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887B1 -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 Google Patents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887B1
KR100674887B1 KR1020050042796A KR20050042796A KR100674887B1 KR 100674887 B1 KR100674887 B1 KR 100674887B1 KR 1020050042796 A KR1020050042796 A KR 1020050042796A KR 20050042796 A KR20050042796 A KR 20050042796A KR 100674887 B1 KR100674887 B1 KR 10067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luice
water
g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041A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2005004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8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통하는 튜브를 형성하여 수문이 열리면 자동으로 수문 전면측의 튜브가 부풀어올라 수문이 닫힐 때 이러한 튜브를 통해 수문과 문틀과 벽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밀폐형 전도식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문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벽체의 측면에 지수부재를 그 일측과 타측에 경사지게 부착하고, 벽체의 하부측에도 경사진 형태의 지수부재를 장설하며, 수문의 전면에는 벽체의 지수부재와 접촉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탄성을 갖는 지수부재를 부착 구성한 것에 있어서, 수문의 전면 하부측 지수부재와 수문의 전면 하단부의 사이에는 제 1튜브를 설치하고, 수문의 후면에는 제 2튜브를 설치하며, 제 1튜브와 제 2튜브의 사이에는 연결관을 형성하여 수문의 위치에 따라 일측의 튜브가 눌리면서 타측의 튜브가 부풀어오르도록 구성한 것이다.
튜브

Description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개방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폐쇄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문 101,102,201,202 : 지수부재
200 : 벽체 301 : 제 1튜브
302 : 제 2튜브 303 : 연결관
본 발명은 자동 밀폐형 전도식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통하는 튜브를 형성하여 수문이 열리면 자동으로 수문 전면측의 튜브가 부풀어올라 수문이 닫힐 때 이러한 튜브를 통해 수문과 문틀과 벽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물을 저장하여 농사용 또는 공업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하천, 저수지의 여수로(余水路) 또는 관계 용수로에는 수중보 또는 수문이 설치되어 저수측(貯水側)의 수위를 항상 일정 높이로 유지하여 주게 된다.
종래 수중보는 대부분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유입수가 수중보의 상부로 넘쳐흐르는 방식으로 배출되므로 저장된 물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저수측의 하단부에 지속적으로 쌓여 퇴적오니가 누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퇴적오니로 인해 병원성 세균 또는 해충의 발생이 심각해지는 등 2차 오염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중보를 회전식 수문으로 구성하여 수위에 따라 수문을 개폐하여 줌으로써 퇴적오니의 쌓임을 방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럴 경우 태풍이나 홍수로 인해 커다란 이물질이 떠내려와 수중보 수문을 파손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 상용되어 오던 일반적인 수문들은 대부분 수문의 상측에 승강조절핸들을 설치하여 이 승강 조절핸들을 회전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수문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나, 승강 조절핸들을 회전시키는데 매우 큰 힘이 요구되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적절한 시기에 수문을 개폐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의 범람을 야기하거나 또는 적정 저수량 이상의 물을 배수시키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비가 올 때에 철재로 구성된 수문을 열어주러 가다가 벼락을 맞는 일이 비일비재하며, 범람하는 홍수에 의해 하천으로 휩쓸려 들어가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실린더에 의해 전도되어 수문을 개방하거나, 반대의 동작을 통해 폐쇄되도록 하여 퇴적 오니의 쌓임을 방지하면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수동으로 간단하게 실린더에 걸린 압력을 제거해줌으로써 쉽게 수문을 개방할 수 있는 전도식 수문을 다수의 출원건을 통해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전도식 수문을 형성함에 있어 수문을 폐쇄하였을 때 수문과 벽체의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면 그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 공개특허 제2003-41884호에서는 수문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벽체의 측면에 지수부재를 그 일측과 타측에 경사지게 부착하고, 벽체의 하부측에도 경사진 형태의 지시부재를 장설하며, 수문의 상면 양측과 바닥측에는 벽체의 각 지수부재에 대응되는 탄성을 갖는 지수부재를 각각 부착 구성함으로써 수문이 폐쇄될 때 수문의 지수부재와 벽체의 지수부재가 서로 밀착되어 수문의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특허 제2003-41884호에 따른 전도식 수문은 벽체의 바닥부측으로 이물질이 내려오면서 벽체의 하면에 고정된 경사진 지수부재와 수문의 전면 바닥부에 고정된 탄성을 갖는 지수부재가 서로 접촉될 때 그 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어 각 지수부재 사이가 완벽하게 접촉하지 못함은 물론 수압에 비해 각 지수부재 사이의 접촉면적이 좁아 수문과 벽체의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문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통하는 튜브를 형성하여 수문이 열리면 자동으로 수문 후면측의 튜브가 눌리면서 수문 전면측의 튜브가 부풀어오르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문이 닫히면 부풀어오른 튜브를 통해 문틀과 벽체와 수문의 사이를 넓은 면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밀폐형 전도식 수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개방시 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폐쇄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밀폐형 전도식 수문은, 수문(10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벽체(200)의 측면에 지수부재(201)를 그 일측과 타측에 경사지게 부착하고, 벽체(200)의 바닥부측에도 경사진 형태의 지수부재(202)를 장설하며, 수문(100)의 전면에는 벽체(200)의 각 지수부재(201)(202)와 접촉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탄성을 갖는 지수부재(101)(102)를 부착 구성한 것에 있어서, 수문(100)의 전면 하부측 지수부재(102)와 수문(100)의 전면 하단부의 사이에는 제 1튜브(301)를 설치하고, 수문(100)의 후면에는 제 2튜브(302)를 설치하며, 제 1튜브(301)와 제 2튜브(302)의 사이에는 연결관(101)을 형성하여 수문(100)의 위치에 따라 일측의 튜브(301 또는 302)가 눌리면서 타측의 튜브(302 또는 301)가 부풀어오르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수문(10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상태로 구성 하고, 그 내부에 실린더를 구비하여 이러한 실린더의 압축, 신장을 통해 수문(10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제 1튜브(301)와 제 2튜브(302)는 최초 반 이상의 공기가 채워진 상태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수문(100)이 개방되면 수문(100)은 벽체(200)의 바닥부와 밀착되면서 그 후면에 장착된 제 2튜브(302)가 눌리게 됨으로써 제 2튜브(302)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제 1튜브(301)측으로 유입되어 제 1튜브(301)가 부풀어오르게 되고, 수문(100)의 상부측으로 물이 어느 정도 빠져나가 수문(100)을 닫아주게 되면 벽체(200) 바닥부에 형성된 지수부재(202)와 수문(100)의 전면 하부측에 형성된 지수부재(102)가 서로 접촉되기 전에 그 사이에 위치된 제 1튜브(301)가 전면과 이면이 각각 벽체 측 지수부재(202)와 수문측 지수부재(102)와 접촉될 수 있으며, 수문(100)이 지속적으로 폐쇄되면서 세워짐에 따라 각 지수부재(102)(202)는 제 1튜브(301)를 밀어주면서 서로 가까워지게 되고, 수문(100)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 1튜브(301)의 공기가 제 2튜브(302)로 이동하면서 각 지수부재(102)(202)의 사이가 제 1튜브(301)와 넓은 면적에서 밀착되어 자갈 또는 나뭇가지와 같은 이물질이 이들 사이에 끼이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물론, 벽체(200)의 양측벽과 수문(100)의 전면 양측 역시 각각 지수부재(101)(201)를 구비하고 있어 각 지수부재(101)(202)가 밀착됨에 따라 수문(100)폐문 될 때에 수문(100)의 양측과 벽체(200) 양측 사이로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지만 수문(100)이 개문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수문과 문틀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큰 틈새가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적인 결점이 있다.
이 틈새에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자갈 또는 나무 가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끼이면서 수문이 닫힐 때에 지랫대 역할을 함으로 인하여 수문을 파손시키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튜브(301)의 작용에 의해 벽체(200)와 문틀과 (202)수문(100)의 사이에 자갈과 나무가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끼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 인하여 수문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문의 개방 폐쇄 동작에 따라 그 전후면에 형성된 제 1튜브와 제 2튜브에 선택적으로 공기가 유동하여 수문과 벽체의 사이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밀폐시켜줌으로써 수문과 벽체 사이의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수문이 개문 될 때에 문틀과 수문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면서 그 사이에 자갈과 같은 이물질들이 끼이면서 수문이 폐문 될 때에 문틀과 수문 사이에 끼여 있는 이물질들로 인하여 수문이 파손되는 중대한 결점들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구성방법에 따라 구성되는 튜브의 작용에 의해 문틀과 수문 사이에 자갈 또는 이물질들이 끼이지 않도록 작용하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문(10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벽체(200)의 측면에 지수부재(201)를 그 일측과 타측에 경사지게 부착하고, 상기 벽체(200)의 하부측에도 경사진 형태의 지수부재(202)를 장설하며, 상기 수문(100)의 전면에는 상기 벽체(200)의 지수부재(201)(202)와 접촉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탄성을 갖는 지수부재(101)(102)를 부착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문(100)의 전면 하부측 지수부재(102)와 상기 수문(100)의 전면 하단부의 사이에는 제 1튜브(301)를 설치하고, 상기 수문(100)의 후면에는 제 2튜브(302)를 설치하며, 상기 제 1튜브(301)와 상기 제 2튜브(302)의 사이에는 연결관(303)을 형성하여 상기 수문(100)의 위치에 따라 일측의 튜브(301 또는 302)가 눌리면서 타측의 튜브(302 또는 301)가 부풀어 오르도록 구성하여 수문(100)과 문틀(202)과 벽체(200)의 사이에 자갈 또는 나뭇가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끼이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밀폐형 전도식 수문.
KR1020050042796A 2005-05-21 2005-05-21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KR10067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96A KR100674887B1 (ko) 2005-05-21 2005-05-21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96A KR100674887B1 (ko) 2005-05-21 2005-05-21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456U Division KR200392580Y1 (ko) 2005-05-23 2005-05-23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041A KR20050060041A (ko) 2005-06-21
KR100674887B1 true KR100674887B1 (ko) 2007-02-01

Family

ID=3725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796A KR100674887B1 (ko) 2005-05-21 2005-05-21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744A (ko)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태경케이엔피 수문과 하우징부를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744A (ko)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태경케이엔피 수문과 하우징부를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KR101599957B1 (ko) 2013-12-20 2016-03-07 태창산업 주식회사 수문과 하우징부를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041A (ko)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894B1 (ko) 복합 자동수문장치
KR20060111885A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100674887B1 (ko)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KR20060122333A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200392580Y1 (ko) 수문과 문틀사이를 자동으로 밀폐시켜주는 전도식 수문
KR20030097562A (ko)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KR200395559Y1 (ko) 이물차단구조를 구비한 전도식 자동보 수문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200294017Y1 (ko) 수압자동수문
KR101232731B1 (ko) 장스판 전도식 수문 개폐 장치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0661893B1 (ko) 이물차단구조를 구비한 전도식 자동보 수문의 구성방법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KR100919318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는 수문 시스템
KR200446309Y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200466377Y1 (ko) 수문의 수밀고무
KR200297673Y1 (ko) 자동 보의 수문 개폐장치
KR200339969Y1 (ko) 무동력 수문
KR200217658Y1 (ko) 자동보 수문장치
KR200435850Y1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200219545Y1 (ko) 전도식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200233345Y1 (ko) 링크기구를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 장치
KR200340320Y1 (ko) 부력체와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한 가동언 (자동보 수문)
KR200433159Y1 (ko) 복합 자동 수문
CN214783032U (zh) 一种路基路面用排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