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752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752B1
KR100684752B1 KR1020040093016A KR20040093016A KR100684752B1 KR 100684752 B1 KR100684752 B1 KR 100684752B1 KR 1020040093016 A KR1020040093016 A KR 1020040093016A KR 20040093016 A KR20040093016 A KR 20040093016A KR 100684752 B1 KR100684752 B1 KR 10068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pdp
chassis base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341A (ko
Inventor
김원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7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16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28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융기 변형된 격벽 끝단 주위에서 발생되는 PDP 면의 고주파진동을 저감시켜 버징 노이즈(buzzing noise)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그 일면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이 샤시 베이스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열전도시트,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형성되는 격벽의 끝단이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표면과, 이 표면에 마주하는 샤시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제진 테이프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기판, 배면기판, 격벽, 소음, 버징 노이즈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 PLASM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격벽 끝단의 융기 변형과 이에 따른 고주파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버징 노이즈(buzzing noise)를 저감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에서 융기 변형된 격벽 끝단 주위에서 발생되는 버징 노이즈(buzzing noise)를 줄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와, 이 PDP를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및 이 샤시 베이스의 PDP 반대측에 장착되어 유연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및 커넥터를 통하여 PDP의 내부에 위치하는 표시전극 또는 어드레스전극 에 연결되는 다수의 구동회로기판들을 포함한다.
이 PDP는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표시용량,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능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 PDP는 전(前) 공정에서 전면기판에 전극을 형성하고 유전체를 인쇄하며, 이와 별도로 배면기판에 격벽을 형성하고 형광체를 형성하며, 후(後) 공정에서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된 전면판과 배면판을 서로 합착하여, 이들 사이의 공간에 잔류하는 공기를 배기하고, 이 공간에 방전가스를 충전시켜 형성된다.
상기 격벽은 배면기판에 격벽 형성을 위한 페이스트층을 형성하고, 이 페이스트층 상에 DFR(dry film resist)을 라미네이팅하고, 이 DFR을 노광/현상하여 DFR을 패터닝하며, 샌드블라스트법으로 노광/현상된 DFR의 패턴에 따라 페이스트층을 패터닝하고, 잔류하는 DFR을 박리하여 최종적으로 잔류하는 페이스트층을 소성함으로써, 배면기판 상에 완성된다.
이 격벽 형성 시, 격벽의 끝단은 샌드 연마재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식각되고, 또한 배면기판과의 부착력이 격벽의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어 소성 과정을 거치면서 열수축에 의하여 융기 변형된다.
이렇게 융기 변형된 격벽의 끝단은 전면판과 배면판을 합착할 때, 전면기판의 선단을 굴곡시키면서 전면기판과의 사이에 불필요한 틈을 형성시키고, 이 틈은 PDP 구동시 PDP 면의 고주파진동을 발생시킨다. 이 진동으로 인하여 PDP는 격벽의 끝단에서 버징 노이즈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융기 변형된 격벽 끝단 주위에서 발생되는 PDP 면의 고주파진동을 저감시켜 버징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그 일면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이 샤시 베이스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열전도시트,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형성되는 격벽의 끝단이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표면과, 이 표면에 마주하는 샤시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제진 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진 테이프는 실리콘과 폴리에스테르 화이버를 포함하는 제진재로 형성되어, PDP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소음을 흡수한다.
이 제진 테이프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의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글라스 실과 상기 글라스 실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격벽 끝단 사이에 대응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표면과 이 표면에 마주하는 샤시 베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진 테이프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4변의 후방 표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열전도시트와 제진 테이프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가 구비되고, 이 양면 접착 테이프는 PDP를 샤시 베이스에 부착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는 PDP(100), 및 이 PDP(100)의 일면 즉, 영상이 구현되는 반대면 측에 열전도시트(200)를 개재하여 PDP(100)를 부착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300)를 포함한다.
이 샤시 베이스(300)의 PDP(100) 반대측에는 PDP(10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회로기판(미도시)들이 구비되고, 이 구동회로기판들은 PDP(100)의 전극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구동회로기판의 구성 및 이 구동회로기판과 PDP(100)를 연결하는 구성에 공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 PDP(100)는 통상적으로 대략 사각형(도면에서 x 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샤시 베이스(300)는 이 PDP(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니면서, 열전도성이 우수한 가령,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이 PDP(1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 일례를 예시 하고 있으며, 제1 기판(2, 이하 '배면기판'이라 한다)과 제2 기판(12, 이하 '전면기판'이라 한다)의 봉착 구조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면기판(2)의 내면에는 일 방향(도면의 y 축 방향)을 따라 어드레스전극(4)들이 신장 형성되고, 이 어드레스전극(4)들을 덮는 유전층(6)이 배면기판(2)의 내면 전체에 형성되며, 이 유전층(6) 위에 격벽(8)이 어드레스전극(4)과 평행한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고, 이 격벽(8)의 측면과 유전층(6) 상면에 걸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층(10R, 10G, 10B)이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격벽(8)은 각각의 어드레스전극(4)들 사이에서 임의의 높이로 형성되어 배면기판(2)과 전면기판(12) 사이에 방전가스가 주입되는 방전공간을 형성한다. 이 격벽(8)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라이프 패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격자형 구조 또는 그 이외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배면기판(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면기판(12)의 내면에는 어드레스전극(4)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 축 방향)을 따라 제1 전극(14, 이하 '유지전극'이라 한다)과 제2 전극(16, 이하 '주사전극'이라 한다)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전극(18)이 형성되고, 이 표시전극(18)들을 적층 구조로 덮는 유전층(20)과 MgO 보호막(22)이 전면기판(12)의 내면 전체에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전극(4)들은 x 축 방향을 따라 방전셀(24)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치되고, 유지전극(14)들 및 주사전극(16)들은 y 축 방향을 따라 방전셀(24))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한 쌍씩 배치된다. 이 방전셀(24)에는 상기한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층(10R, 10G, 1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전극(14)과 주사전극(16)은 일례로써 각각 스트라이프 패턴의 투명전극(14a, 16a)과, 이 투명전극(14a, 16a)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투명전극(14a, 16a)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는 버스전극(14b, 16b)으로 이루어진다. 이 투명전극(14a, 16a)은 ITO(indium tin oxide)막으로 형성되고, 버스전극(14b, 16b)은 은(Ag)과 같이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PDP(100)는 어드레스전극(4) 및 표시전극(18)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의하여 기체방전을 일으키고, 이때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열전도시트(200)는 PDP(11)에서 발생되는 열을 PDP(100)의 평면 방향으로 전도하여 샤시 베이스(300)를 통하여 발산시키도록 PDP(100)의 후방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샤시 베이스(300) 사이에 구비된다. 이 열전시트(200)는 아크릴계 방열재, 그래파이트(graphite)계 방열재, 금속계 방열재, 또는 탄소나노튜브계 방열재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열전도시트(200)를 개재하는 PDP(100)와 샤시 베이스(300)는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400)에 의하여 상호 부착된다. 따라서 이 양면 접착 테이프(400)와 열전도시트(200)는 PDP(100)와 샤시 베이스(300) 사이에 같이 개재되므로 서로 간섭되거나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전도시트(200)는 한 장으로 형성되고 그 외곽에 양면 접착 테이프(400)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도 1에서와 같이 열전도시트(200)를 다수(3개 예시)로 분할하여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400)를 개재하는 것이 PDP(100)와 샤시 베이스(300)의 견고한 부착 지지를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PDP(100)에서 격벽(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범위에 걸쳐 균일한 높이(z 축 방향)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제작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 변형된 끝단(8a)을 형성하게 된다. 즉, 격벽(8)의 끝단(8a)은 샌드블라스트법으로 패터닝할 때 연마재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식각되고, 이에 더하여, 격벽(8)의 중간 부분에 비하여 배면기판(2)과의 접착력이 부족하여 소성 공정을 거치면서 융기 변형된다.
이 격벽(8)의 끝단(8a)은 배면기판(2)과 전면기판(12)을 글라스 실(26)로 봉착할 때, 전면기판(12)의 끝단(12a)을 들어 올리게 되어, 격벽(8)의 끝단(8a)과 전면기판(12)의 끝단(12a) 사이에 틈(C)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격벽(8)의 끝단(8a)이 위치하는 PDP(100)의 배면기판(2)의 표면과 이 표면에 마주하는 샤시 베이스(300) 사이에 제진 테이프(500)를 구비한다. 이 제진 테이프(500)는 PDP(100) 및 이 끝단(8a) 부분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진동을 제거하고 소음을 흡수하는 제진재로 형성되며, 그 일례로서, 실리콘과 폴리에스테르 화이버를 포함하는 제진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진 테이프(500)는 테이프 상태로 형성되어 직접 부착될 수도 있고 시트 상태로 형성되어 별도의 접착제를 구비하여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료 상태로 형성되어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제진 테이프(500)는 PDP(100) 구동시 격벽(8)의 끝단(8a) 주위에서 발생되는 PDP(100) 면의 고주파진동을 감쇠시켜, 이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버징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격벽(8)의 끝단(8a) 주위의 PDP(100)에 부착되거나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 버징 노이즈는 이 격벽(8) 끝단(8a)과 글라스 실(26)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S)과 상기한 틈(C)에 해당하는 만큼의 공간에서 더 증대되므로 제진 테이프(500)는 이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진 테이프(500)는 PDP(100) 외곽의 전면기판(12)과 배면기판(2) 사이에 개재되는 글라스 실(26)과 이 글라스 실(26)의 내측에 위치하는 격벽(8) 끝단(8a) 사이 거리(L)에 대응하는 PDP(100)의 후방 표면과 이 표면에 마주하는 샤시 베이스(300)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이 제진 테이프(500)는 PDP(100)의 4변의 후방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진 테이프(500)의 이러한 배치는 도면에서 y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8)의 양쪽 끝단(8a)이 x 축 방향으로 직선 배열되는 데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이 부분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진동을 제진 테이프(500)로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PDP(100)를 구동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 변형된 격벽(8)의 끝단(8a)에 의하여 격벽(8)과 전면기판(12)의 일부가 이격되면서, PDP(100) 면에서 고주파진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제진 테이프(500)가 격벽(8)의 끝단(8a)에 해당하는 PDP(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발생되는 상기 고주파진동은 제진 테이프(500)에 의하여 흡수 감쇠된다.
이 격벽(8)의 끝단(8a)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진동의 대부분이 이 제진 테이프(500)에서 흡수 제거됨에 따라, 이 격벽(8)의 끝단(8a) 주위에서 발생되는 버징 노 이즈도 저감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격벽의 끝단이 위치하는 PDP의 후방 표면과 이에 마주하는 샤시 베이스 사이에 제진재로 형성되는 제진 테이프를 구비하여, PDP 구동시, 융기 변형된 격벽의 끝단 주위에서 발생되는 PDP 면의 고주파진동을 감쇠시키므로, 이 고주파진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버징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그 일면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상기 샤시 베이스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열전도시트;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의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글라스 실과 상기 글라스 실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격벽 융기 끝단 사이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표면과 이 표면에 마주하는 샤시 베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제진 테이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테이프는 실리콘과 폴리에스테르 화이버를 포함하는 제진재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테이프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4변의 후방 표면에 구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열전도시트와 제진 테이프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40093016A 2004-11-15 2004-11-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016A KR100684752B1 (ko) 2004-11-15 2004-11-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016A KR100684752B1 (ko) 2004-11-15 2004-11-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341A KR20060053341A (ko) 2006-05-22
KR100684752B1 true KR100684752B1 (ko) 2007-02-20

Family

ID=3715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016A KR100684752B1 (ko) 2004-11-15 2004-11-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7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3871A (ja) 1997-10-30 1999-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260304A (ja) 1999-03-10 2000-09-22 Canon Inc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2003162228A (ja) 2001-11-28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KR20040008265A (ko) * 2002-07-0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40027069A1 (en) 2002-03-27 2004-02-12 Ki-Jung Kim Plasma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3871A (ja) 1997-10-30 1999-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260304A (ja) 1999-03-10 2000-09-22 Canon Inc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2003162228A (ja) 2001-11-28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US20040027069A1 (en) 2002-03-27 2004-02-12 Ki-Jung Kim Plasma display device
KR20040008265A (ko) * 2002-07-0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341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327B1 (ko)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6696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634040B2 (en) Multi display device
US8013529B2 (en) Plasma display device
US20080186662A1 (en) Plasma display device
JPH1127218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21413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95111B1 (ko) 인쇄회로기판일체형플라즈마표시장치
JP2005099734A (ja) 放熱シート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13373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21288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60098126A1 (en)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9037243A (ja) 信号接続部及びこれを利用したプラズマ表示装置
KR1006847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051290A1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1307643A (ja) 表示用パネル及び平面型表示装置
JP436887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100141561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4160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649317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an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JP433308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410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신호전달부재의 방열 기구 및 이를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03290B1 (ko) 방열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47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모듈
KR20050051035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