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320U - 염전용 수문 - Google Patents

염전용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320U
KR20080005320U KR2020070007592U KR20070007592U KR20080005320U KR 20080005320 U KR20080005320 U KR 20080005320U KR 2020070007592 U KR2020070007592 U KR 2020070007592U KR 20070007592 U KR20070007592 U KR 20070007592U KR 20080005320 U KR20080005320 U KR 200800053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hinge
gate
passage
embank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689Y1 (ko
Inventor
최윤혁
Original Assignee
신화파스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파스칼(주) filed Critical 신화파스칼(주)
Priority to KR2020070007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68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3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3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02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a buffer zone in the water to separate, e.g. salt and swee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염전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염전지와 수로 사이의 제방에 형성된 통로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염전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은 염전의 수로와 염전지의 사이의 제방에 형성된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염전용 수문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일측 입구의 상부에 중앙 위치에서 염전지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에 제1힌지가 구비되고, 하부에 제2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방에 고정된 힌지브라켓과, 일측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통로의 일측 입구의 주변에 맞닿는 크기를 갖고, 타측면에 중앙의 위치에서 연결봉이 염전지의 내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그 연결봉의 말단에 연결된 힌지링크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1힌지에 힌지 연결된 수문판과,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2힌지에 힌지 연결되고,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2힌지에 힌지 연결되고,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을 따라 상기 수문판의 힌지링크의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슬라이딩 핀이 이동되면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염전, 수문

Description

염전용 수문{FLOODGATE FOR SALT FIEL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염전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염전의 개폐수단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수문
11 프레임
12 힌지브라켓
12a,12b 제1,2힌지
13 수문판
131 연결봉
132 힌지링크
133 밀착패드
14 레버
141 슬라이딩 슬롯
142 슬라이딩 핀
B 제방
G 통로
E 염전지
W 수로
본 고안은 염전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지와 수로 사이의 통로를 용이하게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는 염전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염전은 크게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의 셋으로 이루어지며, 이 밖에 염퇴장 및 도로 등이 부설된다. 상기에서 저수지는 바닷물을 가두는 곳이고, 증발지는 햇볕과 바람으로 물을 증발시키는 곳이며, 결정지는 증발지에서 농축된 포화함수를 엷게 펴서 농축시키고 소금을 결정 석출시켜서 채염하는 곳을 말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통상의 염전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 상기와 같은 염전은 저수지 등과 같은 염전지(E)이 제방(B)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제방(B) 사이에는 염수의 이동을 위한 수로(W)가 형성된다. 상기 수로(W)와 염전지(E) 사이의 제방(B)에는 염수의 이동을 통로(G)가 형성되고, 그 통로(G)는 개폐수단(V)에 의해 개폐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수로(W)와 염전지(E) 사이의 제방(B)에 설치된 종래의 개폐수단(V)을 도시한 것으로, 종래에는 상기 통로(G)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 단(V)이 통상 천막과 같은 수밀성 재질의 시트부재로 통로(G)의 입구를 막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천막과 같은 시트부재로 개폐수단(V)이 구성된 경우에는 통로(G)의 개폐를 위해 시트부재를 걷고 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트부재와 제방(B)의 접촉 틈새의 밀봉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염전지와 수로 사이의 제방에 형성된 통로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염전용 수문을 제공하기 위한 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은, 염전의 수로와 염전지의 사이의 제방에 형성된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염전용 수문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일측 입구의 상부에 중앙 위치에서 염전지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에 제1힌지가 구비되고, 하부에 제2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방에 고정된 힌지브라켓과, 일측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통로의 일측 입구의 주변에 맞닿는 크기를 갖고, 타측면에 중앙의 위치에서 연결봉이 염전지의 내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그 연결봉의 말단에 연결된 힌지링크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1힌지에 힌지 연결된 수문판과,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2힌지에 힌지 연결되고,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2힌지에 힌지 연결되고,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을 따라 상기 수문판 의 힌지링크의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슬라이딩 핀이 이동되면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은, 상기 수문판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패드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은, 상기 통로의 일측 입구에는 그 입구의 상하변 및 좌우변을 일주하는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상변의 중앙에 연결되어 제방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수문(1)은 염전의 수로(W)와 염전지(E)의 사이의 제방(B)에 형성된 통로(G)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통로(G)의 일측 입구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수문(1)은 프레임(11), 힌지브라켓(12), 수문판(13) 및 레버(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수문판(1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그 수문판(13)이 연결되도록 상기 통로(G)의 일측 입구에서 그 입구의 상하변 및 좌우변을 일주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1)에는 상기 수문판(13)의 가장자리가 밀착되어 그 틈새를 막게 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2)은 상기 프레임(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수문판(13) 및 레버(14)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브라켓(12)은 상기 통로(G)의 일측 입구의 상부에 중앙 위치에서 상기 제방(B)에 고정된다. 즉, 상기 힌지브라켓(12)은 상기 프레임(11)의 상변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1)과 함께 상기 제방(B)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힌지브라켓(12)에는 상기 수문판(13)과 레버(14)가 힌지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힌지브라켓(12)은 염전지(E)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에 제1힌지(12a)가 구비되고, 하부에 제2힌지(12b)가 구비되며, 상기 제방(B)에 고정된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제방(B)에 고정된다.
상기 수문판(13)은 일측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통로(G)의 일측 입구의 주변에 맞닿는 크기를 갖고, 타측면에 중앙의 위치에서 한 쌍의 나란한 연결봉(131)이 염전지(E)의 내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그 연결봉(E)의 말단에 연결된 힌지링크(13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12)의 제1힌지(12a)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통로(G)의 일측 입구 가장자리와 맞닿는 수문판(13)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패드(133)가 부설된다.
상기 레버(14)는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수문판(13)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12)의 제2힌지(12b)에 힌지 연결되고,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141)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 핀(142)에 의해 상기 수문판(13)의 힌지링크(132)의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핀(142)이 상기 슬라이딩 슬롯(14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수문판(13)과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수문은 염전지와 수로 사이의 제방에 형성된 통로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염전용 수문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염전의 수로와 염전지의 사이의 제방에 형성된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염전용 수문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일측 입구의 상부에 중앙 위치에서 염전지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에 제1힌지가 구비되고, 하부에 제2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방에 고정된 힌지브라켓과,
    일측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통로의 일측 입구의 주변에 맞닿는 크기를 갖고, 타측면에 중앙의 위치에서 연결봉이 염전지의 내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그 연결봉의 말단에 연결된 힌지링크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1힌지에 힌지 연결된 수문판과,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2힌지에 힌지 연결되고,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을 따라 상기 수문판의 힌지링크의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슬라이딩 핀이 이동되면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판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패드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수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일측 입구에는 그 입구의 상하변 및 좌우변을 일주하는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상변의 중앙에 연결되어 제방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수문.
KR2020070007592U 2007-05-08 2007-05-08 염전용 수문 KR200443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592U KR200443689Y1 (ko) 2007-05-08 2007-05-08 염전용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592U KR200443689Y1 (ko) 2007-05-08 2007-05-08 염전용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20U true KR20080005320U (ko) 2008-11-12
KR200443689Y1 KR200443689Y1 (ko) 2009-03-11

Family

ID=4132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592U KR200443689Y1 (ko) 2007-05-08 2007-05-08 염전용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6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083A (ko) * 2016-09-28 2018-04-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용 수문 개폐장치
CN112709194A (zh) * 2020-12-28 2021-04-27 云南建投第二水利水电建设有限公司 一种闸墩液压滑模施工成套设备以及施工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083A (ko) * 2016-09-28 2018-04-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용 수문 개폐장치
CN112709194A (zh) * 2020-12-28 2021-04-27 云南建投第二水利水电建设有限公司 一种闸墩液压滑模施工成套设备以及施工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689Y1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5837T3 (es) Seccion de barrera antiinundacion portatil y barrera antiinundacion.
KR101044416B1 (ko) 담수용 차수문
KR200443689Y1 (ko) 염전용 수문
KR100645393B1 (ko)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1025819B1 (ko) 회전수문에 설치되는 어도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101232731B1 (ko) 장스판 전도식 수문 개폐 장치
KR20150056728A (ko)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200446309Y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200364488Y1 (ko) 하천의 방류량 조절기구를 갖춘 제방축조물
KR20100068343A (ko) 개폐가 용이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0611568B1 (ko) 장축의 구조에 의해 개폐단속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 수문
ES2916084T3 (es) Sellado de puerta seccional resistente a inundaciones
KR101016792B1 (ko) 자동 수문
KR19990007682A (ko) 수문
KR102391101B1 (ko) 이중 개폐기능을 가지는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
KR100674887B1 (ko)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KR200359186Y1 (ko) 이중수문
KR200435849Y1 (ko) 전도식 수문을 이용한 하천보
KR200163428Y1 (ko) 제방시설의배수장치
KR200355905Y1 (ko) 수문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자동보 수문
KR200308697Y1 (ko)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KR200355928Y1 (ko) 장축의 구조에 의해 개폐단속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