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364B1 -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364B1
KR0185364B1 KR1019960038550A KR19960038550A KR0185364B1 KR 0185364 B1 KR0185364 B1 KR 0185364B1 KR 1019960038550 A KR1019960038550 A KR 1019960038550A KR 19960038550 A KR19960038550 A KR 19960038550A KR 0185364 B1 KR0185364 B1 KR 018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water gate
gate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979A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1996003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364B1/ko
Publication of KR96003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하천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의 여수토에 설치하는 수문의 자동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문은 실용신안 18634호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수문이 있는가 하면 특허 41441호와 같은 구조의 단순명료한 구조의 수문이 있는데 이 또한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 닫아주고 열어 주어야 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수문의 구조는 내부공간을 구성시켜주어서 개폐수위를 설정하여 하천의 수위나 농수로의 수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줄수가 있는 구조의 수문이다.
한번 설치하며는 오랜 세월 동안 인력이나 전기가 필요하지 않는 구조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본 발명은 수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소형의 저수지나 하천의 여수로(余水路)에 설치하여 저수측(著水側)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개폐수문에 관한 것이다.
저수지나 하천의 여수로 등에는 물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문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저수지나 여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은 대부분의 경우 수분의 상측에 수문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조절핸들을 설치하여 이 승강조절핸들을 회전시킴으로서 수문을 계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문을 인력에 의해 개폐할 경우에는 개폐 시에 큰 힘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이고 적절한 시기에 수문을 개폐하지 않으므로서 물의 범람을 야기하거나 또는 적정 저수량 이상의 물을 배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문을 인력에 의해 개폐함으로서 야기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수문이 제공되어 있는바,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국 특허등록 제41441(공고번호 제 91-782호)의 수압을 이용한 수문의 자동 개폐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수압을 이용한 수문의 자동 개폐장치는, 판 형상으로 된 수문본체의 상·하방향 양 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압의 작용 중심이 상기 회동점 이하일 경우에는 수문이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수위가 상승하여 수압의 작용 중심이 회동점 이상으로 되면 수문본체의 상측이 수압에 의해 배수측으로 회동하여 수문본체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고, 위와 같은 작용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문에 있어서는 수문의 자동 개방수위가 항상 일정한 것이고 또 자동 조절되는 저수측 수위도 일정한 것이어서, 계절이나 기후에 맞도록 수문의 자동 개방수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계절이나 기후에 맞도록 수문의 자동 개방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개폐수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체 2 : 지지대
3 : 수문본체 4 : 기체주입변
5 : 축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조된 벽체 사이에 중공(中空)의 판상으로된 수문본체가 그 하측이 배수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수문본체의 상부는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문본체에 기체주입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수문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기체주입변을 통해 수문본체의 내부에 주입하는 기체의 량을 가감하여 수문본체에 가하여지는 부력을 조절함으로서 수문의 자동 개방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단면도를, 도2는 본 발명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벽체(1,1)는, 저수지나 하천의 여수로(余水路)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조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고, 이 벽체(1,1)의 상부에는 대향하는 내면에 지지대(2)가 고정되어 있다.
수문본체(3)는 내부에 공간(1a)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中空)의 사각 판(板)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소정의 위치에는 내부에 수소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주입변(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수문본체(3)는 벽체(1,1) 사이에 그 하측이 배수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수문본체(3)의 상부는 축(5)에 의해 상기 지지대(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저수측의 수위가 벽체(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기 전까지는 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본체(3)의 무게에 의해 수문본체(3)의 하단측이 바닥에 접한 상태, 즉 수문본체(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저수과정이 진행된다. 이후 저수과정이 계속되어 수위가 벽체(1)의 높이 이상으로 되면 저수측의 물이 수문본체(3)를 넘어 흐르게 되며 이때 수문본체(3)에 작용하는 물의 흐름압력에 의해 도 1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본체(3)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수문본체(3)가 열리게 되면 저수측의 물은 배수측으로 흐르게 되고 저수측의 수위가 전과 같이 벽체(1) 이하로 되면 수문본체(3)의 무게에 의해 수문본체(3)는 닫히게 되어 앞에서와 같이 저수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수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에 있어서 수문본체(3)에 구비되어 있는 기체주입변(4)을 통하여 수소와 같은 기체를 수문본체(3) 내에 주입하면 수문본체(3)에 가하여지는 부력이 증가하게 됨으로 수문본체(3)는 수위가 벽체(1)의 높이까지 상승하기 전에 열려 배수가 이루어지며, 이때 수문본체(3) 내에 주입하는 기체의 량을 증가함에 따라 수문본체(3)는 더욱 낮은 수위에서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문본체(3) 내에 주입되는 기체의 량을 증감하는 것에 의해 수위에 따른 수문본체(3)의 개방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문본체의 상측이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위가 상승할 경우에는 수압에 의해 수문본체가 열리게 되고 수위가 하강할 경우에는 자체의 무게에 의해 수문본체가 닫히게 됨으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문의 개폐동작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체주입변을 통해 수문본체의 내부에 주입하는 기체의 량을 가감하여 수문본체에 가하여지는 부력을 조절함으로서 계절이나 기후에 따라 수문의 자동 개방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조된 벽체(1,1)사이에 중공(中空)의 판상으로 된 수문본체(3)가 그 하측이 배수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수문본체(3)의 상부는 축(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문본체(3)에는 기체주입변(4)을 설치하여 이 기체주입변(4)을 통하여 수문본체(3)의 내부에 기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수문.
KR1019960038550A 1996-09-04 1996-09-04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KR018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550A KR0185364B1 (ko) 1996-09-04 1996-09-04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550A KR0185364B1 (ko) 1996-09-04 1996-09-04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979A KR960037979A (ko) 1996-11-19
KR0185364B1 true KR0185364B1 (ko) 1999-04-01

Family

ID=1947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550A KR0185364B1 (ko) 1996-09-04 1996-09-04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80B1 (ko) * 1998-12-28 2008-12-03 한상관 수문의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80B1 (ko) * 1998-12-28 2008-12-03 한상관 수문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979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941B1 (ko) 수문조절장치
CN213538828U (zh) 一种防洪挡板
KR0185364B1 (ko)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100296343B1 (ko) 유동식 수문
KR200153478Y1 (ko) 자동수문
KR200294017Y1 (ko) 수압자동수문
KR100245630B1 (ko) 롤러를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200310580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구조
KR100279191B1 (ko)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KR200341035Y1 (ko) 자동수문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KR200219545Y1 (ko) 전도식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0368486B1 (ko) 자동개폐수문
KR100784780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100288778B1 (ko) 수문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100279190B1 (ko)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KR100290951B1 (ko) 자동수문
KR960041548A (ko) 부력식 무동력 자동 수문의 물저장통 개폐장치
CN113622383B (zh) 一种挡潮排水闸及其施工方法
KR200168438Y1 (ko) 자동수문
CN215977148U (zh) 一种漂浮式涵闸启闭自动控制监控器
KR100620750B1 (ko)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KR200371612Y1 (ko) 지수막 가스켓을 이용한 이탈방지 및 역류방지용 하천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