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231U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231U
KR20080006231U KR2020070009562U KR20070009562U KR20080006231U KR 20080006231 U KR20080006231 U KR 20080006231U KR 2020070009562 U KR2020070009562 U KR 2020070009562U KR 20070009562 U KR20070009562 U KR 20070009562U KR 20080006231 U KR20080006231 U KR 200800062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unit
ice making
making
ma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원
Original Assignee
권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원 filed Critical 권영원
Priority to KR2020070009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231U/ko
Publication of KR20080006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제빙 가능하게 마련된 제빙부와; 상기 제빙부에서 탈빙(脫氷)된 얼음을 수용하는 수용부본체와, 상기 수용부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제빙 및 탈빙 시에 발생하는 제빙수를 회수하는 상단회수부재를 갖는 얼음수용부와; 상기 얼음수용부와 연통되어 얼음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이송부본체와, 상기 이송부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제빙수를 회수하는 하단회수부재를 갖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비교적 간편하게 제빙수를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 {ICE MAK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얼음수용부 및 저장부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얼음수용부 및 저장부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제빙수수용부 및 제빙수공급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빙기 110 : 제빙부
111 : 증발기 113 : 공급노즐
120 : 얼음수용부 121 : 수용부본체
123 : 상단회수부재 125 : 슈트
130 : 이송부 131 : 이송부본체
133 : 하단회수부재 135 : 관통홀
137 : 집수부재 140 : 제빙수수용부
150 : 제빙수공급부 160 : 분쇄부
170 : 냉매부 171 : 압축기
173 : 응축기 175 : 팽창변
177 : 냉매배관
본 고안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수를 회수하는 구조를 개선한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만들며 다양한 제조공정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닭고기와 같은 육가공품을 제조하는 공정, 염료 또는 안료 제조공정 등에서 분위기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얼음이 사용된다.
증발기에서 얼음을 생성시키고 증발기를 따라 생성된 얼음은 증발기로부터 분리(탈빙:脫氷)된다.
탈빙된 얼음은 이송부로 이송되어 자동반출 저빙고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소정 크기로 파쇄 또는 분쇄되어 이송되거나 저장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빙수가 존재하는 경우 용이하게 얼음끼리 뭉쳐질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얼음으로부터 제빙수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적 간편하게 제빙수를 회수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빙기에 있어서, 제빙 가능하게 마련된 제빙부와; 상기 제빙부에서 탈빙된 얼음을 수용하는 수용부본체와, 상기 수용부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제빙 및 탈빙 시에 발생하는 제빙수를 회수하는 상단회수부재를 갖는 얼음수용부와; 상기 얼음수용부와 연통되어 얼음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이송부본체와, 상기 이송부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제빙수를 회수하는 하단회수부재를 갖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단회수부재는 격자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수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단회수부재에서 분리된 제빙수를 수용하는 제빙수수용부와; 상기 제빙수를 상기 제빙수수용부에서 상기 제빙부로 공급하는 제빙수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회수부재는 상기 이송부본체의 판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얼음수용부에 결합되어 얼음을 파쇄하여 상기 이송부로 공급하는 분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빙기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빙기(100)는 제빙부(110)와, 얼음수용부(120)와, 이송부(130)를 포함한다.
제빙부(110)는 얼음을 만든다. 제빙부(110)는 얼음수용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빙부(110)는 증발기(111)와 공급노즐(113)을 포함한다.
증발기(111)는, 저온의 냉매가 흐른다. 증발기(111)는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제빙수와 열교환을 일으켜 증발기(111) 표면에서 얼음을 생성시킨다. 이에, 증발기(111) 표면을 따라 얼음이 생성되며 생성되는 얼음의 두께는 제빙시간 등을 고려하여 제어할 수 있다.
공급노즐(113)은 제빙수를 증발기(111)에 공급한다. 공급노즐(113)은 증발기(111)를 따라 생성되는 얼음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증발기(11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증발기(111)는 제빙과정에 의해 발생된 얼음을 분리시킨다. 즉, 증발기(111)는 제빙과정에서 저온의 냉매를 통과시키나, 탈빙과정에서 고온의 냉매를 통과시킨다.
얼음수용부(120)는 제빙부(110)에서 탈빙된 얼음을 수용한다. 얼음수용부(120)는 증발기(111)에서 제빙 또는 탈빙된 얼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증발기(111)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음수용부(120)는 수용부본체(121)와 상단회수부재(123)를 갖는다.
수용부본체(121)는 얼음을 수용함과 동시에 제빙수를 모은다.
상단회수부재(123)는 수용부본체(12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제빙 및 탈빙시에 발생되는 제빙수를 회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제빙과정에서 증발기(111) 표면과 접촉 가능하게 공급되는 제빙수가 수용부본체(121)로 떨어진다. 또한, 탈빙과정에서 증발기(111) 내부에 고온의 냉매가 통과하므로 증발기(111) 외부 표면에 부착된 얼음이 부분적으로 녹으면서 발생되는 제빙수가 수용부본체(121)로 떨어진 다. 상단회수부재(123)는 일실시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얼음과 제빙수를 분리할 수 있다. 상단회수부재(123)에서 분리된 제빙수는 수용부본체(121)의 하측에 마련된 제빙수수용부(140)로 모인다. 즉, 얼음과 제빙수가 섞였을 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제빙수에 의해 얼음끼리 흡착되어 덩어리 얼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얼음과 제빙수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얼음끼리 흡착되어 덩어리(block) 얼음으로 변하는 현상을 예방 내지 방지할 수 있다.
이송부(130)는 얼음수용부(120)와 연통되며 얼음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얼음을 이송한다. 이송부(130)는 이송부본체(131)와 하단회수부재(133)를 포함한다.
이송부본체(131)는 얼음수용부(120)와 슈트(125)에 의해 연통된다. 이송부본체(131)는 얼음을 이송할 수 있는 스크류와 같은 이송수단을 수용한다.
하단회수부재(133)는 이송부본체(13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얼음을 이송하는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제빙수를 회수하는 기능을 한다. 하단회수부재(133)는 이송부본체(131)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35)를 갖는다. 하단회수부재(133)는 관통홀(135)를 통과한 제빙수를 모으는 집수부재(137)를 포함한다.
이에, 얼음과 제빙수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얼음끼리 흡착되어 덩어리(block) 얼음으로 변하는 현상을 예방 내지 방지할 수 있다.
제빙수수용부(140)는 수용부본체(12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단회수부재(123)에서 분리된 제빙수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제빙수수용부(140)는 상단회수부재(123) 및 하단회수부재(133)에서 분리된 제빙수를 모을 수 있도록 상단회수부재(123) 및 하단회수부재(133)의 하단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빙수수용부(140)에 수용된 제빙수는 제빙수공급부(150)를 거쳐 공급노즐(113)을 통해 증발기(111)로 공급된다. 제빙수수용부(140)의 제빙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보충수가 공급될 수 있다. 미도시된 제어부에서 제빙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빙수공급부(150)는 제빙수를 제빙수수용부(140)에서 제빙부(11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제빙수공급부(150)는 미도시된 펌프와 공급배관을 포함한다.
이에, 제빙수는 효율적으로 회수 또는 공급되어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분쇄부(160)는 얼음수용부(120)에 결합되어 얼음을 파쇄하여 이송부(130)로 공급한다. 이에, 얼음의 파쇄시에 소수의 제빙수가 발생할 수 있다. 분쇄부(160)는 일실시예로 얼음수용부(120)에 결합되나 필요에 따라 이송부(130)에서 이송된 얼음을 파쇄할 수도 있다. 분쇄부(160)는 미도시된 분쇄핀의 피치, 간격,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하여 분쇄되는 얼음의 크기를 선정할 수 있다.
냉매부(170)는 냉매를 압축, 응축 및 팽창시켜 증발기(111)로 공급한다. 냉매부(170)는 압축기의 압출량과 냉매의 종류에 따라 용량을 정할 수 있다. 냉매부(170)는 압축기(171), 응축기(173) 및 팽창변(175)을 포함한다. 냉매부(170)는 증발기(111)를 통과한 냉매를 순환시킨다.
압축기(171)는 증발기(111)를 통과한 냉매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시킨다. 압축기(171)를 통과한 냉매는 압축됨과 동시에 압축에 따라 고온으로 된다. 이에, 압축기(171)를 통과한 냉매는 고압, 고온 상태로 응축기(173)로 공급된다.
응축기(173)에서는 압축기(171)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냉매가 냉각된다. 즉, 외기의 팬과 같은 수단에 의해 냉매는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팽창변(175)은 냉매의 증발을 용이하게 하도록 팽창을 시킨다. 이에, 냉매는 저온 저압 상태로 되어 증발기(111)에서 증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배관(177)은 냉매부(170) 내부 및 냉매부(170)와 증발기(111) 사이의 냉매가 흐르도록 마련된다.
이에, 냉매는 순환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빙기(100)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빙과정을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71)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73)에서 응축되고 팽창변(175)에서 팽창되어 증발기(111)로 공급된다(도 1의 실선 화살표 참조). 이에, 증발기(111)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는 제빙수는 얼음이 되어 증발기(111) 표면에 부착되어 점점 얼음이 성장하여 소정의 얼음 두께를 갖는 얼음이 된다.
이러한 제빙과정에서 제빙수공급부(150)를 통해 공급노즐(113)에서 제빙수가 계속 증발기(111) 쪽으로 공급된다. 얼음수용부(120)로 떨어지는 제빙수는 상단회수부재(123)를 통해 제빙수수용부(140)로 저장된다.
탈빙과정을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71)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111)로 바로 공급되어 증발기(111)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에, 증발기(111) 외부 표면에 생성된 얼음이 증발기(111)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자중에 의해 얼음수용부(120)로 떨어진다. 이 때, 탈빙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빙수는 상단회수부재(123)를 통해 제빙수수용부(140)에 회수되어 저장된다.
얼음수용부(120)로 떨어진 얼음은 분쇄부(160)에서 소정 크기로 분쇄되며 분쇄된 얼음은 슈트(125)를 통해 이송부(130)로 공급된다.
이송부본체(131)에서 수용되어 이송되는 얼음은 자동반출저빙고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빙수는 얼음과 분리 가능하게 하단부의 관통홀(135)을 통해 집수부재(137)에 집수되어 드레인되거나 제빙수수용부(14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제빙수의 회수가 용이하고 제빙수를 회수하여 재활용함에 따라 제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간편하게 제빙수를 회수할 수 있어 덩어리 얼음으로 되는 것을 방지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빙수를 회수함에 따라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제빙기에 있어서,
    제빙 가능하게 마련된 제빙부와;
    상기 제빙부에서 탈빙된 얼음을 수용하는 수용부본체와, 상기 수용부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제빙 및 탈빙 시에 발생하는 제빙수를 회수하는 상단회수부재를 갖는 얼음수용부와;
    상기 얼음수용부와 연통되어 얼음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이송부본체와, 상기 이송부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제빙수를 회수하는 하단회수부재를 갖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회수부재는 격자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수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단회수부재에서 분리된 제빙수를 수용하는 제빙수수용부와;
    상기 제빙수를 상기 제빙수수용부에서 상기 제빙부로 공급하는 제빙수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회수부재는 상기 이송부본체의 판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수용부에 결합되어 얼음을 파쇄하여 상기 이송부로 공급하는 분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2020070009562U 2007-06-11 2007-06-11 제빙기 KR200800062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62U KR20080006231U (ko) 2007-06-11 2007-06-11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62U KR20080006231U (ko) 2007-06-11 2007-06-11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31U true KR20080006231U (ko) 2008-12-16

Family

ID=4132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562U KR20080006231U (ko) 2007-06-11 2007-06-11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23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88B1 (ko) * 2011-08-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20180092551A (ko) 2017-02-10 2018-08-20 김성재 커피얼음 제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88B1 (ko) * 2011-08-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20180092551A (ko) 2017-02-10 2018-08-20 김성재 커피얼음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3737B1 (en) Ice machine with assisted harvest
CN101495825B (zh) 自动制冰机及其运转方法
JPWO2008026292A1 (ja) 流下式製氷機
KR20120003233A (ko) 얼음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24185A (ja) 自動製氷機の製氷促進方法
KR20080006231U (ko) 제빙기
JP2009121768A (ja) 自動製氷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90102808A (ko) 얼음 정수기
KR20040102571A (ko) 하부에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
JP6875825B2 (ja) 製氷機
KR100519304B1 (ko) 냉장고
KR101647651B1 (ko) 제빙기
JP5448482B2 (ja) 自動製氷機
KR100631794B1 (ko) 튜브형 제빙장치
KR101470958B1 (ko) 수공냉 통합식 제빙기
KR100565502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JP3412677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CN203940678U (zh) 冰箱
JP3364454B2 (ja) 製氷機の脱氷方法
WO2024053205A1 (ja) 超低温冷凍システム
KR20050103749A (ko) 투명제빙 냉장고
JP2003194444A (ja) 自動製氷機
JPH08285334A (ja) 冷却システム
KR970000500B1 (ko) 축열시스템
KR200268357Y1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빙축열 냉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310

Effective date: 2010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