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22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223A
KR20080009223A KR1020077028367A KR20077028367A KR20080009223A KR 20080009223 A KR20080009223 A KR 20080009223A KR 1020077028367 A KR1020077028367 A KR 1020077028367A KR 20077028367 A KR20077028367 A KR 20077028367A KR 20080009223 A KR20080009223 A KR 2008000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uct
refrigerator
partition wall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620B1 (ko
Inventor
모리유끼 사까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 구획벽(20)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는 냉동실(4)을 구비한 냉장고(1)에 있어서,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7)와, 냉동실(4)의 배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냉각기(17)에서 생성한 냉기를 토출하는 배면 토출구(13)와, 종 구획벽(20)에 설치되는 제1, 제2 냉기 덕트(21, 23)와, 제1 냉기 덕트(21)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냉동실(4)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냉기 복귀구(22)와, 제2 냉기 덕트(23)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냉동실(4)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측면 토출구(24)를 구비하고, 배면 토출구(13) 및 측면 토출구(22)로부터 냉동실(4)에 토출하여 실내를 유통하는 냉기가 냉기 복귀구(22)를 통해 제1 냉기 덕트(21)에 유입되어, 냉각기(17)로 복귀되도록 했다.
냉장고, 종 구획벽, 냉각기, 냉기 복귀구, 배면 토출구, 냉기 덕트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좌우로 분할한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저장물을 냉동 보존하는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는 전방면이 단열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저장물을 냉장 보존하는 냉장실 등의 다른 저장실과의 사이에 단열벽이 배치된다. 냉동실의 실내 온도는, 냉장고를 설치하는 방의 실온 및 냉장실의 실내 온도보다도 저온이 되기 때문에 단열 도어 및 단열벽에 의해 결로가 방지된다.
냉동실의 온도가 불균일한 경우에는 설정 온도보다도 저온이 되는 것을 고려하여 단열 도어 및 단열벽을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있어, 용적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냉동실의 중앙에 세워 설치되는 종 구획판으로 냉동실을 구획하고, 좌우로 분할되는 제1, 제2 저장실의 용적을 좁게 하여 온도를 균일화한 냉장고가 알려져 있다.
냉장고의 냉기 유통 구조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5는 이 냉장고의 냉동실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냉장고(1)는 전방면을 개방하는 단열 상자체(2a)를 갖는 본체부(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의 상부에는 냉장실(3)이 배치되고, 단열벽(10)을 통해 하방에 냉동실(4)이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3) 및 냉동실(4)의 전방면은 단열 도어(3a, 4a)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냉동실(4) 내에는 저장물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 케이스(12)가 설치된다.
냉동실(4)의 후방에는 배면판(5)으로 덮인 배면 덕트(6)가 형성된다. 배면 덕트(6) 내부는 구획판(6a)에 의해 전후로 분할되고, 후방측에 냉각기(7)가 배치되고 냉각기(7)의 상방에 송풍기(8)가 배치된다. 배면 덕트(6)의 일부에는 냉각기(7)로 냉기를 유도하는 복귀 통로(6b)가 설치된다. 냉각기(7)는 본체부(2)의 하부에 배치된 압축기(9)에 접속된다. 압축기(9)의 구동에 의해 냉매가 유통되어 냉동 사이클이 운전되고, 냉각기(7)는 냉동 사이클의 저온측으로 된다.
냉각기(7)에서 열교환하여 생성된 냉기는 송풍기(8)의 구동에 의해 배면 덕트(6)의 전방측으로 유도된다. 상기 냉기는 배면판(5)에 설치한 복수의 배면 토출구(13)로부터 상하로 분산되어 냉동실(4) 내에 토출된다. 냉동실(4)에 토출된 냉기는 전방으로 유도되어 수납 케이스(12)의 주위를 유통하고, 냉기 복귀구(14)를 통해 복귀 통로(6b)로 유입되어 냉각기(7)로 복귀된다. 이것에 의해, 냉동실(4) 내부가 냉각된다. 또한, 단열벽(10)에 설치한 댐퍼(15)를 개방하여 냉장실(3)에 냉기가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7320호 공보(제3페이지 내지 제5페이지, 도1)
그러나, 상기 종래의 냉장고(1)에 따르면, 배면 토출구(13)와 냉기 복귀구(14)가 접근하여 배치된다. 이 때문에, 배면 토출구(13)로부터 토출된 냉기의 일부가 냉동실(4) 내부를 순환하지 않고 냉기 복귀구(14)로 유입되는 쇼트 서킷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동시에, 냉동실(4)의 전방부가 냉각 부족이 되어 실내 온도를 충분히 균일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복귀 통로(6b)를 냉동실(4)의 배면으로부터 바닥면에 걸쳐 배치하여 전방에 냉기 복귀구(14)를 배치하면 쇼트 서킷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압축기(9)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한 단열 하우징(2a)의 하부를 따라 복귀 통로(6b)가 배치되기 때문에, 수납 케이스(12)의 깊이를 넓게 확보할 수 없고 냉동실(4)의 수납 용적이 감소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수납 용적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냉각 효율을 향상하여 저장실의 실내 온도를 보다 균일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 구획벽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는 제1, 제2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제1 저장실의 배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를 토출하는 배면 토출구와, 상기 종 구획벽에 설치되는 제1 냉기 덕트를 구비하고, 제1 저장실의 전방부에 배치된 냉기 복귀구를 통해 제1 냉기 덕트로 유입된 실내의 냉기를 상기 냉각기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종 구획벽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는 제1, 제2 저장실의 적어도 한쪽의 제1 저장실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배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제1 저장실에 토출된 냉기는 실내의 전방으로 유통하고, 실내의 전방부에 형성한 냉기 복귀구로부터 종 구획벽에 설치한 제1 냉기 덕트로 유입된다. 제1 냉기 덕트를 유통하는 냉기는 냉각기로 복귀되고, 냉기가 순환하여 제1 저장실이 냉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복귀구는 제1 냉기 덕트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저장실에 토출된 냉기는 종 구획벽에 형성한 냉기 복귀구를 통해 제1 냉기 덕트로 유입되어, 냉각기로 복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제1 냉기 덕트에 연통하는 바닥면 덕트를 제1 저장실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냉기 복귀구는 상기 바닥면 덕트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저장실에 토출된 냉기는 바닥면 덕트에 형성한 냉기 복귀구를 통해 바닥면 덕트로 유입되어, 제1 냉기 덕트를 통해 냉각기로 복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종 구획벽은,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유통하는 제2 냉기 덕트와, 제2 냉기 덕트의 전방부를 개방하여 제1 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측면 토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배면 토출구와 종 구획벽의 전방부에 형성한 측면 토출구로부터 제1 저장실로 토출된다. 측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종 구획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유통하고, 실내를 순환하여 냉기 복귀구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복귀구를 제1 저장실의 후방부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방부의 측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확산하고, 실내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형성한 냉기 복귀구로 유입된다. 제1 저장실의 전방부의 냉기 복귀구와 후방부의 냉기 복귀구는 연속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종 구획벽은,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유통하는 제2 냉기 덕트와, 제2 냉기 덕트의 전방부를 개방하여 제1 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측면 토출구를 갖는 동시에, 제1 냉기 덕트에 연통하는 바닥면 덕트를 제1 저장실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냉기 복귀구는 상기 바닥면 덕트의 전방면, 측면 및 배면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면 토출구 및 측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실내에 확산되어, 바닥면 덕트의 전방면, 측면 및 배면에 형성한 냉기 복귀구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복귀구 및 상기 측면 토출구를 제1 저장실 및 제2 저장실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냉기 덕트를 유통하는 냉기는 종 구획벽의 양측면에 형성한 측면 토출구로부터 제1, 제2 저장실로 토출된다. 제1, 제2 저장실을 유통하는 냉기는 제1, 제2 저장실에 각각 형성되는 냉기 복귀구를 통해 제1 냉기 덕트로 유입되어, 냉각기로 복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제1, 제2 저장실은 저장물을 냉동 보존하는 냉동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로 분할한 제1,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한쪽의 제1 저장실이,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 토출구와, 종 구획벽에 설치되는 제1 냉기 덕트와, 제1 저장실의 전방부에 배치된 냉기 복귀구를 가지므로, 배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전방으로 유도되어 실내를 순환한다. 따라서, 쇼트 서킷을 방지하고, 실내 온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냉기를 냉각기로 복귀하는 배면의 복귀 덕트를 생략하여 제1 저장실의 수납 용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종 구획벽에 제1 냉기 덕트를 설치하므로 덕트를 형성하는 부품을 별도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 복귀구는 제1 냉기 덕트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므로, 제1 저장실의 전방부에 용이하게 냉기 복귀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 복귀구는 바닥면 덕트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므로, 제1 저장실의 전방부에 용이하게 냉기 복귀구를 형성할 수 있다. 부가하여, 고(庫) 외측과 인접하는 바닥면에 적재된 저장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 구획벽에 제2 냉기 덕트 및 측면 토출구를 형성했으므로, 제1 저장실에 토출한 냉기를 횡방향으로 유통시켜 실내를 보다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 복귀구를 제1 저장실의 후방부에 더 형성했으므로, 실내에 토출된 냉기가 확산하여 실내를 보다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 구획벽에 제2 냉기 덕트 및 측면 토출구를 형성하고, 냉기 복귀구는 바닥면 덕트의 전방면, 측면 및 배면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므로, 실내에 토출된 냉기가 확산되어 실내를 보다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 복귀구 및 측면 토출구를 제1 저장실 및 제2 저장실에 형성했으므로, 제1, 제2 저장실의 실내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제2 저장실이 냉동실로 이루어지므로, 실내 온도가 균일해지는 것에 의해 단열벽 및 단열 도어의 두께를 결로가 방지되는 최소의 두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용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본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본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5는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2 : 본체부
3 : 냉장실
4 : 냉동실
5 : 배면판
6 : 배면 덕트
7 : 냉각기
8 : 송풍기
9 : 압축기
10 : 단열벽
12 : 수납 케이스
13 : 배면 토출구
14, 22 : 냉기 복귀구
15 : 댐퍼
20 : 종 구획벽
21 : 제1 냉기 덕트
23 : 제2 냉기 덕트
24 : 측면 토출구
25 : 바닥면 덕트
41 : 제1 저장실
42 : 제2 저장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도5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냉장고(1)는 전방면을 개방하는 단열 하우징(2a)을 갖는 본체부(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의 상부에는 냉장실(3)이 배치되고, 단열벽(10)을 통해 하방에 냉동실(4) 이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4)은 수직으로 설치된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종 구획벽(2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제1, 제2 저장실(41, 42)이 형성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우측을 제1 저장실(41)로 하고, 좌측을 제2 저장실(42)로 하고 있지만, 역이라도 좋다. 냉장실(3)의 전방면은 단열 도어(3a)에 의해 개폐되고, 냉동실(4)의 전방면은 단열 도어(4a, 4b)(4b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냉동실(4) 내에는 저장물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 케이스(12)가 설치된다.
냉동실(4)의 후방에는 배면판(5)으로 덮인 배면 덕트(6)가 형성된다. 배면 덕트(6) 내부는 구획판(6a)에 의해 전후로 분할되고, 후방측에 냉각기(7)가 배치되고 냉각기(7)의 상방에 송풍기(8)가 배치된다. 냉각기(7)는 본체부(2)의 하부에 배치된 압축기(9)에 접속된다. 압축기(9)의 구동에 의해 냉매가 유통되어 냉동 사이클이 운전되고, 냉각기(7)는 냉동 사이클의 저온측으로 된다.
종 구획벽(20)은 배면판(5)에 접하여 배치되고, 배면 덕트(6)에 연통하는 제1, 제2 냉기 덕트(21, 23)가 설치된다. 제1 냉기 덕트(21)의 전방부에는 좌우의 냉동실(4)을 향해 각각 개방하는 냉기 복귀구(22)가 형성된다. 제2 냉기 덕트(23)의 전방부에는 좌우의 냉동실(4)을 향해 각각 개방하는 측면 토출구(24)가 형성된다.
종 구획벽(20)은 제1, 제2 냉기 덕트(21, 23)에 대응하는 홈을 오목하게 형성한 제1 부재를 갖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제2 저장실(42)에 면한 냉기 복귀구(22) 및 측면 토출구(24)가 개방되어 있다. 제1 부재 위에는 제1 저장실(41)에 면하는 냉기 복귀구(22) 및 측면 토출구(24)를 형성한 판 형상의 제2 부재가 덮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종 구획벽(2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냉각기(7)에서 열교환하여 생성된 냉기는 송풍기(8)의 구동에 의해 배면 덕트(6)의 전방측으로 유도된다. 상기 냉기는 배면판(5)에 형성한 복수의 배면 토출구(13)로부터 상하로 분산되어 냉동실(4) 내에 토출된다. 배면 토출구(13)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전방으로 유도되어 수납 케이스(12)의 주위를 유통한다. 또한, 배면 덕트(6)의 전방측으로부터 제2 냉기 덕트(23)를 유통하는 냉기는 복수의 측면 토출구(24)로부터 상하로 분산되어 냉동실(4)의 제1, 제2 저장실(41, 42) 내에 토출된다. 측면 토출구(24)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종 구획벽(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유도되어 수납 케이스(12)의 주위를 유통한다.
그리고, 냉동실(4) 내부를 유통한 냉기는 냉기 복귀구(22)를 통해 제1 냉기 덕트(21)로 유입되어, 냉각기(7)로 복귀된다. 이것에 의해, 냉동실(4) 내부가 냉각된다. 또한, 단열벽(10)에 설치한 댐퍼(15)를 개방하여 냉장실(3)에 냉기가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면 토출구(13)와, 종 구획벽(20)에 설치되는 제1 냉기 덕트(21)와, 좌우의 제1, 제2 저장실(41, 42)의 전방부에 배치된 냉기 복귀구(22)를 가지므로, 배면 토출구(13)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전방으로 유도되어 실내를 순환한다. 따라서, 쇼트 서킷을 방지하여, 실내 온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면의 복귀 덕트(6b)(도5 참조)를 생략하여 냉동실(4)의 수납 용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종 구획벽(20)에 제1 냉기 덕트(21)를 설치 하므로 덕트를 형성하는 부품을 별도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 구획벽(20)에 제2 냉기 덕트(23) 및 측면 토출구(24)를 형성했으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덕트를 형성하는 부품을 별도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부가하여, 냉동실(4)에 토출한 냉기를 횡방향으로 유통시켜 실내를 보다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동실(4)의 실내 온도가 균일해지기 때문에, 단열 상자체(2a), 단열벽(10) 및 단열 도어(4a, 4b)(4b는 도시하지 않음)의 두께를 결로가 방지되는 최소의 두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의 용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3, 도4는 제2 실시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도1, 도2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는, 냉동실(4)의 바닥부에 바닥면 덕트(25)가 설치된다. 바닥면 덕트(25)는 종 구획벽(20)에 접하여 설치되고, 제1 냉기 덕트(21)에 연통한다. 바닥면 덕트(25)에는 전방면, 배면 및 종 구획벽(20)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의 측면에 냉기 복귀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배면 토출구(13) 및 측면 토출구(24)로부터 냉동실(4) 내에 토출된 냉기는 확산되어 바닥면 덕트(25)의 전방면, 배면 및 측면의 냉기 복귀구(22)로부터 바닥면 덕트(25)로 유입된다. 그리고, 바닥면 덕트(25) 및 제1 냉기 덕트(21)를 유통하여 냉각기(7)로 복귀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냉기 복귀구(22)를 냉동실(4)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냉기가 확산되어 실내를 보다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전방부의 측면 토출구(24)로부터 후방부의 냉기 복귀구(22)로 냉기가 유도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냉기를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종 구획벽(20)의 제1 냉기 덕트(21)에 형성한 개구에 의해 냉동실(4)의 후방부에 냉기 복귀구(22)를 형성해도 좋다. 이때, 냉동실(4)의 전방부의 냉기 복귀구(22)와 후방부의 냉기 복귀구(22)를 연속하여 형성해도 좋다.
제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 구획벽(20)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는 냉동실(4)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냉장실이나 야채실을 종 구획벽에 의해 좌우로 분할한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냉장실이나 야채실의 실내를 균일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 구획벽(20)에 의해 좌우로 분할한 한쪽을 냉동실(4)로 하고, 다른 쪽을 냉장실이나 야채실로 해도 좋다. 이때, 측면 토출구(24)나 냉기 복귀구(22)를 한쪽의 저장실만을 향해 개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좌우에 병설되는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종 구획벽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는 제1, 제2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제1 저장실의 배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를 토출하는 배면 토출구와, 상기 종 구획벽에 설치되는 제1 냉기 덕트를 구비하고, 제1 저장실의 전방부에 배치된 냉기 복귀구를 통해 제1 냉기 덕트로 유입된 실내의 냉기를 상기 냉각기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복귀구는 제1 냉기 덕트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냉기 덕트에 연통하는 바닥면 덕트를 제1 저장실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냉기 복귀구는 상기 바닥면 덕트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 구획벽은,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유통하는 제2 냉기 덕트와, 제2 냉기 덕트의 전방부를 개방하여 제1 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측면 토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복귀구를 제1 저장실의 후방부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 구획벽은,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유통하는 제2 냉기 덕트와, 제2 냉기 덕트의 전방부를 개방하여 제1 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측면 토출구를 갖는 동시에, 제1 냉기 덕트에 연통하는 바닥면 덕트를 제1 저장실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냉기 복귀구는 상기 바닥면 덕트의 전방면, 측면 및 배면에 형성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복귀구 및 상기 측면 토출구를 제1 저장실 및 제2 저장실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제2 저장실은 저장물을 냉동 보존하는 냉동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77028367A 2005-08-04 2006-02-28 냉장고 KR100940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6174A JP4004516B2 (ja) 2005-08-04 2005-08-04 冷蔵庫
JPJP-P-2005-00226174 2005-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223A true KR20080009223A (ko) 2008-01-25
KR100940620B1 KR100940620B1 (ko) 2010-02-05

Family

ID=3770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367A KR100940620B1 (ko) 2005-08-04 2006-02-2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04516B2 (ko)
KR (1) KR100940620B1 (ko)
CN (1) CN100572996C (ko)
WO (1) WO20070153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519B1 (ko) * 2010-08-06 2013-08-07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6522B2 (ja) * 2011-11-25 2014-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
KR20140009647A (ko) *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CN108351149A (zh) * 2015-11-02 2018-07-31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分隔的储存空间的制冷器具
KR102482401B1 (ko) * 2017-09-22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54399B1 (ko) 2017-09-22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759248B (zh) * 2018-07-24 2021-06-0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风冷冰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02U (ko) * 1998-06-15 2000-01-15 전주범 복합냉장고
JP2000105052A (ja) * 1998-09-30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0161838A (ja) * 1998-11-30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4598173B2 (ja) * 2001-08-22 2010-12-1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配膳車
KR100438938B1 (ko) * 2001-08-31 2004-07-0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JP2004003710A (ja) * 2002-05-31 2004-01-08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519B1 (ko) * 2010-08-06 2013-08-07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620B1 (ko) 2010-02-05
WO2007015318A1 (ja) 2007-02-08
CN101238338A (zh) 2008-08-06
CN100572996C (zh) 2009-12-23
JP2007040626A (ja) 2007-02-15
JP4004516B2 (ja)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1377B2 (en) Refrigerator
KR100512677B1 (ko) 냉장고
KR100940620B1 (ko) 냉장고
KR970011047B1 (ko) 냉장고의 냉각장치
JP3665292B2 (ja) 冷蔵庫の冷気供給装置
KR20120000642A (ko) 모듈식 냉장고
CN107120894B (zh) 变容积冷冻冷藏风冷式制冷设备
JP6389075B2 (ja) 冷蔵庫
CN106895639B (zh) 多温区风冷式制冷设备
KR100398497B1 (ko) 병립형 냉장고
CN108507257B (zh) 风冷式制冷设备
JP4275057B2 (ja) 冷蔵庫
JP2008002758A (ja) 冷蔵庫
KR20110136917A (ko) 냉장고
JP2009068800A (ja) 冷蔵庫
CN107120896B (zh) 蒸发器顶置式制冷设备
KR20070080338A (ko) 냉장고
JP3226420B2 (ja) 冷却貯蔵庫
KR100608584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CN107120897B (zh) 多温区制冷设备
CN107120898B (zh) 蒸发器底置式制冷设备
JPH03291484A (ja) 冷凍冷蔵庫
KR100763152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20160126945A (ko) 냉장고
KR2007007583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