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676Y1 -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676Y1
KR860001676Y1 KR2019840000702U KR840000702U KR860001676Y1 KR 860001676 Y1 KR860001676 Y1 KR 860001676Y1 KR 2019840000702 U KR2019840000702 U KR 2019840000702U KR 840000702 U KR840000702 U KR 840000702U KR 860001676 Y1 KR860001676 Y1 KR 860001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kaba
drain
bank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989U (ko
Inventor
원용선
Original Assignee
원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선 filed Critical 원용선
Priority to KR2019840000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676Y1/ko
Publication of KR850005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개한 분해사시도.
제3도의 (a)도는 본 고안의 개방상태 횡단면도.
동 (b)도는 본 고안의 폐쇄상태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본 고안은 하천의 제방밖으로 흐르는 배수를 조절하여 제방내의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방을 횡단하는 암거에 설치되는 배수문짝 대신에 사용되는 공기팽창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문자체를 공기팽창식 수문(이하 카바식 수문이카함)으로 하여 그 카바식 수문에 공기를 주입팽창시켜 폐쇄시킴으로써 일정한 저수량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홍수등으로 배수문을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주입공기를 방출하면 배수되게 한 것이다.
종래에 이와같은 수위조절을 위한 제방수문을 우기등의 홍수시에 그 문짝을 기계적으로 개폐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왔으나 예기치않은 홍수가 닥칠때에는 그 개폐를 적기에 하기가 곤란하여 배수문짝의 상단에 힌지 장치를 하여 그 자중과 수압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필요한 수압을 처단할수 있는 배수문짝은 그 수압에 비례하여 문짝자중이 커족야 하는 것이어서 그 제작, 시공 및 관키유지가 여간 힘들지 않으므로 비교적 배수량이 적은 익수로(水路)의 수문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천제방은 단순한 저수지의 제방이나 땜과는 달리 평상시에 필요한 저수량을 위하여 설치되는 경우 일정한 저수량 이외의 물전량은 제방의 상측으로 방류되게하는 것이어서, 그 제방은 예를들어 평상시의 한천수위 2-4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같은 경우 하상(河床)을 횡단하는 공기팽창식 라바땜을 설치하는 외국의 예가 있으나 이와같은 일련의 방대한 카바땜의 설치는 그 카바의 제작, 설치 및 관리비용이 엄청나게 드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제방의 일부에 설치되는 익수로 또는 수문을 장치하여야할 장소에 여러개의 콘크리트 제암거를 분할하여 설치되는 배수구등에 필요한 저수량의 수위에 따르는 압력에 의해서는 물이 흐르지 않게 상기 배수구등의 양측 혹은 상하측으로 분할되어 팽창신축되는 카바식 수문을 장치하여 공기를 주입 필요한 저수위에 이르기까지는 폐쇄하고 저수위가 필요한 이상으로 되는 때와 우기등에는 공기를 방출 개방하여 배수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예수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한천제방(1)의 일측 또는 중심부위를 횡단하여 설치되는 수문에 해당하는 배수구(2)의 양측벽면(3), (3), 혹은 상하측벽면(4)(4)에다 양측 혹은 상하측으로 대향되어 팽창신축되는 카바식 수문(5)(5)을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의 수문장치로서, 도시하고 있는 배수구(2)는 일정한 콘크리트 기초(6)위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제이며, 카바식 수문(5)(5)은 강력한 탄성재질에 내구성을 가진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고 그 외주에는 장착편(5a)을 형성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카바식 수문(5)(5)은 그 장착편(5a)을 배수구(2)내측의 양측벽면(3)(3) 혹은 상하측벽면(4)(4)에다 카바식 수문(5)(5)을 대고 장착편(5a)에 잇대어저 보강하는 보강대(7)와 함께 보울트와 같은 체결구(8)에 의하여 장착시키며 카바식 수문(5)(5)은 공기공급배관(9)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카바식 수문(5)(5)이 수직방향이 아니고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카바식 수문(5)(5)을 배수구(2)의 상하측에 장착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하천제방(1)의 익수로 또는 수문에 해당하는 배수구(2)의 양측벽면 혹은 상하측벽면(4)(4)에다가 양측 혹은 상하측으로 대향되어 팽창신축되게 장착된 카바식 수문(5)(5)에 공기공급배관(9)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면 카바식 수문(5)(5)이 팽창되어 면밀하게 밀폐되므로 필요한 저수위에 이르기까지는 배수구(2)가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카바식 수문(5)(5)에 의해 폐쇄된 배수구(2)는 저수위가 필요 이상으로 저수되는 우기등에는 공기공급배관(9)을 통해 카바식 수문(5)(5)내에 충입되어 있는 공기를 방출시키면 카바식 수문(5)(5)이 수축되면서 개방되어 간단히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것이므로 하천의 일정한 수위를 항상 유지하여 발전 및 각종 용수로 사용하는 제방수문의 개폐장치를 단지 공기의 공급 및 방출에 의하여 그 개폐조작을 비교적 신속하고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천제방은 단순한 저수지의 제방이나 땜과는 달리 평상시에는 일정한 저수량 이외의 것은 전량 방류되는 것이어서 평상시에는 필요한 저수위(예를들어 2-4m 정도)를 초과하면 전량을 방류하여야 하는데 이때 본 고안의 경우는 배수구(2)를 콘크리트로 제작하고 있으므로 폐쇄된 카바식 수문(5)(5)을 넘는 수량은 상기 배수구(2)의 상면을 흘러넘쳐 내려가는 것이어서 배수구(2)의 상면은 익수로 역할을 하게되는 효과도 제공한다.

Claims (1)

  1. 하천제방(1)에 설치되는 수문 또는 익수로에 해당하는 곳에 설치되는 배수구(2) (2)……의 양측벽면(3)(3) 혹은 상하측벽면(4)(4)에다 대향되어 팽창신축되는 카바식 수문(5)(5)을 장착함을 특징으로하는 라바식 수문장치.
KR2019840000702U 1984-01-30 1984-01-30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KR860001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702U KR860001676Y1 (ko) 1984-01-30 1984-01-30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702U KR860001676Y1 (ko) 1984-01-30 1984-01-30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89U KR850005989U (ko) 1985-08-31
KR860001676Y1 true KR860001676Y1 (ko) 1986-07-25

Family

ID=1923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702U KR860001676Y1 (ko) 1984-01-30 1984-01-30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6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89U (ko) 198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49013A (ja) 浮函式防潮水門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860001676Y1 (ko)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200405472Y1 (ko) 수압을 이용한 자동보
KR100399744B1 (ko) 자동수문
US3293862A (en) Overflow fishway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KR200308697Y1 (ko) 수위 조절 물넘이 수문
KR100317975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200217658Y1 (ko) 자동보 수문장치
KR20010008037A (ko) 자동보의 구성방법
KR20030063276A (ko) 분리되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와 유압펌프 그리고 전기콘트롤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0185364B1 (ko)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KR200316401Y1 (ko) 하천 수위 상승지역의 역류방지용 복합재 수문구조
KR200168438Y1 (ko) 자동수문
KR200247954Y1 (ko) 수중보 조성용 수문
KR100296342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200232382Y1 (ko) 부상식 자동 수문 개폐장치
KR20010069395A (ko)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저항홈과 연결대에 의해개폐되는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KR200310578Y1 (ko) 수문의 상단이나 측면 또는 수문과 문틀사이에 끼이는이물질들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용 물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수문
KR20010069414A (ko) 이중 압박대를 이용한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KR200163475Y1 (ko) 자동수문
KR20010091611A (ko) 자동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7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