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430B1 -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430B1
KR101682430B1 KR1020160090998A KR20160090998A KR101682430B1 KR 101682430 B1 KR101682430 B1 KR 101682430B1 KR 1020160090998 A KR1020160090998 A KR 1020160090998A KR 20160090998 A KR20160090998 A KR 20160090998A KR 101682430 B1 KR101682430 B1 KR 10168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cinerator
refractory
refractory bloc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환
Original Assignee
임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환 filed Critical 임종환
Priority to KR102016009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2Casings; Linings; Wal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4Supports for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chambers
    • F23M2900/05003Detail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에 결합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조적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과 블록 사이로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다층으로 적층된 블록의 무게를 분산시킴에 의해 블록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배부름을 방지한 소각로용 내화블록과 이의 설치 구조물 및 소각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fire proof block for incinerator with frame-fixing device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incinerator thereby}
본 발명은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블록에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조적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과 블록 사이로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다층으로 적층된 블록의 무게를 분산시킴에 의해 블록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배부름을 방지한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과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소각로는 소각처리 대상 폐기물을 태워 없애는 화로로, 보통 폐기물 투입구와 화격자(火格子), 연소실, 잔류물 호퍼(hopper), 열회수 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소각로는 소각대상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종이ㅇ목재ㅇ플라스틱 등 고체 형태의 폐기물을 소각하는 고형소각로와 음식물쓰레기ㅇ슬러지 등 수분함유율이 높은 폐기물을 소각하는 수계(水系)소각로, 폐유ㅇ폐용제 등 각종 사업장에서 배출한 유기폐액을 처리하는 폐액소각로 등이 있다.
소각로는 폐기물을 완전연소를 위해 내부가 고열을 유지하여야 하고, 고열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벽은 내화벽돌 등을 조적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소각로의 내열성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블록이나 구조와 관련된 기술로는 다양한 것이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고정화격자빔이 결합하는 내부블록빔; 내부블록빔에 일정 간격 떨어져서 체결되는 외부블록빔; 내부블록빔 및 상기 외부블록빔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부고정빔; 하부고정빔을 지지하는 기둥빔; 및 외부블록빔의 전방에서 기둥빔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수직벽을 포함하는 소각로 화격자단 구조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소각로에 적용되는 내화블록 구조에 있어서, 일면에 앵커장착홈이 형성된 블록본체; 및 한쪽은 앵커장착홈에 장착되고, 다른 쪽은 블록본체 외부로 연장되어 소각로의 외벽 내면에 고정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는 내화블록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은 소각로의 연소실 내화벽돌 지지용 앵커 및 앵커브라켓으로써, 일자형의 중심핀, 상기 중심핀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환봉핀, 그리고 중심핀의 타측에 환봉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연결핀으로 구성되는 'I' 형태의 일체형 앵커와 한 쌍의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ㄷ'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앵커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앵커의 중심핀과 연결핀이 연결되는 연결핀의 면은 중심핀 쪽으로 모여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중심핀과 연결핀이 만나는 지점은 곡면이 지도록 형성된 소각로 연소실 내화벽돌 지지용 앵커 및 앵커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소각로의 내화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내화 블록은 조적시, 블록들을 정렬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블록과 블록 사이의 틈으로 열기가 빠져나가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적된 블록의 하중이 아래에 조적된 블록에 모두 가해지는 상태에서 소각로 내에 고열이 공급되면 아래에 조적된 블록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수축되어 내벽이 변형되거나 무너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앵커나 앵커브라켓은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변화에는 대응될 수 있지만, 수평방향으로의 위치에는 대응할 수 없어 블록을 조적할 때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블록을 조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할 때 온도차에 의해 일부 블록이 안쪽으로 밀려나오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48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20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6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블록에 결합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조적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과 블록 사이로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다층으로 적층된 블록의 무게를 분산시킴에 의해 블록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배부름을 방지한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은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의 안쪽에 단열층(300)을 적층하고, 단열층의 내부에 조적되는 내화블록(10)으로, 상기 내화블록을 제작할 때 인서트된 상태로 설치되고 일단이 프레임에 고정되어, 내화블록이 안쪽으로 밀려나와 배부름 형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록고정앵커(20)를 구비하되, 상기 블록고정앵커(20)는 내화블록을 압축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단의 블록고정부(21b)를 인서트한 상태로 내화블록을 압축 성형하여 내화블록과 일체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단에는 힌지결합홀(21h)이 형성된 블록고정막대(21); 상기 힌지결합홀(21h)에 끼워진 상태에서 블록고정막대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부(22g)가 중간에 형성되고, 양단에는 하기 프레임고정힌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고정부(22h)가 형성된 가이드막대(22); 상기 가이드막대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결합홀(23h)이 형성되고 프레임에 용접 고정되는 힌지고정구(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결합홀(21h, 23h)의 내경을 가이드막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내화블록을 프레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동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및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내화블록의 조적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하여 소각로의 내벽을 구성하는 소각로,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의 안쪽에 단열층(300)을 적층하고, 단열층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화블록(10)을 조적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화블록들의 층 중 3 ~ 8층 간격으로 지지플레이트(30)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와 아래쪽 내화블록 사이에는 내열성을 갖는 세라믹페이퍼(50)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됨에 따라 생긴 상층 내화블록과 하층 내화블록이 접하는 부분에는 세라믹블랭킷(40)을 설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내화블록들의 사이에 세라믹페이퍼(50)를 설치하되 세라믹페이퍼가 설치되는 간격은 3 ~ 9개의 블록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블록고정앵커(20)가 설치된 내화블록들 사이의 간격은 수평, 수직 방향으로 3 ~ 8개 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내화블록의 일측면에는 수직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수직결합홈이 형성되며,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수평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수평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내화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보강받침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고정홀에 보강받침대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삽입한 후, 용접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각로의 내벽 중 상대적으로 저온인 내벽은 벽돌을 조적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돌과 내화블록 사이의 수직 방향의 경계에는 세라믹블랭킷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벽돌들의 사이에 세라믹페이퍼를 설치하되 세라믹페이퍼가 설치되는 간격은 5 ~ 12개의 벽돌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화블록의 안쪽 저면에는 지지플레이트의 두께 이상의 두께로 단열턱이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가 두 블록들 사이에 끼워짐에 의해 지지플레이트 하부 블록과 상부 블록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는 블록을 보다 견고하게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블록고정앵커의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블록의 상하 및 좌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조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 간격으로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조적된 블록의 하중을 분산시킴에 의해 상부에 적층된 블록의 무게에 의해 하부에 적층된 블록이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고정앵커에 의해 블록이 고정됨에 따라 블록의 일부에 배부름 형상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블록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형성하여 조적된 블록들 사이로 열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의 또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용 내화블록에 설치되는 블록고정앵커의 서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소각로에 사용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일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지지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소각로의 일측 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소각로의 일측 벽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소각로에서 지지플레이트 설치부분의 측면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소각로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블록의 일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블록에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조적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과 블록 사이로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다층으로 적층된 블록의 무게를 분산시킴에 의해 블록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배부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10)은 내화블록이 설치되는 높이와 수평방향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블록고정앵커(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블록고정앵커(20)는 내화블록(10)을 프레임(또는 하우징, 이하, "프레임"이라 통칭함)(100)에 고정시켜 내화블록이 안쪽으로 밀려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내화블록(10)은 소각로를 구성하는 수단으로, 소각로는 통상의 소각로와 같이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의 안쪽에 단열층(300)을 적층하고, 단열층의 내부에 내화블록(10)을 조적하여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블록고정앵커(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화블록(1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내화블록과 블록고정앵커를 일체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블록고정앵커(20)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를 내화블록을 제작할 때 인서트한 상태로 가압 성형한다.
상기 블록고정앵커(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에 일체로 설치되는 블록고정막대(21)와,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힌지고정구(23) 및 블록고정막대를 힌지고정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막대(22)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블록고정앵커(20)를 구성한 이유는 내화블록을 조적할 때 어느 정도의 편차를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내화블록(10)을 조적할 정위치에 정렬시킨 후, 블록고정앵커(20)의 힌지고정구(23)를 프레임에 용접하여 고정시키지만, 용접하는 과정에서 고정위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오차가 발생한 상태로 프레임에 블록고정앵커(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고정구가 견고하여 내화블록(10)을 움직일 수 없게 되면 내화블록들 사이의 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없어 조적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블록고정앵커(20)는 힌지고정구(23)가 프레임에 용접 고정된 상태에서도 블록고정막대(21)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을 조절하여 내화블록(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내화블록들 사이의 틈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블록고정앵커(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을 압축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단의 블록고정부(21b)를 인서트한 상태로 내화블록을 압축 성형하여 내화블록과 일체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단에는 힌지결합홀(21h)이 형성된 블록고정막대(21); 상기 힌지결합홀(21h)에 끼워진 상태에서 블록고정막대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부(22g)가 중간에 형성되고, 양단에는 하기 프레임고정힌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고정부(22h)가 형성된 가이드막대(22); 상기 가이드막대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결합홀(23h)이 형성되고 프레임에 용접 고정되는 힌지고정구(23)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블록고정앵커(20)는 프레임에 고정된 힌지고정구(23)의 힌지결합홀(23h)에 연결된 힌지고정부(22h)를 중심으로 가이드막대(22)가 회동되고, 블록고정막대(21)는 가이드막대(22)의 중간에 형성된 수직가이드부(22g)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화블록(1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블록고정막대(21)가 상하로 수직이동 될 수 있음에 따라 블록고정막대가 단순하게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발생되는 내화블록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블록고정막대(21)의 힌지결합홀(21h)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만 될 경우, 내화블록을 조적하면 내화블록은 수평을 이루고 있으나, 내화블록에 묻힌 블록고정막대의 블록고정부가 경사진 상태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내화블록이 깨질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고정막대(21)의 힌지결합홀이 가이드막대의 수직가이드부(22g)를 따라 승강함에 따라 블록고정막대가 수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여 블록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결합홀(21h, 23h)의 내경을 가이드막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내화블록을 프레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및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내화블록의 조적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힌지결합홀(21h, 23h)의 내경이 가이드막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여유치수(공차치수)를 둠에 따라 프레임에 힌지고정구(23)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블록고정막대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여유가 있어 조적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어도 내화블록은 이웃하는 블록과 동일 평면 상에 조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고정막대(21)와 가이드막대(22) 사이에 연결막대(24)를 더 설치하여 내화블록의 이동 범위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화블록(1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되며, 이렇게 적층되었을 때 블록과 블록 사이에 모르타르 등의 접착제를 설치하여 블록들 사이로 열기가 누출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 블록과 블록 사이의 접착제가 블록들 사이의 틈으로부터 빠져나가 소실될 수 있고, 이렇게 틈이 생기면 소각로 안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내화블록(10)들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함에 의해 틈에 채워진 접착제가 소실되어도 열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즉, 상기 내화블록(10)의 일측면에는 수직결합돌기(1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수직결합홈(12)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화블록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수평결합돌기(13)를 형성하고, 반대면에는 수평결합홈(14)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결합돌기(11)와 수직결합홈(1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형성된 위치는 평면에서 도시하였을 때 내화블록의 중간보다는 안쪽에 부분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결합돌기(13)와 수평결합홈(14)은 내화블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되, 형성되는 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이 설치되었을 때 소각로의 안쪽을 향하는 면과 인접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평, 수직결합돌기(11, 13)와 수직, 수평결합홈(12, 14)이 형성되는 위치를 내화블록의 소각로 안쪽을 향한 부분에 형성함에 따라 블록들 사이로 들어가는 열기를 소각로 안쪽에서 근본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외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수평, 수직결합돌기(11, 13)와 수직, 수평결합홈(12, 14)이 형성되는 위치를 한정함에 따라 내화블록을 조적할 때 조적방향이 정해져 조적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수직결합돌기(11, 13)와 수직, 수평결합홈(12, 1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블록들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기능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화블록(10)의 소각로를 향한 면에는 고알루미나질 등과 같은 고내화재를 더 도포할 수 있고, 수평, 수직결합돌기(11, 13)와 수직, 수평결합홈(12, 14)이 형성되는 위치를 한정함에 따라, 이렇게 고내화재가 도포된 면이 안쪽을 향하도록 조적 방향을 설정해주는 기능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결합돌기(13)와 수평결합홈(1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의 안쪽을 향한 단부에 턱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의 안쪽을 향한 단부와 인접한 상, 하부면에 돌기와 홈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화블록을 이용하여 소각로의 내벽을 구성하는 소각로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각로는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의 안쪽에 단열층(300)을 적층하고, 단열층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화블록(10)을 조적하여 구성되며, 프레임이나 단열층은 종래와 동일 유사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10)은 프레임(100)의 안쪽에 설치되며, 프레임(100)과 내화블록(10) 사이에는 단열층(300)이 적층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열층(3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안쪽이 바깥쪽보다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단열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단열층(300)은 적층 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층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상기 내화블록(10)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소각로의 내벽이 이루어지되,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고정앵커(20)가 설치된 것과 설치되지 않은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이렇게 다층으로 적층된 내화블록(10)은 무게가 무거워 상층의 내화블록이 하층 내화블록에 부하를 주어 하층 내화블록이 소각로 내부의 열을 받을 경우 균열이 생기는 등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30)를 설치하였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는 그 상부에 적층된 내화블록의 하중을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각층마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층마다 설치할 경우 시공비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설치 간격은 내화블록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내회블록의 경우 가로 : 세로 : 높이가 370 ~ 410 : 150 ~ 200 : 130 ~ 150mm이고, 무게가 15 ~ 20Kg 정도인 점을 고려할 때, 블록들의 적층된 층 중 3 ~ 5층 간격으로 지지플레이트(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플레이트의 재질이나 강도에 따라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31);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31h)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32d)가 형성된 보강받침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31)과 보강받침대(32)를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지지판에 형성된 고정홀(31h)에 보강받침대(32)에 형성된 고정돌기(32d)를 삽입한 후, 용접하여 결합함에 따라 둘 사이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30)를 설치함에 의해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내화블록과 하부에 설치된 내화블록 사이에 지지플레이트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의 틈이 생길 수 있고, 이틈으로 소각로 내부의 열기가 바깥쪽으로 빠져나가 외부의 구성 부품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화블록(10)의 안쪽 저면에는 지지플레이트의 두께 이상의 두께로 단열턱(10d)을 더 형성하였다.
상기 단열턱(10d)은 지지플레이트(30)가 두 블록들 사이에 끼워짐에 의해 지지플레이트 하부 블록과 상부 블록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적된 내화블록(10)은 소각로 내부의 열에 의해 신축될 수 있다. 이에 블록들 사이의 줄눈 중 일부에는 신축성을 갖는 내열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내화블록들의 사이에 세라믹페이퍼(50)와 같은 단열재를 설치하여 블록의 신축에 대응되게 하였다. 상기 세라믹페이퍼가 설치되는 간격은 3 ~ 9개의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와 아래쪽 내화블록 사이에는 내열성을 갖는 세라믹페이퍼(50)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됨에 따라 생긴 상층 내화블록과 하층 내화블록이 접하는 부분에는 세라믹블랭킷(40)을 설치하였다.
이렇게 블록들 사이를 내열 단열재로 채움에 의해 블록들 사이로 열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블록고정앵커(20)가 설치된 내화블록들 사이의 간격은 수평, 수직 방향으로 3 ~ 8개 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 간격 또한 내화블록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는 소각로의 내벽 중 상대적으로 저온인 내벽은 벽돌(200)을 조적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벽돌(20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내화벽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크기는 통상의 벽돌과 같이, 가로 : 세로 : 높이가 190 : 90 : 57mm 안팎의 것이다.
이러한 벽돌(200)이 조적된 부분과 내화블록(10)이 조적된 부분 사이의 수직 방향의 경계에는 세라믹블랭킷(40)을 설치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블록과 벽돌이 적층되었을 때 발생하는 신축율을 보상할 수 있게 하였다.
물론, 상기 벽돌(200)들 사이 즉,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벽돌(200)들의 사이에 세라믹페이퍼(50)를 설치하여 벽돌의 신축 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벽돌들 사이에 설치는 세라믹페이퍼의 설치 간격은 5 ~ 12개의 벽돌들 사이에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블록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수직결합돌기 또는 수직결합홈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소각로의 양 끝벽에 설치되는 내화블록의 경우, 일측은 수직결합홈이 다른 벽과의 사이에 홈이 생기고, 타측 내화블록의 결합돌기는 다른 벽과의 사이에 틈을 만들게 되어 홈이나 틈이 단열 효과를 낮추게 된다.
이에 따라 벽의 일단에 조적되는 내화블록은 도 11 (a) 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결합홈을 형성하지 않고, 벽의 타측 단부에 조적되는 내화블록은 도 11 (b) 나 (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결합돌기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중간에 조적되는 내화블록들은 일측에는 수직결합돌기, 타측에는 수직결합홈을 형성한다.
10: 내화블록 10h: 받침대삽입홈 10d: 단열턱
11: 수직결합돌기 12: 수직결합홈
13: 수평결합돌기 14: 수평결합홈
20: 블록고정앵커
21: 블록고정막대 21b:블록고정부
21h: 힌지결합홀
22: 가이드막대 22g: 수직가이드부 22h: 힌지고정부
23: 힌지고정구 23h: 힌지결합홀
24: 연결막대
30: 지지플레이트
31: 지지판 31h: 고정홀
32: 보강받침대 32d: 고정돌기
40: 세라믹블랭킷
50: 세라믹페이퍼
100: 프레임
200: 벽돌
300: 단열층

Claims (8)

  1.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의 안쪽에 단열층(300)을 적층하고, 단열층의 내부에 조적되는 내화블록(10)으로, 상기 내화블록을 제작할 때 인서트된 상태로 설치되고 일단이 프레임에 고정되어, 내화블록이 안쪽으로 밀려나와 배부름 형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록고정앵커(20)를 구비하되, 상기 블록고정앵커(20)는 내화블록을 압축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단의 블록고정부(21b)를 인서트한 상태로 내화블록을 압축 성형하여 내화블록과 일체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단에는 힌지결합홀(21h)이 형성된 블록고정막대(21); 상기 힌지결합홀(21h)에 끼워진 상태에서 블록고정막대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부(22g)가 중간에 형성되고, 양단에는 하기 프레임고정힌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고정부(22h)가 형성된 가이드막대(22); 상기 가이드막대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결합홀(23h)이 형성되고 프레임에 용접 고정되는 힌지고정구(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결합홀(21h, 23h)의 내경을 가이드막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내화블록을 프레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동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및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내화블록의 조적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하여 소각로의 내벽을 구성하는 소각로,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의 안쪽에 단열층(300)을 적층하고, 단열층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화블록(10)을 조적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화블록들의 층 중 3 ~ 8층 간격으로 지지플레이트(30)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와 아래쪽 내화블록 사이에는 내열성을 갖는 세라믹페이퍼(50)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됨에 따라 생긴 상층 내화블록과 하층 내화블록이 접하는 부분에는 세라믹블랭킷(40)을 설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내화블록들의 사이에 세라믹페이퍼(50)를 설치하되 세라믹페이퍼가 설치되는 간격은 3 ~ 9개의 블록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블록고정앵커(20)가 설치된 내화블록들 사이의 간격은 수평, 수직 방향으로 3 ~ 8개 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블록(10)의 일측면에는 수직결합돌기(1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수직결합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블록(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수평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수평결합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는
    내화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31);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31h)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32d)가 형성된 보강받침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고정홀(31h)에 보강받침대(32)에 형성된 고정돌기(32d)를 삽입한 후, 용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각로의 내벽 중 상대적으로 저온인 내벽은 벽돌(200)을 조적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돌(200)과 내화블록(10) 사이의 수직 방향의 경계에는 세라믹블랭킷(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벽돌(200)들의 사이에 세라믹페이퍼(50)를 설치하되 세라믹페이퍼가 설치되는 간격은 5 ~ 12개의 벽돌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화블록(10)의 안쪽 저면에는 지지플레이트의 두께 이상의 두께로 단열턱(10d)이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30)가 두 블록들 사이에 끼워짐에 의해 지지플레이트 하부 블록과 상부 블록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을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KR1020160090998A 2016-07-18 2016-07-18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KR10168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998A KR101682430B1 (ko) 2016-07-18 2016-07-18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998A KR101682430B1 (ko) 2016-07-18 2016-07-18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430B1 true KR101682430B1 (ko) 2016-12-05

Family

ID=5757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998A KR101682430B1 (ko) 2016-07-18 2016-07-18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4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623A (ko) * 2021-01-25 2022-08-02 인슐레이션코리아(주) 열분해 히터의 단열구조
KR20220122378A (ko) * 2021-02-26 2022-09-02 권수길 연속가동식 열분해 유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95Y2 (ja) * 1989-03-27 1995-05-24 株式会社タクマ 煉瓦積み炉壁の支持構造
KR100892093B1 (ko) 2008-01-11 2009-04-06 (주)태종 내화블록 구조
KR200444879Y1 (ko) 2009-03-19 2009-06-11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소각로 화격자단 구조
JP2009180420A (ja) * 2008-01-30 2009-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耐火材支持構造
KR101433616B1 (ko) 2014-02-12 2014-08-26 한 세이프 주식회사 소각로 연소실 내화벽돌 지지용 앵커 및 앵커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95Y2 (ja) * 1989-03-27 1995-05-24 株式会社タクマ 煉瓦積み炉壁の支持構造
KR100892093B1 (ko) 2008-01-11 2009-04-06 (주)태종 내화블록 구조
JP2009180420A (ja) * 2008-01-30 2009-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耐火材支持構造
KR200444879Y1 (ko) 2009-03-19 2009-06-11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소각로 화격자단 구조
KR101433616B1 (ko) 2014-02-12 2014-08-26 한 세이프 주식회사 소각로 연소실 내화벽돌 지지용 앵커 및 앵커브라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623A (ko) * 2021-01-25 2022-08-02 인슐레이션코리아(주) 열분해 히터의 단열구조
KR102497184B1 (ko) * 2021-01-25 2023-02-07 인슐레이션코리아(주) 열분해 히터의 단열구조
KR20220122378A (ko) * 2021-02-26 2022-09-02 권수길 연속가동식 열분해 유화장치
KR102529219B1 (ko) 2021-02-26 2023-05-04 권수길 연속가동식 열분해 유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6889B2 (ja) 防火壁構造体
KR101682430B1 (ko) 블록고정앵커가 일체로 설치된 소각로용 내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각로 설치구조
KR101471039B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KR101729703B1 (ko) 건물외벽의 화재차단용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118973A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170081811A (ko) 세라믹 복합판넬 및 이를 이용한 양단열 거푸집 공법
US20170261204A1 (en) High intensity gas fired infrared emitter
KR101441119B1 (ko) 소각로 내벽 지지장치
US6109257A (en) Modular chimney
JP6719188B2 (ja) 構造部材
JP6726450B2 (ja) 木質構造部材の接合構造
JP2015059347A (ja) 柱梁構造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KR101967956B1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JP2018017083A (ja) 接合構造
JP5925430B2 (ja) 固定構造
KR200316935Y1 (ko) 조립식 단열지붕 시공 구조
CZ78796A3 (en) Chimney insulation element
JP6423655B2 (ja) 床構造
KR101393069B1 (ko) 소각로 연소실 내화벽돌 지지용 내열강서포트와 내열강브라켓
JP6970381B2 (ja) 鉄骨柱の乾式耐火構造
KR101923631B1 (ko) 방화성능이 구비된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JP7010269B2 (ja) 壁構造
KR102275289B1 (ko)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내화 단열용 모듈
KR102453063B1 (ko) 조립식 화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