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797A - 수문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문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797A
KR20100043797A KR1020080102989A KR20080102989A KR20100043797A KR 20100043797 A KR20100043797 A KR 20100043797A KR 1020080102989 A KR1020080102989 A KR 1020080102989A KR 20080102989 A KR20080102989 A KR 20080102989A KR 20100043797 A KR20100043797 A KR 2010004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ydrological
guide
wat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
Original Assignee
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 filed Critical 강남
Priority to KR102008010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3797A/ko
Publication of KR2010004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0Vertical-lift gates with guide wheels or rollers for th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강, 운하 또는 바닷가 방조제 등의 물막이벽에 설치되고, 물막이벽의 수문공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되며, 특히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배수되는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수문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물막이벽(11)의 수문공(12) 양측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21)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문공(12)을 개폐시키는 수문조절부(30)가 구비된 수문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조절부(3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부(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패널(31)이 구비되고, 상기 수문패널(31)에는 축지지부(32)에 의하여 회동되는 작동축(33)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33)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물막이벽(1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341)가 장착된 구름부(34)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33)의 일측에 고정된 부유작동레버(35)에는 작동부유체(351)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막이, 수문, 부유, 수위

Description

수문조절장치{WATERGAT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수문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강, 운하 또는 바닷가 방조제 등의 물막이벽에 설치되고, 물막이벽의 수문공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되며, 특히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배수되는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수문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하천, 강, 운하 또는 바닷가의 방조제 등에 시설되는 것으로, 상류로부터 하류로 배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수문은 인위적으로 사용자가 시설하게 되는 댐, 방조제 등의 물막이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장마철, 소나기, 태풍 등에 의해 집중강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되도록 작동되게 된다. 반면 겨울철, 봄가믐 등과 같이 비가 적게 오는 시기, 그리고 봄철 농번기와 같이 물이 많이 소요되는 기간에는 배수량을 적게하여 물을 다목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문은 소형의 경우 대부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손으로 작동레버를 돌려서 개방하거나, 또는 대형운하의 수문, 대형 댐이나 대형 방조제의 경우 통제실에서 전자적으로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문작동은 대부분 사용자가 일일이 상태를 살펴가면서 작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제실에 의한 경우에는, 수문 또는 물막이벽 등에 다수의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높이 정도를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배수작동을 제어하여 배수가 되는 등, 사용자가 대부분 일일이 감시하고 제어하여야만 배수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작은 수문의 경우 일일이 사용자가 수문의 위치까지 가서 작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통제실에 의한 전자제어의 경우에도 전기에너지가 소모될 뿐만 아니라, 태풍이나 자연적인 제약에 의하여 통신회선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수문이 작동되지 않을 우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 강, 운하 또는 바닷가 방조제 등의 물막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물막이벽의 수문공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고, 특히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배수되는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수문공에 밀착되는 수문패널의 상하작동을 위하여, 작동을 위한 부유체, 전체가 부유되도록 하는 부유체, 그리고 배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부유체 등이 구성되기 때문에 소비되는 에너지, 사용자의 감시 등의 외부 요인이 없어도 자동으로 배수조절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는, 물막이벽(11)의 수문공(12) 양측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21)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문공(12)을 개폐시키는 수문조절부(30)가 구비된 수문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조절부(3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부(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패널(31)이 구비되고, 상기 수문패널(31)에는 축지지부(32)에 의하여 회동되는 작동축(33)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33)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물막이벽(1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341)가 장착된 구름부(34)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33)의 일측에 고정된 부유작동레 버(35)에는 작동부유체(351)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수문패널(31)의 일측으로 부유연결부(36)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부유연결부(36)에는 승강부유체(361)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축(33)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향으로 연장형성된 구름지지레버(37)가 구비되어, 상기 구름지지레버(37)의 끝단이 상기 수문패널(31)에 지지되어 상기 작동축(33)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33)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하향으로 연장형성된 하지지레버(3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수문패널(31)의 상측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상측가이드(22)와, 상기 수문패널(31)의 하측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하측가이드(23)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측가이드(23)의 내측 저부에는 상기 수문패널(31)이 하향 진행을 방지하는 패널지지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하측가이드(23)의 저부 외측에는 상기 구름부(34)의 롤러(341)의 하향회동을 제한하는 롤러지지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문패널(31)의 아래 양측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방향축지지부(39)가 구비되고, 양측의 상기 방향축지지부(39)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패널 형상의 방향조절판(40)이 구비되며, 상기 방향조절판(40)의 일측으로는 방향 조절부유체(41)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하천, 강, 운하 또는 바닷가 방조제 등의 물막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물막이벽의 수문공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고, 특히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배수되는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공에 밀착되는 수문패널의 상하작동을 위하여, 작동을 위한 부유체, 전체가 부유되도록 하는 부유체, 그리고 배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부유체 등이 구성되기 때문에 소비되는 에너지, 사용자의 감시 등의 외부 요인이 없어도 자동으로 배수조절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저수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작동초기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배수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배수조절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다른 형태의 승강부유체가 적용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저수위 상 태에 대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수위가 방향조절부유체보다 높은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작동초기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배수 상태에 대한 측면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배수조절 상태에 대한 측면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A)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막이벽(11)의 수문공(12) 양측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21)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문공(12)을 개폐시키는 수문조절부(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물막이벽(11) 및 수문공(12) 등은 크고 작은 하천, 호수 등에 물을 막기 위해 설치되거나, 바닷가 방조제의 경우, 바닷물이 민물쪽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일부 수위차가 나는 강에서, 배의 운행을 위하여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물막이벽(11)의 수문공(12)을 수문조절장치(A)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면서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물막이벽(11)에 설치되는 수문조절장치(A)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 등에서는 물막이벽(11)의 일측에만 설치됨을 보이고 있으나, 하나의 물막이벽(11)에 다수의 수문조절장치(A)가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배의 운행을 위해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물막이벽 또는 바닷가 방조제의 경우에는 물막이벽 양측으로 도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하나의 수문공(12)에 대하여 양쪽에 수문조절장치(A)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수의 수문조절장치(A)가 함께 구비되어 이용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소의 변형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A)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물막이벽(11)의 수문공(12) 양측으로 가이드부(21)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수문조절부(3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부(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패널(31)이 구비되어, 수문패널(31)에 의하여 수문공(12)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문패널(31)에는 축지지부(32)에 의하여 회동되는 작동축(33)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33)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물막이벽(1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341)가 장착된 구름부(34)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33)의 일측에 고정된 부유작동레버(35)에는 작동부유체(351)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인 것이다.
따라서 작동부유체(351)와 작동로드(352)로 연결되는 부유작동레버(35)의 작동으로 작동축(33)이 회동되게 되고, 이에 작동축(33) 회동으로 인하여 구름부(34)의 롤러(341)가 회동되어, 결국 물막이벽(11)으로부터 수문패널(31)이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수문패널(31)의 일측으로 부유연결부(36)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부유연결부(36)에는 승강부유체(361)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수문패널(31)의 상측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상측가이드(22)와, 상기 수문패널(31)의 하측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하측가이드(2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하측가이드(23)의 내측 저부에는 상기 수문패널(31)이 하향 진행을 방지하는 패널지지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하측가이드(23)의 저부 외측에는 상기 구름부(34)의 롤러(341)의 하향회동을 제한하는 롤러지지부(232)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패널지지부(231)에 의하여 수문패널(31)이 더이상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게 되어, 수문패널(31)이 물막이벽(11)의 수문공(12)을 막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구름부(34)의 롤러(341)가 롤러지지부(232)에 의하여 하향회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롤러지지부(232)가 위치된 각도만큼만 롤러(341)가 작동축(3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또는 도 9와 같이 물막이벽(11)에 의하여 담겨지는 물의 수위가 저수위일 경우에는, 수문패널(31)의 자체 하중에 의하여, 가이드부(21)의 하측가이드(23) 내부로 위치되는 패널지지부(231)에 의하여 수문패널(31)의 아래쪽이 지지되게 된다. 그리하여 도 8, 도 9 등에서와 같이 수문패널(31)과 물막이벽(11)이 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특히 수문패널(31)은 상류측의 물이 물막이벽(11) 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 에, 수압에 의하여 물막이벽(11)의 접촉면과 수문패널(31)이 더욱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측가이드(22) 상부부근의 물막이벽(11)에는, 고정롤러(13)가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물막이벽(11)과 수문패널(31)이 서로 고정롤러(13)에 의하여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수문패널(31)의 상하 이동시 고정롤러(13)에 의하여 원활히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롤러(13)는 대체로 물막이벽(11)의 표면에 대하여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9 등에서와 같이 물막이벽(11)에 수문패널(31)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고정롤러(13)의 노출 정도만큼 수문패널(31)이 들뜰수 있기 때문에, 수문패널(31)의 상부 일측이 고정롤러(13)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고정롤러삽입홈(311)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축(33)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향으로 연장형성된 구름지지레버(37)가 구비되어, 상기 구름지지레버(37)의 끝단이 상기 수문패널(31)에 지지되어 상기 작동축(33)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33)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하향으로 연장형성된 하지지레버(38)가 구비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수문패널(31)의 아래 양측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방향축지지부(39)가 구비되고, 양측의 상기 방향축지지부(39)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패널 형상의 방향조절판(40)이 구비되며, 상기 방향조절판(40)의 일측으로는 방향조절부유체(41)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A)에는 총 3 가지의 부유체가 구비되는 것으로, 수문조절부(30) 전체가 부유되도록 하기 위한 승강부유체(361); 수문패널(31)이 물막이벽(1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롤러(341)가 회전되도록 하는 작동부유체(351); 그리고 수문패널(31)이 부유된 상태에서 변화되는 수위 높이의 변화에 따라 배수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방향조절판(40)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조절부유체(41) 등이 함께 마련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특히 제일 상부로 작동부유체(351)가 위치되도록 하고, 중앙으로 배수조절을 위한 방향조절부유체(41)가 위치되도록 하며, 제일 아래측으로는 수분조절부(30) 전체가 부유되도록 하기 위한 승강부유체(361) 등이 위치되도록 함이 특징인 것이다.
즉 도 2, 도 3, 도 11, 도 12 등에서와 같이 물의 수위가 수분조절부(30) 전체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방향조절부유체(41)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수위가 방향조절부유체(41)보다 높아야 수문패널(31)이 상승되어 배수가 진행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부유체(361)보다 낮은 수위에서는 수문패널(31)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부유체(361)가 가장 낮게 설치되도록 하였다.
나아가 일단 배수작동이 진행되게 되어, 배수량 및 유입량의 변화에 따라 배수되는 물의 양도 조절되도록 하기 위하여 방향조절부유체(41)가 작동부유체(351)와 승강부유체(361) 사이에 놓이도록 하였다. 물론 설치되는 하천, 강 또는 호수의 크기와 유입 및 배출량에 따라, 그리고 방조제의 경우 유입되는 양, 저수량 및 조수의 차이 등에 따라 작동부유체(351), 방향조절부유체(41) 그리고 승강부유 체(361)의 설치 높이, 부유체의 크기, 또는 에어주입여부, 발포재의 구성 등이 알맞은 상태로 하여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승강부유체(361)가 중앙의 연결로드에 의하여 양쪽으로 구형상의 부유체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 7에서와 같이 원기둥형상의 부유체로도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A)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및 도 9에서와 같이 저수위상태에서는 물막이벽(11)에 수문패널(31)이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에 점차 물이 차오르면서, 도 10과 같이 물의 수위가 방향조절부유체(41) 보다 높은 위치로 차오르면, 방향조절부유체(41)가 부유되게 되고, 그리하여 방향조절부유체(41)가 떠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방향조절판(40)이 방향축지지부(39)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향으로 향하도록 들어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더욱 물이 차오르게 되면, 도 2 및 도 11과 같이 되는 것으로, 최상의 작동부유체(351)가 상향으로 떠오르게 되고, 이에 작동부유체(351)와 연결되는 작동로드(352)에 의하여 부유작동레버(35)의 끝단이 상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부유작동레버(35)에 의하여 작동축(33)이 회전하게 되고(도 11에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작동축(33) 양쪽 끝에 일체로 연결된 구름부(34)의 롤러(341)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도 11에서와 같이 물막이벽(11)과 수문패널(31)이 서로 간격(도 11에서 'a')을 두고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에 수문패널(31)의 아래측은 롤러(341)에 의하여, 그리고 상측은 고정롤러(13)에 의하여 물막이벽(11)과 완전하게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문조절부(30)에 결합된 작동부유체(351), 승강부유체(361) 그리고 방향조절부유체(41) 등으로 하는 부력에 의하여 수문패널(31) 및 수문조절부(30)가 함께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처음 수문패널(31)이 부유되지 않은 때에는, 작동부유체(351)의 상승으로 작동축(33)과 연동되는 롤러(341)는 완전히 회전되지 않고 롤러지지부(232)에 의하여 회동이 제한되게 된다. 그리하여 구름지지레버(37)도 수문패널(31)에 밀착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수문패널(31)이 점차 상승함에 따라, 롤러(341)가 롤러지지부(232)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결국 구름지지레버(37)도 수문패널(31)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점차로 상승하는 수문패널(31)은 구름지지레버(37)를 포함하는 수문조절부(30)의 부재들이 상측가이드(22)에 지지되어, 더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수문공(12)은 점차 개방되게 되어, 수문공(12)을 통하여 물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방향조절부유체(41)보다 수위가 높기 때문에, 방향조절부유체(41)와 연결되는 방향조절판(40)은 도 3 및 도 12에서와 같이 배수되는 물살의 힘에 의하여 상향으로 밀어 올려지는 힘을 받게 되는 것으로, 결국 수문패널(31)이 계속해서 상향으로 밀려 올려지는 것이다.
이후 점차 배수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도 4와 같이 작동부유체(351) 보다 낮은 높이의 수위가 되게 되고, 이에 부유작동레버(35)로부터 작동부유체(351) 및 작동로드(352)가 아래방향으로 내려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작동로드(352) 및 작동부유체(351)의 안정적인 상하작동을 위하여 수문패널(31)의 상부에 안내편(353)이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안내편(353)의 상하작동을 위하여 상측가이드(22)에 안내편홈(221)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점차 줄어드는 물의 수위가 방향조절부유체(41)보다 낮은 수위로 되면, 도 5 및 도 13에서와 같이 방향조절판(40)이 하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수문공(12)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결의 힘에 의하여 방향조절판(40)을 아래방향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결의 힘에 의하여 수문패널(31) 및 수문조절부(30)가 점차로 아래방향으로 내려가게 되어, 결국 수문공(12)이 수문패널(31)에 의하여 좁혀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수문공(12)과 수문패널(3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져,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적게 되고, 반면 물막이벽(11)으로 유입되는 물이 많아지게 되면, 다시 수위는 상승하게 될 것이다. 이에 상승되는 물의 수위가 방향조절부유체(41)보다 높아지게 되면, 다시 방향조절부유체(41)에 의하여 방향조절판(40)이 상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수되는 물은 방향조절판(40)을 다시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방향조절판(40)이 상향으로 밀려 올려지면, 수문패널(31) 및 수문조절부(30)가 상향으로 올려지게 되고, 결국 배수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배수되는 상태에서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되어 수위가 낮아지면 점차 배수량이 자동으로 적게 되도록 작동하게 되고, 반면 너무 적은 양의 물이 배수되어 수위가 너무 높아지게 되면, 보다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되도록 자동으로 작동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A)는 전자적인 센서, 감시카메라 또는 사용자가 일일이 살피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그리고 무인으로, 나아가 전기적 에너지가 소모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물의 배수되는 양 및 차오르는 양에 따라 배수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후 물막이벽(11) 측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반면 계속적인 배수에 의하여 물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수문패널(31) 및 수문조절부(30)가 하향으로 내려가게 되고, 결국 수문패널(31)의 아랫 부분이 하측가이드(23)의 패널지지부(231)에 의하여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수문패널(31)의 하향으로 인하여, 롤러(341)는 하측가이드(23)의 롤러지지부(232)에 의하여 상향으로 밀려 올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문패널(31)의 아래부분과 물막이벽(11)이 밀착되게 된다. 또한 물막이벽(11)의 상측의 고정롤러(13)에 의하여 수문패널(31)이 이격된 것도, 수문패널(31)의 고정롤러삽입홈(311)으로 고정롤러(13)가 삽입되기 때문에, 결국 수문패널(31)과 물막이벽(11)이 서로 밀착되게 되어 물의 배수작용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저수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작동초기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배수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배수조절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다른 형태의 승강부유체가 적용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저수위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수위가 방향조절부유체보다 높은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작동초기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배수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조절장치의 배수조절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수문조절장치
11 : 물막이벽 12 : 수문공
21 : 가이드부 22 : 상측가이드
23 : 하측가이드
30 : 수문조절부 31 : 수문패널
32 : 축지지부 33 : 작동축
34 : 구름부 341 : 롤러
35 : 부유작동레버 351 : 작동부유체
36 : 부유연결부 361 : 승강부유체
37 : 구름지지레버 38 : 하지지레버
40 : 방향조절판 41 : 방향조절부유체

Claims (5)

  1. 물막이벽(11)의 수문공(12) 양측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21)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문공(12)을 개폐시키는 수문조절부(30)가 구비된 수문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조절부(3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부(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패널(31)이 구비되고,
    상기 수문패널(31)에는 축지지부(32)에 의하여 회동되는 작동축(33)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33)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물막이벽(1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341)가 장착된 구름부(34)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축(33)의 일측에 고정된 부유작동레버(35)에는 작동부유체(351)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패널(31)의 일측으로 부유연결부(36)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부유연결부(36)에는 승강부유체(361)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33)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향으로 연장형성된 구름지지레버(37)가 구비되어, 상기 구름지지레버(37)의 끝단이 상기 수문패널(31)에 지지되어 상기 작동축(33)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33)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하향으로 연장형성된 하지지레버(3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수문패널(31)의 상측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상측가이드(22)와, 상기 수문패널(31)의 하측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하측가이드(23)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측가이드(23)의 내측 저부에는 상기 수문패널(31)이 하향 진행을 방지하는 패널지지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하측가이드(23)의 저부 외측에는 상기 구름부(34)의 롤러(341)의 하향회동을 제한하는 롤러지지부(2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조절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패널(31)의 아래 양측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방향축지지부(39)가 구비되고,
    양측의 상기 방향축지지부(39)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패널 형상의 방향조절판(40)이 구비되며,
    상기 방향조절판(40)의 일측으로는 방향조절부유체(41)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조절장치.
KR1020080102989A 2008-10-21 2008-10-21 수문조절장치 KR20100043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989A KR20100043797A (ko) 2008-10-21 2008-10-21 수문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989A KR20100043797A (ko) 2008-10-21 2008-10-21 수문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797A true KR20100043797A (ko) 2010-04-29

Family

ID=4221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989A KR20100043797A (ko) 2008-10-21 2008-10-21 수문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37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11B1 (ko) * 2011-09-09 2014-07-01 최국현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CN114351658A (zh) * 2022-02-25 2022-04-15 四川华能涪江水电有限责任公司 一种水工建筑钢闸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11B1 (ko) * 2011-09-09 2014-07-01 최국현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CN114351658A (zh) * 2022-02-25 2022-04-15 四川华能涪江水电有限责任公司 一种水工建筑钢闸门
CN114351658B (zh) * 2022-02-25 2024-02-27 四川华能涪江水电有限责任公司 一种水工建筑钢闸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49014U (zh) 地下车库防洪板
JP2006257829A (ja)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AU1585797A (en) A water control gate
KR101075941B1 (ko) 수문조절장치
KR10071523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20100043797A (ko) 수문조절장치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CN215105054U (zh) 一种基于防洪堤坝的加固结构
KR100812252B1 (ko)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
KR101428633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399744B1 (ko) 자동수문
KR100784780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KR100576386B1 (ko) 펌프식 수문
JP4675089B2 (ja) 空気圧を利用するゲートの水位上昇の自動検出装置
KR200168438Y1 (ko) 자동수문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20010104122A (ko)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JP6309863B2 (ja) 自己起立型越水防止機構
KR100415503B1 (ko) 자동 개폐식 유압 실린더 내장형 밀폐식 수문
KR0185364B1 (ko) 수문의 자동개폐장치
KR200232382Y1 (ko) 부상식 자동 수문 개폐장치
KR100564134B1 (ko)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