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763A - 무선 이어피스와의 오디오 링크를 감소된 시간에 구축하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이어피스와의 오디오 링크를 감소된 시간에 구축하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763A
KR20080009763A KR1020077030119A KR20077030119A KR20080009763A KR 20080009763 A KR20080009763 A KR 20080009763A KR 1020077030119 A KR1020077030119 A KR 1020077030119A KR 20077030119 A KR20077030119 A KR 20077030119A KR 20080009763 A KR20080009763 A KR 2008000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link
remote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354B1 (ko
Inventor
자레드 알. 다니엘스
쉐리 이. 이스터 두빈
로베르토 고우티어
제임스 엘. 하워드
로버트 에이. 마르플레스
매튜 에이. 스톨
매이라 자야스
조세 이. 코넬루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0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통신 장치(100)는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124)와 동작하는 로컬 무선 제어기(114)를 포함한다.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124)는 모바일 통신 장치를 통해 원격 측과 말하고 듣는데 사용되며, 모바일 통신 장치와 통신 시, 상대적으로 긴 레이턴시를 갖는 모드로 동작한다. 디스패치 호(306)를 수신한 경우, 모바일 통신 장치의 기저댕겨 프로세서(108)는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122)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통지한다.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는 모바일 통신 장치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 사이에, 통상적인 호 처리로 발생하는 것보다 더 빨리, 액티브 링크가 구축되도록 한다.
모바일 통신, 오디오, 프로세서, 디스패치 호

Description

무선 이어피스와의 오디오 링크를 감소된 시간에 구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AUDIO LINK TO A WIRELESS EARPIECE IN REDUCED TIME}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통신 장치와의 무선 링크를 통해 원격 동작되는 오디오 액세서리(audio accessories)를 이용하여, 디스패치 호(dispatch call)를 핸들링(handling)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세계 도처에서, 특히 세계의 도시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장치들과 통신 서비스의 비용은 지선 전화 통신만큼 거의 일반화된 최근 몇 년 동안 매우 감소하였다. 경쟁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제조자는 다른 제조자들의 통신 장치 제품에 대해, 자신들의 제품을 부각시키기 위한 기능을 자신들의 통신 장치 제품에 부가하였다.
대중성이 입증된 일 특징으로서 소위 통신의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또는 디스패치 모드가 있다. 상호접속 호(interconnection calling)로 지칭되는 통상의 모바일 전화 서비스 외에, 이 장치들 및 시스템들은 디스패치 호(dispatch calling)을 지원한다. 디스패치 호는, 양방향 라디오 또는 워키토키(walkie talkie) 동작과 유사한 반 이중 모드(half duplex mode)의 호이다. 또한, 디스패 치 호는, 당사자가, 예를 들어, 푸쉬 투 토크 버튼을 누르고 대화를 개시하는 장소 및 시각의 푸쉬 투 토크 동작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디스패치 모드는 가능한 거의 동시적(instantaneous)이 되도록 낮은 호 설정 레이턴시(low call setup latency)를 필요로 한다. 수신 장치에서는, 상호접속 호와 달리, 착신 디스패치 호(incoming dispatch call)가 수신되자마자 즉시, 수신 장치의 사용자측에서 어떤 동작 없이도, 확성기를 묵음해제(unmute)시키고 수신된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기 시작한다.
모바일 통신 장치에는 다양한 액세서리가 이용가능하며, 특히 최근 대중성이 증명된 특별한 일 유형으로서 무선 이어피스(earpiece)가 있다. 무선 이어피스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며, 가령, 블루투스(Bluetooth)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는 로컬 무선 링크(local wireless link)를 통해 모바일 통신 장치 접속된다. 이 액세서리들은 모바일 통신 장치와 무선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자체의 전원을 구비해야 하지만,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관계로, 소형이어야만 하며, 그래서 큰 배터리가 사용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이어피스를 가능한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절감 동작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이어피스를 "슬립(sleep)" 모드로 두고, 모바일 통신 장치가 이어피스에 무엇인가를 송신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다. 그러한 동작은, 임의의 오디오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 장치의 사용자가 호에 먼저 응답해야 하기 때문에, 상호접속 호시 적합하며, 모바일 통신 장치에 이어피스를 액티브 상태로 웨이크업(wake up)할 시간을 준다. 그러나, 디스패치 호에서는, 이어피스를 웨이크업할 때의 레이턴시가 중요하게 되고, 상호접속 호를 위해 허용가능한 시간은, 디스패치 호 시 오디오 정보가 소실되는 것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호를 디스패치하는 것을 핸들링하기 위해서는, 저전력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이어피스를 웨이크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소된 시간으로 오디오 링크를 구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도이다.
본 명세서는, 신규한 것으로 간주되는 본 발명의 특징을 정의하는 청구범위를 함께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동일 참조 번호가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과 함께 후속하는 설명의 고려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라 믿는다.
본 발명은, 착신 디스패치 호를 수신할 때, 모바일 통신 장치의 기저대역 프로세에서 인터럽트 루틴을 개시함으로써 무선 오디오 이어피스와 같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를 저전력 상태에서 고전력 상태로 이르게 할 경우의 링크 구축 레이턴시의 문제를 해결한다. 인터럽트는 모바일 통신 장치로 하여금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와의 액티브 링크를 개시하도록 한다. 인터럽트는 모바일 통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장치(100)의 블럭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라디오 신호(106)를 수신하는 안테나(104)에 연결되는 통신 송수신기(102)를 포함한다. 통신 송수신기(102)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라디오 주파수 동작을 수행하며, 기저대역 프로세서(108)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108)는, 예를 들어, TDMA(Time Division Multimedia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media Access) 등과 같은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에 따라 통신 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직접 통신 모드를 통해 다른 모바일 통신 장치와 직접 인터페이스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통신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 인터페이스된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통상의 전화 상호접속 호뿐만 아니라, 디스패치 호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디스패치 호는, 상호접속 호와 달리, 착신 디스패치 호가 수신되자마자, 수신 모바일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디스패치 호에 "응답(answer)"할 필요 없이, 수신 모바일 통신 장치가 오디오 스피커를 묵음해제시키고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시작하는, 반 이중(half duplex) 또는 단일(simplex) 통신형이다. 디스패치 호는 오디오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스위치가 수용될 호를 대기하고, 전체 이중 회로가 설정되어야 하는 상호접속 호와 달리, 발신측이 디스패치 호를 발신함과 거의 동시에 호 회로가 구축되기 때문에, 송신측이 수신측으로의 송신을 개시하는 속도에 주요한 이익이 있다. 비록, '디스패치 호'라는 용어가 과거의 플리트 라디오(fleet radio), 트렁크 라디오(trunked radio), 및 다른 개인 라디오 시스템과 연관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미국 내에서 Direct Connection이라는 이름으로 넥스텔사(Nextel, Inc.)에 의해 운영되는 것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가 현재 보급 및 공지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디스패치 호가 고정 장비 네트워크를 통해 양측 사이에서 라우팅되는 것을 의미하는 네트워크 조성형(network-facilitated)이다. 네트워크 조성형 디스패치 호를 핸들링하기 위해, 전용 고속 네트워크 장비가 사용되어, 호를 설정한다. 또한, 디스패치 호 발신자를 서비스하는 기지국은 디스패치 호 요구를, 상호접속 호 요구를 라우팅하는 다른 호 처리 장비에 라우팅할 수 있다. 현재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이 모바일 스위칭 센터와 같은 상호접속 호를 핸들링하는 소정의 장비 세트와, 디스패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같은 디스패치 호를 핸들링하는 다른 장비 세트로 양분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네트워크 조성형 디스패치 호외에도, 모바일 통신 장치가, 직접 모드로 통신하는, 즉, 네트워크 사용 없이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통신의 많은 저레벨 기능들을 핸들링하며, 본질적으로는 모바일 통신 장치의 모뎀으로서 동작하는 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JAVA와 같은 소프트웨어 환경, 보안, 전화 및 데이트북 기능과 같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고레벨 기능을 핸들링하며, 다른 서브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한다. 다른 서브시스템은, 예를 들어, 저전력 무선 링크를 통해 로컬 장치 및 액세서리에 대한 접속을 구축하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화살표 112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점선 113에 의해 표시한 바와 같이, 플랫폼(platform) 또는 칩(chip)을 연산하는 통상의 하드웨어 상의 소프트웨어로 예시된다. 그러한 일 실시예에서, 커플링(112)은 레지스터, 변수, 포인터, 및 다른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달성되어, 층간 정보를 전달한다. 대안적으로, 기저대역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각각 자신들의 하드웨어 연산 플랫폼(hardware computing flatforms)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서는 커플링(112)이 예를 들어 시리얼 링크(serial link)일 수 있다.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모바일 통신 장치의 고레벨 기능을 제어하며, 카메라 모듈(117), 디스플레이(118), 또는 이들 모두를 동작시키는 그래픽 프로세서(116)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124)는 로컬 무선 링크(126)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모바일 통신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는 안테나 수단(132), 무선 송수신기 및 제어기 유닛(134), 오디오 모듈(136), 및 스피커(138) 및 마이크폰(140)과 같은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36)은 변환기(138, 140)를 구동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또는 그와 반대로 변환할 수 있다.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는 자신의 전원으로 자급자족될 수 있다.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의 일 예는 무선 이어피스이다. 무선 이어피스는 모바일 통신 장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증가한 주파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랩톱(laptop) 또는 다른 개인용 컴퓨터, 스피커폰, 데스크톱 폰 등일 수 있다.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가 호 동안에 오디오 정보를 처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을 보전하기 위해, 모바일 통신 장치 및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는,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가 대부분 저전력 모드로 존재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때때로 웨이크업하여 에어 인터페이스를 검사해서 모바일 통신 장치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에 송신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도록, 긴 레이턴시 링크를 유지한다. 긴 레이턴시 링크는 비동기 링크(asynchronous link)일 수 있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를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에 송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 가령, 동기 링크를 사용하여,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가 액티브 모드를 웨이크업하도록 명령하거나 야기시킨다. 액티브 모드는 낮은 레이턴시(low latency) 또는 무 레이턴시(no latency) 링크이므로,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는 모바일 통신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오디오 정보 중 어느 하나도 놓치지 않는다. 상호접속 호에 있어서,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통상의 모뎀과 같이, 통신 송수신기용 에어 인터페이스와 어플레케이션 프로세서 사이에 데이터를 단순히 라우팅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호 설정을 핸들링하고, 사용자에 착신 호를 알리며, 사용자가 호에 응답하기를 기다린다. 그 시간 동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긴 레이턴시 링크에 대해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를 액티브 모드로 웨이크업하여, 오디오 정보를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에 라우팅할 시간을 갖는다.
그러나, 모바일 통신 장치는 착신 디스패치 호를 수신할 때, 상호접속 호에 대해 수용가능한 시간 프레임에서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가 액티브 모드로 천이되면, 몇몇 오디오 정보는 긴 레이턴시로 인해 손실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신 데이터가 척신 디스패치 호에 부수하는 것을 인식할 때,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의해 어써트(assert)될 수 있는 인터럽트(interrupt)(122)를 제공한다. 호 유형을 나타내기 위해 소정의 시그널링이 사용되며, 이에 따라 디스패치 호가 쉽게 인식될 수 있다. 착신 호에 대한 호 유형이, 착신 호가 디스패치 호임을 나타내는 경우,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통지 경로(notification path)(122)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통지한다. 통지 경로는 결합 링크(coupling link)(122)와 분리된 낮은 레이턴시 경로(122)를 갖는 통신 링크일 수 있으며, 그래서 높은 우선순위 메시지가 어플리케이션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통지 링크는 단순히 어플레키에션 프로세서에 서비스하는 루틴으로 인터럽트를 서비스할 것을 프롬프트(prompt)하는 인터럽트 어써션(assertion of interrupt)인 통지 신호를 갖는 인터럽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지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에 웨이크업하여 통상의 호 처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액티브 모드로 진입하도록 경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인터럽트와 유사한 링크(128)를 통해 로컬 무선 제어기(114)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오디오 정보를 기저대역 프로세서로부터 로컬 무선 제어기로 직접적으로 라우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링크(128)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로컬 무선 제어기(114) 사이의 링크(130)와 동일할 수 있으며, 링크(130)에 대한 대안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로 감소된 시간에 오디오 링크를 구축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흐름도는 모바일 통신 장치의 3개의 엔티티(entity), 즉, 기저대역 프로세서(202),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4) 및 로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206) 사이의 시그널링을 나타낸다. 로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가령, http://www.bluetooth.org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블루투스 표준과 같이, 공지된 로컬 무선 네트워킹 표준에 따른 로컬 무선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착신 호를 검출한 경우, 높은 우선순위 통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통지한다(208). 대안적으로, 높은 우선순위 통지와 함께, 기저대역 프로세서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통지하지만(21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저전력 또는 슬립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신호를 로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직접 어써트할 수도 있다(212). 208, 210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액티브 모드 링크 요구를 로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송신하여(214), 로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하여금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에 신호를 차례로 보내어 저전력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천이하도록 한다. 호 처리은, 모바일 통신 장치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를 웨이크업시킨 후에 발생하며, 그리하여 오디오 정보가 기저대역 프로세서로부터 로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그런 다음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로 빨리 전송될 수가 있다(218).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소된 시간(300)에 오디오 링크를 구축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방법의 개시(302)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는 모두 파워온(power on)되지만, 어떠한 호도 진행되지 않는다. 모바일 통신 장치 및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는 로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 레이턴시 링크를 구축하며, 모바일 통신 장치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 각각은 로컬 무선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라디오 및 다른 회로와 제어 코드를 갖는다(304). 긴 레이턴시 링크는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가 저전력 또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도록 허용하지만, 어떤 호도 진행되지는 않는 비동기 링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착신 디스패치 호가 검출되는 경우(306),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우선순위 통지 절차를 개시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로컬 무선 제어기, 또는 양자에 공지된 디스패치 호를 수신한다(308). 통지는 기저대역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사이의 정규 통신 링크와는 별개의 통지 링크를 통해, 기저대역 프로세서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송신 또는 전달되는 높은 우선순위 메시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통지는 예를 들어, 인터럽트의 어써션의 형태일 수 있다. 통지에 응답하여, 액티브 링크가 개시되어, 모바일 통신 장치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 사이에 구축된다(310). 액티브 링크의 개시는 호 처리가 시작하기 전에 발생한다. 액티브 링크는,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가 저전력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천이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낮은 레이턴시 링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티브 링크는 동기 링크이다. 호 처리는 기저대역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사이에서 개시하며, 오디오 정보는, 오디오 정보가 모바일 통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한, 액티브 링크를 통해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로 라우팅된다(312). '온 후크(on hook)' 버튼 또는 그 균등물을 행업(hang up) 또는 누름으로써, 사용자가 호를 종료할 수 있는 상호접속 호와 달리, 상호교환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는 디스패치 호가 제공되면,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10초와 같이 사전선택된 시간의 기간이 지난 후에 더 이상 오디오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호가 종료되었다고 가정할 것이다.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에서 호가 종료되었다고 결정한 경우, 액티브 링크는 종료될 수 있으며(316),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로 하여금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도록 하고, 긴 레이턴시 링크를 통한 모바일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방법(318)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모바일 통신 장치(400)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다이아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기저대역 레이어(402)는 통신 송수신기를 경유하여 안테나(404)를 통해 통신 시스템과 통신하고, 에어 인터페이스(408)를 통해 기지국(406)과 통신하며, 다른 모바일 통신 장치(410)와는 다이렉트 링크(412)를 통해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 레이어는 실질적으로 모뎀 레이어와 같이 동작한다. 기저대역 레이어의 상부에는, 예를 들어,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송신 및 수신을 위해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함으로써,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레이어(416)가 존재한다. 가상 라디오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Virtual Radio Interface Software: VRIS) 레이어(414)는 고레벨 레이어를 위한 하드웨어 추상 레이어(hardware abstraction layer)를 나타낸다. VRIS 레이어(414)의 상부에는 라디오 리소스 레이어(418), 모빌리티 관리 레이어(420), 및 호 관리 레이어(422)로 이루어지는 스택(stack)이 존재한다. 라디오 리소스 레이어는 적절한 프로토콜에 따라 라디오 리소스 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빌리티 관리(420)는 핸드오버(handover), 전력 제어 등과 같은 모빌리티(mobility) 발행을 제어한다. 호 관리 레이어는 고레벨 호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호 관리 레이어는 상호접속 호, SMS 메세징, 및 VoIP와 같은 회로 데이터 호와 같은 회로-스위치 서비스에 대한 호 관리를 핸들링할 수 있다. 관리 레이어의 상부에는 호 관리 레이어와 상부 레이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 입력을 하위 레이어에 전달하는 라디오 통신 서비스(Radio Communication Service: RCS) 레이어(424)가 존재한다. 최상위 레이어는 에르고노믹스(ergonomics) 및 JAVA 레이어(428)이다. 이 레이어는 실행 및 어플리케이션 동작 환경뿐만 아니라, 모바일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멀티미디어 측면을 동작시킨다.
RCS 레이어(424)와 그 하부를 포함하는 레이어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의 일부인 반면, 에르고노믹스 레이어(428)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착신 디스패치 호를 검출할 경우, 디스패치 호의 통지가 RCS 레이어(424)로부터 로컬 무선 태스크 레이어(430)의 상부에 위치하는 VRIS 레이어(414)로 전달된다. 로컬 무선 태스크 레이어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프로토콜과 같은 로컬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로컬 무선 하드웨어 코어 레이어(43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로컬 무선 코어 레이어는,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436)를 포함하는 로컬 무선 장치에 무선 링크(438)를 유지하는 안테나(434)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먼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와 모바일 통신 장치간에 비동기 링크를 구축함으로써, 모바일 통신 장치 및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 사이의 무선 오디오 링크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착신 디스패치 호를 수신할 경우, 모바일 통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에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를 통지함으로써,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에서 개시한다.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는 전용의 높은 우선순위 링크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전송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인터럽트 라인 상에서 어써트된 인터럽트일 수 있다.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 로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통해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와의 동기 링크를 개시하여,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를 서비스하는 것을 개시한다. 후속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오디오 정보가 수신될 때, 오디오 정보를 동기 링크를 통해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것을 개시한다. 착신 디스패치 호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장치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 사이에 비동기 링크를 구축하고, 동기 링크를 개시하는 것은, 블루투스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오디오 정보도 수신되지 않은 소정의 시간 주기 이후에, 액티브 링크가 구축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각각 통상의 하드웨어 연산 플랫폼 또는 개별 하드웨어 연산 플랫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송수신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바일 통신 장치와, 통신 송수신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 송수신기를 제공한다. 로컬 무선 송수신기는, 제1 또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면서, 다른 활동들 중, 무선 비동기 링크를 통해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와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통신 송수신기를 통해 디스패치 호를 수산할 경우,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대해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를 개시하여, 로컬 무선 네트워크 송수신기가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와의 동기 링크를 구축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야기하는데, 이를 통해 오디오 정보가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에 전송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이 명백하다. 당업자에게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이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수의 변경, 변화, 변동, 대체 및 균등물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모바일 통신 장치 및 관련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 사이에 무선 오디오 링크를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 및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 사이에 비동기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에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디스패치 호(incoming dispatch call)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디스패치 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를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와의 동기 링크를 개시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상기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를 서비스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 링크를 통해 상기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디스패치 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디스패치 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디스패치 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디스패치 호를 다른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직접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링크를 구축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와 상기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 사이에 상기 비동기 링크를 개시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정보가 전혀 수신되지 않는 소정 시간의 기간 후에, 상기 비동기 링크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각각 공통 하드웨어 연산 플랫폼상에서 구현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각각 상이한 하드웨어 연산 플랫폼상에서 구현되는 방법.
  8. 통신 송수신기와,
    상기 통신 송수신기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 송수신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며, 무선 비동기 링크를 통해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 송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송수신기를 통해 디스패치 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대한 높은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지를 개시하여, 상기 로컬 무선 네트워크 송수신기가, 오디오 정보가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로 송신되는 상기 원격 오디오 프로세서와의 동기 링크의 구축을 개시하도록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각각 공통 하드웨어 연산 플랫폼상에서 구현되는 모바일 통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각각 상이한 하드웨어 연산 플랫폼상에서 구현되는 모바일 통신 장치.
KR1020077030119A 2005-05-24 2006-05-10 무선 이어피스와의 오디오 링크를 감소된 시간에 구축하는방법 및 장치 KR100955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35,988 2005-05-24
US11/135,988 US7359738B2 (en) 2005-05-24 2005-05-24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audio link to a wireless earpiece in reduced ti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763A true KR20080009763A (ko) 2008-01-29
KR100955354B1 KR100955354B1 (ko) 2010-04-29

Family

ID=3745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119A KR100955354B1 (ko) 2005-05-24 2006-05-10 무선 이어피스와의 오디오 링크를 감소된 시간에 구축하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59738B2 (ko)
EP (1) EP1889453B1 (ko)
KR (1) KR100955354B1 (ko)
CN (1) CN101180861B (ko)
AR (1) AR053612A1 (ko)
WO (1) WO2006127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827A (ja) * 2004-03-30 2005-10-13 Denso Corp ハンズフリー装置
US7593417B2 (en) * 2005-01-21 2009-09-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ling broadcast and multicast traffic as unicast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US8005032B2 (en) * 2005-01-21 2011-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intaining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periods on a per-wireless client device basis
US7643856B2 (en) 2005-12-09 2010-01-05 Motorola, Inc. Method for reducing apparent latency in linking a call received a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 remote audio processor
US7583951B2 (en) * 2006-04-14 2009-09-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Virtual batteri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769357B2 (en) * 2007-04-25 2010-08-03 Agere Systems Inc. Multi-channel receiver with improved AGC
US20090143094A1 (en) * 2007-12-03 2009-06-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 Switching in Dual-Co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9489776B2 (en) * 2009-02-05 2016-11-08 fybr Gen II meter system
US20100198376A1 (en) * 2009-02-05 2010-08-05 Sony Corporation Personal audio device
US8693429B2 (en) * 2009-03-31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and use of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20110143664A1 (en) * 2009-12-14 2011-06-16 Fuccello James R System and method for bluetooth push to talk
US9380448B2 (en) * 2010-02-09 2016-06-28 Mediatek Inc. Methods for accessing subscriber identity cards via a dedicated interface and systems containing subscriber identity cards each with a dedicated interface
US8559602B2 (en) * 2010-03-19 2013-10-15 West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ermination of an emergency service call
US9025498B2 (en) * 2011-12-28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layer access channel congestion avoidance in group communications over broadcast/multicast services
US9351250B2 (en) * 2013-01-3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US9565657B2 (en) * 2014-07-22 2017-02-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OT enabled wireless one-go/all-go platform sensor network solution for connected home security systems
US10412663B2 (en) 2017-03-21 2019-09-10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avoiding radio interference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CN108235288B (zh) * 2017-11-30 2019-08-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蓝牙音频播放方法及移动终端
CN111132282B (zh) * 2018-11-01 2021-06-0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应用处理器唤醒方法及装置
US11265725B2 (en) 2019-02-15 2022-03-01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9500B (en) * 1992-07-02 1996-02-07 Motorola Israel Ltd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5953674A (en) * 1997-02-12 1999-09-14 Qualcomm Incorporated A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s o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erial communication bus
US7103344B2 (en) * 2000-06-08 2006-09-05 Menard Raymond J Device with passive receiver
US7016707B2 (en) * 2000-06-21 2006-03-21 Seiko Epson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operatively processing incoming call
US7155264B2 (en) * 2000-12-22 2006-12-26 Terahop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having LPRF device wake up using wireless tag
US6636749B2 (en) * 2001-06-25 2003-10-21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and wireless protocol capability to a wireless device, such as a wireless phone
US7411934B2 (en) * 2002-02-12 2008-08-12 Broadcom Corporation Packetized audio data operation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
US7184790B2 (en) * 2002-04-02 2007-02-27 Dorenbosch Jheroen P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talk group
US20040198425A1 (en) 2002-10-01 2004-10-07 Mellone Charles M. Establishing half-duplex audio link as battery saving means
US7391749B2 (en) * 2002-10-10 2008-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apable of establishing both synchronous or asynchronous communication links depending on signal quality
KR100501189B1 (ko) * 2003-05-15 2005-07-18 삼성전기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착신 알림 방법
EP1639844B1 (en) * 2003-06-23 2015-10-21 Spreadtrum Communications Inc. Time interleaved multiple standard single radio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00344169C (zh) * 2003-08-27 2007-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蜂窝集群系统中反向业务信道的控制方法
JP3877722B2 (ja) * 2003-11-19 2007-02-0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方法、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613478B2 (en) * 2004-03-15 2009-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ortability of clinical images using a high-quality display and portable device
US7672637B2 (en) * 2005-03-01 2010-03-02 Audiological Engineering Corp.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from a loudspeaker into a ven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59738B2 (en) 2008-04-15
EP1889453A1 (en) 2008-02-20
EP1889453A4 (en) 2009-11-11
CN101180861A (zh) 2008-05-14
US20060270464A1 (en) 2006-11-30
WO2006127268A1 (en) 2006-11-30
AR053612A1 (es) 2007-05-09
KR100955354B1 (ko) 2010-04-29
EP1889453B1 (en) 2013-11-20
CN101180861B (zh)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354B1 (ko) 무선 이어피스와의 오디오 링크를 감소된 시간에 구축하는방법 및 장치
US9002396B2 (en) Push to talk mobil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CN105430143B (zh) 通讯处理器及实现VoLTE的方法、移动终端及数据卡
US20120165006A1 (en) Short-range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US20070058579A1 (en) Method for processing calls from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equipment thereof
JP3696192B2 (ja) 電子機器および同電子機器の接続先切替え方法
CN101854705B (zh) 音频切换方法、音频切换设备、音频编解码器及终端设备
US8406684B1 (en) Two-way radio device with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EP1969732B1 (en) Method for reducing apparent latency in linking a call received a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 remote audio processor
WO2012155565A1 (zh) 一种多模通信方法、终端和系统
US20060089175A1 (en) Call switchover in wireless headset
KR20100083530A (ko) 무전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및 그 동작 방법
WO2012031469A1 (zh) 移动终端
WO2012152084A1 (zh) 通讯监听方法、装置及其系统
CN105141633A (zh) 一种切换多个手持台的调度控制方法和调度控制台
KR100690749B1 (ko) 휴대단말기의 다자간 통화수행 장치
JP3947312B2 (ja) データ通信処理装置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CN103763789A (zh) 可进行三方通话的移动设备与方法
WO2012031470A1 (zh) 移动终端
RU2569338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ехстороннего вызова
JP2001008259A (ja) コールバック通信制御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20030039801A (ko) 사용자가 선택한 전송률에 따른 영상 발신호 설정방법
KR2006006954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전기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H05327606A (ja) 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