 재생함으로써, 일반적인 시스템에서의 재생 지연이 개선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시스템에서, 지터 또는 가변 지연 시간은 약 5 밀리초이다. 따라서, 시스템이 데이터의 압축복원 또는 다른 프로세싱을 위해 예를 들어, 5 밀리초의 시간을 갖는다면, 재생 시간 또는 시간 E는, 시간 A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패킷의 예상 도달로부터 10밀리초 정도에 있을 것이다. 종래의 버퍼 기반 시스템에서, 지연은 일반적으로, 약 5 밀리초의 압축복원 또는 다른 프로세싱을 위한 시간에, 예를 들어, 약 20 밀리초의 버퍼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의 길이를 더한 것이고, 이는 최소 25 밀리초의 지연을 야기시키며, 이는 도 5의 시스템의 지연의 2배 이상이다.
또한, 당업자는, 제1 업링크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즉, 시간 B가 소정의 폴링 주파수에 따른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시간 B는, 정규 폴링에 응답해서 수신된 폴의 비율이 주어진 양이 되게 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링에 응답해서 수신된 패킷이 너무 적으면, 주파수는 도 5의 우측으로 시간 B를 이동시키도록 변경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무선 통신부(120)는 놓치게 되는 패킷이 더 적게 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저장 회로(10)의 재생시 감소된 지연을 가질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서 매우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조합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조합들이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1)

  1. 소정의 폴링 주파수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폴링(polling)하는 단계;
    상기 폴링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폴링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폴링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상기 비율을 변경하도록 상기 소정의 폴링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비율을 변경하도록 상기 소정의 폴링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폴링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의 비율이 선정된 양이 되게 하도록 상기 소정의 폴링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폴링 주파수에서 상기 폴링에 응답해서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된 후에, 소정 시간에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리폴링(repoll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폴링없이 패킷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소정 수의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정 수의 패킷이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폴링 주파수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에 근접하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폴링에 응답해서만 패킷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주어진 주파수에서 가변 지연 시간으로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이 무선 통신부로 송신될 때까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패킷을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저장하는 단계;
    소정의 폴링 주파수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업링크 패킷을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부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업링크 패킷의 수신에 응답해서만,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을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업링크 패킷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업링크 패킷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업링크 패킷의 상기 비율을 변경하도록 상기 소정의 폴링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부가 제1 업링크 패킷의 송신에 응답해서 패킷을 수신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제2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제2 업링크 패킷이,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제1 업링크 패킷을 송신한 후에 대략 최대의 상기 가변 지연 시간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지 않을 때 상기 패킷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을 상기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기 소정의 폴링 주파수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상기 주파수에 근접하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로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송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을 추적할 수 있는, 상기 송수신기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프로세서 회로; 및
    상기 프로세서 회로에 응답해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복수의 폴링 주파수에서 폴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상기 송수신기 및 상기 프로세서 회로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폴링 제어기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회로는,
    상기 폴링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폴링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링 신호의 비율을 결정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 제어기는, 상기 폴링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패킷의 수령에서 얻어진 폴링 신호의 상기 비율을 변경하도록 상기 폴링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폴링없이 패킷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소정 수의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소정 수의 패킷이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액세 스 포인트 주파수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소정의 폴링 주파수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주파수에 근접하게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폴링에 응답해서만 패킷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KR1020077027936A 2005-05-31 2006-05-16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적응적 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12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41,514 US20060268812A1 (en) 2005-05-31 2005-05-31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o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141,514 2005-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920A true KR20080012920A (ko) 2008-02-12

Family

ID=3746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936A KR20080012920A (ko) 2005-05-31 2006-05-16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적응적 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68812A1 (ko)
KR (1) KR20080012920A (ko)
DE (1) DE112006001331T5 (ko)
GB (1) GB0720374D0 (ko)
WO (1) WO200613034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856B1 (ko) * 2020-07-23 2020-09-03 김준연 유선드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4392A1 (en) * 2006-06-20 2007-1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polling support for websphere adapters based on the self-configuration characteristic of an autonomic computing model
US8411765B2 (en) 2008-10-10 2013-04-02 Ziva Corporation Techniques and system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1029075A2 (en) 2009-09-03 2011-03-10 Ziva Corporation Technique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s based on time reversal pre-coding
EP2476239B1 (en) * 2009-09-09 2018-1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ation of content transmission in mobile networks
EP2926615B1 (en) * 2012-12-03 2017-08-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poll control entity for controlling a polling procedure
EP3939191B1 (en) * 2020-06-05 2023-1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cknowledgment in network transport protoco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561A (en) * 1992-04-06 1999-04-20 Intermec Ip Corp.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dormant polling protocol
JP2001156808A (ja) * 1999-09-16 2001-06-08 Otc Wireless Inc 無線インターネット接続のための多重アクセス方法及び装置
US6693921B1 (en) * 1999-11-30 2004-02-17 Mindspeed Technologies, Inc. System for use of packet statistics in de-jitter delay adaption in a packet network
US7280473B2 (en) * 2001-08-30 2007-10-09 Nortel Networks Limited Data strea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daptive transmission scheduling
TW516638U (en) * 2001-11-07 2003-0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ly controlled adjustable optical attenuator
US20050265333A1 (en) * 2004-06-01 2005-12-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enabling efficient multicast transmission in a packet-based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856B1 (ko) * 2020-07-23 2020-09-03 김준연 유선드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68812A1 (en) 2006-11-30
WO2006130343A2 (en) 2006-12-07
GB0720374D0 (en) 2007-11-28
DE112006001331T5 (de) 2008-03-13
WO2006130343A3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5753B2 (en) Multi-channel audio over a wireless network
US9967307B2 (en) Implementing a high quality VoIP device
RU2510587C2 (ru) Синхронизаци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аудио с фиксированным видео
JP4456064B2 (ja) パケット送信装置、受信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EP1440375B1 (en) Network media playout
KR100699914B1 (ko) Voip 송신기 및 수신기 장치 및 그의 방법
US7269141B2 (en) Duplex aware adaptive playout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KR20080012920A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적응적 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245608B2 (en) Codec aware adaptive playout method and playout device
JP2006135974A (ja) 適応的バッファ遅延を有する音声受信機
CN101636990B (zh) 在通信系统中传输数据的方法
US11064228B2 (en) Audio playback timing adjustment
EP4072042A1 (en) Synchronizing a distributed applic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US20230216910A1 (en) Audio synchronization in wireless systems
US8477810B2 (en) Synchronization using multicasting
US20050282580A1 (en) Video and audio synchronization
CN110875860B (zh) 一种处理网络抖动的方法及装置
JP2009188735A (ja) 動画データ配信装置、動画データ配信システム、動画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16809A (ko) 미디어 신호의 수신장치, 송신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JPH1169327A (ja) 同期制御装置
US10531160B2 (en)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content delivery system, an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WO2021002135A1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信方法
JP202200653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プログラム
CN114270735A (zh) 用于传送数字音频流的无线电设备
JP2008072599A (ja) 無線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帯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