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187U -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5187U KR20080005187U KR2020070007275U KR20070007275U KR20080005187U KR 20080005187 U KR20080005187 U KR 20080005187U KR 2020070007275 U KR2020070007275 U KR 2020070007275U KR 20070007275 U KR20070007275 U KR 20070007275U KR 20080005187 U KR20080005187 U KR 2008000518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fishing
- elasticity
- present
- receiv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추를 감싸고 있는 외피의 일단에 탄발력을 갖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낚시중 봉돌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려도 몇번의 챔질에 의해 손쉽게 장애물에서 튕겨져 탈출할 수 있는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를 수용하기 위해 일단이 개구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된 무게추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무게추의 일면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서 상기 수용부의 외측방향으로 탄성을 구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봉돌, 무게추, 걸림턱, 돌기, 탄발력, 외피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용상태도
도 4(a)는 낚시용 봉돌이 암초에 걸린 상태의 확대도이고, 4(b)는 돌기의 탄성력에 의해 암초에서 이탈된 상태의 확대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낚시줄 2 낚시바늘
3 암초 10 외피
11 수용부 12 걸림턱
13 외피홈 14 탄성돌기
20 무게추 21 관통구멍
100 봉돌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추를 감싸고 있 는 외피의 일단에 탄발력을 갖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낚시중 봉돌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려도 몇번의 챔질에 의해 손쉽게 장애물에서 튕겨져 탈출할 수 있는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미생활로 하는 바다낚시는,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서 하는 경우와, 바닷가의 해안선 주변에 있는 절벽, 갯바위, 포구, 방파제에서 하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서 하는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만 큰 어류를 잡을 수 있고 이에 따른 손맛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바닷가의 해안선 주변에서 하는 바다낚시는 비용이 저렴하고, 종종 큰 어류를 잡을 수 있으며 손맛 또한 좋아 낚시꾼들이 많이 선호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바다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낚싯대와 낚싯대에 설치된 릴과, 릴에 의해 풀리고 감기는 낚시줄과, 낚시줄의 끝단에 동여매진 봉돌과, 수중에 잠긴 낚시줄과 봉돌 사이에 설치되고 어류를 잡기 위해 미끼가 끼워진 낚시바늘을 포함한다. 상기 봉돌은 어신을 예민하게 받기 위해 낚시줄을 팽팽히 긴장시겨 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납덩어리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일부 낚시꾼들은 낚시의 본줄 보다 가는 봉줄에 봉돌을 연결시켜 바위틈에 일부러 끼이도록 투척하여 고정시킨 후, 어신을 받으면 강한 챔질을 하여 인위적으로 봉돌을 떨어뜨리는 낚시 방법을 즐기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봉돌은 입질을 느끼고 챔질을 하거나, 심한 조류에 의해 미끄러져 밑걸림 현상이 발생하면, 수중의 암초, 바위틈, 불규칙하게 형성된 수중 장애 물 사이에 걸리기 쉬울 뿐만 아니라 한번 걸리게 되면 반복적으로 챔질을 해도 빠지기 보다 더욱 더 걸린 틈 사이로 끼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낚시꾼은 걸린 봉돌을 낚시줄에서 끊은 후 새로운 봉돌을 낚시줄에 묶고 다시 낚시를 하며, 장시간 낚시를 할 경우 이와 같이 버려지는 봉돌이 많으므로 봉돌의 낭비가 심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한다.
또한 밑걸림 현상에 의해 버려진 봉돌의 낚시줄에 봉돌을 새로 달아야 하므로 봉돌이 손실되는 것과 비례하여 낚시의 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봉돌은 주로 납덩어리로 제작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끊어 버리거나, 봉돌이 끊어져 바닷속에 버려진 봉돌은 해양을 오염시키는 주범이 되고, 이를 수거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중의 암초, 바위틈, 불규칙하게 형성된 수중 장애물 사이에 봉돌이 걸리더라도 몇 번의 챔질에 의해 걸려있던 봉돌이 탄성돌기의 탄발력에 의해 쉽게 튕겨져 벗어날 수 있도록 개선된 낚시용 봉돌을 제공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시간 낚시를 하여도 인위적으로 끊거나 밑걸림 현상에 의해 버려지는 봉돌이 적으며, 납덩어리 대신 철금속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버려진 봉돌에 의한 해양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를 수용하기 위해 일단이 개구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된 무게추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무게추의 일면 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서 상기 수용부의 외측방향으로 탄성을 구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외피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돌기의 길이와, 상기 무게추를 감싸고 있는 외피의 길이와, 상기 외피 직경의 비는 1: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손실될 경우 해양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무게추는 금속으로 제작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a)는 낚시용 봉돌이 암초에 걸린 상태의 확대도이고, 4(b)는 돌기의 탄성력에 의해 암초에서 이탈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낚시용 봉돌(100)은, 무게추(20)와, 무게추(20)를 감싸고 있는 외피(10)를 포함한다.
무게추(20)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으로 특히 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투척 후 낚시줄(1)이 긴장된 상태를 갖도록 적당한 하중을 유지하고 친환경적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또한 무게추(20)는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낚시줄(1)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된 관통구멍(21)이 형성되며, 관통구멍(21)을 관통한 낚시줄(1)의 끝단을 링으로 고정하여 낚시줄(1)에 무게 추(20)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낚시줄(1)이 무게추(20)의 관통구멍(21)을 관통하여 설치하였으나, 무게추(20)의 관통구멍(21) 일단에 고리를 고정한 후 고리에 낚시줄(1)을 설치할 수도 있다.
외피(10)는 무게추(20)의 외주면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 일단에 탄발력을 갖는 복수의 탄성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외피(10)는 무게추(20)를 수용하기 위해 일단이 개구된 수용부(11)와, 수용부(11)에 설치된 무게추(2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수용부(11)의 개구된 일단 내주연을 따라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2)은 수용부(11)의 개구된 내주연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주연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턱(12)이 형성된 개구된 일단의 외주면에 탄발력을 갖는 복수의 탄성돌기(14)가 형성되며, 탄성돌기(14)는 수용부(14)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무게추(20)가 설치된 수용부(11)의 하단에는 무게추(20)의 관통구멍(21)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외피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낚시줄(1)의 끝단을 무게추(20)를 감싸고 있는 외피(20)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관통된 각각의 관통구멍(21)과 외피홈(13)을 통과시킨 후 관통된 낚시줄(1)의 끝단에 링을 고정시켜 봉돌(100)을 고정한다. 이때 복수의 탄성돌기(14)는 챔질하는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이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탄발력을 갖는 복수의 탄성돌기(14)가 형성된 봉돌(100)은, 낚시줄(1) 의 끝단에 고정한 후 낚시를 한다. 이때 입질이 온 경우 챔질을 하거나 물살에 의해 밑걸림 현상이 발생할 경우 암초(3) 사이에 봉돌(100)이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봉돌(100)이 암초(3) 사이에 걸리게 되면 봉돌(100)의 진행방향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돌기(14)가 먼저 암초(3) 사이에 걸린다. 상기와 같이 암초(3) 사이에 봉돌(100)이 걸린 느낌을 감지하면, 적당한 힘을 이용하여 챔질을 하게 되고, 이때 봉돌(100)의 전방에 위치된 복수의 탄성돌기(14)가 암초 사이에 밀착되면서 압축되어 휨이 발생한다. 그리고 챔질하기 위해 당기고 있던 힘을 놓게 되면 휘어서 압축된 각각의 탄성돌기(14)가 탄발력에 의해 튕기면서 암초(3) 사이에 걸려 있던 봉돌(100)이 쉽게 탈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한번의 챔질에 의해 걸려있던 봉돌(100)이 탈출하지 못할 경우 반복적으로 챔질을 하면, 종래 걸려서 봉돌이 끊어져 버리는 것과는 다르게 쉽게 암초(3)에서 튕겨져 탈출할 수 있다. 또한 버려지는 봉돌이 적어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14)가 형성된 봉돌(100)은, 낚시를 하기 위해 수중에 투척시 항상 탄성돌기(14)가 형성된 봉돌(100)의 일단보다 타단이 먼저 해저면에 놓이게 되고, 챔질하거나 밑걸림 현상이 생기게 되면 자연스럽게 탄성돌기(14)가 형성된 봉돌(100)의 일단이 챔질 또는 밑걸림 방향으로 봉돌(100)의 해저면에 접촉된 타단보다 먼저 움직이는 것이 좋다. 따라서 챔질의 진행방향 전방에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14)가 봉돌(100)의 몸체보다 먼저 암초, 바위, 수중 장애물에 접촉되고, 진행중 수중 장애물에 걸리게 되면 각각의 탄성돌기(14)가 변형되고, 몇번의 챔질에 의해 변형된 탄성돌기(14)가 복원되면서 장애물에서 튕겨져 쉽게 이탈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투척 후 봉돌(100)의 타단이 항상 해저면에 안착되고, 챔질시 봉돌(100)의 일단이 먼저 움직여 복수의 탄성돌기(14)가 진행방향의 전방에 놓이도록 탄성돌기(14)의 길이(A)와, 무게추(20)를 감싸고 있는 외피의 길이(B)와, 외피의 직경(C)의 비율이 1:1: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탄성돌기(14)는 탄발력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무게추를 외피에 탈착시켜 제작된 것을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외피를 제작시 무게추를 수용한 상태에서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낚시줄이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대응되는 무게추와 외피에 각각 구멍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중의 암초, 바위틈, 불규칙하게 형성된 수중 장애물 사이에 봉돌이 걸리더라도 몇 번의 챔질에 의해 걸려있던 봉돌이 탄성돌기의 탄발력에 의해 쉽게 튕겨져 벗어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장시간 낚시를 하여도 인위적으로 끊거나 밑걸림 현상에 의해 버려지는 봉돌이 적으며, 납덩어리 대신 철금속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버려진 봉돌에 의한 해양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실된 봉돌을 재차 낚시줄에 동여매는 등의 불필요한 시간이 줄기 때문에 낚시하는 시간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 무게추와,상기 무게추를 수용하기 위해 일단이 개구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된 무게추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무게추의 일면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서 상기 수용부의 외측방향으로 탄성을 구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돌기의 길이와, 상기 무게추를 감싸고 있는 외피의 길이와, 상기 외피 직경의 비는 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무게추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7275U KR20080005187U (ko) | 2007-05-03 | 2007-05-03 | 낚시용 봉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7275U KR20080005187U (ko) | 2007-05-03 | 2007-05-03 | 낚시용 봉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5187U true KR20080005187U (ko) | 2008-11-06 |
Family
ID=4150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7275U KR20080005187U (ko) | 2007-05-03 | 2007-05-03 | 낚시용 봉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05187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093B1 (ko) * | 2020-06-04 | 2021-02-23 | 황용호 | 로켓형 낚시추 |
-
2007
- 2007-05-03 KR KR2020070007275U patent/KR20080005187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093B1 (ko) * | 2020-06-04 | 2021-02-23 | 황용호 | 로켓형 낚시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amasaki et al. | Preserved area to effect recovery of overfished Zuwai crab stocks off Kyoto Prefecture | |
KR20080005187U (ko) | 낚시용 봉돌 | |
KR101040910B1 (ko) | 친환경적인 낚시용 봉돌 | |
JP2006025739A (ja) | 筒状玉網 | |
JP2008161096A (ja) | 海洋水産増殖用の保護礁およびズワイガニの保護育成施設ならびに海洋水産増殖域の保護方法 | |
JPH1094354A (ja) | 釣り用おもり、および、おもりカバー | |
JP2014113129A (ja) | 大型、中型魚を早く衰えさせる浮子 | |
JP6320835B2 (ja) | ルアー | |
KR100554620B1 (ko) | 안전낚시바늘 | |
KR102609356B1 (ko) | 낚시용 수중찌 | |
KR101265747B1 (ko) | 탄성체를 구성한 낚시장치 | |
KR200373267Y1 (ko) | 봉돌 걸림 방지 캡(280) | |
KR200338885Y1 (ko) | 유실 낚시찌의 회수기 | |
KR200174211Y1 (ko) | 낚시용 봉돌의 걸림방지 커버 | |
JP3037560U (ja) | 浮 き | |
JP2600625Y2 (ja) | 夜用魚釣仕掛け | |
JP2794556B2 (ja) | クサリ釣り針 | |
CN211268230U (zh) | 一种多功能鱼钩 | |
JPH0819358A (ja) | 水中用おもり付き浮子 | |
KR101996236B1 (ko) |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 |
US4057927A (en) | Reverse action weedless hook | |
JP3055729U (ja) | 根掛り防止用釣り針保護カバー | |
JP3134252U (ja) | 遠投用釣具 | |
KR101751027B1 (ko) | 원투낚시용 추 | |
KR900008356Y1 (ko) | 릴 낚시용 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