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697Y1 -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 Google Patents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697Y1
KR200308697Y1 KR20-2002-0013715U KR20020013715U KR200308697Y1 KR 200308697 Y1 KR200308697 Y1 KR 200308697Y1 KR 20020013715 U KR20020013715 U KR 20020013715U KR 200308697 Y1 KR200308697 Y1 KR 200308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luice
curved surface
water lev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수
Original Assignee
이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수 filed Critical 이한수
Priority to KR20-2002-0013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04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Abstract

본 고안은 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 작게는 논에 크게는 저수지의 수위를 비가 올때 등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요구되는 수위로 유지 시키면서 넘치게 하는 물넘이 수문을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omitted}
지금까지 논이나 저수지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문은 여러가지 형식이 있지만, 거의가 수문을 상부에서 끌어올려서 물이 밑에서 쏟아지므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감시를 계속해야 하는등의 많은 문제가 있다. 물론 물넘이 댐 위로 물이 넘쳐나가지만, 그것은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원하는 수위로 조절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밑에서 위로 올리는 수문을 열어서 물을 빼면서 조절할수 밖에 없다. 따라서, 수위조절용 시설을 따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논의 경우도 물코를 삽으로 흙을 떠서 막았다 열었다 하면서 흙이 유실되지 않게 천 같은 것으로 덮는등의 불편이 따른다.
수위를 조절함에 있어서 물넘이 뚝의 높이를 조절하면 되는데, 본 고안은 수문을 밑에서부터 열지 않고 높이를 조절할수 있게 한 물넘이 뚝과 수문은 겸한 것이다.
종래의 수문으로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수문이 땅밑으로 들어가게 해야 하는데 그렇게는 방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문을 둥글게 반 원형 곡면으로 형성 시키고, 거기에 맞는 곡면이 안으로 형성된 문틀에 수문을 합설하여 반 회전 시키면서 높이를 조절하여 적절한 수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으로써 수문이 수문틀에 합설된 사시도
도 2는 수문틀과 따로 분리한 수문짝의 사시도
도 3은 목적한 곳의 땅에 설치되는 수문을 합설하지 않은 수문틀의 사시도
도 4는 수문을 저수지에 설치하여 저수한 측 단면도
도 5는 소형 수문을 설치할 경우의 보다 더 간단한 장치의 사시도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본 고안의 물넘이 수문의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2의 수문은 철재로 되어 있는데, 원의 4분의 1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그 원호를 따라서 연장되어 좌우 양측 상단에 각기 형성된 다리(1)에 톱니(2)가 안쪽 곡면에 형성 되었다. 도 3을 보면 수문틀이 전 후가 트이고 좌우 양쪽이 막혀 있는데, 수문 원호와 맞게 안으로 파인 곡면(3)이 형성 되어 그 곡면을 따라 같은 원호로 곡면이 구성된 턱(13)이 형성되어 수문이 앞으로 나가지 않게 걸리도록 한 것이다. 도 1에 의해서 문틀에 수문이 합설되어 작용하는 상태를 설명 하자면, 수문틀의 곡면에 따라 수문이 반 회전 되는데 있어서, 문틀에 설치되어 돌게 한 심보(5)의 좌우에 각기 고정된 톱니바퀴(4)와 수문다리(1)에 형성된 톱니(2)가 맞물려 회전력이 전달 되는데, 역시 심보(5)에 고정된 핸들(6)을 돌려서 수문이 반 회전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써, 저수되고 남은 물은 수문위로 넘치게 하는 것이다. 수문은 수압으로 인해 수문틀에 압착 되는데 수문 곡면 외경에 부착한 고무판(7)에 의해 더욱 밀착되어 물이 세는 방지력을 높여준다.
도 4는 본 고안의 수문을 저수지에 설치한 측 단면도인데, (8)은 지면이고 수위(9)가 수문높이로 조절되어 저수된 모습이다.
한편, 논 같은 곳에 설치하는 소규모의 수문의 경우는 도 5의 부분 사시도와 같이 수문다리(1)에 구멍(10)을 다수로 나란히 천공하고, 수문틀에 돌기(11)을 형성시켜 거기에도 역시 구멍이 천공되어 핀(12)를 끼우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수문은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저수지의 물을 빼면서 계속 감시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비가 올때 논의 수위 조절용으로 적절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물넘이 뚝과 수문의 역활을 같이 하므로써 수위 조절 장치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설비 절감에도 일조를 할 것이다. 한편 대형 댐에 설치하고 전기 동력을 이용하여 수문 높이를 조절할수 있는 등 크고 작은 것을 떠나서 쓰임새가 많을 것이다.

Claims (4)

  1. 외경에 고무판(7)이 부착된 원형을 곡면으로 형성된 수문짝과,
    수문의 곡면과 같은 원호로 곡면(13)이 안쪽으로 파이게 형성되면서 좌우 양쪽이 막혀있고 전후로 틔여있되 곡면 수문이 걸리게 곡면 문턱(13)이 형성된 수문틀과 합설되어,
    수문 좌우 상단에 그 곡면을 따라서 곡지게 각기 형성된 다리(1)의 곡면 내측에 형성된 톱니(2)와 맞물린 톱니바퀴(4)는 수문틀에 설치된 심보(5)의 양측에 각기 고정되어서 그 심보에 연설된 핸들(6)을 인력이나 전기동력으로 돌려서 곡면 수문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수문다리(1)에 구멍(10)이 곡면을 따라 상하로 나란히 다수로 천공되어 수문틀에 고정된 구멍을 통해 핀(12)을 끼워 수문 높낮이를 조절하는 스위조절 물넘이 수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2-0013715U 2002-05-01 2002-05-01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KR200308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715U KR200308697Y1 (ko) 2002-05-01 2002-05-01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715U KR200308697Y1 (ko) 2002-05-01 2002-05-01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697Y1 true KR200308697Y1 (ko) 2003-03-28

Family

ID=4940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715U KR200308697Y1 (ko) 2002-05-01 2002-05-01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6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076B1 (ko) 2005-12-28 2006-08-25 한국수자원공사 댐 수문용 래이디얼게이트 유압식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076B1 (ko) 2005-12-28 2006-08-25 한국수자원공사 댐 수문용 래이디얼게이트 유압식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604B1 (ko) 힌지식 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0645393B1 (ko)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200308697Y1 (ko)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1075941B1 (ko) 수문조절장치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20020064223A (ko)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KR200246774Y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0812252B1 (ko)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KR20100068343A (ko) 개폐가 용이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371612Y1 (ko) 지수막 가스켓을 이용한 이탈방지 및 역류방지용 하천수문
KR860001676Y1 (ko)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TWI719676B (zh) 防蚊蟲臭味兼具防淹水逆湧之排水口結構
KR100279191B1 (ko)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KR100368486B1 (ko) 자동개폐수문
KR200427634Y1 (ko) 수질개선의 기능을 갖는 가동보
KR100415503B1 (ko) 자동 개폐식 유압 실린더 내장형 밀폐식 수문
KR100980671B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보조웨이트 장치를 갖춘 전도 게이트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KR200454424Y1 (ko) 자동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