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703U -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 Google Patents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703U
KR20080006703U KR2020070010579U KR20070010579U KR20080006703U KR 20080006703 U KR20080006703 U KR 20080006703U KR 2020070010579 U KR2020070010579 U KR 2020070010579U KR 20070010579 U KR20070010579 U KR 20070010579U KR 20080006703 U KR20080006703 U KR 200800067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wire fuse
compression terminal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192Y1 (ko
Inventor
이송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70010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9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퓨즈의 압축단자와 전선을 결합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제작된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는 가용체와, 상기 가용체 양단에 접속된 단자와, 상기 단자와 가용체를 내장하는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을 내장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양끝단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절연캡과, 상기 절연캡에 위치한 홀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단자와 연결된 압축단자와, 상기 압축단자와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수 공사, 전주이설 및 인입 전선 교체시 전선퓨즈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인입 전선과 전선퓨즈의 불량한 결합으로 발생되는 고장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WIRE FUSE IMPROVED A COMPRESSION TERMINA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의 외형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를 전주에 설치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가용체 11: 압축단자
15: 전선 19, 21: 연결부
본 고안은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에 각기 구비된 압축단자에 의해 양단의 각 전선이 압축되어 결합된 전선퓨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공사는 전주의 상부 측에 변압기를 설치하여 감압하고 과 전력 공급으로 인한 단락사고를 방지하는 보호장치를 설치하여 수용가에 전기를 공급 한다. 이때 수용가 측의 보호를 목적으로 수용가 측의 인입 전선에 전선퓨즈를 장착한다. 따라서 인입 전선에 연결된 전선퓨즈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선퓨즈 속의 가용체가 녹아 끊어져 전류를 차단한다.
이와 같은 전선퓨즈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선퓨즈 말단에 돌출된 결합부위 내부에 형성된 홈에 인입 전선을 삽입 후 결합부위를 외부에서 압착펜치 또는 Y-35등의 압착 공구를 이용해 압착하여 인입 전선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압착작업시 압착공구를 휴대하지 않았을 경우, 일반펜치 등의 부적절한 공구를 사용하여 적당히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퓨즈의 결합부위에 인입 전선이 완전히 압착되지 않으며 이러한 들뜸 부분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여 부식되거나 파손되어 수명이 짧아지며, 압착시 전선퓨즈와 인입 전선에 손상을 주는 경우 인입선 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전선퓨즈 결합부위와 인입 전선을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전공 개개인의 기술에 따라 전력선과 인입 전선이 연결된 전선 퓨즈의 연결 길이가 상이하며 이로 인해 보수 공사 및 지장주 공사로 인한 전주 이설시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많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각기 구비된 압축 단자에 의해 양단의 각 전선이 압축되어 결합된 개선형 전선 퓨 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 가용체; 상기 가용체 양단에 접속된 단자; 상기 단자와 가용체를 내장하는 유리관; 상기 유리관을 내장하는 외통; 상기 외통의 양끝단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절연캡; 상기 절연캡에 위치한 홀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단자와 연결된 압축단자; 상기 압축단자와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의 길이는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의 말단에 연결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연결부는 슬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의 종단면도로써 가용체(1), 단자(3), 유리관(5), 외통(7), 절연캡(9), 압축단자(11), 단자 커버(13), 전선(15), 단자 보호관(17)으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용체(1)는 바(Bar)형태로 양끝단이 단자(3)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저융점 양도체로 형성된다. 저압 인입 전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가용체(1)를 거쳐 타단에 연결된 저압 인입 전선으로 통전하게 된다. 따라서, 과전류 가 흐르게 되면 가용체(1)가 용단 되어 수용가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단자(3)는 상기 가용체(1)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단은 압축단자(11)와 연결되어 가용체(1)를 고정하는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유리관(5)은 내부에 상기 가용체(1)와 상기 단자(3)가 삽입되어 내장되는 원형관의 형태로 내열강화 유리재로 형성되어 가용체(1)를 보호하게 된다.
외통(7)은 상기 유리관(5)의 외주보다 크게 형성된 원형관의 형태로 외통(7) 내부로 유리관(5)이 내장되어 충격으로부터 유리관(5)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외통(7)은 외부에서 가용체(1)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다.
절연캡(9)은 상기 외통(7)과 유리관(5)의 양끝단에 위치하여 결합 되며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통(7)과 유리관(5)의 위치를 고정하며 가용체(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압축단자(11)는 상기 절연캡(9)에 위치한 중앙부의 홀을 통하여 밖으로 노출되는 금속관으로 일측이 단자(3)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압축단자(11)의 재질은 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이나 구리가 사용된다.
단자 커버(13)는 상기 외통(7)의 양측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중앙부에 압축단자(11)를 노출시키며 압축단자의 홀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 커버(13)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이물질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선(15)은 상기 단자 커버(13)의 홀을 통해 압축단자(11)의 홈에 인입되며 20㎝∼40㎝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전선(15)의 말단에 2㎝∼4㎝의 길이로 전선(15)의 피복이 벗겨져 있다.
단자 보호관(17)은 상기 전선(15)과 압축단자(11) 사이에 원추형의 고무 등과 같은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압축단자(11)와 전선(15)의 연결부위를 감싸고 보호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의 외형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를 전주에 설치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선퓨즈는 배전 선로에서 갈라져서 직접 수용가와 연결되는 부분의 전선인 저압 인입 전선의 굵기에 따라서 각각 다른 전선퓨즈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선퓨즈의 용량에 맞는 규격별 전선을 사용하게 된다. 각 규격별 전선은 DV2.6mm, 3.2mm, OW22㎟, 38㎟, 60㎟, 100㎟의 전선이 사용된다. 이러한 규격별 전선은 제품 생산시에 전선퓨즈 양단에 위치한 압축단자(11)에 전선(15)을 끼워 넣은 후 압축단자(11)를 압축기로 압축하여 전선(15)과 전선퓨즈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결합된 전선(15)은 전선퓨즈 양단에 20㎝ ∼40㎝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선(15)의 말단에 2㎝∼4㎝ 정도 전선 피복이 벗겨져 삽입되는 연결부(19, 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부(19, 21)는 전선을 압축 결합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구리 및 철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연결부(19, 21)는 슬리브로 구성될 수 있고, 전선(15)과 인입 전선과의 연결을 손쉽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전선(15)을 연결한 후 단자 커버(13)와 연결되게 단자 보호관(17)을 끼워 물린 후, 전주측의 저압 간선과 전선퓨즈의 전원측은 슬리브(21)를 이용해서 압착하고, 전선퓨즈의 부하측과 인입 전선은 일체형 슬리브(19)를 이용하여 압축해서 연결하면 양단이 연결되어 수용가측을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는 제품 생산시에 압축단자와 전선이 결합되어 출하되므로 시공시 전주에서 이루어지는 인입 전선과 전선퓨즈와의 불량한 결합으로 발생하는 불량을 제거하며 전선퓨즈의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퓨즈 및 인입 전선에 손상을 입혀 발생하는 인입 전선 사고를 방지하여 전기 품질 향상은 물론 전선퓨즈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용체;
    상기 가용체 양단에 접속된 단자;
    상기 단자와 가용체를 내장하는 유리관;
    상기 유리관을 내장하는 외통;
    상기 외통의 양끝단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절연캡;
    상기 절연캡에 위치한 홀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단자와 연결된 압축단자;
    상기 압축단자와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길이는 2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말단에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KR2020070010579U 2007-06-27 2007-06-27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KR200446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579U KR200446192Y1 (ko) 2007-06-27 2007-06-27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579U KR200446192Y1 (ko) 2007-06-27 2007-06-27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03U true KR20080006703U (ko) 2008-12-31
KR200446192Y1 KR200446192Y1 (ko) 2009-10-08

Family

ID=4164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579U KR200446192Y1 (ko) 2007-06-27 2007-06-27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936A (ko) * 2019-04-19 2020-10-28 실리기업 주식회사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606B1 (ko) 2020-06-05 2022-02-17 한국전력공사 전선 퓨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86420A (ko) 2021-12-08 2023-06-15 한국전력공사 전선 퓨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282U (ko) * 1997-10-14 1999-05-15 황원서 재사용 연결수단을 부여한 인입전선퓨즈
KR20000005067U (ko) * 1998-08-21 2000-03-15 이희구 일체형 전선퓨즈의 밀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936A (ko) * 2019-04-19 2020-10-28 실리기업 주식회사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92Y1 (ko)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3386B2 (en) High voltage, reinforced in-line fuse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0470445Y1 (ko)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CN101796700A (zh) 配电板
KR200446192Y1 (ko)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KR101548358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US20100210143A1 (en) Power plug having backup fuse tube
KR101556755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KR102539353B1 (ko) 절연 방전봉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US7348872B1 (en) Fuse having a plurality of configurable thermal ceilings
CN208570511U (zh) 能够快速更换熔体的熔断器
US6538551B2 (en) Heat concentrating barrel for wire heater in dual element fuses
KR100929822B1 (ko) 표면실장형 소형 퓨즈
KR102641695B1 (ko) 간접활선 작업용 클램프 및 컷아웃 스위치의 간접활선 작업방법
KR200296560Y1 (ko) 저압인입선용 보호장치
KR200324780Y1 (ko) 캐치홀더
KR200329882Y1 (ko) 저압인입선용 보호장치
JP2873169B2 (ja) 引込用ヒューズ内蔵コネクター
CN217933695U (zh) 一种10kV跌落式熔断器故障过渡连接器
CN217485400U (zh) 一种直流熔断器
CN214542105U (zh) 一种熔断器的导电连接结构及保护装置
KR200177542Y1 (ko) 변압기 및 중전기기류용 고압 및 특고압부싱
CN208570512U (zh) 能够快速更换熔体的熔断器
CN209948061U (zh) 地灾监测设备的电线接头防水结构
CN214226819U (zh) 一种复合保险丝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