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46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466B1
KR100696466B1 KR1020030086071A KR20030086071A KR100696466B1 KR 100696466 B1 KR100696466 B1 KR 100696466B1 KR 1020030086071 A KR1020030086071 A KR 1020030086071A KR 20030086071 A KR20030086071 A KR 20030086071A KR 100696466 B1 KR100696466 B1 KR 100696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chassis base
display panel
lengt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207A (ko
Inventor
강태경
김석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46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66Cool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샤시베이스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변형을 보정하는 보강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열변형으로 인한 패널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대화면화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변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샤시베이스의 결합 상태도,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샤시베이스의 휨변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샤시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샤시베이스의 휨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가로 보강재 및 세로 보강재의 길이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가로 보강재의 길이비에 따른 패널 휨변형량의 프로파일,
도 11은 세로 보강재의 길이비에 따른 패널 휨변형량의 프로파일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 1 패널 20...제 2 패널
30...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0...방열시트
60...샤시베이스 61...가로 보강재
62...세로 보강재 71...구동소자
72...배선 73...회로기판
L...샤시베이스의 횡방향 길이 l...가로 보강재의 길이
H...샤시베이스의 종방향 길이 h...세로 보강재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손상이 방지되는 개선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장치로서, 표시용량,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박형이면서,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CRT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의 표시부가 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 1 패널(110) 및 제 2 패널(120)이 접합되어 구비된다.
제 1 패널(110)은 제 1 기판(111)과, 제 1 기판(111)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으로 이루어진 복수 쌍의 방전유지전극(112)과, 상기 방전유지전극(112)과 접하는 버스전극(113)과, 상기 방전유지전극(112) 및 버스전극(113)이 매립되도록 상기 제 1 기판(111) 위에 형성되는 제 1 유전체층(114)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유전체층(114) 위에는 보호층(115)이 구비된다.
제 2 패널(120)은 제 2 기판(121)과, 제 2 기판(121)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어드레스전극(122)과,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을 덮는 제 2 유전체층(123)과 상기 제 2 유전체층(123)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방전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24) 및 제 2 유전체층(123) 상에서 격벽(124)에 걸쳐 형성되는 형광층(12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11,121)은 유리재질의 글라스 기판으로 제조되는데, 예를 들어, 소다 글라스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패널(110,12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열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격벽(124) 제조과정에서는 유전체층(123) 상에 격벽재료를 도포하고, 패턴을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소성공정을 거친다. 또한, 이러한 열공정을 통해 제조된 제 1 및 제 2 패널(110,120)은 봉착공정을 통해 접합되는데, 이러한 봉착공정은 소성과정을 통해 프릿유리를 용융시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복수의 열공정을 통해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과정에서 가해진 열에 의해 어느 정도 휨변형을 수반한다. 이러한 휨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패널(130)의 휨변형에 의한 만곡부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휨변형량(e)은 전방으로 대략 3mm 정도가 된다.
한편, 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30)에서는 다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면테이프(140) 및 방열시트(150)를 개재하여 샤시베이스(16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샤시베이스(160)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의 재질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방열판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열공정으로 인해 굴곡된 형상을 구비하게 되므로, 이러한 패널(130)이 샤시베이스(160)와 결합되면, 패널(130) 굴곡이 제거되면서, 패널(130)에는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패널(130) 구동 중에는 방전이 실행되는 패널(130) 및 이와 결합된 샤시베이스(160)에서 열변형이 발생된다. 그런데, 열팽창계수가 대략 8.5μm/m℃의 유리재질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열팽창계수가 대략 23.8μm/m℃의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는 샤시베이스(160)는 열팽창 정도가 서로 상이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변형이 유발된다.
예를 들어, 상온(25℃)에서 패널(130)과 샤시베이스(160)가 결합되고, 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온도가 80℃ 로 상승한 경우, 휨변형량(e)은 후방으로 대략 4mm정도가 된다. 패널(130) 자체의 휨변형량(e)이 전방으로 대략 3mm임을 고려하면, 전체적인 휨변형량(e)은 7mm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도한 변형은 패널(130)에 응력을 발생시키고, 특히, 격벽 및 프릿유리 등이 손상되며, 유리재질의 패널(130)이 균열 내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패널이 대면적화됨에 따라, 열변형으로 인한 패널 손상은 더욱 심화되므로, 그 해결의 필요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열변형으로 인한 패널의 손상이 방지되는 개선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대화면화에 적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변형을 보정하는 보강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의 열팽창계수는 상기 샤시베이스보다 작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재는 강(Steel)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샤시베이스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팽창계수는 8.5 μm/m℃이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열팽창계수는 23.8 μm/m℃ 이며, 상기 보강재의 열팽창계수는 11.7 μm/m℃ 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시베이스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장변 및 종방향으로 연장된 단변를 구비한 장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보강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샤시베이스의 횡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가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60% 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보강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샤시베이스의 종방향 길이에 대한 세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85% 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보강재 및 상기 샤시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보강재가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횡방향 길이에 대한 가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60% 로 제한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종방향 길이에 대한 세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85% 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은 도 5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30)과,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샤시베이스(60) 및 상기 패널(30)과 샤시베이스(60)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시트(5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샤시베이스(50)의 배면에는 패널(30)을 구동하는 회로부가 설치된다.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20)이 접합되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표시부가 된다.
상기 샤시베이스(60)는 패널(30)의 방열판으로써의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샤시베이스(6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고, 또한, 패널(30) 및 샤시베이스(60) 사이에 방열시트(50)를 개재하여, 패널(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샤시베이스(60)로 전도되도록 한다.
상기 샤시베이스(60)는 유리재질로 구비되는 패널(30)의 지지구조로써의 역할도 겸하므로, 그 강도보강을 위해 보강재(61,62)가 구비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샤시베이스(60)의 배면에는 패널(30)을 구동하는 회로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로부는 패널 전극에 제어된 신호 및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소자(71)와, 회로기판(73) 및 배선(72)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패널의 열변형을 보정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데, 도 7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샤시베이스에 설치되는 보강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샤시베이스(60)에는 보강재(61,62)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보강재(61,62)는 샤시베이스(60)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보강재(61) 또는/및 샤시베이스(6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보강재(62)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61,62)는 패널(30)의 열변형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샤시베이스(60) 및 패널(30) 사이의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보강재(61,62)가 설치되면, 샤시베이스(60)는 열팽창계수가 작은 보강재(61,62)의 방향으로 기울게 되므로, 샤시베이스(60)와 결합되기 이전 패널(30)의 휨변형과 같은 방향으로 열변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보강재(61,62)가 강(steel)재로 구비되면, 상기 강재는 열팽창계수가 대략 11.7μm/m℃로, 알루미늄 재질의 샤시베이스(60)에 비해 낮은 열팽창율을 가지고, 유리재질로 구비되는 패널에 비해 높은 열팽창율을 가진다. 이러한 열팽창 정도의 차이로 인해, 장치의 구동 중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굴곡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강재(61,62)가 샤시베이스(60)를 구속함으로써, 열팽창도가 높은 샤시베이스(60)의 신장이 보강재(61,62)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샤시베이스(60)가 낮은 열팽창도를 가지는 보강재(61,62)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샤시베이스(60)와 결합전 패널(30)과 동일한 굴곡방향(도 2 참조)을 가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보강재(61,62)가 적절한 설계치 이상으로 형성되면, 보강재(61,62)에 의해 샤시베이스(60)의 열팽창이 과도하게 억제되는 결과, 과다한 휨변형으로 패널(30)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보강재의 설계기준이 요구되는데, 이를 제공하기 위해, 42인치, 50인치, 63인치형의 샤시베이스에 대해 온도를 상온(25℃)에서 80℃ 로 상승시키고, 열변형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42인치 샤시베이스는 횡방향 길이가 984mm, 종방향 길이가 584mm 이고, 50인치 샤시베이스는 횡방향 길이가 1152mm, 종방향 길이가 668mm 이다. 또한, 63인치 샤시베이스는 횡방향 길이가 1443mm, 종방향 길이가 836mm 이다.
보강재(61,62)의 설계변수로, 샤시베이스(60)의 길이에 대한 보강재(61,62)의 길이비를 채택할 수 있는데, 도 9를 참조하면, 가로 보강재(61)의 경우에는 샤시베이스(60)의 횡방향 길이(L)에 대한 보강재(61)의 횡방향 길이(l)의 상대비(l/L)를 설계변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보강재(62)의 경우에는 샤시베이스(60)의 종방향 길이(H)에 대한 보강재(62)의 종방향 길이(h)의 상대비(h/H)를 설계변수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61,62)의 길이비에 따른 휨변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휨변형량(e)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0에는 가로 보강재의 횡방향 길이비(l/L)에 따른 패널의 휨변형량(e)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세모형으로 표시된 것은 63인치, 네모형으로 표시된 것은 50인치, 마름모형으로 표시된 것은 42인치의 휨변형량(e)을 나타내는데, 화면이 대면적화됨에 따라 만곡부의 이동거리로 정의되는 휨변형량(e)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가로 보강재(61)의 횡방향 길이(l)가 증가할수록 샤시베이스(60)의 열팽창이 억제되어, 패널(30)의 휨변형량(e)이 증가하게 된다.
샤시베이스(60)와 결합전 패널(30)의 휨변형량(e)이 3mm 임을 고려하면, 가로 보강재(61)의 길이비(l/L)는 60% 이하로 유지되면 패널(30)에 작용하는 응력이 완화되어 패널(30)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에는 세로 보강재(62)의 종방향 길이비(h/H)에 대한 패널(30)의 휨변형량(e)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세모형으로 표시된 것은 63인치, 네모형으로 표시된 것은 50인치, 마름모형으로 표시된 것은 42인치의 휨변형량(e)을 나타내는데, 화면이 대면적화됨에 따라 만곡부의 이동거리로 정의되는 휨변형량(e)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세로 보강재(62)의 길이(h)가 증가하게 되면, 샤시베이스(60)의 열팽창이 억제되어, 패널(30)의 휨변형량(e)이 증가하게 된다.
샤시베이스(60)와 결합전 패널(30)의 휨변형량(e)이 3mm 임을 고려하면, 세로 보강재(62)의 길이비(h/H)가 85% 이하로 유지되면 패널(30)에 작용하는 응력이 완화되어 패널(30)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실험결과로부터, 패널(30)에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가로 보강재(61) 또는/및 세로 보강재(62)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샤시베이스(60)의 강성을 증가시켜, 외부의 충격이나 휨 하중으로부터 패널(30)을 충실히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강재(61,62)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61,62)가 알루미늄보다 고강도의 강재로 구비되면, 그 길이가 다소 감소하여도 패널(30)이 충실히 보호될 수 있는바, 패널(30) 보호를 위한 강성이 확 보되는 범위에서 상기 설계기준에 따라 보강재(61,62)의 길이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샤시베이스(60)에 설치되는 보강재(61,62)가 강재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재의 보강재(61,62)와 아울러,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의 보강재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알루미늄 재질의 샤시베이스에 알루미늄 보다 열팽창계수가 작은 강(steel)재의 보강재가 설치됨으로써, 패널의 휨변형을 조절하여 패널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한다. 특히, 보강재의 설계기준을 제시하여, 패널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재의 규격이 제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의 균열 및 파손이 방지되고, 격벽 등 내부구조물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패널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대화면화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변부 및 단변부를 갖는 장방형의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변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그 열팽창계수가 상기 샤시베이스 보다는 작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보다는 크며, 상기 샤시베이스의 장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장변부 길이에 대한 상기 가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60% 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보강재는 강(Steel)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팽창계수는 8.5 μm/m℃이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열팽창계수는 23.8 μm/m℃ 이며, 상기 가로 보강재의 열팽창계수는 11.7 μ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변부 및 단변부를 갖는 장방형의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변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그 열팽창계수가 상기 샤시베이스 보다는 작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보다는 크며, 상기 샤시베이스의 단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단변부 길이에 대한 상기 세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85% 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장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보강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의 장변부 길이에 대한 가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60%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삭제
  14.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변부 및 단변부를 갖는 장방형의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변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강(Steel)재로 마련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장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장변부 길이에 대한 상기 가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60% 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5.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변부 및 단변부를 갖는 장방형의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변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강(Steel)재로 마련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단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단변부 길이에 대한 상기 세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85% 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6.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변부 및 단변부를 갖는 장방형의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변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강(Steel)재로 마련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단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보강재 및 장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장변부 길이에 대한 상기 가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60% 로 제한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단변부 길이에 대한 상기 세로 보강재의 길이의 비는 최대 85% 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30086071A 2003-11-29 2003-11-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071A KR100696466B1 (ko) 2003-11-29 2003-11-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071A KR100696466B1 (ko) 2003-11-29 2003-11-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207A KR20050052207A (ko) 2005-06-02
KR100696466B1 true KR100696466B1 (ko) 2007-03-19

Family

ID=3724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071A KR100696466B1 (ko) 2003-11-29 2003-11-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4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445A (ja) 1996-12-06 1998-06-26 Fujitsu General Ltd Pdpの放熱構造
KR20030016498A (ko) * 2001-08-20 2003-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20030035673A (ko) * 2001-11-02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40085652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445A (ja) 1996-12-06 1998-06-26 Fujitsu General Ltd Pdpの放熱構造
KR20030016498A (ko) * 2001-08-20 2003-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20030035673A (ko) * 2001-11-02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40085652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207A (ko)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786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34834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21413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7154222B2 (e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reinforcing barrier ribs with curvature
US7501759B2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50184664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696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3435650B1 (ja) 6角形状隔壁リブセル構造のpdp
US20060098126A1 (en)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371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301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59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8023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977881B2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80218080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847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2384B1 (ko) 델타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0466277B1 (ko) 평판표시소자의전극구조
KR1007411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097638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152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12544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샤시
US7812535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41067B1 (ko) 일체형 샤시베이스 보강부재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1303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