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420A - 전선 퓨즈 - Google Patents

전선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420A
KR20230086420A KR1020210175031A KR20210175031A KR20230086420A KR 20230086420 A KR20230086420 A KR 20230086420A KR 1020210175031 A KR1020210175031 A KR 1020210175031A KR 20210175031 A KR20210175031 A KR 20210175031A KR 20230086420 A KR20230086420 A KR 20230086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use
terminal
outer cylinde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용
조호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420A/ko
Publication of KR2023008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퓨즈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에 단자와 전선이 삽입되어 단자와 전선을 가고정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단자 압착 작업 준비 중에 퓨즈와 전선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퓨즈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선 퓨즈{Fuse for wire}
본 발명은 전선 퓨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중간에 설치되어 전선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용단됨으로써 주변 전력 계통 및 계통에 연결된 전기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선 퓨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선 퓨즈는 배전선로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에 설치된다.
전선 퓨즈(이하, 편의를 위해 ‘퓨즈’로 지칭함)는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전선에 이상전류가 발생하면 용융 절단됨으로써 2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는 가용체(1)가 내장된 바디(2) 양단에 단자(3)가 구비되고, 단자(3) 외측을 감싸주는 커버(4)가 더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양측 단자(3)는 가용체(1)에 접속된다.
단자(3)의 삽입홀(3a)에 전선(5)의 도체(5a)가 삽입됨으로써 단자(3)와 전선(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3)가 압착기로 압착됨으로써 단자(3)와 전선(5)이 서로 고정된다.
단자(3) 압착 이후에는 미리 전선(5)쪽으로 빼두었던 단자커버(4)를 바디(2)쪽으로 이동시켜 바디(2) 단부에 고정(단순 끼움 또는 나사 결합)함으로써 단자(3)와 전선(5)의 연결부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자(3a) 삽입홀(3a)의 내주면과 전선(5) 도체(5a)의 외주면은 단순 원형 면이며, 도체(5a)가 삽입홀(3a)에 강하게 압입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자(3) 압착 전에 퓨즈로부터 전선(5)이 빠져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도 2와 같이, 전선(5)을 상방으로 경사지게(또는 수직 상방으로) 구부린 후 전선(5)의 도체(5a)에 퓨즈를 끼워둠으로써 퓨즈와 전선(5)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뒤 단자(3) 압착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작업 방법은 지중 인입선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고, 가공 인입선인 경우에는 실시가 불가능하다.
또한 인입선의 두께가 매우 굵은 경우에도 전선을 구부릴 수 없어 상기와 같은 작업이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6192(2009.10.08.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퓨즈 단자에서 전선이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전선의 설치 위치나 굵기에 상관없이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전선 퓨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용체가 내장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단에 삽입되어 가용체에 연결된 단자와; 상기 단자와 단자에 연결될 전선을 수용하여 가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외통부재와, 외통부재에 삽입된 탄성재질의 파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통부재의 외주면 양측부에 연결부재의 설치 방향과 전선의 설치 방향을 알려주는 화살표가 표시된다.
상기 외통부재의 외주면 중앙 둘레에 전선의 삽입 깊이를 가늠할 수 있는 중간표시선이 표시된다.
상기 파지부재는 방사상의 절개선들이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관통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의 복수의 파지부들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재의 일측 단부로 퓨즈의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파지부재의 타측 단부로 전선이 삽입되며, 그 상태에서 전선의 도체가 단자의 삽입홀에 삽입된다.
상기 단자와 전선의 결합부를 감싸 보호해주는 단자커버를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압착 전에 퓨즈의 단자와 전선 도체의 연결 상태를 유지해 줄 수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퓨즈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으로 단자가 삽입되고, 타측으로 전선이 삽입되며, 단자와 전선 도체의 결합은 연결부재의 내측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가 단자와 전선을 잡아줌으로써 퓨즈와 전선의 분리가 방지되고, 이에 단자 압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자 압착 작업을 정상적으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퓨즈 설치 작업이 보다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 지중 인입선의 퓨즈 설치 작업과 같이 전선을 상방으로 구부려 작업할 필요가 없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퓨즈는 가공 인입선과 인입선 굵기가 매우 굵은 경우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퓨즈 설치 작업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의 일 구성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연결부재를 매개로 퓨즈의 단자와 전선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설치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연결부재가 단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연결부재를 통해 전선이 단자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단자 압착 작업을 표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는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퓨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는, 가용체(1)와, 바디(2)와, 단자(3)와, 단자커버(4) 및 연결부재(10)를 포함한다.
가용체(1)는 구리, 납, 주석, 아연 등의 합금으로 제작되어 설계 온도에서 녹아 끊어질 수 있도록 제작된 단자 연결 도체로서 바디(2)의 내부에 설치된다.
바디(2)는 통상 원통형으로서 외통(2a)과 내통(2b)으로 이루어진다. 외통(2a)은 퓨즈의 외형을 구성하고, 내통(2b)은 외통(2a)의 내부에 삽입되며 가용체(1) 및 단자(3)를 보유 지지한다.
단자(3)는 내통(2b)의 양측 단부에 삽입 설치되며, 내통(2b)의 내측으로 삽입된 내측 단부가 가용체(1)에 접속된다. 단자(3)의 외측 단부는 바디(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선(5)의 도체(5a)가 삽입되는 삽입홀(3a)이 형성된다.
바디(2)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착탈 가능한 단자커버(4)가 구비된다. 단자커버(4)는 대략 일측 입구는 넓고 타측 입구는 상대적으로 좁은 다단 원통형상의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소정의 탄성을 가져 바디(2)의 외통(2a) 단부 외주에 끼워 넣거나 분리할 수 있다. 통상 퓨즈 설치시 바디(2)로부터 분리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5)에 끼워둔 후 전선(5)을 연결한 후에 전선(5)을 따라 퓨즈쪽으로 이동시켜 바디(2)에 끼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자커버(4)는 단순 압입형이 아니라 나사 체결 방식으로 바디(2) 외통(2a)에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상기 연결부재(10)는 단자(3)와 전선(5)의 가고정 상태를 유지해주는 부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는 단자(3)와 전선(5)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 부품이다.
연결부재(10)는 외형을 이루는 원통형의 외통부재(11)와, 외통부재(11)의 내부에 삽입된 파지부재(12)를 포함한다.
외통부재(11)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오염에 강하고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외통부재(11)의 외주면의 양측 단부에는 화살표(11a,11b)가 표시된다. 일측 화살표(11a)는 연결부재(10)를 단자(3)에 끼우는 방향을 나타내고, 타측 화살표(11b)는 전선(5)의 도체(5a)를 연결부재(10)에 끼우는 방향을 나타낸다.
연결부재(10)는 좌우 구분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반드시 상기 화살표(11a,11b) 방향대로 연결부재(10)를 설치할 필요는 없으나, 단자(3)에 연결부재(10)를 설치하는 방향과, 연결부재(10)에 전선(5)을 삽입하는 방향이 동일함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외통부재(11)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는 원주 둘레 전체에 걸쳐 중간표시선(11c)이 형성된다. 중간표시선(11c)은 연결부재(10)에 전선(5)을 삽입할 때 작업자가 전선(5)의 삽입 깊이를 가늠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화살표(11a,11b)와 중간표시선(11c)은 외통부재(11)에 음각되거나 또는 도료로 마킹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12)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실리콘과 같이 부드러우면서도 형상 변형성이나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파지부재(12)는 외통부재(1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재질 특성에서 오는 밀착력에 의하여 외통부재(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게 설치된다. 만일 외통부재(11)와의 밀착력이 부족하여 외통부재(1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발생할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외통부재(11)에 완전히 고정할 수도 있다.
파지부재(12)는 내측부가 방사상으로 관통 절개된다. 즉, 일측 단면에 형성된 방사상 절개선(12a)이 타측 단부까지 관통하여 연장된다.
또한 절개선(12a)들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모두 파지부재(12)의 중심점에서 교차한다. 단, 절개선(12a)들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파지부재(12)의 원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사형 절개선(12a)들에 의해 파지부재(12)에는 다수의 부채꼴형 파지부(12b)들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12b)들은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여 파지부재(12)의 내부 중심으로 삽입되는 선형 물체를 그 굵기에 상관없이 파지하여 잡아줄 수 있다.
도 4에는 연결부재(10)를 매개로 퓨즈의 바디(2)와 전선(5)이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퓨즈와 전선(5)의 연결 과정은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선(5)에 퓨즈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와 같이, 바디(2)에서 단자커버(4)를 분리하고, 분리한 단자커버(4)는 퓨즈와 결합할 전선(5)의 외측에 끼워 작업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까지 빼 준다.
그리고 단자커버(4)를 제거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단자(3)에 연결부재(10)를 설치한다. 이는 파지부재(12) 일측 단부로 단자(3)가 삽입되는 상태로 연결부재(10)를 단자(3)의 외측부에 끼워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후, 도 6과 같이, 전선(5)의 도체(5a)를 파지부재(12)의 타측 단부에 삽입한다. 전선(5)의 절연피복 단부가 대략 연결부재(10)의 중간 부분 즉, 외통부재(11)의 중간표시선(11c) 정도까지 삽입되면 전선(5)의 도체(5a)가 단자(3)의 삽입홀(3a)에 완전히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단자(3)와 전선(5)이 연결부재(10)의 양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파지부재(12)의 파지부(12b)들이 단자(3)와 전선(5)의 굵기에 맞추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단자(3)와 전선(5)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이 완료되면 파지부(12b)들의 복원력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작용하면서 단자(3)와 전선(5)을 눌러줌으로써 단자(3)와 전선(5)이 연결부재(10)에서 빠지지 않고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퓨즈나 전선(5)을 잡고 있던 손을 놓거나, 퓨즈와 전선(5)이 기울어져도 퓨즈와 전선(5)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퓨즈와 전선(5)의 분리를 신경쓰지 않고 압착기를 찾아 압착 작업을 준비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이어, 도 7과 같이, 압착기로 단자(3)의 외측의 2개소(화살표 A,B)를 압착하여 단자(3)와 전선(5)의 도체(5a)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전선(5)의 외측에 끼워두었던 단자커버(4)를 퓨즈쪽으로 이동시켜 단자커버(4)의 넓은 쪽 개구부를 바디(2)의 단부 외주에 끼워주면 퓨즈 일측의 전선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퓨즈의 반대쪽 단부도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하여 전선을 연결하면 퓨즈 설치 작업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퓨즈는 연결부재(10)가 구비되어 단자(3)측에 전선(5)을 고정해둘 수 있기 때문에 압착기로 단자(3)를 압착하기 전에 단자(3)에서 전선(5)이 빠지는 ‘전선빠짐현상’이 해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 중 퓨즈와 전선의 분리를 신경쓸 필요가 없이 매우 수월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지중 인입선 퓨즈 연결 작업 때와 같이 인입선을 상방으로 구부려 작업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 인입선과 가공 인입선을 구별할 필요 없이 모두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파지부(12b)가 반경방향으로 자유로이 신축 가능하여 전선(5)의 굵기가 조금 가늘거나 굵은 경우에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는 파지부(12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단자(3)나 전선(5)을 파지하는 것이므로 연결부재(10) 설치를 위해 별다른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단순히 서로 꽂아주는 작업만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가용체 2 : 바디
2a : 외통 2b : 내통
3 : 단자 3a : 삽입홀
4 : 단자커버 5 : 전선
5a : 도체 10 : 연결부재
11 : 외통부재 12 : 파지부재
12a : 절개선 12b : 파지부

Claims (7)

  1. 가용체가 내장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단에 삽입되어 가용체에 연결된 단자와;
    상기 단자와 단자에 연결될 전선을 수용하여 가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 퓨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외통부재와, 외통부재에 삽입된 탄성재질의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의 외주면 양측부에 연결부재의 설치 방향과 전선의 설치 방향을 알려주는 화살표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의 외주면 중앙 둘레에 전선의 삽입 깊이를 가늠할 수 있는 중간표시선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방사상의 절개선들이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관통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의 복수의 파지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의 일측 단부로 퓨즈의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파지부재의 타측 단부로 전선이 삽입되며, 그 상태에서 전선의 도체가 단자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전선의 결합부를 감싸 보호해주는 단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KR1020210175031A 2021-12-08 2021-12-08 전선 퓨즈 KR20230086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31A KR20230086420A (ko) 2021-12-08 2021-12-08 전선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31A KR20230086420A (ko) 2021-12-08 2021-12-08 전선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20A true KR20230086420A (ko) 2023-06-15

Family

ID=8676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031A KR20230086420A (ko) 2021-12-08 2021-12-08 전선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64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92Y1 (ko) 2007-06-27 2009-10-08 한국전력공사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92Y1 (ko) 2007-06-27 2009-10-08 한국전력공사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5764B1 (en) Inline fuse holder assembly
US4911655A (en) Wire connect and disconnect indicator
US817259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acrificial appendage
WO1995012225A1 (en) Wire connector
US6607860B2 (en) Serviceable fused battery terminal
US4280748A (en) Fusible terminal
EP2854240B1 (en) Permanent ground point for splicing connectors
US20160079723A1 (en) Method for assembling and installing a portable power connector
KR102063700B1 (ko)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US20190107563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acrificial cap and integrated test point
EP2831953B1 (en) Fuse end cap with crimpable terminal
US861690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ap with a sacrificial conductor
EP0626101B1 (en) Wire connector
EP3029778B1 (en) Supported termination
KR20230086420A (ko) 전선 퓨즈
US9252504B1 (en) Electrical wire connector
US20190341703A1 (en) Connection adapter for electrical plug
CA2733112C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acrificial appendage
EP2869401B1 (en) Grounding rod for sacrificial appendage
MX2014004629A (es) Conector electrico con apendice de proteccion.
US20160268091A1 (en) In-line fuse assembly
KR102177153B1 (ko) 배전선로 절연 커버용 케이블 어댑터
EP3503303B1 (en) Terminal assembly comprising a cable lug having a collar
JP2007280863A (ja) 端子カバー及び端子カバー装着方法
JP2012169122A (ja)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