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57A - Age 억제제 - Google Patents

Age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57A
KR20080006557A KR1020077023743A KR20077023743A KR20080006557A KR 20080006557 A KR20080006557 A KR 20080006557A KR 1020077023743 A KR1020077023743 A KR 1020077023743A KR 20077023743 A KR20077023743 A KR 20077023743A KR 20080006557 A KR20080006557 A KR 20080006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dapa
acid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929B1 (ko
Inventor
피에르 포띠르
앙드레 사사끼 노뷔미쉬
까르씨아 아르바레 마리아 꽁끄프씨옹 아샤
뀌앙 왕-쥐
리우드 밀라 에르모랑꼬
조앙나 바까라
기세르 프랑끄
니리 네 마 바끄렝
Original Assignee
파르망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쎄엔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르망,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쎄엔알에스) filed Critical 파르망
Publication of KR2008000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86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bas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15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bas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iabet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besit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반응성 카보닐 화합물을 포집하는 AGE-억제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이때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며, R1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F)원자로 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CF3기로 치환되고, n은 1 또는 2이고, 또는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2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이고, 각각의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로 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또는 1이고, XR1은 PO3H 또는 SO3H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2는 H, XR1, C1-C6의 알킬기, C1-C6의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 아라알킬기 및 아릴기는 아민(NH2), 카르복실기(COOH),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가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8

Description

AGE 억제제{AGE inhibitors}
본 발명은 반응성 카보닐 화합물을 포집하는 AGE-억제제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비효소적 당화 반응 (non-enzymatic glycation)인 마일라드 (Maillard) 반응은 단백질 내 존재하는 아미노기와 카보닐기를 가진 화합물, 일반적으로 당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개시된다. 이러한 복합적인 과정의 후속 단계에서 "최종당화산물 (AGE: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이라 일컫는 다수의 화합물이 생성된다. 상기 AGEs의 형성이 지속되면 단백질이 가교화된다. 이러한 가교화는 콜라겐 (collagen), 수정체 (lens crystalline), 피브로넥틴 (fibronectin), 튜블린 (tublin), 미엘린 (myelin), 라미닌 (laminin), 액틴 (actin), 헤모글로빈 (hemoglobon), 알부민 (albumin), 및 저밀도 리포 단백질 (LDLs)과 관련된 지질과 같은 장수명 (long-lived)의 단백질에서 관찰되어 왔다. AGE-변성 단백질은 나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보통의 조직 재구성에 공헌한다고 알려져 있다. 더욱이 AGEs의 증가 형성 및 축적은 백내장 (catat) (Nagaraj 등, J. Biol . Chem . (1996) 271, 19339), 요독증 (uraemia) (Myyata 등, Kidney Int. (1999) 55, 389),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atherosclerosis) (Kume 등, Am . J. Patho. (1995) 147, 654); Stitt 등, Mol . Med . (1997) 3, 617), 알츠하이머 병 (Munch 등, Biochem . Soc. Trans. (2003) 15(2), 211). 파킨슨병 (Webster 등, Neurotoxicity Res. (2005) (172), 95)), 염증성 질환 (Anderson 등, J. Clin . Invest. (1999) 104, 103), 나이 관련 류마티즘 질환, 및 이상의 당뇨병 복합 질환 (Brownlee, M. Ann . Rev. Med (1995) 461, 223; Brinkmann 등. J. Biol . Chem.) (1998) 273,18714).등의 진행과 관련되어 왔다. 혈당 수치가 상승하고 낮아지는 당뇨병 환자는 증가된 가교화된 단백질 수치를 가지고, 이에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의 변성에 의해 조직의 손상이 야기된다.
또한, AGEs는 막 수용체 (membrane receptor)와 연관되어 세포 반응을 자극한다. 금세기 초 마일라드의 발견에 의해 글루코스가 가교화 반응에 참여하는 당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더욱 최근에 메틸글리옥살 (MG), 글리옥살 (GO), 및 3-데옥시글루코스 (3-DG)와 같은 α-디카보닐 화합물이 체내 (in vivo) 및 체외 (in vitro)에서 활성 가교제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MG의 근본적인 근원은 글루코스의 대사 산물인 트리오제-디하이드록시아세톤 포스페이트와 글리세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의 비효소적 탈인산화 반응에 의한 것이다. MG는 또한 트리오스포스페이트의 지속적인 분해, 또는 트레오닌 또는 아세톤의 대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일부 연구를 통해 글루코스 자가산화 반응을 거쳐 α-디카보닐 화합물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상기 α-디카보닐 화합물은 Amadori 생성물로 알려져 있는, 마일라드 반응 내 주요 중간체인 케토아민의 변성 중에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케토아민은 Schiff-base 부산물의 변성에 의해 자체 발생하며, 글루코스와 아민과 반 응하는 동안 초기에 형성된다. 게다가 박테리아가 MG를 생산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불포화 폴리지방산의 지질 과산화는 MG, DO와 같은 반응성 카보닐 화합물과, 이런 특성을 지닌 말론디알데하이드 (MDA) 및 4-하이드록시노네날과 같은 지질을 생산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반응성의 디카보닐 화합물은 단백질의 아미노, 구아니딘 및 설피하이드릴 관능기와 결합하여, 비가역적으로 Nε-(1-카르복시에틸)라이신 (CEL), Nε-(1-카르복시메틸)라이신 (CML), 메틸글리옥살-유도 하이드로이미다졸론 Nσ-(5-하이드로-5-메틸-4-이미다졸론-2-일)-오르니틴 (MG-H1), 글리옥살-유도 하이드로이미다졸론 (G-H1), 아르기피리미딘, 글리옥살 유도 라이신 이량체, 1,3-디(Nε-리시노이미다졸 염 (GOLD), 및 메틸글리옥살 유도 라이신 다이머, 1,3-디(Nε-리시노)-4-메틸이미다졸염 (MOLD)을 형성한다. 이러한 α-디카보닐 화합물의 체내 (in vivo)에서의 메카니즘은 유기물 내에서 마일라드 반응의 진행을 이해하는 노력으로 연구해왔다. 당뇨병에 있어서, 증가된 AGEs의 생성 및 축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당뇨병성 신증 (nephropathy), 당뇨병성 망막증 (retinopathy), 당뇨병성 신경장애 (neuropathy), 당뇨병성 궤양 (ulcers), 및 당뇨병성 미세혈관 (microvascular) 및 거대 혈 관(macrovascular) 장애와 같은 일련의 장기간 당뇨병성 복합 증세를 야기하고 있다 (Bucala 등, Diabetes Reviews (1995) 3, 258; Ulrich 등, Recent Prog. Horm , Res. (2001) 56,1; Porta 등, Diabetologia (2002) 45, 1617; Lorenzi 등, Diabetologia (2002) 44, 791; Ziegler 등, Int . Rev . Neurobiol. (2002) 50, 451; Thornallay, P.J. INt . Rev . Neurobiol. (2002) 50, 37; Chiarelli 등, Diab . Nutr. Metab. (2000) 13, 192). 보다 자세하게는, AGEs에 의해 야기된 신장 조직의 손상은 신장 기능을 상실하기까지 이르렀다 (Makita Z.등, N. Eng . J. Med. (1991) 325, 836). 사실, 당뇨병 환자 중 (타입 1, 타입 2) 메틸글리옥살의 혈장 농도는 일반 환자의 그것보다 2 내지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McLellan 등, Clin . Sci. (1994) 87, 21).
산화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는 노화와 관련된 또 다른 인자로, 당뇨병,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이와 관련된 혈관 질환, 류머티스성 관절염, 및 요독증과 같은 만성 질병에 흐름 지표 (current criteria)와 관련되어 있다. 상기 산화 스트레스는 항산화제와 산화 발생 시스템 간 커다란 불균형으로 정의된다. 상기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세포의 기능 신진대사 뿐만 아니라 리포 단백질의 변성 및 전사에 큰 영향을 준다. 상기 산화 스트레스는 글루코스 및 당화 단백질의 자가산화와 항산화 효소의 당화와 같은 산화 라디칼의 과잉 생산에 관련하여 여러 개의 메카니즘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실, MG가 당화반응 동안 반응성 산소종 (ROS) (유리 라디칼)을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산화 스트레스 및 AGE 형성은 분리할 수 없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리옥살라아제 시스템 (글리옥살라제 I 및 글리옥살라제 II) 및 알도즈 황환원제는 이 α-디카보닐에서 D-락타아제, 글리콜레이트, 및 아세톨의 해독 반응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해독 대사의 기능장애는 유기물 내 높은 반응성 α-디카보닐 화합물에 의한 AGEs 형성량의 증가를 가져온다.
AGE 형성의 억제는 나이 관련된 질병의 병태 생리학의 진행을 늦추고 노화 동안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α-디카보닐 화합물의 약학적 소거제 (scavenger)는 당뇨병성 복합 증세를 방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치료학적 전략이 된다. 장기간 가교의 영향에 대해 초기의 약학적인 간섭이 후속의 당뇨병 진행을 방지한다는 다수의 문서가 존재한다. 비록 AGE-형성 억제제가 근본적인 병리학적 과정을 치료하지 못하더라도 기초 장애로부터 야기되는 병의 진행을 연기할 수 있다. 특히 AGE-형성 제거제로 개발된 제제 중 아미노구아니딘 (pimagedine, AG)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다. AG는 두 개의 주요 반응성기, 즉 친핵성 하이드라진 관능기인 -NHNH2과 α-디카보닐 표적 구아니딘 관능기인 -NH-C(=NH)NH2 를 가진 친핵성 화합물이다. 상기 두 개의 관능기는 서로 결합하여 메틸글리옥살, 글리옥살 및 3-데옥시글루코존의 반응성 이중 제거제를 이룬다 (Brownlee 등, Science (1986) 232, 1629). 비록 당뇨병에 대한 AG의 이로운 효과가 당뇨병성 랫트 모델 내 확인되었음에도, 상기 AG는 공지된 일산화질소(NO)의 선택적인 억제제이고, AG에 의한 당뇨병성 신증의 진행을 방지하는 데 관련된 임상학적 시도가 안전성 우려로 인해 간과되었다 (Oturai 등, APMIS (1996) 104, 259; Monnier, V.M. Arch . Biochem . Biophys . (2003) 419, 1). 피리독사민 (피리돈)은 아미노구아니딘의 그것보다 효과적으로 당뇨병성 랫트 내 실험을 통해 당뇨를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제제로, 지질 과산화물과 α-디카보닐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다 (Merz 등,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2003) 419, 41). 메트포 민은 타입 2 당뇨병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혈당강하 제제로, 또한 트리아제피논을 형성하여 체내 (in vivo) 및 체외 (in vitro) 모두에서 메틸글리옥살과 글리옥살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Beisswenger 등, Diabetes Metab. (2003) 29, 6895). 그러나 AG가 메트포민과 비교하여 메틸글리옥살의 보다 나은 억제제(450 인자)로 입증되었다 (Battah 등, Intern , Congress Series 1245 (2002) 355). 상기 AGE-형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다른 화합물로는 D-페니실라민 (Wondrak Get 등, Biochem . Pharmacol. (2002) 63, 361), LR-90, 메틸렌 비스(4,4'-(2-클로로페닐우레이도페녹시이소부티르산)) (Rahbar 등, Arch . Biochem . Biophys. (2003) 419, 63), 티아민 (Benfotiamine) (Stracke 등, J. Exp . Clin . Endocrinol . Diabetes (2001) 109, 330), 카르노신 (β-알라닐-L-히스티딘), 포유류 조직을 통해 널리 존재하는 천연 디펩타이드 (Hipkiss A.R., Int . J. Biochem . Cell Biol. (1998) 30, 863), 커큐민 (Sajithlal 등, G. Biochem . Pharmacol. (1998) 56, 1607) 및 Curcuma linga로부터 분리된 다른 천연 화합물, 2,3-디아미노페나진 (NNC39-0028) (Soulis 등, Diabetologia (1999) 42, 472) 등이 있다. 노화가 진행하는 동안 삶의 질에 대한 AGEs의 큰 효과를 얻기 위해선, 메틸글리옥살, 글리옥살 및 3-데옥시글루코손과 같은 높은 반응성 α-디카보닐 화합물을 제거하고, 낮은 세포독성과 낮은 돌연변이성을 가지는 유효 제제를 개발시키는 게 요구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는 반응성 α-디카보닐 화합물을 제거함으로써 최종당화산화물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분류의 화합물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화합물들 중 일부는 이미 그들의 치료학적 용도로 알려져 있다.
이에, 국제공개특허 제WO02/100344호는 합성 중간체인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1
를 언급하고 있고; Jones 등에 의한 문헌 (Tetrahedron Letters (1988), 29 (31), 3856-3856 쪽)에는 합성 중간체로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3
, 및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4
을 기술하고 있고; Kasina 등에 의한 문헌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86), 29 (10), 1933-1940 Whr)에는 합성 중간체로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5
기재하고 있고; Tada 등에 의한 문헌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1984), 32 (5), 992-996 쪽)에는 화학식 Ⅰ의 펩타이드의 맛을 기재하고 있으며, 이때 R2는 수소 원자이고, X는 C=O,이고, R1은 -NH-(CH2)m-COOH이고, m=1, 2, 또는 3이고;
Shinoda 등에 의한 문헌 (Peptide Chemistry (1984), 1983, 21st, 43-46)은 짠맛을 가지는 펩타이드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6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7
을 기재하고 있다.
단지 국제공개특허 제WO 2004/002418호에서만 화학식의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8
의 펩타이드와, 이의 치료학적인 용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에서는 AGE 억제제로서 상기 펩타이드에 대해선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추가로, 본 발명자로부터 발견된 화합물의 유도체, 특히 2,3-디아미노프로피론산 (DAPA)은 국제공개특허 제WO92/14456호에 기재되었다. 상기 DAPA는 다수의 폴리아민 합성에 참여하여 에틸렌디아민 및/또는 2-아미노아세트아마이드를 유도하는 상호 효소인 오르니틴 데카르복실라제에 의한 탈카르복시 반응에 대해 높은 가능성이 있다. α-디카보닐 화합물과 소거제 간의 축합 반응물인 유린 (urine)을 거친 제거반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관점에 있어, 상기 소거제 분자 내에 -COOH, 또는 SO3H와 같은 산기능성기가 결정적으로 요구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축합 반응물은 다른 대사 반응을 따른 α-디카보닐 화합물의 방출 위험과 함께 직장관 재흡수 메카니즘에 의해 순환기 내 잔류한다. 오르니틴 데카르복실라제 대사의 관점에서 보면,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발견된 화합물들은 특히 DAPA 보다 효과적이고, 유린 내에서 제거되는 부산물 형성에 의해 메틸글리옥살, 글리옥살 및 3-데옥시글루코손과 같은 반응성 α-디카보닐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사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APA는 MG에 의한 인슐린의 변성을 방지한다. 그러나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DAPA는 자체 세포독성이 높고, 보호하는 세포 내에서의 자체 효과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인 L-DAPA-L-Val (93%), L-DAPA-L-Leu (81%) 및 L-DAPA-L-Ile (79%)와 비교하여 낮다(MG와 함께 배양되는 경우 68%의 세포 생존율). 게다가 상기 DAPA는 돌연변이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 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009
(상기 식에서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아미노산이고, 이때 상기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F)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또는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2개의 아미노산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이고, 상기 각각의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또는 1이고, 또는
XR1은 PO3H 또는 SO3H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2는 H, XR1, C1-C6 알킬기, C1-C6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는 아민기(NH2), 카르복실기(COOH),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또는
상기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이고,
이때 하기 화합물은 제외된다:
- R2가 수소 원자이고, X가 C=O, R1이 -NH-(CH2)m-COOH 이고, m이 1,2, 또는 3이고, n이 0, 1 또는 2이며,
-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L-오르니틸-타우린, L-디아미노부티릴-타우린 및 L-디아미노프로피오닐 타우린: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6
, 및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7
본 발명에 따르면, "C1-C6 알킬기"의 용어는 1 내지 6개 탄소 원자의 알킬기를 의미하며, 선형 또는 측쇄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n-펜틸 및 n-헥실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릴기"의 용어는 5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의미하며, 이들 방향족 고리는 서로 인접하거나 접한다(fused). 구체적으로, 상기 아릴기는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바람직하기로 페닐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라알킬기"의 용어는 상기 정의된 아릴기와 상기 정의된 알킬기가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라알킬기는 벤질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가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모 화합물의 약학적 활성을 가지는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들은 하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염으로 이루어진 산 부가염; 또는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캠퍼술폰산, 시트르산, 에탄-술폰산, 퓨마르산, 글루코헵토닉산, 글루코닉산, 글루타믹산, 글리콜릭산, 하이드록시나프토익산, 2-하이드록시에탄술폰산, 라틱산, 말레익산, 말릭산, 만데릭산, 메탄술폰산, 무코닉산, 2-나프탈렌술폰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숙신산, 디벤조일-L-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폰산, 트리메틸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으로 이루어지고; 또는
(2) 모 화합물 내 산 양성자가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 등의 금속 이온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유기 또는 무기 베이스와 결합된 염. 허용가능한 유기 베이스는 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등을 포함한다. 허용가능한 무기 베이스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소듐 카보네이트 및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벤조일-L-타르타르산 및 인산으로부터 형성된 염이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대한 모든 예시는 산 부가염의 용매 부가 형태 (솔베이트, solvates) 또는 결정 형태 (폴리모프, polymorphs)를 포함한다.
화학식 Ⅰ의 C-1 위치의 입체이성질체 (NH2, 및 X가 만나는 위치의 탄소 원자)는 R-폼, S-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C-2 위치의 입체이성질체 (NH2, 및 R2가 만나는 위치의 탄소 원자)는 R-폼, S-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노산"은 D-폼, 또는 L-폼의 모든 천연 α-아미노산 잔기 (residue) (일예로, 알라닌 (Ala), 아르기닌 (Arg), 아스파라긴 (Asn), 아스파틱산 (Asp), 시스테인 (Cys), 글루타민 (Gln), 글루타믹산 (Glu), 글리신 (Gly), 히스티딘 (His), 이소루신 (Ile), 루신 (Leu), 라이신 (Lys), 메티오닌 (Met), 페닐알라닌 (Phe), 프롤린 (Pro), 세린 (Ser), 트레오닌 (Thr), 트립토판 (Trp), 티로신 (Tyr) 및 발린(Val)과, 비천연 아미노산 (예를 들면,β-알라닌, 아릴글리신, t-루신, 노르류신(Nle), 3-아미노아디프산, 2-아미노벤조산, 3-아미노벤조산, 4-아미노벤조산, 2-아미노부타노익산, 4-아미노-1-카르복실메틸 피레리딘, 2-아미노부타노익산, 4-아미노-1-카르복시메틸 피페리딘, 1-아미노-1-사이틀로부탄카르복실산, 4-아미노사이클로헥산아세트산, 1-아미노-1-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1R, 2R)-2-아미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1R, 2S)-2-아미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1S, 2R)-2-아미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1S, 2S)-2-아미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3-아미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4-아미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1R, 2R)-2-아미노사이클로헵탄카르복실산, (1R, 2S)-2-아미노사이클로헵탄카르복실산, 1-아미노-1-사이클펜탄 카르복식한, 1-아미노-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4-(2-아미노에톡시)-벤조익산, 3-아미노메틸벤조익산, 4-(2-아미노에톡시)-벤조익산, 3-아미노메틸벤조익산, 4-아미노메틸벤조익산, 2-아미노부타노익산, 4-아미노부타노익산, 6-아미노헥사노익산, 1-아미노인단-1-카르복시란, 4-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4-아미노페닐아세트산, 3-아미노-2-나프토익산, 4-아미노페닐아세트산, 3-아미노-2-나프토익산, 4-아미노페닐부타노익 산, 4-아미노-5-(3-인도일) 펜타노익산, (4R, 5S)-4-아미노-5-메틸헵타노익산, (R)-4-아미노-5-메틸헥사노익산, (R)-4-아미노-6-메틸티오헥사노익산, (S)-4-아미노펜타노익산, (R)-4-아미노-5-페닐펜타노익산, 4-아미노페닐프로피오닉산, (R)-4-아미노피메릭산, (4R, 5R)-4-아미노-5-하이드록시헥사노익산, (R)-4-아미노-5-하이드록시펜타노익산, (R)-4-아미노-5-(p-하이드록시페닐)-펜타노익산, 8-아미노옥타노익산, (2S, 4S)-4-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아제티딘-2-카르복실산, (2S, 4R)-4-벤질-피롤리딘-2-카르복실산, (S)-4,8-디아미노옥타노익산, t-부틸글리신, γ-카르복시글루타메이트, β-사이클로헥실알라닌, 시트루린, 2,3-디아미노프로피온산, 하이퓨릭산, 호모사이클로헥실알라닌, 모레신, 호모페닐알라닌, 4-하이드록시프롤린, 인돌-2-카르복실산, 이소니페코틱산, α-메틸-알라닌, 니코페틱산, 노르발린, 옥타하이드로인돌-2-카르복실산, 오르니틴, 페니실라민, 페닐글리신(Phg), 4-페닐-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피페콜산, 프로파길글리신, 3-피리디닐알라닌, 4-피리디닐알라닌, 1-피사르코신, 스테이틴,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트라넥사믹산, 4,4-디플루오로프롤린, 4-플루오로 프롤린, α-(3,4-디플루오로벤질)-프롤린, γ-(3,4-디플루오로벤질)-프롤린, α-(트리플루오로메닐)페닐알라닌, 헥사톨루오로루신, 5,5,5-트리플루오로루신, 6,6,6-트리플루오로노르류신, 2-(트리플루로메틸)루신, 2-(트리플루오로메틸)루신, 2-(트리플루오로메틸)노르류신, 4,4,4-트리플루오로발린, 4,4,4,4',4',4'-헥사플루오로발린, 펜타플루오로페닐알라닌, 2,3-디플루오로페닐알라닌, 2,4-디플루오로페닐알라닌, 2.5-디플루오로페닐알라닌, 2.6-디플루오로페닐알라닌, 3.4-디플루오로페닐알라닌, 3.5-디플루오로페닐알라닌, 3,3-디플루오로-3-(4-플루오로페닐)알라닌), 2,3-디플루오로페닐글리신, 2,4-디플루오로페닐글리신, 2,5-디플루오로페닐글리신, 3,4-디플루오로페닐글리신, 4,4-디플루오로페닐글리신, 4,4,4-트리플루오로에틸글리신 및 헥사플루오로노르류신)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일반 아미노 보호기(예를 들면, 아세틸기, t-부틸옥시카보닐, 벤질옥시 카보닐 또는 9-플루오레닐메틸카보닐)를 포함하는 천연 및 비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 및 비천연 아미노산은 카르복실 말단 (바람직하기로 C1-C18 알킬기, 에스터, 페닐 아마이드 또는 벤질 아마이드 또는 아마이드, 상대적으로 카르복실 말단기를 부여하는 관능기 : -CO(C1-C18 알킬), -COO(C1-C18 알킬), -CONH페닐, CONH벤질, 또는 CONH2)기로 보호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은 비보호된 카르복실 말단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은 C1-C18 알킬 에스터 (-COO(C1-C18 알킬)), 더욱 바람직하기로 C13-C18 알킬 에스터 (-COO(C13-C18 알킬) 내 카르복실 말단기로 보호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아미노산은 N-터미널 말단기에 의해 식 Ⅰ 화합물의 X 라디칼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기로, 이렇게 형성된 결합은 다음과 같다: X-NH-R, 이때 R은 아미노산 분자의 잔기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Br, Cl I 또는 F), 더욱 바람직하기로 불소원자로 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된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치환은 아미노산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에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질소 원자는 치환되지 않는다. 할로겐 원자, 특별히 불소 원자 또는 CF3에 의한 치환은 최종 화합물의 생화학적 이용가능성과 관련되어, 특별히 이들의 세포막 침투 및 결합 특성의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아미노산은 알라닌, 발린, 이소루신, 프롤린, 루신, 페닐알라닌, 글리신, β-알라닌, 노르류신, 아스파틱산, 라이신 또는 t-루신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이고, 바람직하기로 알라닌, 발린, 이소루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루신, 이소루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루신, 노르류신, 또는 t-루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페닐알라닌의 페닐 라디칼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 바람직하기로 o- 또는 m-위치가 아닌 p-위치에 치환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노르류신의 부틸 라디칼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1-C18 알킬기"의 용어는 하나에서 18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기를 의미하며, 선형 또는 가지형을 포함한다. 특별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n-펜틸 및 n-헥실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용어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티딜 잔기의 시퀀스를 의미한다. 상기 시퀀스는 선형 또는 고리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형 펩타이드는 시퀀스 내 두 개의 시스테인 잔기들 간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 제조하거나, 이들로부터 얻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펩타이드는 N-말단기에 의해 식 Ⅰ의 화합물의 잔기에 결합된다. 상기 펩타이드 유도체는 하기 예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이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 (용매 또는 고상 내에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펩타이드 시퀀스는 특별히 좌측에 아미노산 말단기와 우측에 카르복실산이 존재하도록 기재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펩타이드는 Ala-Gly, Ala-Ala, Ala-Pro, 또는 Ala-Val 중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기로 L-Ala-Gly, L-Ala-L-Ala, L-Ala-L-Pro, 또는 L-Ala-L-Val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X가 C=O, CH2 또는 C=S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R2가 H 또는 XR1이고, 바람직하기로 XR1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R1이 아미노산, 바람직하기로 알라닌, 발린, 이소루신, 프롤린, 루신, 노르류신, 페닐알라닌, 또는 t-루신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X가 C=O이고, n=0이고, R1이 알라닌, 발린, 루신, 이소루신, 프롤린, 노르류신, 페닐알라닌, 또는 t-루신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R2가 XR1 또는 H이고, n은 0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은 하기 식 Ⅱ로 표시된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8
상기 식에서,
R1은 -NH-R3-(C=O)R4 또는
Figure 112007074038890-PCT00019
이고,
R3
- C1-C12의 알킬기, 바람직하기로 C1-C6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는 선택적으로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CF3, 페닐기, 페놀기, -COOH, 아민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된 페닐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관능기로 치환되고,
- 페닐기, 이때 상기 페닐기는 선택적으로 아민기, OH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R4는 OH, NH2, C1-C30 알콕시기, 바람직하기로 C1-C20 알콕시이고;
R2는 H, COR1, 또는 C1-C6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Y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이고, 바람직하기로 산소 원자이고;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C1-C12 알킬기"의 용어는 1개에서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선형 또는 가지형을 포함한다. 특별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n-펜틸 및 n-헥실기가 가능하다.
"C1-C30 알콕시"의 용어는 -O-R 라기칼을 의미하며, 이때 R은 하기 정의된 C1-C30 알킬기이다. 이러한 알콕시 라디칼은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등을 포함하며,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n=O인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기로, R2가 H 또는 COR1인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2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3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3
,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4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5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1
, 및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2
또한 본 발명은 식품 내 단백질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근원인 것인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식품 내에 함유된 단백질의 변성 및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식품 내에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이러한 사용은 식품이 소비되고 저장되는 기간 동안 증가하고, 영양학적 및 관능적 품질을 유지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과 약학적 또는 화장료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제로 사용하기 위한 하기 식 Ⅰ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3
(상기 식에서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아미노산이고, 이때 상기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또는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2개의 아미노산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이고, 상기 각각의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또는 1이고, 또는
XR1은 PO3H 또는 SO3H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2는 H, HR1, C1-C6 알킬기, C1-C6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는 아민기(NH2), 카르복실기(COOH),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이때 하기 화합물은 제외된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4
바람직하기로, 제제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식 Ⅱ로 표시된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5
상기 식에서,
R1은 -NH-R3-(C=O)R4 또는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6
이고,
R3
- C1-C12의 알킬기, 바람직하기로 C1-C6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는 선택적으로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CF3, 페닐기, 페놀기, -COOH, 아민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된 페닐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관능기로 치환되고,
- 페닐기, 이때 상기 페닐기는 선택적으로 아민기, OH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R4는 OH, NH2, C1-C30 알콕시기, 바람직하기로 C1-C20 알콕시이고;
R2는 H, COR1, 또는 C1-C6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Y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이고, 바람직하기로 산소 원자이고;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기로, 제제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6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7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8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09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8
, 및
Figure 112007074038890-PCT00109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반응성 카보닐 화합물의 소거제(scavenger), 바람직하기로 최종 당산화물 형성 억제제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따른 상태(state) 또는 질병의 방지 및/또는 치료, 최종 당산화물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따른 미생물의 노화에 의한 유해 효과의 방지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고, 또는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의해 야기되는 당뇨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막기 위한 환자에게 유용하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다른 제제는 류머티스성 관절염, 알츠하이머 병, 요독증, 퇴행성신경질환,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당뇨병콩팥병증에 기인한 당뇨병성 망막증 및 신부전을 포함한 당뇨병성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 미세혈관병 및 거대 혈관병, 백내장, 혈액투석 또는 알츠하이머병 관련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치은염, 충치, 부코-덴탈 상태(bucco-dental condition), 당뇨병성 궤양, 만성 신부전(CRF), 만성 신장투석, 염증성 질환, 나이 관련 류마티스성 질환 및 피린증 중에서 선택된 질병 환자의 치료, 방지 및/또는 이의 진행을 늦추거나, 초기단계의 암을 치료를 위한 화합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경구로 투여된다.
추가로, 상기 본 발명은 반응성 카보닐 화합물을 억제하거나, 바람직하기로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제제로 제조하기 위해, 상기 정의된 식 Ⅰ, 또는 Ⅱ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따른 상태 또는 질병의 방지 및/또는 치료, 최종 당산화물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따른 미생물의 노화에 의한 유해 효과의 방지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고, 또는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의해 야기되는 당뇨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막기 위한 환자에게 유용하고,
- 류머티스성 관절염, 알츠하이머 병, 요독증, 퇴행성신경질환,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당뇨병콩팥병증에 기인한 당뇨병성 망막증 및 신부전을 포함한 당뇨병성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 미세혈관병 및 거대 혈관병, 백내장, 혈액투석 또는 알츠하이머병 관련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치은염, 충치, 부코-덴탈 상태, 당뇨병성 궤양, 만성 신부전(CRF), 만성 신장투석, 염증성 질환, 나이 관련 류마티스성 질환 및 피린증 중에서 선택된 질병 환자의 치료, 방지 및/또는 이의 진행을 늦 추거나, 초기단계의 암 환자의 질병의 진행의 치료, 방지 및/또는 늦추기 위해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따른 상태 또는 질병의 방지 및/또는 치료 방법, 최종 당산화물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 미생물의 노화에 의한 유해 효과의 방지 및/또는 치료 방법, 또는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로부터 야기되는 당뇨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막기 위한 환자에게 적용하는 방법;
류머티스성 관절염, 알츠하이머 병, 요독증, 퇴행성신경질환,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당뇨병콩팥병증에 기인한 당뇨병성 망막증 및 신부전을 포함한 당뇨병성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 미세혈관병 및 거대 혈관병, 백내장, 혈액투석 또는 알츠하이머병 관련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치은염, 충치, 부코-덴탈 상태, 당뇨병성 궤양, 만성 신부전(CRF), 만성 신장투석, 염증성 질환, 나이 관련 류마티스성 질환 및 피린증 중에서 선택된 질병 환자의 치료, 방지 및/또는 이의 진행을 늦추거나, 초기단계의 암 환자의 질병의 진행을 치료, 방지 및/또는 늦추기 위한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 Ⅰ 또는 Ⅱ의 화합물이 요구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 또는 제제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 될 수 있다. 투여 정도는 치료 방법에 따라 변화하며, 치료되는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또는 제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를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경구, 혀밑, 피하, 근육 내, 정맥 내, 경피, 국부 또는 직장 투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또는 제제에 있어, 활성 성분은 공지의 약학적 부형체화 혼합 상태인 단위 제제 형태로 동물 또는 인간에 투여된다. 적절한 단위 제제 형태는 타블렛, 젤라틴 캡슐, 파우더, 과립, 및 경구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경구 제제, 피하, 근육 내, 정맥 내, 경피, 국부 또는 직장 투여 제제를 포함한다.
고상 조성물 또는 제제를 타블렛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주요 활성 성분은 젤라틴, 녹말, 락토오즈, 마그네슘 스테어레이트, 탈크, 검 아라빅 또는 이의 유도체 등의 약학적 부형제와 혼합된다. 상기 타블렛은 수크로스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코팅되거나, 활성을 연장 또는 지연시켜 활성 성분을 지속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함량으로 방출하기 위해 처리된다.
젤라틴 캡슐 내 제제는 활성 성분을 희석제와 혼합한 다음, 얻어진 혼합물은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내로 주입하여 제조한다.
시럽 또는 엘릭시르 제제의 제조는 활성 성분을 감미제 및 방부제와 혼합하고, 향료 및 적절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 제제와 혼합한다.
수분산 분말 또는 과립은 활성 성분을 웨팅 또는 분산제, 뿐만 아니라 향료 포접제 또는 감미제와 혼합하여 분산된 혼합액 내 존재한다.
좌약은 코코아 버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이 직장 온도 범위에서 용해되는 결합제로 제조되어 직장 투여 시 사용된다.
비경구, 코 또는 안구 투여를 위한, 적절한 제제는 약학적으로 상용성이 있는 분산 및/또는 웨팅제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 등장 살린 용액, 멸균 주사액제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 성분은 또는 마이크로캡슐 형태, 바람직하기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형화된다.
상기 활성 성분은 또한 국부적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은 또한 표피 및 진피의 항노화 및 재건 활성 성분, 및/또는 항주름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화장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은 피부에 텐서(tensor) 효과가 있다. 이는 경구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국부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이러한 제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예로, 로션, 폼, 젤, 분산액, 스프레이, 샴푸, 세럼, 마스크, 바디밀크 또는 크림, 일예로 활성 성분의 특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별히 피부 투여가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사용된다. 이들 제형은 중성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젤을 포함하는 단일상 비히클, 또는 소디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젤로 이루어진다. 또한 크림 및 소수성 상 내에 친수성 상이 분산된 2-상 비히클 형태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더하여, 상기 조성물 또는 제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을 함유하며, 예를 들면 물 또는 알코올, 에테르 또는 글리콜과 같은 공지된 용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활성 성분과 적절한 사용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일예로 상기 부형제는 폴리사카라이드(잔탄 검, 카로브 빈 검, 펩틴 등) 또는 폴리펩타이드,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수용성 천연고분자, 뿐만 아니라 합성 고분자, 폴록사머, 카르보머, PVA, 또는 PVP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러한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에탄올, 글리세롤, 벤질알코올, 습윤제(글리세롤), 확산제 (트랜스큐폴, 우레아) 또는 항박테리아 보존제 (0.15% 메틸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다양한 공용매 부형제가 첨가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에멀젼화제, 점증제, 보완 또는 상승 효과가 있는 다른 활성 성분, 추적 제제, 에센셜 오일, 향료, 색조제, 콜라겐, 화학적 또는 미네랄 필터, 가수화제 또는 열적 용수, 등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로서, 본 발명은 피부의 화장료 항노화 치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도의 구성에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DAPA = 2,3-디아미노프로피오닉산, DABA=2,3-디아미노부티르산 (명세서 내 반대되는 예가 없는 한), 또는 2,4-디아미노부티르산, DASA=디아미노숙신산, EDC=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레이트, Boc= t-부톡시카보닐, TFA=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테트라하이드로 퓨란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메틸글리옥살 (MG)에 의한 인슐린 (Ins)의 변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의 디카보닐 소거제와 DAPA를 함유한 비교 화합물 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인슐린의 백분율은 디카보닐 소거제의 존재 또는 비존재 하에서 메틸글리옥살에 의한 배양 정도를 나타낸다. 상기 인슐린 (0.034 mM)은 디카보닐 억제제 (4.08 mM)의 존재 하에 메틸글리옥살 (3.4 mM)을 포함하는 pH 7.45의 10 mM 인산완충용액 (0.1 M NaCl을 함유한) 내에서 37 ℃에서 21시간 동안 in vitro 배양된다. 이때 인슐린의 농도는 HPLC (도 3에서도 동일한 조건)로 측정한다.
도 2는 메틸글리옥살에 의한 인슐린의 변성에 대하여, 종래 기술의 디카보닐 소거제의 비교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험 조건은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별표(*)로 표시된 화합물은 염화물 형태로 사용된 것이다.
도 3은 메틸글리옥살에 의해 유도된 인슐린의 변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화합물인 DAPA-L-Leu (실시예 1) 및 L-DAPA-L-Val (실시예 23)에 대한 HPLC 결과이다. HPLC 조건은 아래와 같다: C-18, Symmetry 300 (4.6 X 250 mm) 칼럼, 주입 부피: 반응 혼합물 100 μl; 유량 1 ml/min; 용매 A: H2O +0.1% TFA; 용매 B: 80/20 CH3CN.H2O+0.1% TFA; 15분간 B 용매를 50%에서 55%로 선형적으로 구배; 측정: UV 215 nm: PDA(220 nm에서 얻은 크로마토그램).
도 4는 메틸글리옥살에 의해 유도된 소마토스타틴-14의 변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화합물인 DAPA-L-Leu (실시예 1) 및 L-DAPA-L-Val (실시예 23)에 대한 HPLC 결과이다. HPLC 조건은 아래와 같다: C-18, Symmetry 300 (4.6 X 250 mm) 칼럼, 주입 부피: 반응 혼합물의 100 μl; 유량 1 ml/min; 용매 A: H2O +0.1% TFA; 용매 B: 80/20 CH3CN.H2O+0.1% TFA; 15분 동안 용매 B를 20%에서 60%로 하고, 10분 동안 용매 B를 60%로 선형 구배; 임의 온도; 측정: PDA(215 nm에서 얻은 크로마토그램).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메틸글리옥살에 의해 유도된 변성을 방지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 (a)는 소마토스타틴-14 단독의 결과를, (b)는 소마토스타틴-14+메틸글리옥살의 결과를, (c)는 소마토스타틴-14 + 메틸글리옥살 + L-DAPA-L-Val (실시예 23)의 결과를, (d)는 소마토스타틴-14 + 메틸글리옥살 + L-DAPA-L-Leu (실시예 1)의 결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소마토스타틴-14 (0.03 mm)를 ((c) 및 (d))의 존재 하에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b)(4.3 mM)를 사용하여 메틸글리옥살(3.6 mM)을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고, 0.1 M NaCl을 함유한 pH 7.45의 10 mM의 인산완충용액 내에서 37 ℃에서 24시간 동안 in vitro 배양한다.
도 5는 메틸글리옥살에 의해 유도된 RNase 변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L-DAPA-L-Ile (실시예 18), L-DAPA-L-Val (실시예 23) 및 L-DAPA-L-Leu (실시예 1) 3가지 화합물의 HPLC 결과를 보여준다. HPLC 조건은 아래와 같다: C-18, Symmetry 300 (4.6 X 250 mm) 칼럼, 주입 부피 반응 혼합물의 100 μl; 유량 1 ml/min; 온도 40 ℃; 용매 A: H2O +0.1% TFA; 용매 B: 80/20 CH3CN.H2O+0.1% TFA; 용매 B를 20%에서 80%까지 20분 동안 선형 구배; 측정: PDA(215 nm에서 얻은된 크로마토그램).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메틸글리옥살에 의해 유도된 RNase A 의 변성을 방지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 (a)는 RNase A 단독의 결과를, (b)는 RNase A + 메틸글리옥살의 결과를, (c)는 RNase A + 메틸글리옥살 + L-DAPA-L-Ile (실시예 18)의 결과를, (d)는 RNase A + 메틸글리옥살 + L-DAPA-L-Val (실시예 23); (e)는 RNase A + 메틸글리옥살 + L-DAPA-L-Leu (실시예 1)의 결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소마토스타틴-14 (0.03 mm)를 ((c) 및 (d))의 존재하에,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b)(38 mM)를 사용하고, 메틸글리옥살 (32 mM)을 첨가 또는 비첨가하여 pH 7.45의 10 mM의 인산완충용액 내에서 37 ℃에서 21시간 동안 in vitro 배양하였다.
도 6 및 도 7은 메틸글리옥살 (MG)의 존재 여부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종래 기술에 따른 화합물, 특히 아미노구아니딘 (AG) 및 디아미노프로피온산(DAPA)의 존재 하에 EA 혈관내피세포의 성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a), 또는 단계 (a) 및 (b), 또는 단계 (a), (b) 및 (c), 또는 단계 (a) 및 (d), 또는 단계 (a), (d) 및 (e)로 구성된다:
-a) 유기 용매 하에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알킬 에스터와 N-보호된 디아미노산 (일예로, DAPA, DABA, DASA, Orn, 또는 n 수치에 따른 Lys)의 커플링화 단계, 이때 상기 유기 용매는 디클로로메탄이고, EDC 또는 HOBt와 같은 활성 에스터를 형성하는 반응물을 사용하고, 예를 들면 상온에서 교반 하에 수행한다;
-b) 상기 단계 a)에서 얻어진 알킬 에스터 화합물을 바람직하기로 THF/MeOH/H2O 또는 MeOH/H2O 또는 H2O 하에 LiOH를 첨가하여 알칼라인 가수분해하고, 바람직하기로 KHSO4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5에서 순수 산 화합물을 얻는 산성화 단계를 수행한다;
-c) 상기 단계 b)에서 얻은 N-보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기로 3M HCl-디옥산(또는 THF)으로 탈보호하고,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다;
-d) 바람직하기로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펩타이드에 Lawesson's 시약을 첨가하여 티오아마이드 화합물을 제조한 후, 8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e) 유기 용매, 바람직하기로 디클로로메탄 내에서 상기 단계 d)에서 얻은 di-Boc 보호된 t-부틸 에스터를 포함하는 티오아마이드 화합물에 TFA를 첨가하고, 저온, 바람직하기로 0℃에서 반응하여 상기 화합물의 di-Boc을 탈보호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은 이하 언급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일예로 단계 (1) 또는 단계 (1) 및 (2), 또는 단계 (1), (2) 및 (3), 또는 단계 (1), 및 (4) 또는 단계 (1), (4) 및 (5)를 거쳐 제조된다.
1. N-보호된 카르복실산 및 아미노산 알킬 에스터의 커플링 반응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 내에 N-보호된 (바람직하기로 Boc 그룹으로) 디아미노 산(일예로, DAPA, DABA, DASA, Orn 또는 Lys) (1.0 mmol)과 아미노산 알킬 에스터 (1.1 mmol)가 용해된 용액에, 활성 에스터, 예를 들면, EDC (1.2 mmol) 및 HOBt (1.1 mmol))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고, EtOAc로 수상을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은 1N HCl, 물, 포화된 NaHCO3 및 브린으로 완전히 세척한 다음, Na2SO4로 건조한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하에 진공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를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디펩타이드를 얻었다.
2. 알킬 에스터의 알칼라인 가수화 반응
THF/MeOH/H2O 또는 MeOH/H2O 용매 내 알킬 에스터 (1.0 mmol)가 용해된 용액 내에 알칼리 용액, 바람직하기로 1.0 mmol의 LiOH를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초기 에스터 화합물이 사라질 때까지, 약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pH 5의 KHSO4 수용액으로 산성화 처리한 다음, 바람직하기로 CH2Cl2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한 다음,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조 산(crude acid) 화합물을 얻었으며, 추가 정제공정 없이 후속 공정에 직접 사용하였다.
3. N-보호기의 탈착
3 M HCl-디옥산 (또는 THF) 용매 내에 N-보호된 디펩타이드 카르복실산 (1mmol)을 용해하여 상온에서 3-9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반응물 내 휘발성 성분은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디펩타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을 얻었다.
4. 티오아마이드 화합물의 제조
아르곤 분위기 하에, 톨루엔 (10 ml) 용매 내 상기 단계 (1)의 디펩타이드를 용해시켜 얻은 용액에 Lawesson's 시약 (1.1 mmol)을 상온에서 한꺼번에 모두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매는 감압시켜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CH2Cl2와 10/1, CH2Cl2/Et2O)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티오아마이드 화합물을 얻었다.
5. t- 부틸 에스터인 di - BOC 으로 보호된 티오아마이드의 탈착
0 ℃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용매 내에 di-BOC으로 보호된 티오아마이드 t-부틸 에스터 (1 mmol)를 용해시켜 얻은 용액에 TFA (5 m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0℃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하였다. 이때 휘발성 성분은 감압시켜 제거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형태의 디티오펩타이드 화합물을 얻었다.
하기 실시예들은 비한정적인 예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다른 하기 화합물은 상기 언급된 방법에 의거하여 제조되었다.
실시예 1: L- DAPA -L- Leu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0
1H NMR (300 MHz, CD3OD) δ 4.37 (t, J=5.8 Hz, 1H) , 4.30 (dd, J=9.4, 5.6 Hz, 1H), 3.45 (dd, J=13.9, 6.0 Hz, 1H), 3.34 (dd, J=13.9, 5.3 Hz, 1H), 1.64-1.49 (m, 3H), 0.78 (d, J=6.4 Hz, 3H), 0.74 (d, J=6.4 Hz, 3H);
13C NMR (75 MHz, CD3OD) δ 176.6, 167.3, 53.0, 51.7, 41.4, 40.6, 26.1, 23.4, 21.5;
MS (ESI) m/z 218 [M+H]+;
HRMS calculated for C9H20N303 (M+H) 218.1505 found: 218.1512
[α]D 26 +3.41 (c 1.0, 6 N HC1)
실시예 2: L- DAPA -D- Leu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1
[α]D 22 + 7.8 (c 1.0 H20)
[α]D 26 +39.59 (c 1.0, 6 N HC1)
1H NMR (300 MHz, CD3OD) δ 4.38 (dd, J=5.0, 6.7 Hz, 1H), 4.30 (t, J=7.8 Hz, 1H), 3.60-3.43 (m, 2H), 1.67-1.56 (m, 3H), 0.86 (d, J=6.0 Hz, 3H), 0.83 (d, J=6.0 Hz, 3H);
13C NMR (75 MHz, D2O) δ 175.9, 166.0, 52.3, 50.7, 39.6, 39.1, 24.5, 22.0, 20.9;
MS (ESI) m/z 218 [M+H]+;
HRMS calculated for C9H20N303 (M+H) 218.1505 found: 218.1552.
실시예 3: L- DAPA -L- Leu ·2 TFA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2
[α]D 22 + 20 (c 0.5 MeOH);
[α]D 24 + 1.13 (c 1.0, 6 N HC1)
1H NMR (300 MHz, CD3OD) δ 4.51-4.46 (m, 1H), 4.12 (t, J=6.2 Hz, 1H), 3.36 (d, J=5.9 Hz, 2H), 1.78-1.62 (m, 3H), 0.98 (d, J=6.1 Hz, 3H), 0.95 (d, J=6.1 Hz, 3H) ;
13C NMR (62.5 MHz, D20) δ 176.6, 166.8, 52.6, 51.1, 40.3, 39.7, 25.1, 22.7, 21.1;
MS (ESI) m/z 218 [M+H]+, 240 [M+Na]+;
HRMS calculated for C9H20N303 (M+H) 218.1505; found: 218.1512, calculated for C9H19N303Na (M+Na) 240.1324; found: 240.1364.
실시예 4: L- DAPA -L- LeuOMe ·2 TFA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3
[α]D + 3.8 (c 1.2, MeOH);
1H NMR (300 MHz, CD3OD) δ 4.55 (t, J=7.4 Hz, 1H) , 4.42 (t, J=5.9 Hz, 1H), 3.75 (s, 3H), 3.52 (d, J=5.9 Hz, 2H), 1.81-1.61 (m, 3H), 0.95 (d, J=6.8 Hz, 3H), 0.93 (d, J=6.6 Hz, 3H);
13C NMR (62.5 MHz, CD3OD) δ 175.0, 167.4, 53.4, 52.8,51.9, 41.3, 40.9, 25.9, 23.3, 21.6;
MS (ESI) m/z 232 [M+H]+, 254 [M+Na]+;
HRMS calculated for C,0H22N303 (M+H) 232.1661; found: 232.1660.
실시예 5: L- DAPA -L- LeuOM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4
1H NMR (300 MHz, CD3OD) δ 4.46 (dd, J=7.7, 5.6 Hz, 1H), 4.44 (t, J=4.9 Hz, lH), 3.67 (s, 3H), 3.48 (d, J=5.6 Hz, 2H), 1.75-1.55 (m, 3H), 0.89 (d, J=6.4 Hz, 3H), 0.86 (d, J=6.4 Hz, 3H);
13C NMR (75 MHz, CD3OD) δ 175.0, 167.1, 53.4, 52.9, 51.8, 41.4, 40.8, 26.0, 23.3, 21.6;
MS (ESI) m/z 232 [M+H]+;
HRMS calculated for C10H22N303 (M+H) 232.1661; found: 232.1660.
[α]D 24 +6.2 (c 0.7, MeOH)
실시예 6: L- DAPA -L- IleNH 2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5
[α]D +25 (c 0.5, MeOH)
1H NMR (300 MHz, CD3OD) δ 4.59 (dd, J=7.0, 5.5 Hz, 1H) 4.37 (d, J=5.5 Hz, 1H), 3.57 (dd, J=13.4, 5.5 Hz, 1H), 3.36 (dd, J=13.4, 7.2 Hz, 1H), 2.01-1.91 (m, 1H), 1.58-1.47 (m, 1H), 1.44-1.28 (m, lH), 1.05 (d, J= 6.8 Hz, 3H), 0.95 (t, J=7.4 Hz, 3H);
13C NMR (62.5 MHz, CD3OD) δ 176.3, 167.6, 60.6, 51.3, 41.2, 37.8, 25.5, 16.3, 12.0;
MS (ESI) m/z 217 [M+H]+, 239 [M+Na]+;
HRMS calculated for C9H21N402 (M+H) 217.1665; found:217.1674, calculated for C9H20N402Na (M+Na) 239.1484; found: 239.1499.
실시예 7: D- DAPA -D- Leu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6
1H NMR (300 MHz, D2O) 4.38-4.31 (m, 2H), 3.50-3.34 (m, 2H) , 1.62-1.50 (m, 3H), 0.79 (d, J=6.4 Hz, 3H), 0.75 (d, J=6.4 Hz, 3H)
[α]D -11.7 (c 1.0, H2O)
MS (ESI) m/z 218 [M+H]+; 240 [M+Na]+;
HRMS calculated for C9H20N303 (M+H):218.1505; found:218.1537
실시예 8: D- DAPA -L- Ala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7
[α]D -21.9 (c 1.0, MeOH);
[α]D 26 -6.15 (c 1.0, 6 N HCl)
1H NMR (300 MHz, D20) δ 4.53 (q, J=7.4 Hz, 1H), 4.48 (t, J=6.0 Hz, lH), 3.64 (d, J=6.0 Hz, 2H), 1.50 (d, J=7.4 Hz, 3H);
13C NMR (75 MHz, D20) δ 176.7, 166.5, 51.2, 49.9, 40.3, 16.6;
MS (ESI) m/z 176 [M+H]+;
Analysis, calculated for C6H15N303C12: C, 29.05; H, 6.09; N, 16.94; Cl, 28.58; found: C, 28.67; H, 6.24; N, 16.94; Cl, 27.64.
실시예 9: L- DAPA -L- Ala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8
1H NMR (300 MHz, D2O) 4.51 (q, J=7.5 Hz, 1H), 4.46 (t, J=6.0 Hz, lH), 3.62 (d, J=6.0 Hz, 2H), 1.49 (d, J=7.5 Hz, 3H);
13C NMR (75 MHz, D2O) 176.8, 166.5, 51.2, 49.9, 40.3, 5 16.6;
MS (ESI) m/z 176 [M+H]+;
HRMS calculated for C6H14N303, (M+H) 176.1035; found:176.1037.
[α]D 26 +7.83 (c 1.0, 6 N HC1)
실시예 10: L- DAPA -D- Ala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19
1H NMR (300 MHz, D20) δ 4.33-4.24 (m, 2H), 3.50-3.39 (m, 2H), 1.41 (d, J=7.4 Hz, 3H);
13C NMR (75 MHz, D20) δ 176.0, 166.0, 50.9, 49.5, 39.8, 16. 3;
MS (ESI) m/z 176 [M+H]+;
HRMS calculated for C6H14N303 (M+H) 176.1035; found:176.1044.
[α]D 26 +64.56 (c 1.0, 6 N HCl)
실시예 11: D- DAPA -L- Ala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0
1H NMR (300 MHz, D2O) δ 4.49-4.41 (m, 2H), 3.68-3.54 (m, 2H), 1.49 (d, J=7.3 Hz, 3H);
13C NMR (75 MHz, D2O) δ 176.4, 166.3, 51.3, 49.8, 40.1, 16.6;
MS (ESI) m/z 176 [M+H]+;
HRMS calculated for C6H14N303 (M+H) 176.1035; found: 176.1043.
[α]D 26 -60.9 (c 1.0, 6 N HCl)
실시예 12: (2 S , 3 S )- DABA -L- Leu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1
1H NMR (300 MHz, D2O) δ 4.34 (t, J=7.2 Hz, 1H), 4.22 (d, J=4.2 Hz, 1H), 3.87 (dq, J=4.2, 7.2 Hz, lH), 1.58-1.56 (m, 3H), 1.34 (d, J=6.8 Hz, 3H), 0.79 (d, J=6.0 Hz, 3H) , 0.76 (d, J= 6.0 Hz, 3H) ;
13C NMR (75 MHz, D20) δ 175.9, 165.6, 54.4, 52.0, 47.9, 39.0, 24.3, 22.0, 20.5, 14.0;
MS (ESI) m/z 232 [M+H]+;
HRMS calculated for C110H22N303 (M+H) 232.1661; found: 232.1663.
[α]D 22 +9.6 (c 0.2, H20)
실시예 13: L- DAPA - Gly - OC 16 H 33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2
1H NMR (300 MHz, CD3OD) δ 4.44 (t,J=5.8 Hz, lH), 4.20 (t, J=6.7 Hz, 2H), 4.17, 4.07 (AB q, J=17.8 Hz, 2H), 3.53 (d, J=5.8 Hz, 2H),1.73-1.64 (m, 2H), 1.43-1.30 (m, 26 H), 0.91 (t, J=6.7Hz, 3H);
13C NMR (75 MHz, CD3OD) δ 171.6, 167.5, 67.0, 51.9, 42.3, 41.2, 33.1, 30.8, 30.7, 30.5, 30.4, 29.7;
MS (ESI) m/z 386 [M+H]+;
HRMS calculated for C21H44N303 (M+H) 386.3383; found: 386.3352.
[α]D 26 -5.98 (c 0.5, MeOH)
실시예 14: L- DAPA -L- Leu - OC 16 H 33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3
1H NMR (300 MHz, CD3OD) δ 4.34-4.28 (m, 2H), 4.01-3.86 (m, 2H), 3.41-3.29 (m, 2H), 1.61-1.39 (m, 5H), 1.16- 1.05 (m, 26H), 0.76 (d, J=6.4 Hz, 3H), 0.72 (d, J=6.4 Hz, 3H), 0.66 (t, J=6.7 Hz, 3H);
13C NMR (75 MHz, CD3OD) δ 174.6, 167.2, 67.2, 53.0, 51.8, 41.4, 40.9, 33.2, 30.9, 30.6, 30.6, 30.6, 30.4, 29.7, 27.0, 26.1, 23.8, 23.4, 21.8, 14.6;
MS (ESI) m/z 442 [M+H]+;
HRMS calculated for C25H52N303 (M+H) 442.4009; found: 441.3983.
[α]D 26 +13.1 (c 2.0, MeOH)
실시예 15: L- DAPA -L-( S )- Leu ·2 TFA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4
1H NMR (300 MHz, D20) δ 4.79 (dd, J=9.3, 5.4 Hz, 1H), 4.56 (t, J=6.4 Hz, 1H), 3.48 (dd, J=13.8, 5.8 Hz, 1H), 3.41 (dd, J=13.8, 6.6 Hz, 1H), 1.79-1.53 (m, 3M), 0.81 (d, J=6.4 Hz, 3H), 0.77 (d, J=6.4 Hz, 3H);
13C NMR (62.5 MHz, 1320) δ 194.5, 174.9, 58.0, 54.6, 41.5, 38.8, 24.7, 22.0, 20.7;
MS(ESI) m/z 234 [M+H]+;
HRMS calculated for C9H20N302S: 234.1276; found: 234.1306.
[α]D 26 +60.6 (c 2.5, MeOH)
실시예 16: L- DAPA -L-( S )- Leu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5
1H NMR (300 MHz, D2O) δ 4.80 (dd, J=9.6, 4.9 Hz, 1H), 4.60 (t, J= 6.2 Hz, 1H), 3.52-3.39 (m, 2H), 1.81-1.58 (m, 3H), 0.82 (d, J=6.4 Hz, 3H), 0.78 (d, J=6.2 Hz, 3H)
13C NMR (62.5 MHz, D2O) δ 194.5, 174.8, 57.9, 54.6, 41.5, 38.8, 24.7, 22.0, 20.7;
MS(ESI) m/z 234 [M+H]+:
HRMS calculated for C9H20N302S: 234.1276; found: 234.1306.
[α]D 26 +90.6 (c 1.0,MeOH)
실시예 17: L- DAPA - Gly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6
1H NMR (300 MHz, D20) δ 4.54 (t, J=5.8 Hz, 1H), 4.20 (d, J=l8.0 Hz, 1H), 4.10 (d, J=l8.0 Hz, 1H), 3.65 (d, J=5.8 Hz, 1H);
13C NMR (75 MHz, D20) δ 173.1, 166.5, 50.5, 41.6, 39.5;
MS (ESI) m/z 162 [M+H]+;
HRMS calculated for C5H12N303 (M+H) 162.0879; found: 162.0864.
[α]D 25 +28 (c 1.8, H20)
실시예 18: L- DAPA -L- Il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7
1H NMR (300 MHz, D2O) δ 4.52(t, J=5.9Hz,1H), 4.46 (d, J=4.9 Hz, lH), 3.60 (d,J=5.9 Hz,2H), 2.05 (m, 1H), 1.45 (m, 1H), 1.27 (m,lH), 0.97(d,J=6.9 Hz, 3H),; 0.90 (t, J=7.3Hz, 3H)
13C NMR (62.5 MHz, D20) δ 175.5,166.8, 58.8, 51.1, 40.3, 37.0, 25.3, 15.7,11.6;
MS (ESI) m/z 218 [M+H]+, 240 [M+Na]+;
HRMS calculated for C9H20N303: 218.1505; found: 218.1537.
[α]D 26 + 22.4 (c 1.2, H20)
실시예 19: L- DAPA -β- Ala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8
1H NMR (300 MHz, CD3OD) δ 4.40 (t, J=5.8 Hz, 1H), 3.54 (m, 4H) ; 2 . 64 (m, 2H)
13C NMR (62.5 MHz, CD3OD) δ 174.0, 166.6, 52.1, 41.1, 36.9, 34.2;
MS (ESI) m/z 176 [M+H]+;
HRMS calculated for C6H14N303 (M+H) 176.1035; found: 176.1068;
[α]D 26+3.8 (c 0.5, H20)
실시예 20: D- DAPA -β- Ala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29
1H NMR (300 MHz, CD3OD) δ 4.40 (t, J=5.8 Hz, lH), 3.54 (m, 4H); 2.64 (m, 2H)
13C NMR (62.5 MHz, CD3OD) δ 174.0, 166.6, 52.1, 41.1, 36.9, 34.2;
MS (ESI) m/z 176 [M+H]+;
실시예 21: L- DAPA -L- Ph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0
1H NMR (300 MHz, CD3OD) δ 7.32 (m, 5H); 4.79 (dd, J=9.9, 4.4 Hz, 1H); 4.48 (t, J=5.9 Hz, lH); 3.6l (dd, J=13.9, 6.1 Hz, lH); 3.51 (dd, J=13.9, 5.~7 Hz, 1H); 3.35 (dd, J=14.2, 3.4 Hz, 1H), 3.08 (dd, J=14.2, 9.9 Hz, lH);
13C NMR, (62.5 MHz, CD3OD) δ 175.1, 167.2, 138.2, 130.3, 129.7, 128.1,68.2, 56.2, 51.7, 41.3, 37.5;
MS (ESI) m/z 252 [M+H]+;
HRMS calculated for C12H18N303 (M+H) 252.1348; found: 252.1341.
[α]D 26 +41.8 (C 1.0, H20)
실시예 22: D- DAPA -D- Ph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1
1H NMR (300 MHz, CD3OD) δ 7.32 (m, 5H); 4.79 (dd, J=9.9, 4.4 Hz, lH); 4.48 (t, J=5.9 Hz, 1H); 3.61 (dd, J=13.9, 6.1 Hz, 1H); 3.51 (dd, J=13.9, 5.7 Hz, lH); 3.35 (dd, J=14.2, 3.4 Hz, 1H); 3.08 (dd, J=14.2, 9.9 Hz, lH);
13C NMR (62.5 MHz, CD3OD) δ 175.1, 167.2, 138.2 130.3, 129.7, 128.1, 68.2, 56.2, 51.7, 41.3, 37.5;
MS (ESI) m/z 252 [M+H]+, 269 [M+H2O]+;
HRMS calculated for C12H18N303 (M+H) 252.1348; found: 252.1349.
[α]D 26 - 38.0 (c 1.9, H20)
실시예 23: L- DAPA -L- Val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2
1H NMR (300 MHz, D2O) δ 4.54 (t, J=5.9 Hz, 1H); 4.42 (d, J=5.0 Hz, 1H); 3.60 (d, J=5.9 Hz, 2H); 2.29 (m, 1H); 0.97 (t, J=6.7 Hz, 6H) ;
13C NMR (62.5 MHz, D20) δ 175.5, 166.9, 59.5, 51.1, 40.3, 30.4, 19.0, 17.6;
MS (ESI) m/z 204 [M+H]+;
HRMS calculated for C8H18N303: 204.1348; found 204.1365.
[α]D 26 + 22.2 (c 2.0, H20)
실시예 24: L- DAPA -D- DAPA ·3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3
1H NMR (300 MHz, D20) δ 4.60 (m, 1H); 4.55 (dd, J=6.5, 4.9 Hz, lH); 3.65 (m, 3M); 3.45 (dd, J=13.5, 7.7 Hz, 1H);
13C NMR (62.5 MHz, D2O) δ 171.6, 167.6, 51.8, 51.5, 40.2, 40.1;
MS (ESI) m/z 191 [M+H]+;
HRMS calculated for C6H15N403: 191.1144; found: 191.1146.
[α]D 26 -43.4 (c.0.4, H20)
실시예 28: (2 S , 3 R )- DASA -1- Gly -4- Gly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4
1H NMR (300 MHz, D2O) δ 4.61 (s, 1H); 4.43 (S. 1H); 4.06, 4.04 (2s, 4H);
13C NMR (62.5 MHz, D2O) δ 172.9, 172.7, 52.7, 42.5;
MS (ESI) m/z 263 [M+H]+,285 [M+Na]+;
HRMS calculated for C8H15N406: 263.0992; found:263.0970.
[α]D 26 -2.2 (c 1.5, H20)
실시예 29: (2 S , 3 R )- DASA -1-L- Val -4-L- Val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5
1H NMR (300 MHz, D2O) δ 4.78 (m, 1H); 4.65 (m, 1H); 4.35 (m, 1H); 4.21 (m, 1H); 2.12 (m, 2H); 0.85 (m, 12H)
13C NMR (62.5 MHz, D2O) δ 175.7, 174.8, 59.2, 59.0, 52.8, 52.3, 30.0, 29.7, 18.4, 18.3, 17.2, 16.9.
MS (ESI) m/z 347 [M+H]+, 369 [M+Na]+;
HRMS calculated for C14H26N406Na: 369.1750; found: 369.1760.
[α]D 26 -38.8 (c 0.5, H20)
실시예 30: (2 S , 3 S )- DASA -1-L- Ile -4-L- Il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6
1H NMR (300 MHz, D20) δ 4.78 (m, 1H); 4.62 (m, 1H); 4.40 (m, 2H); 1.75 (m, 6H); 0.85 (m, 12H) ;
13C NMR (62.5 MHz, D2O) δ 173.9, 173.1, 164.9, 163.7, 56.3, 54.8, 52.0, 51.8, 39.4, 24.5, 24.4, 22.5, 22.2, 20.5;
MS (ESI) m/z 375 [M+H]+, 397 [M+Na]+;
HRMS calculated for C16H30N406Na: 397.2063; found: 397.1995.
[α]D 26 -18.7 (c 0.3, MeOH)
실시예 31: L- DAPA -L- Pro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7
1H NMR (300 MHz, D20) δ 4.62 (m, 1H) ; 4.39 (m, lH); 3.62 (d, J=7.6 Hz, 1H), 3.57 (m, 2H), 3.42 (dd, J=13.6, 6.1 Hz, 1H), 2.05 (m, 2H), 1.95 (m, 2H)
13C NMR (62.5 Hz, D20) δ 173.1, 164.9, 59.6, 52.6, 46.0, 39.2, 28.2, 22.3;
MS (ESI) m/z 202 [M+H]+;
HRMS calculated for C8H16N303: 202.1192; found 202.1196.
[α]D 26 -72.2 (c 1.3, H20)
실시예 34: L- DAPA -L- Ala -L- Ala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8
실시예 35: L- DAPA -L- Ala -L- Val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39
실시예 36: L- DAPA -L- Ala -L- Pro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0
실시예 37: D- DAPA - Gly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1
1H NMR (300 MHz, D20) δ 4.42 (t, J=5.8 Hz, 1H), 4.00 (d, J=l8.1 Hz, 1H), 4.10 (d, J=18.1 Hz, 1H), 3.53 (d, J=5.8 Hz, 2H);
13C NMR (75 MHz, D2O) δ 172.7, 166.4, 50.5, 41.4, 39.5;
MS (ESI) m/z 162 [M+H]+;
HRMS calculated for C5H12N303 (M+H) 162.0879; found: 162.0863.
[α]D 25 -28.8 (c 1.3, H20)
실시예 38: L- DAPA - GlyOMe ·2 THF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2
1H NMR (300 MHz, CD3OD) δ 4.39 (t, J=5.7 Hz, 1H), 4.15 (d, J=17.8 Hz, lH), 4.05 (d, J=17.8 Hz, 1H), 4.05 (d, J=17.8 Hz, 1H), 3.75 (s, 3H), 3.52 (dd, J=5.7, 1.5 Hz, 2H);
13C NMR (75 MHz, CD3OD) δ 171.9, 167.5, 53.1, 51.9, 42.1, 41.0;
MS (ESI) m/z 176 [M+H]+;
HRMS calculated for C6H14N303 (M+H) 176.1005. found: 176.1005
[α]D 25 +24.0 (c 1.1, H20)
실시예 39: L- DAPA - GlyNH 2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3
1H NMR (300 MHz, D2O) δ 4.43 (t, J=5.9 Hz, 1H), 4.0 (m, 2H), 3.52 (d, J5.9 Hz, 2H) ;
13C NMR (75 MHz, D20) δ173.1, 166.7, 50.6, 42.1, 39.4;
MS (ESI) m/z 161 [M+H]+;
HRMS calculated for C5H13N402 (M+H) 161.1039; found: 161.1042.
[α]D 25 +38.6 (c 0.23, H20)
실시예 40: D- DAPA -D- Asp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4
1H NMR (300 MHz, D2O) δ 4.75 (m, lH), 4.38 (dd, J=6.3, 5.3 Hz, lH), 3.50 (dd, J=14.4, 5.3 Hz, lH), 3.42 (dd, J=14.4, 6.4 Hz, lH), 2.93 (d, J=6.3 Hz, 2H);
13C NMR (75 MHz, D2O) δ 174.2, 173.2, 165.9, 50.6, 49.4, 39.4, 35.1;
MS (ESI) m/z 220 [M+H]+;
HRMS calculated for C7H14N305 (M+H) 220.0933; found:220.0903.
[α]D 25 -32.4 (c 0.7, H20)
실시예 41: D- DAPA -L- Ph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5
1H NMR (300 MHz, D20) δ 7.25 (m, 5H), 4.72 (dd, J=8.7, 5.6 Hz, 1H), 4.28 (dd, J=6.l, 5.7 Hz, 1H), 3.49 (dd, J=14.3, 6.2 Hz, 1H), 3.43 (dd, J=14.3, 5.7 Hz, lH), 3.22 (dd, J=14.3, 5.6 Hz, 1H), 3.03 (dd, J=14.3, 8.7 Hz, lH);
13C NMR (75 MHz, D2O) δ 174.4, 165.8, 136.3, 129.2, 128.8, 127.3, 66.6, 54.6, 50.4, 39.6;
MS (ESI) m/z 252 [M+H]+;
HRMS calculated for C12H18N303 (M+H) 252.1348; found: 252.1357.
[α]D 25 -42.3 (c 1.0, H20)
실시예 42: D- DAPA -D- Phg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6
1H NMR (300 MHz, D20) δ 7.32 (s, 5H), 5.43 (s, 1H), 4.38 (m, lH), 3.52 (d, J=5.9 Hz, 2H);
13C NMR (75 MHz, D20) δ 173.2, 165.5, 134.4, 129.3, 127.8, 57.6, 50.4, 39.6;
MS (ESI) m/z 238 [M+H]+;
HRMS calculated for C11H16N303 (M+H) 238.1192; found: 238.1190.
[α]D 25 -81.4 (c 1.0, H20)
실시예 43: L- DAPA -L- Nl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7
1H NMR (300 MHz, D20) δ 4.35 (m, 2H), 3.48 (d, J=5.9 Hz, 2H), 1.70 (m, lH), 1.60 (m, 1H), 1.20 (m, 4H), 0.72 (t, J=7.2 Hz, 3H);
13C NMR (75 MHz, D20) δ 175.6, 166.1, 57.1, 53.6, 50.4, 39.6, 29.9, 27.0, 21.5, 13.0;
MS (ESI) m/z 218 [M+H]+;
HRMS calculated for C9H20N303 (M+H) 218.1505; found: 218.1518.
[α]D 25 + 6.8 (c 0.5, H20)
실시예 44: D- DAPA --D-L- Nl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8
실시예 45: D- DAPA -L- Lys ·3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49
1H NMR (300 MHz, D20) δ 4.42 (dd, J=6.6, 5.1 Hz, lH), 4.28 (dd, J=8.0, 5.8 Hz, lH), 3.52 (m, 2H), 2.90 (t, J=7.6 Hz, 2H), 1.82 (m, 2H), 1.60 (m, 2H), 1.37 (m,2H);
13C NMR (75 MHz, D20) δ 174.9, 166.1, 53.5, 50.7, 39.5, 39.2, 29.7, 26.3, 22.1;
MS (ESI) m/z 233 [M+H]+;
HRMS calculated for C9H10N403 (M+H) 233.1614; found 233.1624.
[α]D 25 -41.0 (c 0.6, H20)
실시예 46: D- DAPA -L- Leu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0
1H NMR (300 MHz, D2O) δ 4.37 (dd, J=6.8, 4.9 Hz, 1H), 4.28 (dd, J=8.0, 6.5 Hz, 1H), 3.49 (m, 2H), 1.7-1.5 (m, 3H), 0.85 (d, J=6.2 Hz, 3H), 0.81 (d, J=6.2 Hz, 3H);
13C NMR (75 MHz, D2O) δ 176.0, 166.0, 52.4, 50.7, 39.6, 39.1, 24.5, 22.0, 20.9;
MS (ESI) m/z 218 [M+H]+;
HRMS calculated for C9H20N303 (M+H) 218.1505; found: 218.1506.
[α]D 25 -2.5 (c 1.4, H20)
실시예 47: L- DAPA -( CH 2 )-L- Val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1
1H NMR (300 MHz, CD3OD) δ 3.74 (quintet, J=6.2 Hz, 1H), 3.42 (d, J=4.3 Hz, 1H), 3.36 (dd, J=6.2 Hz, 2H), 3.12-3.10 (m, 2H), 2.25-2.14 (m, 1H), 1.05 (d, J=7.0 Hz, lH);
13C NMR(62.5 MHz, CD3OD) δ 175.9, 68.3, 49.7, 49.1, 41.6, 32.1, 18.9, 18.8;
MS (ESI) m/z 190 [M+H]+;
HRMS calculated for C8H19N302 (M+H) 190.1556; found: 190.1552.
[α]D 26 +3.0 (c 1.0, MeOH)
실시예 48: L- DAPA -L- Asp ·2 TFA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2
1H NMR (300 MHz, CD3OD) δ 4.86 (dd, J=6.3, 4.8 Hz, 1H) 4.42 (t, J=5.7 Hz, 1H), 3.57 (dd, J=l3.9, 5.8 Hz, 1H), 3.52 (dd, J=13.9, 5.8 Hz, 1H), 2.99 (dd, J=17.2, 6.2 Hz, 1H), 2.91 (dd, J=17.2, 4.6 Hz, 1H);
13C NMR (62.5 MHz, D20) δ 174.5, 173.8, 167.1, 51.8, 50.8, 41.2, 36.2;
MS (ESI) m/z 220 [M+H]+;
HRMS calculated for C7H14N305 (M+H) 220.0933; found: 220.0950.
[α]D 26 + 36.6 (c 1.0, MeOH)
실시예 49: D- DAPA -L-(4- trifluoromethyle )- Phe · OH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3
1H NMR (300 MHz, D20) δ 7.58 (d, J=7.9 Hz, 2H), 7.35 (d, J=8.l Hz, 2H), 4.69 (m, lH), 4.25 (t, J=6.0 Hz, 1H), 3.27 (dd, J=13.9, 5.8 Hz, 1H), 3.17 (d, J=6.0 Hz, 2H), 3.04 (dd, J=14.0, 9.3 Hz, lH);
13C NMR (75 MHz, D2O) δ 174.1, 165.7, 140.7, 130.0, 129.6 (q, J=32.9 Hz), 125.5, 125.0 (q, J=271.l Hz), 54.3, 50.7, 39.5, 36.3;
MS (ESI) m/z 320 [M+H]+;
HRMS calculated for C13H17F3N303 (M+H) 320.1222; found: 320.1236.
실시예 50: D- DAPA -L-ε- trifluoromethyle - Nle · OH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4
실시예 51: D- DAPA -L- Nl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5
1H NMR (300 MHz, D2O) δ 4.43 (dd, J=6.6, 5.1 Hz, 1H), 4.33 (dd, J=8.1 5.7 Hz, 1H), 3.60 (dd, J=14.5, 5.1 Hz, 1H), 3.53 (dd, J=14.5, 6.6 Hz, lH), 1.82 (m, 2H), 1.34 (m, 4H), 0.86 (t, J=7.2 Hz, 3H);
13C NMR (75 MHz, D20) δ 175.6, 166.0, 53.8, 50.6, 39.4, 29.9, 27.1, 21.6, 13.0;
MS (ESI) m/z 218 [M+H]+;
HRMS calculated for C9H20N303 (M+H) 218.1505; found: 218.1506.
[α]D 25 -43.0 (c 1.4, H20)
실시예 52: D- DAPA - DL -p- fluoroPhe ·2 HCl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6
1H NMR (300 MHz, D20) δ 7.20-7.15 (m, 2H), 7.03-6.95 (m, 2H), 4.66-4.59 (m, lH), 4.27 (t, J=5.7 Hz, 0.5H), 4.25 (t, J=5.8 Hz, 0.5H), 3.43 (d, J=6.2 Hz, 0.5H), 3.42 (d, J=5.7 Hz, 0.5H), 3.20-3.10 (m, lH), 3.17 (d, J=6.0 Hz, lH), 2.97 (dd, J=14.1, 8.6 Hz, 0.5H), 2.94 (dd, J=14.1, 9.2 Hz, 0.5H);
13C NMR (75 MHz, D2O) δ 174.3, 174.2, 165.8, 165.7, 162.8 (d, J=243.7 Hz), 133.0, 132.8, 131.7, 131.6, 116.3, 116.0, 54.7, 54.5,50.7, 50.4, 39.5, 35.7, 35.5;
MS (ESI) m/z 270 [M+H]+;
HRMS calculated for C12H17FN303 (M+H) 270.1254; found: 270.1255.
실시예 53: 생화학적 및 생물학적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의 효능은 하기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띠른 화합물의 메틸글리옥살에 의한 인슐린 변성 및 억제 효과: 이들 화합물과 종래 기술의 억제제와의 비교
인간 인슐린(Ins)은 생물학적 조건하에 메틸글리옥살 (MG)로 배양한다. 24 시간 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슐린을 완전히 변성된다 (Ins + MG).
이와 다르게, 인슐린을 생물학적 조건하에 본 발명에 따른 AGE 억제제와 동량으로 메틸글리옥살에 의해 배양한다. 24시간 후, 도 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MG에 의해 변성된 인슐린은 상당히 감소된다.
도 2는 MG에 의한 인슐린의 변성을 억제하는데 있어 공지된 반응성 디카보닐 억제제의 효과를 보여준다.
HPLC에 의한 분석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부 AGE 억제제가 인슐인(도 3)을 변성하는 메틸글리옥살을 제거함을 보여준다. 소마토스타틴-14 (2 Lys 를 함유한)와 리보뉴클레아제 (RNase) A (10 Lys와 4 Arg를 함유하는)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AGE 억제제 효과는 도 4, 및 5에서 알 수 있다.
AGE 형성에 대한 MG 억제제인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의 억제능에 대한 전기영동 연구
리보뉴클레아제 A 및 리소자임 (10 mg/ml)을 37 ℃에서 메틸글리옥살 (10 mM)의 존재하에, 또는 메틸글리옥살 및 이와 동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느 하나의 억제제의 존재하에 배양한다. 48시간 배양 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영동기 (8%-16% SDS PAGE 겔)로 단백질을 분석한다.
상기 분석에 따른 결과는 메틸글리옥살 존재하에 리보뉴클레아제 A 및 리소자임은 큰 변화를 보이며, 이는 단백질의 다이머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느 하나의 억제제, 즉, L--DAPA-L-Lew (실시예 1), L-DAPA-L-Ile (실시예 18), L-DAPA-L-Val (실시예 23), D-DAPA-D-Ala (실시예 8), (2S, 3S)-DASA-L-Leu (실시예 29), L-DAPA-L-Gly (실시예 17) 또는 L-DABA-L-Leu (실시예 12)의 첨가는 메틸글리옥살에 의한 이러한 구조적인 변성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억제제의 존재는 메틸글리옥살을 제거하여 가교화된 단백질의 형성을 크게 억제한다.
메틸글리옥살과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억제제로 처리한 리보뉴클레아제 A의 효소 활성은 Geriner-Stoffele 등 (Anal . Biochem. (1996) 240, 24)의 메틸렌 블루 RNA 염색법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조건 효소 활성(%)
Control RNase 100
RNase + 메틸글리옥살 10.11%
MG + D-DAPA 20.32%
MG (+) AG 70.52%
MG + L-DABA-L-Leu (실시예 12) 80.97%
MG + D-DAPA-D-Ala (실시예 8) 87.37%
MG + L-DAPA-L-Gly (실시예 17) 85.61%
MG + L-DAPA-L-Phe (실시예 21) 70.20%
MG + (2S,3S)-DASA-L-Val (실시예 29) 75.09%
MG + L-DAPA-L-(S)-Leu (실시예 16) 75.69%
MG + L-DAPA-L-Leu (실시예 1) 93.91%
MG + L-DAPA-L-Ile (실시예 18) 90.77%
MG + L-DAPA-L-Val (실시예 23) 90.77%
688 nm 분광기로 측정된 효소 운동 (kinetic)을 보면, 메틸글리옥살에 의해 야기되는 효소 활성의 억제가 본 발명에 따른 억제제의 존재하에 상당히 감소함을 보여준다.
비교 분석 (전기영동 및 효소 활성 측정에 의한)으로, 억제제로 아미노구아니딘 (AG)을 이용하여 리보뉴클레아제 A 또는 리소자임에 대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억제제가 AG 보다 더욱 효과적임을 명백히 보여준다.
동일 조건하에 리보뉴클레아제 A를 이용하여 수행한 시험에 대해서도 동일한 경향이, 리소자임 (6 Lys 및 11 Arg)의 결과에서도 관찰된다.
MG는 단백질의 라이신과 아르기닌 잔기와 반응하여 변성 폴리펩타이드에 전하를 변화시킨다. 이는 비변성 조건 하에 MG로 처리된 글리옥사라제 I의 전기 영동 결과로 설명된다. 상기 글리옥살라제 I를 MG (10 mM)에 24 시간 노출하면 단백질이 양 전극으로의 이동성이 증가하며, ε-아미노 및 구아니디노기로부터 양 전하 손실 변화가 오고, 음전하를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억제제인 (L-DAPA-L-Leu (실시예 1) 또는 L-DAPA-L-Ile (실시예 18))은 배양 혼합물 내 포함되며, 이러한 화합물의 존재로 인하 음 전하의 증가를 억제한다.
α-옥소알데하이드 독소제거 시스템의 주요 단백질인, 글리옥살라제 I의 배양하는 경우 메틸글리옥살의 존재로 인해 단백질이 변성된다. 이러한 변성은 전하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효소 활성이 50%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L-DAPA-L-Leu, L-DAPA-L-Ile)의 첨가는 메틸글리옥살에 의해 미치는 억제를 방지하여 구조적인 변성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와 비교하여 전기 영동에 의해 얻은 비교예의 결과를 보면, 아미노구아니딘 (AG)은 MG에 의해 유도되는 리보뉴클레아제 A의 구조적 변성을 방지하는 효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AGE 억제제보다 덜 효과적이다. 상기 본 발명에 다른 AGE 억제제, 즉 L-DAPA-L-Leu (실시예 1) 및 L-DAPA-L-Ile (실시예 18) 또는 AG (10 mM)는 MG 및 리보뉴클레아제 A에서 37 ℃에서 40 분간 배양한다.
본 발명 및 종래 기술에 따른 MG 소거제 및/또는 메틸글리옥살의 존재하에 EA 세포의 성장
본 시험에 사용된 세포는 EA. hy 926 세포주로부터 얻은 것을 사용하며, 상기 세포는 인간제대정맥내피세포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s)와 폐암 세포 (A549)DML 조합에 의해 얻어진 내피세포들이다. 상기 EA. hy 926 내피 세포는 10% 우태하 혈청으로 강화된 두베코사의 변성 Eagle 배지 (DMEM) 내에서 배양한다. 상기 세포는 12-웰 플레이트 내에서 배양한다. 각각의 웰은 초기에 100,000개의 세포를 포함한다. 세포 성장은 2 ml의 배양 배지 내에서 배양한 후, 다양한 가능성 있는 억제제 (1mM) 및/또는 메틸글리옥살 (600 μM)을 첨가 또는 미첨가하여 37 ℃에서 48시간 동안 5%의 CO2를 가진 가습 분위기 하에 수행하였다.
세포 수는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다:
상기 세포는 (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 (MTT) 분석을 이용하여 염색한다. MTT가 세포 내로 통과하여 포르마잔으로 환원된다. 이때 포르마잔의 함량은 리빙셀의 수에 비례한다.
상기 결과는 처리하지 않은 대조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처리후 세포의 상대적인 백분율로 표시된다 [100*OD (처리세포)/OD(대조 세포)]. 측정은 UV/VIS 분광기로 570 nm에서 수행한다.
원리: MTT (옐로우)가 세포 내로 침투하고 리빙셀의 효소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 효소 작용에 의해 테트라졸리움이 절단되어 불용성의 블루 화합물인 포르마잔으로 환원된다. 이때 세포의 수는 형성된 포르마잔의 양 및 이의 흡수에 비례한다.
도 6에 따르면, 메틸글리옥살(MG)이 세포 성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2: MG 및 MG 제거제의 존재 또는 미존재 하에 세포 성장
MG 억제제 세포+MG 제거제(A) SD 세포+MG 제거제 +메틸글리옥살(B) SD 차이 (B)-(A)
0 100 0 24
아미노구아니딘 97 6 92 5 -5
L-DAPA-L-Val·2HCl (실시예 23) 94 8 93 3 -1
L-DAPA-L-Leu·2HCl (실시예 1) 94 16 81 7 -13
카르노신 99 0.2 50 3 -49
L-DAPA-L-Leu·2HCl (실시예 18) 86 6 79 4 -7
(2S),(3S)-DASA-L-Val·2HCl (실시예 29) 85 5 70 9 -15
L-DABA-L-Ieu·2HCl (실시예 12) 77 15 73 9 -4
L-DAPA-L-Phe·2HCl (실시예 21) 77 6 71 7 -6
메트포민 91 4 45 4 -46
D-DAPA 83 3 68 13 -15
D-DAPA-D-Ala·2HCl (실시예 8) 77 6 71 7 -6
L-DAPA-L-(S)-Leu·2HCl (실시예 16) 71 74 +3
L-DAPA-Gly·2HCl (실시예 17) 54 8 50 10 -4
(2S),(3S)-DASA-L-Gly·2HCl (실시예 28) 61 8 54 11 -7
L-Lys 81 43 -38
* 3번 실험한 평균치
MG 제거제로 알려진 아미노구아니딘 (AG)의 첨가는 극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과정을 억제한다. 동일한 경향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특히 L-DAPA-L-Val (실시예 23), L-DAPA-L-Leu (실시예 1), L-DAPA-L-Ile (실시예 18)에서도 관찰되었다.
카르노신 및 메트포민과 같은 다른 알려진 MG 소거제는 본 실험에서 덜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MG에 의해 세포 성장을 억제와 비교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억제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이 EA 세포에 대해 비독성임을 보여준다. 이는 특히 L-DAPA-L-Val·2HCl (실시예 23), L-DAPA-L-Leu·HCl(실시예 1), L-DAPA-Ile·HCl (실시예 18), (2S,3S)-DASA-L-Val·HCl (실시예 29) 및 L-DAPA-L-Leu·TFA (실시예 3)에 있어, 실질적으로, 다른 물질의 첨가 없이 성장하는 대조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15% 낮다. 분자의 디아미노 잔기의 조성은 독성이 없고, 이에 대한 염을 포함하지도 않는다. 실제로, HCl 및 TFA 염뿐만 아니라 L-DAPA, (2S, 3S)-DASA 및 D-DAPA는 독성 및 비독성 물질에서 발견된다. 상기 화합물의 비독성은 MG 단독으로 성장하는 세포와 비교하여 이들의 MG-제거 활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화합물로 성장하는 세포수와 MG 및 분석 화합물의 존재하에 성장하는 세포수의 상대적인 수치상의 차이는 MG 소거제로서 물질로서의 역할 정도의 평가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8개의 화합물, 즉, L-DAPA-L-Val·2HCl (-3)(실시예 23), L-DAPA-L-Leu·2HCl (-13)(실시예 1), L-DAPA-I-Ile·2HCl (-9)(실시예 18), (2S,3S)-DASA-L-Val·2HCl (-15)(실시예 29), L-DAPA-L-Leu·2TFA (-18)(실시예 3), L-DABA-L-Leu·2TFA (-4)(실시예 12), 및 L-DAPA-L-Phe·2HCl (-6)(실시예 21)은 이러한 활성을 가진다. 또한 두 개의 다른 화합물, 즉, D-DAPA-D-Ala·2HCl (+1)(실시예 8) 및 L-DAPA-Gly·2HCl (+3)(실시예 17) 화합물은 활성을 억제한다. 달리 말하면, 이러한 세포 독성은 각각 39% 및 43%로 높다. 메트포민은 동일 농도에서 이 분자의 매우 낮은 독성을 가짐에도 약한 제거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2개 화합물의 돌연변이 시험: L- DAPA -L- Leu ( 실시예 1) 및L-DAPA-L-Val ( 실시예 23)
L-DAPA-L-Leu (실시예 1) 및 L-DAPA-L-Val (실시예 23) 단독, 및 메틸글리옥살과 혼합하여 인간 간 S9 단편 상에 7개의 살모넬라(Salmonella)로주 Ames 시험을 수행하였다.
Ames 시험에 사용된 농도는 하기와 같다:
-L-DAPA-L-Leu 단독, 또는 L-DAPA-L-Val 단독: 10 μM , 1 μM, 및 0.1 μM
-L-DAPA-L-Leu/메틸글리옥살 혼합물 또는 L-DAPA-L-Val/메틸글리옥살 혼합물: 10 μM , 1 μM, 및 0.1 μM
-메틸글리옥살: 10 μM
이때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시험 성분 농도(μM) 인간 S9 6 혼합 세포주 TA 98세포주
L-DAPA-L-Leu (실시예 1) 10/1/0.1 No - -
L-DAPA-L-Val (실시예 23) 10/1/0.1 No - -
L-DAPA-L-Leu 실시예 1: 대사산물 10/1/0.1 Yes - -
L-DAPA-L-Val: 실시예 23 (대사산물) 10/1/0.1 Yes - -
L-DAPA-L-Leu (실시예 1)+메틸글리옥살 10/1/0.1 No - -
L-DAPA-L-Val (실시예 23)+메틸글리옥살 10/1/0.1 No - -
L-DAPA-L-Leu (실시예 1)+메틸글리옥살 (대사산물) 10/1/0.1 Yes - -
L-DAPA-L-Val (실시예 23)+메틸글리옥살 (대사산물) 10/1/0.1 Yes - -
메틸글리옥살 10 No - -
메틸글리옥살(대사산물) 10 Yes - -
양성 대조군(4NQ0)/2NF) 2.6/9.5 No + +
양성 대조군(2AA)(대사산물) 51.7 Yes + +
음성 대조군(용매) - No - -
음성 대조군(용매) - Yes - -
-: 비-돌연변이성
+: 돌연변이성
L-DAPA-L-Leu 또는 L-DAPA-L-Val의 성분은 단독 또는 메틸글리옥살과의 조합에 있어, TA98, 상기 혼합 세포주 또는 인간 간 S9 단편에 대해 각 측정 농도에서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인간 간 S9 단편에 의한 대사 산물은 측정 농도에서 비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7)

  1. 하기 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7
    (상기 식에서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아미노산이고, 이때 상기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F)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또는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2개의 아미노산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이고, 상기 각각의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또는 1이고, 또는
    XR1은 PO3H 또는 SO3H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2는 H, XR1, C1-C6 알킬기, C1-C6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는 아민기(NH2), 카르복실기(COOH),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또는
    상기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 분 입체 이성질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이고,
    이때 하기 화합물은 제외된다:
    - R2가 수소 원자이고, X가 C=O, R1이 -NH-(CH2)m-COOH 이고, m이 1,2, 또는 3이고, n이 0, 1 또는 2이며,
    -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L-오르니틸-타우린, L-디아미노부티릴-타우린 및 L-디아미노프로피오닐 타우린: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5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4
    , 및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는 C=O, CH2 또는 C=S인 것인 화합물.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2가 XR1 또는 H인 것인 화합물.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이소루신(isoleucine), 프롤린(proline), 루신(leucine), 노르류신(norleuc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또는 t-루신(tert-leucine)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이고, n은 0, 1 또는 2인 화합물.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식 Ⅱ로 표시되는 것인 화합물: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6
    상기 식에서,
    R1은 -NH-R3-(C=O)R4 또는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7
    이고,
    R3
    - C1-C12의 알킬기, 바람직하기로 C1-C6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는 선택적으로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CF3, 페닐기, 페놀기, -COOH, 아민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된 페닐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관능기로 치환되고,
    - 페닐기, 이때 상기 페닐기는 선택적으로 아민기, OH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R4는 OH, NH2, C1-C30 알콕시기, 바람직하기로 C1-C20 알콕시이고;
    R2는 H, COR1, 또는 C1-C6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Y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이고, 바람직하기로 산소 원자이고;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혼합물이다.
  6. 전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n이 0인 화합물.
  7. 전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나타낸 바의 화합물, 및 L-오니틸-타우린, L-디아미노부티릴-타우린 및 L-디아미노프로피오닐 타우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6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7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8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19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0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0
  8. 식품 내 단백질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9.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료적 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10. 하기 식 Ⅰ로 표시되며, 제제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1
    (상기 식에서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아미노산이고, 이때 상기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또는
    X는 CH2, C=O, C=S, 또는 CHOH이고, R1은 2개의 아미노산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이고, 상기 각각의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또는 1이고, 또는
    XR1은 PO3H 또는 SO3H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2는 H, HR1, C1-C6 알킬기, C1-C6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 아라알킬기 또는 아릴기는 아민기(NH2), 카르복실기(COOH),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 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이때 하기 화합물은 제외된다: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식 Ⅱ로 표시되는 것인 화합물: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3
    상기 식에서,
    R1은 -NH-R3-(C=O)R4 또는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4
    이고,
    R3
    - C1-C12의 알킬기, 바람직하기로 C1-C6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는 선택적으로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CF3, 페닐기, 페놀기, -COOH, 아민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된 페닐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관능기로 치환되고,
    - 페닐기, 이때 상기 페닐기는 선택적으로 아민기, OH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R4는 OH, NH2, C1-C30 알콕시기, 바람직하기로 C1-C20 알콕시이고;
    R2는 H, COR1, 또는 C1-C6 알킬기이고, 이때 상기 알킬기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 불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CF3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Y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이고, 바람직하기로 산소 원자이고;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혼합물이다.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나타낸 바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18
    ,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2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3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7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8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49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0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1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2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3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4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5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6
    ,
    Figure 112007074038890-PCT00257
  13. 제10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반응성 카보닐 화합물 소거제(scavenger), 바람직하기로 최종 당산화물(AGEs) 형성에 대한 억제제인 것인 화합물.
  14. 제10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따른 상태 또는 질병의 방지 및/또는 치료, 최종 당산화물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따른 미생물의 노화에 의한 유해 효과의 방지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고, 또는 최종 당산화물의 형성 또는 단백질의 가교화에 의해 야기되는 당뇨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막기 위한 환자에게 유용한 것인 화합물.
  15. 제10항 내지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류머티스성 관절염, 알츠하이머 병, 요독증, 퇴행성신경질환,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당뇨병콩팥병증에 기인한 당뇨병성 망막증 및 신부전을 포함한 당뇨병성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 미세혈관병 및 거대 혈관병, 백내장, 혈액투석 또는 알츠하이머병 관련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치은염, 충치, 부코-덴탈 상태(bucco-dental condition), 당뇨병성 궤양, 만성 신부전(CRF), 만성 신장투석, 염증성 질환, 나이 관련 류마티스성 질환 및 피린증 중에서 선택된 질병 환자의 치료, 방지 및/또는 이의 진행을 늦추거나, 초기단계의 암을 치료를 위한 것인 화합물.
  16. 제10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구강으로 투여되는 것인 화합물.
  17. 표피 및 진피의 항노화 및 재건 활성 성분, 및/또는 항주름 활성 성분으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화장료 용도.
KR1020077023743A 2005-03-31 2007-10-16 Age 억제제 KR101343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3176A FR2883873B1 (fr) 2005-03-31 2005-03-31 Inhibiteurs d'age
FR0503176 2005-03-31
PCT/EP2006/061191 WO2006103274A1 (fr) 2005-03-31 2006-03-30 Inhibiteurs d'a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845A Division KR101536839B1 (ko) 2005-03-31 2006-03-30 Age 억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57A true KR20080006557A (ko) 2008-01-16
KR101343929B1 KR101343929B1 (ko) 2013-12-24

Family

ID=349553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845A KR101536839B1 (ko) 2005-03-31 2006-03-30 Age 억제제
KR1020077023743A KR101343929B1 (ko) 2005-03-31 2007-10-16 Age 억제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845A KR101536839B1 (ko) 2005-03-31 2006-03-30 Age 억제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20080249030A1 (ko)
EP (1) EP1863832B1 (ko)
JP (1) JP4695186B2 (ko)
KR (2) KR101536839B1 (ko)
CN (1) CN101268093B (ko)
AT (1) ATE540051T1 (ko)
AU (1) AU2006228163A1 (ko)
BR (1) BRPI0609783A8 (ko)
CA (1) CA2603386C (ko)
EA (1) EA200702104A1 (ko)
FR (1) FR2883873B1 (ko)
GE (1) GEP20104882B (ko)
MA (1) MA29416B1 (ko)
MX (1) MX2007012238A (ko)
WO (1) WO2006103274A1 (ko)
ZA (1) ZA2007088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6652A1 (ja) * 2007-03-20 2008-10-23 Shiseido Company, Ltd. 皮膚外用組成物
CN102448981B (zh) * 2009-05-29 2015-02-25 海德堡吕布莱希特-卡尔斯大学 甲基乙二醛清除化合物及其用于预防和治疗疼痛和/或痛觉过敏的用途
JP5787339B2 (ja) * 2009-12-28 2015-09-30 学校法人福岡大学 糖尿病前症の検査方法
FR2981073B1 (fr) * 2011-10-07 2013-12-27 Pharmamens Composes piegeurs d'alpha-oxoaldehydes et d'aldehydes alpha, beta-insatures,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leurs utilisations dans des traitements de maladies liees a l'accumulation des age et ale.
US20160024233A1 (en) * 2013-03-15 2016-01-28 Genzyme Corporation Sequestrants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 precursors
US20170319440A1 (en) * 2014-10-22 2017-11-09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latex foam
FR3038605B1 (fr) * 2015-07-06 2018-08-24 Universite Amiens Picardie Jules Verne Diamines primaires vicinales associees a des motifs chelateurs de metaux et/ou de radicaux libres, actives contre les stress carbonyle et oxydant et leur utilisation
JP6553491B2 (ja) * 2015-11-26 2019-07-31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最終糖化産物(AGEs)が関連する疾患の罹患又はそのリスクを予測する方法
CN112898342A (zh) * 2017-06-26 2021-06-04 上海日馨生物科技有限公司 苯磷硫胺衍生物、制备方法及其药物组合物
TWI685338B (zh) * 2017-12-14 2020-02-21 柯瑞 伊里阿斯 J 使用非可吸收性口服投予之化合物之包括第2型糖尿病、脂肪肝炎及相關病況之人類代謝症候群之預防及治療
JPWO2020071258A1 (ja) * 2018-10-03 2021-09-02 味の素株式会社 タンパク質糖化抑制剤
CN112881581B (zh) * 2021-01-15 2022-04-01 中国海洋大学 一种定量检测水产品中吡咯素和甲基乙二醛氢咪唑酮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747A (en) * 1984-03-19 1990-02-13 The Rockefeller University Method and agents for removing advanced glycosylation endproducts
US4758583A (en) * 1984-03-19 1988-07-19 The Rockefeller University Method and agents for inhibiting protein aging
US4908446A (en) * 1985-11-14 1990-03-13 The Rockefeller University Inhibitors of nonenzymatic cross-linking
FI890918A (fi) * 1988-03-11 1989-09-12 Eisai Co Ltd Polypeptider.
US5232735A (en) 1990-06-01 1993-08-03 Bioresearch, Inc. Ingestibles containing substantially tasteless sweetness inhibitors as bitter taste reducers or substantially tasteless bitter inhibitors as sweet taste reducers
CA2104594C (en) * 1991-02-22 2004-05-11 Howard K. Shapiro Use of pharmaceutical compounds in the treatment of symptoms of disorders related to neurological diseases and etiologically related symptomology
CA2117199C (en) * 1991-09-09 2004-12-28 Jurgen Michaelis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he complications and pathology of diabetes
HUT68764A (en) * 1991-11-27 1995-07-28 Bioresearch Inc Eatable taste modifiers
GB9200415D0 (en) * 1992-01-09 1992-02-26 Bagshawe Kenneth D Inactivation of cytotoxic drugs
US5780588A (en) * 1993-01-26 1998-07-14 Arizona Board Of Regents Elucidation and synthesis of selected pentapeptides
US5629174A (en) * 1993-07-26 1997-05-13 Cor Therapeutics, Inc. Recombinant C140 receptor
NZ302524A (en) * 1995-01-25 1999-05-28 Cor Therapeutics Inc Dna encoding the c140 re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therefor and use in assays to detect vascular pressure abnormalities
DK61695A (da) * 1995-06-01 1996-12-02 Aarhus Oliefabrik As Kakaoflavouraktive peptider, DNA som koder for dem, fremgangsmåder til fremstilling af peptiderne og deres anvendelse til frembringelse af kakaoflavour
US6083758A (en) * 1997-04-09 2000-07-0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for screening peptides for metal coordinating properties and fluorescent chemosensors derived therefrom
US6787566B2 (en) * 1999-04-05 2004-09-07 City Of Hope Breakers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US6589944B1 (en) 1999-04-05 2003-07-08 City Of Hope Breakers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US6605642B2 (en) * 1999-04-05 2003-08-12 City Of Hope Inhibitors of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US6337350B1 (en) * 1999-04-05 2002-01-08 City Of Hope Inhibitors of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CA2371391A1 (en) * 1999-04-29 2000-11-09 City Of Hope Pentoxifylline, pioglitazone and metformin are inhibitors of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WO2003084469A2 (en) * 2002-04-01 2003-10-16 Utah Ventures Ii, L.P. Tissue-specific endothelial membrane proteins
AU6842401A (en) * 2000-06-14 2001-12-24 Clontech Lab Inc Fluorescent timer proteins and methods for their use
DE10048260A1 (de) * 2000-09-29 2002-04-11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minoguanidin und/oder dessen Derivaten und Strukturanaloga zur Hautaufhellung von Altersflecken und/oder zur Verhinderung der Hautbräunung, insbesondere der durch UV-Strahlung hervorgerufenen Hautbräunung
PT1407004E (pt) * 2001-05-15 2009-08-31 Ortho Mcneil Janssen Pharm Iniciação ex-vivo para produção de linfócitos t citotóxicos específicos de ligando-cd40 para tratar doenças autoimunes e alérgicas
US7420002B2 (en) * 2001-06-11 2008-09-02 Xenoport Amino acid conjugates providing for sustained systemic concentrations of GABA analogues
US20030135023A1 (en) * 2001-06-27 2003-07-17 Hans-Ulrich Demuth Peptide structures useful for competitive modulation of dipeptidyl peptidase IV catalysis
EP1572891A2 (en) * 2001-10-15 2005-09-14 Barnes-Jewish Hospital Bone anti-resorptive compounds
CA2465123A1 (en) * 2001-10-30 2003-05-08 Pentapharm Ag Dermopharmaceutically and cosmetically active oligopeptides
JP2005537245A (ja) * 2002-06-26 2005-12-08 エントレメッ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ンパク質活性化レセプターのアンタゴニストを含む組成物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12176B2 (en) 2016-12-06
KR101536839B1 (ko) 2015-07-14
KR20130110222A (ko) 2013-10-08
EA200702104A1 (ru) 2008-02-28
US20080249030A1 (en) 2008-10-09
JP4695186B2 (ja) 2011-06-08
ATE540051T1 (de) 2012-01-15
MX2007012238A (es) 2008-03-18
FR2883873A1 (fr) 2006-10-06
ZA200708835B (en) 2009-09-30
WO2006103274A8 (fr) 2007-05-03
AU2006228163A1 (en) 2006-10-05
MA29416B1 (fr) 2008-04-01
JP2008534557A (ja) 2008-08-28
KR101343929B1 (ko) 2013-12-24
CA2603386C (fr) 2018-03-06
WO2006103274A1 (fr) 2006-10-05
US20120252866A1 (en) 2012-10-04
CA2603386A1 (fr) 2006-10-05
EP1863832B1 (fr) 2012-01-04
WO2006103274A9 (fr) 2007-01-18
CN101268093A (zh) 2008-09-17
GEP20104882B (en) 2010-01-11
BRPI0609783A2 (pt) 2011-10-11
FR2883873B1 (fr) 2009-07-10
BRPI0609783A8 (pt) 2018-03-13
CN101268093B (zh) 2013-04-03
EP1863832A1 (fr)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929B1 (ko) Age 억제제
CA2835369C (en) Peptide fragments for inducing synthesis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EP2848628A1 (en) Aromatic-cationic peptides and uses of same
KR20020040787A (ko) 디펩티딜 펩티다제 ⅳ의 국소용 신규 효능제
JP2009286799A (ja) 新規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および血圧レベルを低下させ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EP3466439A1 (en) Aromatic-cationic peptides and uses of same
DK2697246T3 (en) SELECTIVE CYSTEIN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JP2016533346A (ja) コレステロール誘発性ミトコンドリア機能不全を治療するための芳香族カチオン性ペプチドの使用
JP2017203036A (ja) 芳香族カチオン性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WO2002092781A2 (en) Peptide compounds for counteracting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ree radicals
CA3137531A1 (en) Hair growing agent and food or beverage product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