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824U - 프로그레시브금형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824U
KR20080005824U KR2020070008725U KR20070008725U KR20080005824U KR 20080005824 U KR20080005824 U KR 20080005824U KR 2020070008725 U KR2020070008725 U KR 2020070008725U KR 20070008725 U KR20070008725 U KR 20070008725U KR 20080005824 U KR20080005824 U KR 200800058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unch
push pin
retainer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8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824U/ko
Publication of KR20080005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8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6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형리테이너(32)가 구비되는 하형홀더(30)와; 상기 하형홀더(30)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형리테이너(63)가 구비되는 상형홀더(60)와; 상기 하형리테이너(32)에 구비되고 소재(20)가 안착되는 다이(35); 그리고 상기 상형리테이너(63)에 구비되어 상형홀더(60)와 함께 승강되고, 내부에 상기 다이(35)상에 안착된 소재를 눌러주는 푸시핀(90)이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다이(35)에 안착된 소재(20)를 타격하는 펀치;가 포함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펀치에 푸시핀을 구비하여 타격전 소재를 고정하고, 소재를 타격한 펀치가 승강될 때 가공된 소재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펀치가 소재를 끌고 올라가는 것이 방지되어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프로그레시브금형, 펀치, 푸시핀, 탄성부재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금형{Progressive mol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a 내지 3e는 본 고안에 의한 펀치가 소재를 타격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소재 21:바닥부
23:측면부 30:하형홀더
31:백킹플레이트 32:하형리테이너
33:다이포켓 35:다이
37:가이드블록 38:경사면
39:관통공간 41:리프터
42:탄성부재 43:몸체부
45:걸이단 47:소재안착부
60:상형홀더 61:백킹플레이트
63:상형리테이너 70:펀치
71:몸체부 73:펀칭부
75:지지단 77:간섭방지부
81:승강통공 83:설치통공
85:걸림턱 87:탄성부재
89:스크류플러그 90:푸시핀
91:몸체 93:걸이단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핀이 구비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모양의 소재를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필요한 형상을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은 절곡과정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에 의해 수행된다. 즉, 다이에 소재가 얹어지고, 상기 펀치가 다이에 대해 상하운동하면서 다이에 얹어진 소재를 타격하여 절곡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펀치(10)는 상형리테이너(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관과 골격을 몸체부(1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1)는 그 횡단면이 소재에 필요한 소정의 모양을 가진 바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일단에는 상기 상형리테이너의 내부에 고정되기 위한 걸이단(13)이 형성되고, 타단 에는 소재를 가공하기 위한 펀칭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펀칭부(1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대응되는 다이의 소재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는 소재가 각각의 펀치와 다이 사이에서 타격을 받아 가공이 이루어진다. 특히,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공 후 상기 펀치(10)가 다이를 빠져나가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될 때 가공된 소재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상기 펀치(10)가 소재를 끌고 올라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로 인해 펀치(10)에 소재가 걸어진 상태에서 다른 소재를 또 타격하게 되어 소재의 변형이 발생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일일이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펀치의 타격 전후에 소재가 다이쪽에 안착되도록 하는 푸시핀이 구비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구비되고 소재가 안착되는 다이; 그리고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구비 되어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되고, 내부에 상기 다이상에 안착된 소재를 눌러주는 푸시핀이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다이에 안착된 소재를 타격하는 펀치;가 포함된다.
상기 펀치는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승강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이에 안착된 소재를 타격하여 가공하는 펀칭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승강통공에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그 일단은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승강통공의 외측으로 탄성력을 받는 푸시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이는 내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가 형성되어 소재를 지지하며 승강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의 하단에 접촉되어 상기 리프터가 승강되도록 상형리테이너 방향으로 상기 리프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핀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큰 걸이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단에 의해 상기 푸시핀이 상기 펀치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어져 이동행정이 제한된다.
상기 푸시핀은 상기 상형리테이너가 상기 소재가 안착된 다이를 향해 하강하기 전에 상기 펀칭부보다 상기 소재를 향해 더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 푸시핀이 돌출되는 길이는 가공된 소재의 측면부의 높이보다 같거나 길다.
상기 푸시핀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다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재가 안착되는 리프터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작다.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의 상기 펀칭부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부와 소재의 절곡된 측면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펀치에 푸시핀을 구비하여 타격전 소재를 고정하고, 소재를 타격한 펀치가 승강될 때 가공된 소재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펀치가 소재를 끌고 올라가는 것이 방지되어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a를 참조하여 소재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소재(20)는 일반적으로 터미널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전성 재질, 즉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소재(20)는 펀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공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완성된 터미널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직 절곡되지 않은 펼쳐진 상태의 소재(20)를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후술할 펀치가 사용된다. 상기 소재(20)는 가공되면 바닥부(21)와 상기 바닥부(21)의 양단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측면부(23)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형홀더(30)상에는 백킹플레이트(31)와 하형리테이너(32)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31)와 하형리테이너(32)는 상기 하형홀더(30)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31)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32)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2)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게 다이포켓(33)이 형성된다. 상기 다이포켓(33)은 상기 하형리테이너(32)에 다수개가 소정의 피치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2)의 다이포켓(33) 내에는 다이(35)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35)는 그 상면에 소재(20)가 안착되어 후술할 펀치(70)가 상기 소재(20)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작업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35)는 상기 다이포켓(33) 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35)의 상면에는 상기 다이(35)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는 가이드블록(3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37)의 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면(38)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8)은 상기 다이(35)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8)은 상기 소재(20)를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게 한다. 즉, 후술할 리프터(41)가 내려가면, 상기 경사면(38)에 의해 가공하기에 적합한 형상이 나타난다.
상기 다이(35)와 상기 가이드블록(37)의 중심을 관통하여서는 리프터(41)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41)는 상기 다이(35)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간(39)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41)는 봉형상의 몸체부(43)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부(43)의 후단에는 걸이단(4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45)은 상기 리프터(41)의 몸체부(4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다이(35)의 내부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리프터(41)는 상기 걸이단(45)쪽이 상기 다이(35)의 관통공간(39) 내에서 탄성부재(4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후술할 상형리테이너(63) 방향으로 상기 리프터(4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리프터(41)의 상면에는 소재안착부(47)가 형성된다. 상기 소재안착부(47)는 후술할 펀치(70)가 타격하게 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소재(20)의 가공될 부분이 안착된다. 상기 소재안착부(47)의 폭은 후술할 펀칭부(73)의 선단폭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형홀더(30)측의 상방에는 상기 하형홀더(30)와 마주보게 상형홀더(60)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61)와 상형리테이너(63)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61)와 상형리테이너(63)는 상기 상형홀더(60)에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기 백킹플레이트(61)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3)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3)에는 상기 다이(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펀치(70)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70)는 상기 다이(35)와 협력하여, 상기 다이(35) 상에 안착된 소재(20)를 타격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프로그레시브금형(70)은 그 기능에 따라 단면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직 절곡되지 않은 펼쳐진 상태의 소재(20)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하는 판절곡펀치(이하 '펀치'라 칭함)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펀치(70)의 외관과 골격은 몸체부(7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71)는 단면이 소정의 형상을 가진 바아형상으로 상기 상형홀더(60)와 일체로 구동된다.
상기 몸체부(71)의 선단에는 펀칭부(73)가 형성된다. 상기 펀칭부(73)의 선단은 소재(20)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그 접촉면은 대략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펀칭부(73)는 소재(20)에서 가공될 부분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다이(35)의 소재안착부(47)에 안착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71)의 후단에는 지지단(7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75)은 상기 몸체부(7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63) 내에 지지된다.
상기 몸체부(71) 선단의 상기 펀칭부(73)의 양측면에는 간섭방지부(77)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부(77)는 상기 펀칭부(73)의 외면 일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부(77)는 상기 펀치(70)가 하강하여 소재를 타격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71)와 소재(20)의 절곡된 측면부(23)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펀치(70)에는 상기 펀칭부(73)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71)를 관통하여 승강통공(81)이 천공된다. 상기 승강통공(81)은 그 일측이 상기 다이(35)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통공(81)에는 후술할 푸시핀(90)의 몸체(91)가 입출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승강통공(81)의 횡단면은 푸시핀(90)의 몸체(91)의 횡단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펀치(70)의 몸체부(71)를 관통해서는 설치통공(8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통공(83)은 상기 승강통공(81)과 연통되고, 동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통공(83)과 상기 승강통공(81)을 통해서 푸시핀(90)이 상기 펀치(70)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설치통공(83)의 직경은 상기 승강통공(8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통공(83)과 상기 승강통공(81)의 연결부분에는 단차지게 걸림턱(8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85)에는 후술할 푸시핀(90)의 걸이단(93)이 걸어진다. 상기 걸림턱(85)은 상기 펀치(70)의 외부로 푸시핀(90)의 몸체(91) 일단이 일정행정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통공(83)의 직경은 푸시핀(90)의 걸이단(93)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통공(8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87)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87)로는 원통코일스프링이나,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7)의 일단은 푸시핀(90)의 걸이단(93)과 접하여 상기 하형리테이너(31) 방향으로 푸시핀(9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7)는 상기 리프터(41)의 탄성부재(42)보다는 작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펀치(70)가 소재를 타격하기 전 푸시핀(90)이 소재의 일면에 먼저 안착되어 소재를 눌러주므로 푸시핀(90)에 의해 리프터(41)가 상기 펀치(70)보다 먼저 하강되어 소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펀치(70)의 설치통공(83)에는 상기 탄성부재(87)의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스크류플러그(89)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플러그(89)는 외면의 수나사부(미도 시)와 설치통공(83) 내면의 암나사부(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설치통공(83)내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통공(81)과 설치통공(83)을 관통하여서는 푸시핀(90)이 설치된다. 상기 푸시핀(90)은 대략 긴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 외관과 골격을 몸체(91)가 형성한다. 상기 푸시핀(90)은 펀치(70)가 소재를 타격하기 전에는 소재(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소재(20)를 타격한 후에는 가공된 소재(20)가 상기 펀칭부(73)에 걸어져 상기 펀치(70)가 가공된 소재(20)를 끌고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시핀(90)의 몸체(91) 일단은 상기 승강통공(81)을 관통하여 상기 다이(35)를 향해 상기 펀칭부(73)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핀(73)은 가공된 소재(20)의 측면부(23)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된다. 이는 상기 푸시핀(73)이 소재(20)를 눌러준 상태로 상기 펀치(70)가 승강하여 소재(20)와 분리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펀치(70)가 소재(20)를 타격한 후 승강될 때, 상기 펀치(70)가 소재(20)를 끌고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재(20)와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상기 푸시핀(90)이 소재(20)를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푸시핀(73)의 돌출된 길이가 가공될 소재(20)의 높이와 동일하여도 된다.
상기 푸시핀(90)의 타단에는 걸이단(9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93)은 푸시핀(90)의 몸체(91)에 비해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93)은 상기 푸시핀(90)이 상기 펀치(70)에 설치되면 상기 설치통공(83)의 걸림턱(85)에 걸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이단(93)은 상기 승강통공(81)과 설치 통공(83)의 사이가 단차지므로 상기 설치통공(83)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걸림턱(85)에 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85)에 의해 상기 푸시핀(90)의 일단이 상기 펀칭부(73)의 외부로 돌출되는 정도가 규제된다.
이때, 상기 푸시핀(90)은 상기 펀치(70)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오랜 사용에 의해 상기 푸시핀(90)이 마모되면 상기 펀치(70)에서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3e 에는 본 고안에 의한 펀치가 소재를 타격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푸시핀(90)은 승강통공(81)을 관통하여 다이(35)를 향해 그 선단이 소정 길이 돌출되게 펀치(7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35)의 소재안착부(47)에는 가공을 위한 소재(20)가 안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다이(35)에 안착된 소재를 타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형홀더(60)가 하형홀더(30) 방향으로 하강한다. 상기 상형홀더(60)가 상기 하형홀더(30) 방향으로 계속하여 하강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70)도 상기 상형홀더(60)와 함께 하강되어 상기 펀치(70)의 푸시핀(90)이 상기 소재(20)의 일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60)가 더 하강하더라도, 상기 푸시핀(90)을 가압하는 상기 탄성부재(87)의 탄성력이 상기 리프터(41)의 탄성부재(42)의 탄 성력보다 작아 상기 푸시핀(90)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므로 상기 탄성부재(87)가 압축되면서, 상기 푸시핀(90)이 상기 승강통공(81)을 통해서 소정 거리만큼 후퇴하여 상기 소재(20)를 상기 리프터(41)의 선단에 밀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60)가 더 하강하게 되면 상기 펀치(70)가 상기 소재(20)와 함께 리프터(41)를 눌러주어 상기 리프터(41)가 탄성부재(42)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소재(20)가 실제로 다이(35) 위에 안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펀치(70)의 타격에 의해 상기 소재(20)가 경사면(38)이 형성된 상기 다이(35)의 내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는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재(20)가 상기 다이(35)내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재(20)는 상기 경사면(38)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다. 이때, 상기 소재(20)의 측면이 상기 소재(20)의 바닥면에 대해서 절곡된 각도는 상기 경사면(38)의 각도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 펀치(70)가 하강할 때, 상기 소재(20)의 측면부(23)와 상기 펀치(70)의 펀칭부(73)는 상기 펀칭부(73)에 형성된 간섭방지부(77)가 상기 펀칭부(73)보다 더 요입되므로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펀치(70)에 의해 상기 소재(20)의 타격이 완료되면, 다음 가공을 위해 상기 상형홀더(60)가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펀치(70)도 함께 상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펀치(7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프터(41)를 누르는 힘도 제거되므로, 상기 펀치(70)의 상승과 동시에 상기 리프터(41)도 상기 리프터(41)의 탄성부재(42)에 의해 일정거리만큼 상승되고, 상기 리프터(41)에 의해 가 공된 소재(20)도 상승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펀치(70)가 상부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푸시핀(90)은 탄성부재(8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소재(20)의 일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펀치(70)가 상승되더라도 상기 소재(20)의 가공된 형상에 의해 상기 펀치(70)가 상기 소재(20)를 끌고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왜냐하면, 상기 푸시핀(73)이 가공될 소재(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되므로, 상기 펀치(70)가 소재(20)에서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상기 푸시핀(90)이 소재(20)를 누르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60)가 더 상승하여, 상기 펀치(70)가 상승되면, 상기 펀치(70)내의 탄성부재(87)가 복원되면서, 상기 푸시핀(90)이 상기 승강통공(81)을 통해서 일정행정만큼 승강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핀(90)의 걸이단(93)이 상기 펀치(70)의 걸림턱(85)에 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형홀더(60)가 더 상승하면, 상기 푸시핀(90)이 상기 소재(20)의 일면에서 멀어짐으로써 상기 펀치(70)와 상기 소재(20)가 분리되고,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20)는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펀치에 푸시핀을 구비하여 펀치가 소재를 타격한 후 푸시핀이 소재를 눌러준 상태에서 펀치가 먼저 입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가공된 소재의 형상에 의해 펀치가 소재를 끌고 올라가는 것이 방지되어 가공된 소재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소재의 불량률이 감소되고, 프로그레시브금형장치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푸시핀은 펀치가 소재를 타격하기 전 소재의 일면에 먼저 안착되어 소재를 눌러 줌으로 소재의 가공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구비되고 소재가 안착되는 다이; 그리고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구비되어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되고, 내부에 상기 다이상에 안착된 소재를 눌러주는 푸시핀이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다이에 안착된 소재를 타격하는 펀치;가 포함되는 프로그레시브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승강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이에 안착된 소재를 타격하여 가공하는 펀칭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승강통공에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그 일단은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승강통공의 외측으로 탄성력을 받는 푸시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는
    내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가 형성되어 소재를 지지하며 승강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의 하단에 접촉되어 상기 리프터가 승강되도록 상형리테이너 방향으로 상기 리프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큰 걸이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단에 의해 상기 푸시핀이 상기 펀치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어져 이동행정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은 상기 상형리테이너가 상기 소재가 안착된 다이를 향해 하강하기 전에 상기 펀칭부보다 상기 소재를 향해 더 돌출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이 돌출되는 길이는 가공된 소재의 측면부의 높이보다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
  7. 제 1 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다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재가 안착되는 리프터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의 상기 펀칭부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부와 소재의 절곡된 측면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가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
KR2020070008725U 2007-05-28 2007-05-28 프로그레시브금형 KR200800058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725U KR20080005824U (ko) 2007-05-28 2007-05-28 프로그레시브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725U KR20080005824U (ko) 2007-05-28 2007-05-28 프로그레시브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824U true KR20080005824U (ko) 2008-12-03

Family

ID=4132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725U KR20080005824U (ko) 2007-05-28 2007-05-28 프로그레시브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8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4042A (zh) * 2011-06-29 2014-01-22 现代制铁株式会社 用于测量材料的形状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4042A (zh) * 2011-06-29 2014-01-22 现代制铁株式会社 用于测量材料的形状的装置
KR101443089B1 (ko) * 2011-06-29 2014-09-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형상 측정장치
US9459085B2 (en) 2011-06-29 2016-10-04 Hyundai Steel Company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hape of a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07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안내장치
KR200448120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9007383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1336954B1 (ko) 찍힘을 방지하는 타발금형장치
KR100652197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KR20130008868A (ko) 도어 힌지편 밴딩장치
KR20080005824U (ko) 프로그레시브금형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KR20090091402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안내장치
KR20090006611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110020656A (ko) 다중 가공 프레스 장치
CN213701476U (zh) 一种带有定位机构的模具
KR100823342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가이드장치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KR100957490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100654690B1 (ko)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KR100897375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CN205386623U (zh) 成型组件
CN219443096U (zh) 一种斜面吊冲打孔机构
KR200448595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89415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KR10083070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돗트부 성형장치
CN211757935U (zh) 冰箱滑轨滚压凸台冲孔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