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473A - 내화블록 구조 - Google Patents

내화블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473A
KR20080010473A KR1020080003492A KR20080003492A KR20080010473A KR 20080010473 A KR20080010473 A KR 20080010473A KR 1020080003492 A KR1020080003492 A KR 1020080003492A KR 20080003492 A KR20080003492 A KR 20080003492A KR 20080010473 A KR20080010473 A KR 20080010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anchor member
protrusion
inci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093B1 (ko
Inventor
신갑식
김종식
Original Assignee
(주)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종 filed Critical (주)태종
Priority to KR102008000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0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2Casings; Linings; Wal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4Supports for linings
    • F27D1/145Assembling elements
    • F27D1/147Assembling elements for 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블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조 작업성을 높이고 시공이 용이하며, 로체 내의 국부과열 및 기계적 충격 등을 분산시킬 수 있고, 로체 내에 국부적으로 고온화되거나 가스가 침투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박리(Spalling) 현상이나 기계적 충격 등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여 로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내화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각로에 적용되는 내화블록 구조에 있어서, 일면에 앵커장착홈이 형성된 블록본체; 및 한쪽은 앵커장착홈에 장착되고, 다른 쪽은 블록본체 외부로 연장되어 소각로의 외벽 내면에 고정되는 앵커부재; 를 포함하는 내화블록 구조를 제공한다.
소각로, 내화블록, 돌출부, 요홈부, 앵커장착홈, 수납홈, 앵커부재

Description

내화블록 구조{FIRE BRICK STRUCTURE}
본 발명은 내화블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조 작업성을 높이고 시공이 용이하며, 로체 내의 국부과열 및 기계적 충격 등을 분산시킬 수 있고, 로체 내에 국부적으로 고온화되거나 가스가 침투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박리(Spalling) 현상이나 기계적 충격 등에 의한 내화블록의 탈락을 방지하여 로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내화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화블록(Fire Brick 또는 Refractory Brick 또는 Refractory Plate)은 특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내화물로서, 각종 소각로 및 용융로의 구조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내화블록의 주성분은 녹는점이 높은 금속산화물이며, 성분의 구성과 결합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원료로는 대부분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원료를 사용하는데, 규석, 납석, 내화점토, 규선석, 크롬철광, 지르콘 및 흑연 등을 채굴하여 이들을 선별하고 분쇄한 뒤 직접 사용하는 것과, 내화점토, 보크사이트, 마그네사이트광 및 돌로마이트광 등을 소성(燒成) 가공하여 샤모트, 소(燒)보크사이트, 마그네시아클링커 및 돌로아이트클링커 등을 만들어 사용하는 종류가 있다.
그 밖에 바닷물 중의 마그네슘이온을 수산화마그네슘의 형태로 석출, 이것을 침전시켜 소성시킨 마그네시아클링커, 보크사이트로부터 얻은 합성규소 등의 인공합성원료를 사용해서 만든 고순도 및 고성능의 내화블록도 있다.
이러한 내화블록은 주로 가열분야에서 이용되는 각종 로체(爐體)의 내벽 재료로 적용되어 축조되며, 종래에는 일정한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 즉 통상의 벽돌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되었다.
로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나, 특히 소각작업에 사용되는 로체는 스토커(Stocker), 로터리 킬른(Rotary kiln), 로터리 킬른과 스토커 복합형, 유동상식, 건류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내화블록이 적용된 로체, 특히 소각로를 단순화시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로(10)는 소각하고자 하는 물체가 투입되는 투입구(12)와 물체가 소각되면서 발생하는 연기 등의 오염물질이 빠져나가게 되는 덕트(14), 소각된 물체가 재(Ash)로 배출되는 배출구(16)로 구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각로(10)의 하부에 소각로(10) 내의 물체를 연소시키도록 열을 가하는 화구가 배치된다.
그리고, 소각로(10)에 투입되는 물체는 우선 물체를 건조시키는 건조단, 건조된 물체를 본격적으로 소각시키는 연소단 및 연소단에서 미처 연소되지 못한 물체를 후 소각시키는 후연소단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소각로(10)에 투입되는 물체가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 어 수분이 포함된 폐기물(저발열량)이 투입된 경우 건조단에서 건조되어 연소단으로 이동하게 되나, 수분이 거의 없는 폐기물(고발열량)이 투입된 경우 연소단에서 소각되는 것이 아니라 건조단에서 소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물체가 소각되면서 발생한 화염과 가스 등이 건조단의 상측(도 1의 A로 표시된 부분), 즉 천정에 위치한 소각로(10)의 내벽에 닿게 되며, 이에 따라 화염과 가스 등이 접한 소각로(10)의 내벽 부분이 고온의 열기와 가스 등으로 인해 과열 또는 부식되어 박리 현상 등이 일어나면서 심할 경우 내벽이 무너져내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내벽을 이루는 내화블록을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소각로(10)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371423호 "로체 내부에 시공되는 내화벽돌 구조"에는 전면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요부가 형성된 내화벽돌을 적용하여 내화벽돌 전면부에 시공되는 내화물의 탈락을 방지하여 내화물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로체 내부에 시공되는 내화벽돌 구조"는 용강(쇳물)과 접하는 내화 캐스터블 또는 스프레이 코팅재가 탈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내화벽돌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요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하로 축조된 내화벽돌 상호 간에는 결합력이 작용하나, 이웃하고 있는 내화벽돌과는 결합력이 작용하지 않아 국부적으로 고온화되거나 물체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박리(Spalling) 현상이나 기계적 충격 등에 의해 내화블록이 탈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내화블록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조 작업성을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내화블록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체 내의 국부과열 및 기계적 충격 등을 분산시킬 수 있고, 로체 내에 국부적으로 고온화되거나 가스가 침투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박리(Spalling) 현상이나 기계적 충격 등에 의한 내화블록의 탈락을 방지하여 로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내화블록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각로에 적용되는 내화블록 구조에 있어서, 일면에 앵커장착홈이 형성된 블록본체; 및 한쪽은 앵커장착홈에 장착되고, 다른 쪽은 블록본체 외부로 연장되어 소각로의 외벽 내면에 고정되는 앵커부재; 를 포함하는 내화블록 구조를 제공한다.
앵커장착홈은, 앵커부재의 한쪽 말단에 형성된 장착부가 끼워지는 끼움홈; 및 앵커부재의 몸체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홈;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본체는 한쪽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와 대향되는 다른 쪽에 이웃하는 내화블록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앵커장착홈은 돌출부가 형성된 면과 요홈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앵커부재 몸체의 축은 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앵커부재는, 앵커장착부에 장착되는 제1 앵커수단과; 한쪽은 소각로의 외벽 내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제1 앵커수단과 접하는 제2 앵커수단; 및 제1 앵커수단과 제2 앵커수단을 체결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에 의하면, 축조 작업성을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체 내의 국부과열 및 기계적 충격 등을 분산시킬 수 있고, 로체 내에 국부적으로 고온화되거나 가스가 침투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박리(Spalling) 현상이나 기계적 충격 등에 의한 내화블록의 탈락을 방지하여 로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내화벽돌 구조는 로체의 내벽 전부에 적용할 수도 있으나, 비용적인 면을 고려하여 로체의 내벽 중에서도 국부적으로 과열되고 가스의 영향을 받는 부분, 즉 도 1에 도시된 A 부분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는 크게 블록 본체(100)와 앵커부재(200)로 구성된다.
블록본체(100)는 통상의 블록과 유사하게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앵커장착홈(110)이 형성된다. 이때, 도 2에서는 앵커장착홈(110)이 원형 형상으로, 개수는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의 사용환경 등에 따라 그 형상을 삼각이나 사각 등과 같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그 개수 또한 다수 개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앵커부재(200)는 한쪽 말단에 형성된 장착부(210)가 블록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앵커장착홈(110)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다른 쪽은 블록본체(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도 6의 500) 내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앵커부재(200)의 장착부(210)는 앵커장착홈(11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앵커부재(200)의 개수 또한 앵커장착홈(11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황에 따라 앵커장착홈(110)과 앵커부재(200)의 개수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앵커부재(200)를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도 6의 500)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확실한 고정을 위해 앵커부재(200)의 다른 쪽을 외벽(도 6의 500)의 내면에 용접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을 로체, 즉 소각로(도 1의 10)에 적용할 경우, 모든 블록본체(100)는 블록본체(100)의 개수만큼 대응되어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도 6의 500) 내면에 용접되어 있는 다수의 앵커부재(200)의 한쪽이 앵커장착홈(110)에 삽입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에 사용되는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앵커장착홈(110)의 형상이 다르게 구성된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앵커장착홈(110)이 앵커부재(200)의 한쪽 말단에 형성된 장착부(210)가 끼워지는 끼움홈(112)과, 앵커부재(200)의 몸체(220)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홈(114)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블록본체(100)에 다양한 형상, 개수의 앵커장착홈(110)이 형성될 수 있고, 앵커부재(200) 또한 앵커장착홈(110)에 따라 다양한 형상,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각로(도 1의 10)의 내벽에 적용할 경우에도 제1 실시예와 같이 모든 블록본체(100)는 각각 하나 이상씩의 앵커부재(20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앵커부재(200)가 블록본체(100)와 결합된 경우 앵커부재(200)의 장착부(210)는 끼움홈(112)에 끼워지고, 앵커부재(200)의 몸체(220) 일부는 블록본체(100)의 수납홈(114)에 수납되어 앵커부재(200)의 몸체(220)가 블록본체(100)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된다. 따라서, 소각로(도 1의 10)의 내벽을 축조하는 것이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에 사용되는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블록본체(100)의 한쪽에 돌출부(120)가 형성되고, 돌출 부(120)와 대향되는 다른 쪽에 이웃하는 다른 내화블록(도 6의 100a)의 돌출부(120)가 결합되는 요홈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앵커장착홈(110)이 블록본체(100)의 어느 면에 형성되던지 상관없으나, 제3 실시예와 같이 블록본체(100)에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앵커장착홈(110)이 돌출부(120)가 형성된 면과 요홈부(130)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다른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4에서는 돌출부(120)가 단면이 반원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나 크기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의 형상이나 개수, 크기에 따라 요홈부(130)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블록본체(100)에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요홈부(130)에는 다른 내화블록(도 6의 100a)의 돌출부(120)가 삽입되고, 돌출부(120)는 또 다른 내화블록(도 6의 100a)의 요홈부(130)에 삽입되어 상호 간에 물고 물리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를 소각로(도 1의 10)의 내벽에 적용하는 경우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도 6의 500) 내면에 용접되는 앵커부재(200)와 돌출부(120) 및 요홈부(13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므로 고온의 열기가 가해지거나 가스가 접하더라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설령 앵커부재(200)가 외력 등에 의해 블록본체(100)로부터 이탈된다고 하더라도 돌출부(120)와 요홈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를 소각로(도 1의 10)의 내벽에 적용할 경우 모든 블록본체(100)마다 앵커부재(200)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내벽의 축조 작업성을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블록본체(100)의 앵커장착홈(110)에 장착되는 앵커부재(200)는 몸체(220)의 축이 돌출부(1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120)와 요홈부(130)의 길이(높이)가 블록본체(100)와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 앵커부재(200)의 몸체(220)의 축이 돌출부(1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면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와 관련된 설명은 하기의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에 사용되는 앵커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는 달리 앵커부재(200)가 제1 앵커수단(230)과 제2 앵커수단(240) 및 체결수단(250)으로 구성된다. 즉, 제1 앵커수단(230)은 앵커장착부(210)에 장착되는 부분, 즉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앵커부재(200)에서 장착부(210)가 형성된 부분이며, 제2 앵커수단(240)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앵커부재(200)에서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도 6의 500) 내면에 용접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1 앵커수단(230)에는 제2 앵커수단(240)의 한쪽 일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32)이 형성되고, 결합공(232)을 관통하는 제2 앵커수단(240)의 한쪽 일부에는 체결공(242)이 형성되어 제1 앵커수단(230)과 제2 앵커수단(240)이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체결수단(25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앵커부재(200)를 제1 및 제2 앵커수단(230, 240)과 체결수단(250)으로 구성함으로써 앵커부재(200)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지고, 소각로(도 1의 10)의 내벽 축조 시 블록본체(100)와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도 6의 500) 사이에 배치되는 각종 단열블록(도 6의 300)이나 단열재(도 6의 400) 등의 두께, 개수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또는 제2 앵커수단(230, 24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앵커부재(200)가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100)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100)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를 이용하여 축조한 소각로의 내벽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며,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이 화염이나 가스 등이 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에 따라 축조된 소각로(도 1의 10)의 내벽은, 가장 상측에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5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벽(500)의 내면에는 다수의 앵커부재(200)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500)에 접하여 두 겹의 단열재(400)로 이루어진 단열재층, 예를 들어 실리카 보드들이 배치되며, 다음에 단열블록(300)들로 구성된 단열블록층이 위치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내화블록(100, 100a, F)들로 구성 된 내화블록층이 배치되어 화염이나 가스가 여기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단열블록(300)은 블록본체(100)나 다른 내화블록(100a) 보다 열 등에 견디는 정도는 약하지만, 더 강한 강도를 갖는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화블록층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 즉, 블록본체(100)와 다른 내화블록(100a) 및 종래의 내화블록(F)이 섞여서 축조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블록본체(100)는 소각로(도 1의 10)의 외벽(500)에 용접되어 있는 앵커부재(200)가 앵커장착홈(110)에 삽입고정되고 돌출부(120)와 요홈부(130)에 의해 고정된 내화블록이고, 다른 내화블록(100a)은 앵커부재(200)에 의한 고정은 없으나 돌출부(120)와 요홈부(130)에 의해 고정이 되는 내화블록이며, 종래의 내화블록(F)은 앵커부재(200)에 의한 고정도 없고, 돌출부(120)나 요홈부(130)도 없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내화블록을 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소각로(도 1의 10)의 내벽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 즉 앵커부재(200) 및 돌출부(120)와 요홈부(130)에 의해 내측에 축조된 단열블록(300)층 및 단열재(400)층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는 앵커부재(200)의 몸체(220)의 축이 돌출부(120) 길이방향에 대해 엇갈리게 형성되어, 즉 도시된 도면 상에서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상호 물고 물리는 형상이 화염이나 가스에 접하는 부분(하면)이 아닌 측면에서 보이도록 배치됨으로써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물고 물리게 되어 지지하게 된다. 이에 반해 앵커부재(200)의 몸체(220)의 축이 돌출부(120)의 길이방향과 평행 하도록 형성될 경우, 즉 도시된 도면 상에서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상호 물고 물리는 형상이 화염이나 가스에 접하는 부분에 보이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120)와 요홈부(130)가 제 역할을 못하여 앵커부재(200)의 고정력이 약해지거나 하는 경우 내화블록층이 무너져 내릴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블록본체(100)와 다른 내화블록(100a)이 2단으로 축조되고, 그 사이에 종래의 내화블록(F)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소각로(도 1의 10)의 사용상태나 소각하고자 하는 물체 등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단으로 축조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블록본체(100)와 다른 내화블록(100a)이 하나씩 번갈아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상황에 따라 모두 앵커부재(200)를 갖는 블록본체(100)로 구성할 수도 있고, 블록본체(100)가 양쪽 끝단에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내화블록이 축조된 소각로를 단순화시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에 사용되는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에 사용되는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에 사용되는 앵커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화블록 구조를 이용하여 축조한 소각로의 내벽의 일부를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블록본체 100a: 다른 내화블록
110: 앵커장착홈 112: 끼움홈
114: 수납홈 120: 돌출부
130: 요홈부 200: 앵커부재
210: 장착부 220: 몸체
230: 제1 앵커수단 232: 결합공
240: 제2 앵커수단 242: 체결공
250: 체결수단 300: 단열블록
400: 단열재 500: 소각로의 외벽
F: 종래의 내화블록

Claims (5)

  1. 소각로에 적용되는 내화블록 구조에 있어서,
    일면에 앵커장착홈이 형성된 블록본체; 및
    한쪽은 상기 앵커장착홈에 장착되고, 다른 쪽은 상기 블록본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소각로의 외벽 내면에 고정되는 앵커부재;
    를 포함하는 내화블록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장착홈은,
    상기 앵커부재의 한쪽 말단에 형성된 장착부가 끼워지는 끼움홈; 및
    상기 앵커부재의 몸체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블록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는 한쪽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대향되는 다른 쪽에 이웃하는 내화블록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앵커장착홈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과 상기 요홈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내화블록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 몸체의 축은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블록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앵커장착부에 장착되는 제1 앵커수단과;
    한쪽은 상기 소각로의 외벽 내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상기 제1 앵커수단과 접하는 제2 앵커수단; 및
    상기 제1 앵커수단과 상기 제2 앵커수단을 체결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블록 구조.
KR1020080003492A 2008-01-11 2008-01-11 내화블록 구조 KR100892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492A KR100892093B1 (ko) 2008-01-11 2008-01-11 내화블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492A KR100892093B1 (ko) 2008-01-11 2008-01-11 내화블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473A true KR20080010473A (ko) 2008-01-30
KR100892093B1 KR100892093B1 (ko) 2009-04-06

Family

ID=3922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492A KR100892093B1 (ko) 2008-01-11 2008-01-11 내화블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6144A (ja) * 2015-12-22 2017-06-29 黒崎播磨株式会社 プレライニングブロックの搬送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30B1 (ko) 2016-07-18 2016-12-05 임종환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595U (ko) * 1988-04-01 1989-10-16
JP3548455B2 (ja) * 1999-03-05 2004-07-28 ニチアス株式会社 耐熱ブロックの施工方法
JP2002139218A (ja) 2000-11-02 2002-05-17 Mitsubishi Heavy Ind Ltd 溶融炉の気相部煉瓦落下防止構造
KR200324200Y1 (ko) 2003-05-23 2003-08-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폐열회수보일러의 모듈 케이싱의 플레이트 고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6144A (ja) * 2015-12-22 2017-06-29 黒崎播磨株式会社 プレライニングブロックの搬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093B1 (ko)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439410A (en) Refractory material and furnace wall built thereof
KR100892093B1 (ko) 내화블록 구조
RU2006140214A (ru) Отражательная печь для переплава металла
JP2009249436A (ja) コークス炉の乾燥栓
JP2003262323A (ja) ストーカ式焼却炉の水冷壁構造
CN101796362B (zh) 熔化炉的风口结构
JP5565039B2 (ja) セメント製造用ロータリーキルンを用いた焼成方法
JP4787310B2 (ja) リフター
JP6960158B2 (ja) 自己伸長性を有する成型物
JP2009204264A (ja) ボイラ下部ホッパの耐火構造、及び該耐火構造を備えたボイラ
KR200409442Y1 (ko) 소각로의 1차 연소실 내화축로형 구조
KR100421808B1 (ko) 화장로
JP3231929U (ja) サイド火格子
JPH06281132A (ja) セラミックファイバー製バーナータイル
JP4020055B2 (ja) テルミット式灰溶融炉
KR102463784B1 (ko) 연탄난로 도가니
CN217737216U (zh) 一种化工焚烧炉用抗侵蚀莫来石耐火砖
CN214468655U (zh) 一种危废行业使用的燃烧室耐火内衬结构及燃烧室
JPH0544714Y2 (ko)
KR200213657Y1 (ko) 화장로
JP6544103B2 (ja) 室炉式コークス炉
JPH0228390Y2 (ko)
RU2403520C1 (ru) Вагонетка для туннельной печи
JPS6226442Y2 (ko)
KR0135341B1 (ko) 원통형 로체의 축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