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728U - 이륜 겸용 삼륜자전거 - Google Patents

이륜 겸용 삼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728U
KR20080005728U KR2020070008555U KR20070008555U KR20080005728U KR 20080005728 U KR20080005728 U KR 20080005728U KR 2020070008555 U KR2020070008555 U KR 2020070008555U KR 20070008555 U KR20070008555 U KR 20070008555U KR 20080005728 U KR20080005728 U KR 200800057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s
fork
bicyc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오
Original Assignee
김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오 filed Critical 김정오
Priority to KR2020070008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728U/ko
Publication of KR20080005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2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4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ri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륜 2개의 바퀴와 1개의 후륜으로 구분되는 3개의 바퀴가 있고, 이륜에서 삼륜으로 변화가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로서, 상기 전륜에는 핸들에 의해 좌,우 방향조절 되는 핸들 포스트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에는 전방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안장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과 후륜에 구비된 후방프레임과 연결프레임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지지프레임은 중심프레임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중심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가 좌,우 폐달부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는 자축에 구비된 후륜의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자전거로서, 전륜 포크 크라운의 좌,우 양쪽에 L자형의 포크 2개를 별도로 포크 크라운에 삽입 결합 시키어 좌,우로 연동되게 하고 포크의 말단 축에 2개의 바퀴를 각각 삽입 결합하여 바퀴가 회전토록 된 것으로서 전륜 2개의 바퀴가 2륜시에는 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지만 삼륜으로 사용시에는 양쪽 바퀴가 지면에서 자전거 중심쪽으로 기울어져 안정성을 높혀 바퀴의 지지점이 3개가 되어 초보자라 할지라도 넘어지지 않고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으며 자전거가 주행하여도 넘어질 염려가 없어 경치를 구경하면서 천천히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속도를 내거나 자전거 보관대에 세워 둘 때에는 자전거의 중심쪽으로 좌,우의 포크를 이동시키어 고정핀으로 고정시키어 사용하면 속도를 낼 수 있고 또한 자전거 보관대에 세워둘 때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륜 겸용 삼륜자전거{omitted}
도 1은 본고안에 따른 삼륜 자전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에 있어, 고정핀의 작용을 나타낸 주요 부분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삼륜자전거 2 : 포크 크라운
3,3' : L 자형 포크 4,4' : 전륜
5,5' : 고정핀 6 : 스프링
7 : 핸들포스트 8,8' : 전륜, 축
9,9' : 핀구멍
본 고안은 이륜겸용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전륜을 2개 구비하여 포크를 오므리면 이륜이 되고 벌리면 삼륜이 되게 포크 크라운에 포크를 연동되게 설치하고 고정핀으로 고정시키어 지지점이 3개가 되어 주행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이륜겸용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담압력을 이용하여 전륜이나 후륜을 구동시킴으로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전거는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효과와 함께 레크레이션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한편 환경친화적인 특성에 의해 수요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종래 자전거는 전륜과 후륜(102)으로 구분되는 한쌍의 바퀴가 있고, 상기 전륜에는 핸들(103)에 의해 좌,우 방향 조절되는 핸들포스트(7)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포스트(7)에는 전방 프레임(105)과 그 지지프레임(106)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05)은 안장(108)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107)과 후륜(102)에 구비된 후방프레임(109)이 연결프레임(114)에 의해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06)은 중심프레임(107)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6)과 중심프레임(107)과 연결프레임(114)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110)와 좌,우 페달부(111)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110)는 차축(115)에 구비된 후륜(102)의 스프라켓(112)과 체인(113)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전거는 전륜과 후륜이 하나씩 구비된 인라인식 구조로 되어 있어 자전거를 처음 배울 때에는 무수히 넘어지는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스스로 넘어지지 않고 중심을 잡는 법을 터득하게 되는데, 자전거 타는 법을 배우는 과정에서 넘어질 경우 자칫 크게 다칠 우려도 있는 것이며,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속도가 있어야 하므로 이러한 속도로 인해 자전거를 탄 상태에서 주위 경관을 구경하거나 주위의 사람과 대화를 하기는 어려운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전거의 전륜을 2개 구비하여 바퀴를 모아주면 이륜이 되고 벌리어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면 양쪽 바퀴가 지면에서 안쪽으로 기울어 넘어지지 않는 삼륜 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2개의 바퀴가 구비된 전륜과 후륜에는 1개의 바퀴가 있고, 상기 전륜에는 핸들에 의해 좌,우 방향 조절되는 핸들 포스트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에는 전방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인장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과 후륜에 구비된 후방프레임과 연결프레임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지지프레임은 중심프레임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중심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와 좌,우 페달부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는 차축에 구비된 후륜의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자전거로서, 상기 포크크라운에는 L자형의 포크 2개를 좌,우에 각각 배치 결합 연동되게 하여 2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좌,우의 포크를 가운데로 모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면 이륜이 되고 부피가 적어 편리하고, 포크를 양쪽으로 벌리어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면 지지점이 3개가 되고 2개의 바퀴가 지면에서 안쪽으로 기울어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였으며 포크 크라운의 전면에 2개의 포크와 고정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이륜겸용 삼륜자전거(1)는 2개의 바퀴가 구비된 전륜(4)(4')과 후륜(102)에는 1개의 바퀴가 있고, 상기 전륜(4)(4')에는 핸들(103)에 의해 좌,우 방향 조절되는 2개의 포크(3)(3')가 구비되며 상기 포크(3)(3')는 포크 크라운(2)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핸들(103)에 연결 상호 결합되게 하고 상기 핸들포스트(7)에는 전방 프레임(105)과 지지프레임(106)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105)는 안장(108)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107)과 후륜(102)에 구비된 후방프레임(109)과 연결프레임(114)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06)은 중심프레임(107)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6)과 중심프레임(107)과 연결프레임(114)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110)와 좌,우 폐달부(111)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110)는 차축(115)에 구비된 후륜(102)의 스프라켓(112)과 체인(113)으로 연결된 자전거에 있어서, 포크 크라운(2)의 좌,우 양쪽에 L 자형의 포크(3)(3')2개를 별도로 포크크라운(2)에 삽입 결합시키어 좌,우로 연동되게 하고 포크(3)(3')의 말단축(8)에 2개의 바퀴(4)(4')를 각각 삽입 결합하여 바퀴가 회전토록 하고 포크(3)(3')의 전면부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고정핀(5)(5')이 구비되며 포크크라운(2)의 전면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포크(3)(3')가 구비되며 포크크라운((2)의 전면에 좌,우 양쪽에 2개씩의 고정핀 구멍(9)(9')을 뚫어 포크(3)(3')를 움직여 원하는 이륜,삼륜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핀(5)(5')으로 포크(3)(3')를 고정시키도록 고정핀(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포크(3)(3')에 구비된 전륜(4)(4')은 삼륜으로 포크(3)(3') 조정하여 고정핀(5)(5')으로 포크크라운(2)의 고정핀 구멍(9)(9')에 삽입 고정하면 후륜(102)과의 지지점이 정삼각형에 가깝게 되어 운행시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어 노약자나 어린이가 운행하기에 적합하며, 반대로 이륜으로 포크(3)(3')를 조정, 고정핀(5)(5')으로 포크크라운(2)의 전면부 고정핀 구멍(9)(9')에 끼워 고정시키면 전륜(4)(4')이 안쪽으로 밀착되어 속도를 낼 수 있으며 부피가 적어지므로 자전거 보관대에 세워두기가 편리하므로 여성이나 청소년 등이 운행하기 적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삼륜으로 사용시 양쪽바퀴가 안쪽으로 기울어져 자전거의 지지점이 3개가 되어 초보자라도 할지라도 넘어지지 않고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으며 자전거가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어 위험성이 거의 없으며 자전거를 천천히 주행하여도 넘어질 염려가 없어 경치를 구경하면서 주행할 수 있으며 이륜으로 사용시 속도를 낼 수 있고 부피가 적어 자전거 보관대에 세울 수 있 여성이나 청소년 등이 편리하게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2개의 바퀴가 구비된 전륜(4)(4')과 후륜(102)에는 2개의 바퀴가 있고 상기 전륜(4)(4')에는 핸들(103)에 의해 좌,우 방향 조절되는 2개의 포크(3)(3')가 구비되며 상기 포크(3)(3')는 포크크라운(2)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포크크라운(2)은 핸들(103)에 연결 상호 결합되게 하고 상기 핸들포스트(7)에는 전방프레임(105)과 지지프레임(106)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05)은 안장(108)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107)과 후륜(102)에 구비된 후방프레임(109)과 연결 프레임(114)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06)은 중심프레임(107)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6)은 중심프레임(107)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6)과 중심프레임(107)과 연결프레임(114)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110)와 좌,우 페달부(111)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110)는 차축(115)에 구비된 후륜(102)의 스프라켓(112)과 체인(113)으로 연결된 자전거에 있어서, 포크크라운(2)의 좌,우 양쪽에 L자형의 포크(3)(3') 2개를 별도로 포크크라운(2)에 삽입 결합시키어 좌,우로 연동되게 하고 포크(3)(3')의 말단축(8)에 2개의 바퀴 전륜(4)(4')를 각각 삽입 결합하여 바퀴가 회전토록 하고 포크(3)(3')의 전면부에 구비된 좌,우 한쌍의 고정핀(5)(5')이 구비되며 포크크라운(2)의 전면에 좌,우 양쪽에 2개씩의 고정핀 구멍(9)(9')을 뚫어 포크(3)(3')를 움직여 원하는 이륜,삼륜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핀(5)(5')으로 포크(3)(3')를 고정시키도록 하여 포크(3)(3')는 고정핀(5)(5')이 포크크라운(2)의 고정핀 구멍(9)(9')을 통과하여 포크(3)(3')에 뚫려 있 는 구멍을 통과하여 포크크라운(2)과 포크(3)(3')를 하나로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겸용삼륜 자전거.
KR2020070008555U 2007-05-25 2007-05-25 이륜 겸용 삼륜자전거 KR200800057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55U KR20080005728U (ko) 2007-05-25 2007-05-25 이륜 겸용 삼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55U KR20080005728U (ko) 2007-05-25 2007-05-25 이륜 겸용 삼륜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28U true KR20080005728U (ko) 2008-11-28

Family

ID=4132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555U KR20080005728U (ko) 2007-05-25 2007-05-25 이륜 겸용 삼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7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356A3 (ko) * 2012-04-12 2013-12-05 Kim Jung Keon 자전거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이륜 및 삼륜 변환이 가능한 자전거와 유모차
WO2016071526A1 (en) * 2014-11-06 2016-05-12 Yvolve Sports Ltd. Recreational bicy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356A3 (ko) * 2012-04-12 2013-12-05 Kim Jung Keon 자전거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이륜 및 삼륜 변환이 가능한 자전거와 유모차
US9321499B2 (en) 2012-04-12 2016-04-26 Jung Keon KIM Bicycle frame and bicycle, and baby carriage using same capable of two-wheel and three-wheel conversion
WO2016071526A1 (en) * 2014-11-06 2016-05-12 Yvolve Sports Ltd. Recreational bi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590B1 (en) Standing-pedaling bike
US10322767B2 (en) Carry-on foldable stepper scooter
US20060186641A1 (en) Combination vehicle frame
EP2222539A2 (en) Tricycle kick board
CN102216152A (zh) 改进的踏板车和踏板驱动组件
CZ300657B6 (cs) Univerzální skládací jízdní kolo
US10011316B2 (en) Vehicle with foldable double-wheel assembly
EA020895B1 (ru) Складной велосипед
US20060103105A1 (en) Standing cycle
KR20150024545A (ko) 자전거 스탠드
ATE505395T1 (de) Dreirad mit zusätzlichem getriebelenkmechanismus
US7243931B2 (en) Turning device for a wheel set
KR20080005728U (ko) 이륜 겸용 삼륜자전거
US8070174B2 (en) Multi-mode tandem bicycle
US8220813B2 (en) Pedal-driven scooter
CN201062077Y (zh) 一种便携、折叠式自行车
KR20060038411A (ko) 스윙식 추진장치
KR20090011620U (ko) 이륜겸용 삼륜자전거
KR100704886B1 (ko)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EP1717139B1 (en) Combination vehicle frame
KR100768964B1 (ko) 기립식 운동용 소형자전거
KR100894694B1 (ko) 모터레포츠 장비
KR200339826Y1 (ko) 레저커플자전거
KR101518671B1 (ko) 결합이동수단과 그것의 측면결합수단 용도의 링크장치와 사이드카 용도의 킥보드
KR101608186B1 (ko) 결합이동수단의 측면결합을 위한 링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