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544A -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544A
KR20080012544A KR1020060073495A KR20060073495A KR20080012544A KR 20080012544 A KR20080012544 A KR 20080012544A KR 1020060073495 A KR1020060073495 A KR 1020060073495A KR 20060073495 A KR20060073495 A KR 20060073495A KR 20080012544 A KR20080012544 A KR 20080012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base
chassis
exhaust pipe
plasma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2544A/ko
Publication of KR2008001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54Means for exhausting the g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사각 판형 샤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샤시 베이스 일부에는 배기관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과 연결되는 통형 배기관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재 샤시에 있어서,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곳에 보호부재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마즈마 표시장치용 샤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시 베이스 가운데 배기관 보호부재 하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부분적 굴곡을 방지하거나, 보호부재의 상단을 고정하여, 배기관 보호 부재의 기울어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 보호부재와 배기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Chassis for plasma display device}
도1은 배기관 및 보호부재가 형성된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일 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2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예에서 배기관 보호부재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3은 톡싱(toxing) 방법으로 두 평면 부재를 결합하는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기관 보호부재가 설치된 샤시 베이스를 위쪽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패널 배기관 보호부를 가지는 샤시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통상적으로,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 표면에 전극, 격벽, 보호막이나 형광체층 등을 형성하고,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겹쳐 내부에 방 전 가스를 주입한 후 밀봉하여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이하 패널과 혼용함)을 이용한 평판형 표시장치를 말한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많은 용적을 차지하는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 표시장치에 비해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용적으로 가벼운 대형화면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LCD 같은 다른 평판형 표시장치에 비해 기판에 트랜지스터 같은 능동소자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시야각이 넓고, 휘도가 높다는 일반적인 특성을 가진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한 뒤, 패널의 각 전극과 연결되는 구동 회로 등 화면 구현에 필요한 요소들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패널을 지지하고, 구동 회로를 설치하기 위한 패널과 평행한 대략 직사각 플레이트형태의 프레임 혹은 샤시가 사용된다.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패널에서 두 기판 사이에 격벽에 의해 지지되는 공간에서는 표시장치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방전이 이루어진다. 방전이 이루어질 때 전극을 보호하고 형광체를 적절히 여기시킬 자외선을 얻기 위해 공간 내에는 적합한 종류의 원소로 이루어진 가스가 봉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두 기판을 정위치에 정렬하고 실링 재료를 이용하여 봉착시킨 뒤에는 기판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고, 배기가 이루어진 진공 상태의 공간에 원하는 종류의 가스를 주입시켜야 한다.
배기 및 가스 주입을 위해서는 통상 배기관이 이용된다.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패널 배기 및 가스 주입을 위해 먼저 두 기판 가운데 한 기판에 하나 이상 배기 홀을 형성시킨다. 배기홀에는 배기관을 설치하고, 배기관을 통해 패널 내부 공간에 진공을 인가하여 배기를 실시한다. 배기관은 대개 유리관으로 이루어진다. 배기관을 배기홀에 맞게 삽입하거나 배기홀이 형성된 기판 표면에 위치시킨 후 그 접합부에 프릿 그래스(frit glass)를 녹여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배기관이 기판 외측에 설치된다.
패널 내부 공간에 배기 및 방전 가스 주입을 위해 사용된 배기관은 가스 주입이 끝난 뒤 내부를 저압으로 유지하고, 방전 가스를 보존하기 위해 밀봉되어야 한다. 그런데, 배기관은 기판면에서 돌출되며, 유리 재질로 형성되므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생산 공정 중이나 이동중에 작업자나 외부 물체와 부딪혀 파손되기 쉽다. 배기관이 파손되면 패널 내부 방전 공간의 기압이나 가스 조성이 유지될 수 없으므로 고가의 패널 전체가 폐기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돌출된 배기관이 작업자나 외부 물체와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1과 같이 배기관과 겹치는 영역에서 샤시 베이스에 홀을 형성하고, 홀에는 샤시 베이스 후방에 배기관을 감싸도록 원통형의 보호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도1은 배기관 및 보호부재가 형성된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일 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두 기판(11,1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패널 후방에서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30) 및 샤시 베이스(30) 후면에 장착되며 구동 회로가 설치되는 회로 기판(113)을 구비한다.
후방 기판(13)의 뒤쪽에는 샤시가 설치된다. 샤시에는 플레이트형 샤시 베이 스(30)와 샤시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재(37) 및 회로 기판(113,63) 설치 등을 위한 보스가 구비된다. 샤시 베이스(30)는 후방 기판의 후면에 양면 테이프(21) 등으로 고정된다. 샤시 베이스(30)와 후방 기판(13)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21)와 함께 열전도 매체(20)가 개재된다.
샤시 베이스 후방에는 다수의 회로 기판(113) 및 전원 장치 등이 설치된다. 회로 기판(113)에는 패널 구동에 필요한 구동칩 기타 전기전자 요소 장치들이 설치된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스탠드형도 가능하나 벽걸이용으로 적합하므로, 벽에 걸 때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벽걸이용 보스가 샤시에 장착될 수 있다.
샤시 앞쪽에 부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에는 어드레스 전극과 유지 전극 등에서 이어지는 인출전극이 위치한다. 다수의 인출전극을 회로 기판의 회로 단자들과 연결시키기 위한 신호 전달 수단으로 TCP, COF 등이 이용된다.
TCP(50)는 일 관점에서 하나의 신호선이라 할 수 있고, 도선이 형성된 유연성을 가진 띠형 필름(FPC:flexable printed circuit)의 일종이다. 단, 그 중간에 구동칩(51)이 설치되어 있다. TCP(50)의 중간 부분은 패널 외측으로 빈 공간에 노출되므로 패널과 샤시를 결합시키는 가공 중에 혹은 결합체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다른 물체와 닿거나, 걸려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런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위한 보호 플레이트(40)가 샤시 베이스(30)의 주변 단부나 단부 주변의 보강재(37) 등에 나사 같은 고정 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그리고, 샤시 후면의 좌상단 모서리 부분에는 하단에 플랜지부(233)가 있는 보호 부재(220)가 설치된다. 보호 부재는 패널의 후방 기판(13)에서 뒤쪽으로 돌출되는 배기관(131)을 감싸 보호하게 된다.
도2의 종단면도와 같이 형성되는 보호부재는 샤시 베이스에 회로 기판 설치를 위해 형성되는 보스나, 표시장치 자체를 벽에 걸기 위해 형성되는 보스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샤시 베이스에 원통형 보호부재(220)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33)를 맞대고 정합된 관통공을 이용하여 리벳 체결하거나, 나사체결을 할 수 있다.
샤시 베이스에 통공이 형성되어 패널(10)의 배기관(131)이 통공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통공 주변에는 배기관 보호부재(220)의 하단 플랜지(233)가 닿아 도시되지 않지만 톡싱 방법으로 보호부재(220)와 샤시 베이스(30)가 결합된다. 배기관 보호부재(220)는 원통형으로 비어있는 중공이 샤시 베이스의 통공과 연결되도록 샤시 베이스에 결합된다.
배기관이 패널의 후방 기판(12)과 접합된 곳에는 패널에 배기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의 단면도에 보이듯이 맞대어진 두 평판 부분, 즉 샤시 베이스(100) 및 보호부재 플랜지부(200)의 아래쪽에는 미도시된 홈틀을 대고, 위쪽에는 블럭(300)을 대고 블럭 위에서 펀치로 압력을 가해 두 판이 홈을 형성하고, 블럭이 그 홈에 압입되도록 하는 톡싱(toxing)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블럭은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다소간 소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홈틀은 홈 입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톡싱 부위의 아래쪽이 리벳과 같이 더 넓게 형성되 도록 할 수 있으며, 블럭이 없이 펀치 가공만으로 홈을 형성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톡싱이나 리벳 등으로 결합된 부분은 응력이 집중되기 쉽고, 이 부분에서 샤시 베이스에 부분적인 변형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기 쉽다. 이렇게 변형이 이루어져 샤시 베이스에 굴곡이 형성될 경우, 이 부분에 설치된 원통형 보호부재도 많이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울어진 보호부재의 원통형 벽체가 내부의 배기관 일부에 닿아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 때 접촉된 배기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샤시에 부착된 패널이 구동중 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샤시와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가 바뀌게 되면 배기관 보호부재의 기울어짐과 함께 유리 배기관과 보호부재 사이의 접촉 확률은 더욱 높아지고, 배기관의 손상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
이러한 부분적 변형의 문제 및 그에 따른 배기관과 배기관 보호부재의 접촉 문제는 원가 절감 및 두께 감소를 위하여 샤시 베이스 금속으로 알미늄 대신 가령, 1.5mm 정도로 얇게 형성된 철 재질의 판재를 사용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플라즈마 표시장치에서의 배기관 보호 부재 설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측면에 따르면, 샤시 베이스 가운데 배기관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의 부분적 굴곡을 방지하고, 배기관 보호 부재의 기울어 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배기관 보호부재와 배기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마즈마 표시장치용 샤시는,
사각 판형 샤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샤시 베이스 일부에는 배기관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과 연결되는 통형 배기관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재 샤시에 있어서,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곳에 보호부재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강부는, 샤시 베이스 가운데 통공이 형성되는 주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샤시 베이스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거나, 샤시 베이스 가운데 통공이 형성되는 주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샤시 베이스가 겹쳐져 이루어지는 것이거나, 샤시 베이스와 별개의 플레이트형 보강재가 샤시 베이스와 겹쳐져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보강부에는 보호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면으로 접촉되고, 접촉된 부분의 일부에서 톡싱 방법으로 보호부재는 샤시 보강부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보강부는 보호부재가 설치된 주변에서 샤시 베이스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샤시 베이스와 평행한 수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보호부재의 상단이 수평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을 위해 보호부재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수평부와 플랜지가 면접촉하면서 면접촉된 부분의 일부에서 톡싱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샤시 베이스는 철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기관 보호부재가 설치된 샤시 베이스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샤시 베이스(300)는 좌우측 단부가 180도 절곡되거나 별도 부재(350)를 덧대어 겹쳐진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샤시 베이스(300)의 겹쳐진 부분에 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패널(10)의 배기관이 통공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통공 주변에는 배기관 보호부재(420)의 하단 플랜지가 닿아 도시되지 않지만 톡싱 방법으로 보호부재(420)와 샤시 베이스(300)가 결합된다. 배기관 보호부재는 원통형으로 비어있는 중공이 샤시 베이스의 통공과 연결되도록 샤시 베이스에 결합된다. 보호부재는 원통형이 보편적이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샤시 베이스는 양면 접착재를 통해 패널 주변부에서 패널을 이루는 배면 유리 기판과 결합된다.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 공간에는 열전도 매체가 개재되어 패널의 열을 샤시쪽으로 전달하거나, 패널의 열을 전면에 걸쳐 골고루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구성에서는 배기관이 통과하는 통공이 샤시 베이스가 겹쳐진 두꺼운 부분에 형성된다. 종래의 경우, 도1에서 보이듯이 한겹으로 이루어진 샤시 베이스에서 통공 주변의 톡싱부분에는 응력이 집중되기 쉬웠고, 톡싱부의 영향으로 통공 주변 샤시 베이스에 굴곡 변형이 매우 크게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부분에서 샤시 베이스가 겹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록 톡싱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겹쳐진 부분이 변화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여 주변 샤시 베이스가 심하게 굴곡,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설치된 원통형 보호부재가 기울어지는 현상도 방지하고, 보호부재 내벽이 유리 재질의 배기관에 닿아 충격을 전달하여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샤시 베이스 부분이 샤시 베이스 원판을 절곡하여 겹쳐 형성된 것이지만, 별도의 판재를 샤시 베이스 부분에 겹치게 결합시켜 형성하거나, 샤시 베이스 형성시 이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를 참조하면, 샤시 베이스(500)는 알미늄에 비해 얇은 철 판재로 형성되며, 좌우측 단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90도씩 두번 절곡되어 보강부(550)를 형성한다. 샤시 베이스(500)와 나란한 샤시 보강부(550)의 평면 부분과 샤시 베이스가 배기관 보호부재(600)와 상하에서 접하게 된다. 즉, 보호부재(600) 하부 플랜지 부분과 보호부재(60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 부분이 각각 샤시 베이스의 배기관 통공 주변과 보강부의 평면 부분에서 면접촉하고, 적어도 하나의 톡싱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이런 실시예에서 원통형 보호부재의 상단 부분은 보강부의 평면 부분에 의 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보호 부재의 하부가 결합된 홑겹의 샤시 베이스 통공 주변이 열이나 외력에 의해 혹은 다른 이유로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면서 굴곡 변형되려 하여도 샤시 베이스가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부 평면 부분이 상단에서 보호부재를 고정하여 보호부재가 샤시 베이스의 부분적 변형에 따라 기울어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때, 보강부는 샤시 베이스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며, 보호부재와 톡싱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므로 이 부분에서도 부분적인 굴곡,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보호부재 상단에서의 변형과 보호부재 하단에서의 변형 방향이 일반적으로 일치하지 않으며, 샤시 베이스와 보강재 부분 사이의 거리 및 보호부재의 길이가 정해지고, 이들 결합 부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결합부가 상호간에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므로 결과적으로 배기관 보호부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는 배기관 보호부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한정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샤시 베이스 좌우측 단부 모두에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관 보호부재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외에 샤시 베이스 전체의 외력이나 열팽창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일반적인 샤시 보강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시 베이스 가운데 배기관 보호부재 하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부분적 굴곡을 방지하거나, 보호부재의 상단을 고정하여, 배기관 보호 부재의 기울어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 보호부재와 배기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사각 판형 샤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샤시 베이스 일부에는 배기관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과 연결되는 통형 배기관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재 샤시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곳에 상기 보호부재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샤시 베이스 가운데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주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샤시 베이스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샤시 베이스 가운데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주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샤시 베이스가 겹쳐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샤시 베이스 가운데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주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샤시 베이스와 별개의 플레이트형 보강재가 상기 샤시 베이스와 겹쳐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5. 제 2항 내지 제 4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는 상기 보호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면으로 접촉되고, 접촉된 부분의 일부에서 톡싱 방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 베이스는 철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호부재가 설치된 주변에서 상기 샤시 베이스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샤시 베이스와 평행한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보호부재의 상단이 상기 수평부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상기 플랜지가 면접촉하면서 면접촉된 부분의 일부에 톡싱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 베이스는 철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샤시.
KR1020060073495A 2006-08-03 2006-08-03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 KR20080012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495A KR20080012544A (ko) 2006-08-03 2006-08-03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495A KR20080012544A (ko) 2006-08-03 2006-08-03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544A true KR20080012544A (ko) 2008-02-12

Family

ID=3934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495A KR20080012544A (ko) 2006-08-03 2006-08-03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25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2652B2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plasma display device
KR1008740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17736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支持用のテンション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7629748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US20080062628A1 (en) Plasma display module
KR20080012544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
CN101162559B (zh) 等离子体显示面板
KR100659819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70511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836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61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476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437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60080450A (ko) 열전도매체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70506B1 (ko) 방열핀을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411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9977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158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92B1 (ko)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3144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83698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20060081601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80024331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US20070247045A1 (en) Plasma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