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990A -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990A
KR20080007990A KR1020060067323A KR20060067323A KR20080007990A KR 20080007990 A KR20080007990 A KR 20080007990A KR 1020060067323 A KR1020060067323 A KR 1020060067323A KR 20060067323 A KR20060067323 A KR 20060067323A KR 20080007990 A KR20080007990 A KR 2008000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insertion groove
front mask
closed curv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6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7990A/ko
Publication of KR2008000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피커의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는 프론트마스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체결부와, 스피커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체결부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곡선 형상의 삽입홈으로 스피커의 전면부에 형성된 폐곡선 형상의 돌출부를 삽입시켜 결합함으로써,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에 의한 진동에너지가 체결부에 전달되어 프론트마스크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방지함과 동시에 스피커와 프론트마스크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음질의 저하 없이도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에 의한 프론트마스크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피커, 프론트마스크, 진동, 충격, LC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A DEVICE FOR PREVENTING THE VIBRATION AND TIMBRE DETERIORATING OF ANN INNER SPEAKER IN 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프론트마스크의 후면도.
도 2는 도 1의 프론트마스크의 후면에 형성된 스피커 체결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피커가 도 2의 스피커 체결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과정에 의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마스크 11 : 스피커 체결부
12 : 삽입홈 14 : 내측면
20 : 스피커 24 : 스피커 전면부
23 : 돌출부 30 : 완충용 부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피커의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론트마스크와 결합된 스피커의 음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에 의한 프론트마스크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란, 공중파 방송국 또는 케이블 방송국등에서 송출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스크린상에 영상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전자제품을 일컫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텔레비전(또는 액정 모니터, PDP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덮개로서 내측에 브라운관등이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이 프론트마스크이다. 프론트마스크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출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체결되는데, 이러한 스피커는 LCD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중화되면서 별도의 외장형 스피커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내장형으로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아울러 이러한 내장형 스피커는 고도의 음질 구현을 위해 고용량화/고사양화로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프론트마스크의 내측면에 이러한 고출력의 스피커가 장착됨으로써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파가 프론트마스크에 진동을 야기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피커의 음질 저하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스피커의 음질 저하를 막기 위하여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스피커와 프론트마스크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파의 직접적인 영 향으로부터 프론트마스크를 보호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스피커가 프론트마스크의 내측면에 밀착하지 못하게 되어 음질의 왜곡,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프론트마스크의 진동으로 인한 음질저하를 막으려고 한 시도가 오히려 스피커의 음질저하를 초래하는 것이 되었다. 따라서 스피커와 프론트마스크 내측면이 최대한 밀착되게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에 의해 프론트마스크가 진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또 다른 기술에서는 스피커와 프론트마스크 사이에 스프링 또는 고무등과 같은 완충용 수단을 이용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도 스피커가 프론트마스크 내측면에 접하는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스피커의 일정 지점과 프론트마스크의 일정지점과의 사이에서 완충용 수단을 부가하여 충격을 흡수하려는 것이었기 때문에 효과적인 진동 방지 구조가 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에 의한 에너지는 스피커가 프론트마스크 내측면과 접하는 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닌 수평방향 또는 다양한 방위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방향으로 방사되는 스피커의 음파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스피커의 특정한 지점에서만 제공되는 완충용 수단이 아닌 스피커의 전면에 단절되지 않는 연속된 형상의 완충용 수단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론트마스크와 결합된 스피커의 음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에 의한 프론트마스크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피커의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마스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체결부; 상기 스피커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의 폐곡선과 상기 삽입홈의 폐곡선 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불규칙한 직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 또는 불규칙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의 전면부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용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용 부재는 탄성 변화가 가능한 다공성 합성수지, 스프링 또는 고무재료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프론트마스크(10)의 후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후면이란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프론트마스크 전면의 정반대면을 의미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프론트마스크(10)는 사출금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대량으로 생산된다. 프론트마스크(10)의 하단부에 도시된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은 스피커가 체결되는 스피커 체결부(11)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는 이와 같은 프론트마스크(10)의 스피커 체결부(11)에 결합되어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스피커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스피커와 프론트마스크(10)의 결합구조에 따라 프론트마스크(10)의 전체에 부가되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로 인한 진동에너지의 영향이 결정될 것이다.
도 2에는 도 1의 점선으로 표시한 스피커 체결부(11)가 확대 도시된다. 스피커 체결부(11)는 프론트마스크 내측면(14)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부(15)와 나사결합홈(13)을 포함한다. 삽입홈(12)은 체결부(15)에 형성된다. 내측면(14)은 앞서 설명한 프론트마스크(10, 도 1 참조) 후면을 의미한다. 삽입홈(12)은 후술할 스피커(20, 도 3 참조)의 돌출부(23, 도 3 참조)와, 나사결합홈(13)은 역시 후술할 나사연결구(22, 도 3 참조) 및 나사(24)와 일치하여 결합되는 부분이다. 체결부(15)는 프론트마스크(10, 도 1 참조)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폐곡선 형상을 가진다. 삽입홈(12)은 체결부(15) 내부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중요한 점은 삽입홈(12)의 형상이다. 삽입홈은 일정한 형상의 폐곡선을 이루는 연속된 홈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폐곡선이란 그 위를 한점이 한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다시 본래 위치로 돌아오는 곡선, 다시 말하면 양끝이 일치하고 있는 연속된 호를 의미하며, 반드시 곡선으로 이루어질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불규칙한 직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 또는 불규칙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등 설계자의 의도에 의해서 어떠한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단절되지 않은 연속된 선으로 이어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스피커(20)가 상세히 도시된다. 스피커(20)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스피커(20)는 프론트마스크(10, 도 1 참조)의 스피커체결부(11, 도 2 참조)에 형성된 나사결합홈(13, 도 2 참조)에 결합되어 스피커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21)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라켓(21)에 형성된 나사연결구(22)에 나사(24, 도 4 참조)가 관통하여 스피커체결부(11, 도 2 참조)에 형성된 나사결합홈(13, 도 2 참조)에 결합되어 스피커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브라켓(21)은 반드시 필수적인 것만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돌출부(23)와 삽입홈(12, 도 2 참조)의 끼움 결합에 의해 충분한 지지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스피커 전면부(24)에 형성된 돌출부(23)는 앞서 설명한 삽입홈(12, 도 2 참조)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형상으로서 삽 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일정한 폐곡선을 이루는 연속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20)와 스피커체결부(11)의 결합과정 및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4에서 보이듯이 스피커(20)는 점선방향으로 스피커 체결부(11)와 결합된다. 브라켓(21)에 형성된 나사연결구(22)에 나사(24)를 관통시켜 스피커 체결부(11)에 형성된 나사결합홈(13)에 결합시킨다. 이때 스피커(20)의 전면부(24)에 형성된 돌출부(23)는 스피커 체결부(11)의 내측면(14)에 형성된 체결부(15)의 삽입홈(12)에 정확하게 일치되어 삽입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스피커(20)와 스피커 체결부(11)의 결합은 브라켓(21)과 같은 구조가 없어도 돌출부(23)와 삽입홈(12)의 끼움 결합에 의해서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 결합을 위해서는 삽입홈(12)의 폭은 돌출부(23)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삽입홈(12)을 구성하는 재료는 일정한 탄성변화가 가능한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돌출부(23)가 삽입홈(12)에 삽입되면 삽입홈(12)의 폭이 돌출부(23)의 폭에 맞게 확장됨과 동시에 삽입된 돌출부(23)를 충분한 힘으로 조여서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프론트마스크(10)를 형성하는 소재 자체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서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론트마스크(10)와는 별도의 삽입홈 재료를 이용할 필요성은 크지 않을 것이다.
도 5에서 보이듯이 스피커(20)의 돌출부(23)가 삽입홈(12)에 끼움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확대된 부분에는 완충용 부재(30)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완충용 부재가 없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충분한 진동 방지 효과를 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돌출부(23)와 삽입홈(12)은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스피커(20)가 좌우 또는 다양한 방위로 진동하여도 폐곡선을 이루는 돌출부(23)와 체결부(15)의 삽입홈(12)의 형상으로 인해, 스피커의 진동에너지는 일차적으로 체결부(15)에 흡수된다. 따라서 프론트마스크에는 진동의 영향이 줄어들게 된다.
위와 같은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도 5에서 제시된 완충용 부재(30)가 적용될 수 있다. 완충용 부재(30)는 스피커(2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탄성 변화가 가능한 다공성 합성수지, 스프링 또는 고무 재료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용 부재(30)는 폐곡선을 이루는 연속된 형상의 삽입홈(12) 내부 저면에 삽입홈(12)의 형상인 폐곡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 형상으로 형성된다. 완충용 부재(30)는 스피커(20)와 프론트마스크(10)의 내측면(14)이 접하는 면과 수직방향인 스피커(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진동뿐만 아니라 스피커(20)의 좌우 또는 다양한 방위로의 진동에너지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용 부재(3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완충용 부재(30)가 삽입홈(12)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고려하여 삽입홈(12)의 폭과 깊이를 설계하여야만 할 것이다. 또한 완충용 부재로서 스프링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설계자는 삽입홈(12)의 내부 저면의 폐곡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스피커 방진용 체결구조에 따르면, 프론트마스크 내측면의 스피커 체결부에 형성된 폐곡선을 이루는 체결부의 삽입홈에 스피커의 전면부에 형성된 폐곡선을 이루는 돌출부를 삽입시켜 끼움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에 의한 진동에너지가 체결부에 흡수되어 프론트마스크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피커와 프론트마스크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음질의 저하 없이도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에 의한 프론트마스크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피커의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마스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체결부; 및,
    상기 스피커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폐곡선과 상기 삽입홈의 폐곡선 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불규칙한 직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 또는 불규칙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의 전면부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용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부재는 탄성 변화가 가능한 다공성 합성수지, 스프링 또는 고무재료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KR1020060067323A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KR20080007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323A KR20080007990A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323A KR20080007990A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990A true KR20080007990A (ko) 2008-01-23

Family

ID=3922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323A KR20080007990A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79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0277A (zh) * 2015-08-19 2015-11-18 罗叶叶 移动式贝斯品丝的装置
CN105070276A (zh) * 2015-08-19 2015-11-18 罗叶叶 便于安装和拆卸的贝斯品丝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0277A (zh) * 2015-08-19 2015-11-18 罗叶叶 移动式贝斯品丝的装置
CN105070276A (zh) * 2015-08-19 2015-11-18 罗叶叶 便于安装和拆卸的贝斯品丝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020B1 (ko) 텔레비전 캐비닛에서 스피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JP5816811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移動体装置
US6751330B2 (en) Speaker system
WO2011074225A1 (ja) スピーカ保持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7221772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loudspeaker unit
KR100609796B1 (ko)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 스피커 장치의 부착 구조및 부착 방법
KR2008000799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진동 및 음질저하 방지장치
WO2010096230A1 (en) Acoustic waveguide mechanical vibration damping
JPH1066179A (ja) スピーカの取付け機構
JP3998618B2 (ja) 表示装置
KR20090039372A (ko)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
US20230018811A1 (en) Rear shell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7035419B2 (en) Anti-resonant structure for speakers
CN113329279A (zh) 显示器及其出音装置
JP2022119087A (ja) 表示装置およびスピーカユニット
JP2011035577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取付構造
US7272236B2 (en) Speaker assembly for a television cabinet
CN113796095A (zh) 扬声器设备、扬声器和结构
KR100710300B1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JP4985053B2 (ja) スピーカ部の取付構造
JP2018129686A (ja) ウーハーボックス、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TWI479902B (zh) A horn mechanism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horn mechanism
CN212628400U (zh) 手持终端装置及其手持终端音腔结构
KR101314236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7201990A (ja) 防振部材とスピーカ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