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135A -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135A
KR20080005135A KR1020070068042A KR20070068042A KR20080005135A KR 20080005135 A KR20080005135 A KR 20080005135A KR 1020070068042 A KR1020070068042 A KR 1020070068042A KR 20070068042 A KR20070068042 A KR 20070068042A KR 20080005135 A KR20080005135 A KR 20080005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recess
printed wir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920B1 (ko
Inventor
토시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8000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ⅰ) 플러그를 소켓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접속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의 부분에 형성된 스루홀, 및 상기 각 접속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를 포함하는 플러그와; (ⅱ)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소켓 콘택트를 포함하는 소켓; 및 (ⅲ)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로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루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 각각이 그에 대응하는 오목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를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배선기판 상에 장착된 커넥터와 그 커넥터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커넥터는 인쇄배선기판 상에 각각 형성된 전기 회로를 서로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도 4는 종래의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커넥터(100)는 수플러그(male plug; 101)와 암소켓(female socket; 콘센트; 103)을 포함한다. 플러그(101)는 인쇄배선기판(105)의 표면 상에 장착되고, 소켓(103)은 다른 인쇄배선기판(106)의 표면에 장착된다. 플러그(101)는, 플러그(101)의 외측면(101a) 각각에 전기적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콘택트(접속부; 102)를 포함한다. 한편, 소켓(103)은, 소켓(103)의 내측면(103a) 각각에 전기적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콘택트(접속부; 104)를 포함한다.
다음에, 플러그(101)를 소켓(103)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100)의 소켓(103)에 플러그(101)를 접속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 각각은 도 4의 V-V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1)의 볼록부(male portion)가 소켓(103)의 오목부(female portion)와 대향하도록 정렬된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1)이 볼록부가 소켓(103)의 오목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콘택트(102) 각각과 그에 대응하는 콘택트(104) 각각은 서로 접속된다. 즉, 서로 접촉하게 된다.
커넥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플러그와 소켓 간의 접속에서 전기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플러그의 콘택트와 소켓의 콘택트 사이의 접촉 저항을 줄일 필요가 있다. 커넥터(100)의 콘택트(102)와 콘택트(104) 사이의 갭은 이 요건을 충분히 충족할 만큼 작게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플러그(101)가 소켓(103)에 삽입되면, 콘택트(102)의 어느 하나의 에지가 대응하는 콘택트(104)의 에지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도 6은 종래의 커넥터와 관련된 문제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102)의 어느 하나의 에지가 대응하는 콘택트(104)의 에지와 접촉하게 되면, 도면 부호 1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03)의 콘택트(104) 각각은 짓눌려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콘택트(102) 각각의 에지가 대응하는 콘택트(104)의 에지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콘택트(102)의 표면과 콘택트(104)의 표면에 인가되는 마찰로 인해 콘택트(104) 각각은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콘택트(104)는, 변형되지는 않더라도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콘택트(104) 뿐만 아니라 플러그(101)의 콘택트(102)도 짓눌리거나 변형될 가능성이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커넥터는 접속시 신뢰성의 문제가 있다.
상기 설명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구성이 제안되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소켓(203)의 콘택트(204)의 상부는 바깥 쪽으로 휘어있다. 콘택트(204)의 상부가 바깥쪽으로 휜 것은, 플러그(101)가 소켓(203)으로 삽입될 때, 플러그(101)의 콘택트(102) 각각의 에지가 소켓(203)의 대응하는 콘택트(204)의 에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취해진 대책이다. 또한, 종래문헌1(일본 특개 제2006-86083호), 특히, 도 3 및 도 4에는, 도 7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소켓(콘센트)의 콘택트의 에지 부분은 바깥으로 휘어 있어서, 플러그의 콘택트의 에지면이 소켓의 콘택트의 에지면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최근, 인쇄배선기판 상에 장착되는 커넥터는, 인쇄배선기판 상의 전자 회로가 축소됨에 따라 전에 없이 축소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필수불가결하게, 각 콘택트의 표면적도 축소되었다. 각 콘택트의 표면적의 감소에 따른 콘택트 사이의 콘택트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 콘택트 사이의 접촉 압력을 더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커넥터와, 종래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에 있어서도,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될 때, 플러그의 콘택트 중 하나와 그에 대응하는 소켓의 콘택트 사이에서 큰 마찰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의 콘택트와 그에 대응하는 소켓의 콘택트 사이에서 큰 기계적 응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콘택트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구성과 종래문헌1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가 반복적으로 탈부착되면, 양측의 콘택트는 서로 마찰하여 닳게 되고, 그 결과 접촉 압력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접촉 저항의 증가로 인해 전기 접속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문헌1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양측의 콘택트는 콘택트의 스프링 같은 특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경시적으로 접촉 압력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접촉 저항의 증가로 인해 접속에서의 전기적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커넥터는 접속시 신뢰성 등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기술의 방법과 구조에서의 상기 및 다른 문제점, 결함, 단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될 때 콘택트 사이에서 기계적 응력이 발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상면과 하면을 갖는 제 1의 부분(31)과, 상기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접속 부재(12)와, 상기 접속 부재 각각의 외측면(12a)에 위치된 플러그 콘택트(13) 세트, 및 상기 상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하면으로 연장하는 스루홀(32)을 구비하는 플러그(11)와; 상단면(21b)과, 상기 상단면으로 개방되고 한 쌍의 내측면(21a)을 구비하는 오목부(23)와, 상기 내측면 각각에 위치된 소켓 콘택트(22) 세트를 구비하는 소켓(21); 및 상기 스루홀을 통한 상기 오목부 내로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 내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 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접속 부재 각각이 그에 대응하는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하고 상기 소켓 콘택트 세트의 각각과 그에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 사이에 갭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 부재를 수용하 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킹 부재의 삽입에 의해 상기 로킹 부재의 외면을 상기 접속 부재의 내면에 대해 누르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접속 부재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소켓의 내측면을 향해 벌어져서 상기 갭이 제거되고 상기 소켓 콘택트 세트의 각각이 그에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커넥터는: (ⅰ) 플러그를 소켓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접속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의 부분에 형성된 스루홀, 및 상기 각 접속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를 포함하는 플러그와; (ⅱ)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소켓 콘택트를 포함하는 소켓; 및 (ⅲ)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로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루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 각각이 그에 대응하는 오목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를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플러그를 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플러그의 한 쌍의 접속 부재를 소켓의 오목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에 형성된 스루홀 속으로 로킹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로킹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에서 상기 오목부 속으로 삽입 방향으로 눌러, 상기 오목부 속으로의 상기 로킹 부재의 삽입 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접속 부재를 바깥쪽으로 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 부재를 바깥쪽으로 휘게 하는 단계는: (ⅰ)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을 상기 오목부이 내측면으로 각각 누르고 (ⅱ)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를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소켓 콘 택트와 각각 접촉하게 하여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상기 소켓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은 상기 상술된 구성과 방법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고안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될 대 콘택트 사이에서 기계적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콘택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커넥터 연결 방법은 접속시 신뢰성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양호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이들 양호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ⅡA-ⅡA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의 B는 도 1의 ⅡB- ⅡB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커넥터(10)는 플러그(11), 소켓(21), 및 플러그(11)를 소켓(21)으로 로킹(locking)하기 위한 로킹 부재(14)를 포함한다. 플러그(11)는 인쇄배선기판(31)의 표면에 장착되고, 소켓(21)은 다른 인쇄배선기판(41)의 표면에 장착된다. 인쇄배선기판(31 및 41) 각각은 플렉시블 인쇄배선기판, 리지드(rigid) 인쇄배선기판, 또는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배선기판 중 어느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넥터(10)가 좌우대칭인 경우가 예로서 취해진다. 따라서, 도 2의 A에 있어서, 각 도면부호는 커넥터의 좌우 한쪽에만 병기된다. 또한, 플러그(11)가 소켓(21)에 삽입되는 방향은 도 2의 A에서 화살표로 표시한다(이하, 삽입 방향으로 칭함).
플러그(11)는 접속 부재(12), 스루홀(32) 및 다수의 플러그 콘택트(접속부; 13)를 포함한다. 접속 부재(12)는 2열로 나란히 정렬된다. 스루홀(32)은 접속 부재(12) 사이에 형성된다. 다수의 플러그 콘택트(13)는 각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에 정렬된다. 또한, 접속 부재(12) 각각은 플렉시블하다. 또한, 접속 부재(12)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긴(enlongated) 부재일 수도 있다. 다수의 플러그 콘택트(13) 각각은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른 라인에 정렬된다. 또한, 다수의 플러그 콘택트(13) 각각은 인쇄배선기판(31)의 회로에 접속된다. 스루홀(32)은 한 쌍의 접속 부재(12) 사이에 위치되도록 인쇄배선기판(31)의 일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스루홀(32)은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루홀(32)의 폭은, 접속 부재(12)가 인쇄배선기판(31)에 부착되는 부분에서 접속 부재(21)의 내측면(12b) 사이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스루홀(32)의 내측면은 접속 부재(12) 의 내측면(12b)에 각각 연속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접속 부재(12)는 좌우측에서 두 개의 별개의 부품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접속 부재(12)는, 좌우측의 접속 부재(12)가 스루홀(32)의 전후측에서 서로 접속되어 하나의 접속 부재로 형성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스루홀(32)은 일체화된 접속 부재(1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것이다.
플러그(11)에 있어서는,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 각각이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 각각은 인쇄배선기판(31)에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한편, 접속 부재(12)의 내측면(12b)은, 내측면(12b)의 각각이 삽입 방향에 대해 θ1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즉, 접속 부재(12)의 내측면(12b)은, 내측면(12b)의 각각이 인쇄배선기판(31)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θ1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접속 부재(12)의 내측면(12b) 사이의 폭 간격은 인쇄배선기판(31)에 인접한 부분에서부터 점점 감소되어, 각 접속 부재(12)의 하측 에지면(12c)이 가장 간격이 좁은 폭을 갖는다.
로킹 부재(14)는 메인 바디(14a)와 상층부(top section)를 포함한다. 상층부(33)의 한쪽 변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배선기판(31)에 결합된다. 인쇄배선기판(31)이 플렉시블 인쇄배선기판인 경우, 인쇄배선기판(31)은 연성(flexibility)을 갖는다. 따라서, 상층부(33)는, 상층부(33)의 한쪽 변을 제외한 세 변에 대응하는 세 라인을 따라 인쇄배선기판(31)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상층부(33)는 연성을 갖는 변에 의해 인쇄배선기판(31)에 결합된다. 이러 한 구성을 통해, 상층부(33)로서, 스루홀(32)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배선기판(31)에서 잘려진 부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쇄배선기판(31)이 리지드 인쇄배선기판인 경우, 상층부(33)는 다른 플렉시블 부재를 중간에 끼운 상태에서 인쇄배선기판(31)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부(33)가 인쇄배선기판(31)에 결합되기 때문에, 로킹 부재(14)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성도 향상된다. 로킹 부재(14)의 메인 바디(14a)와 상층부(33)는 접착제 등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또한, 로킹 부재(14)의 폭은 스루홀(32)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즉, 로킹 부재(14)의 폭은, 접속 부재(12)가 인쇄배선기판(31)에 부착되는 부분에서의 내측면(12b)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14)는 길게 늘어진 모양을 갖는다. 로킹 부재(14)의 바닥면은 스루홀(32)의 모양과 거의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 로킹 부재(14)는, 도 1의 도면부호 1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로킹 부재(14)가 인쇄배선기판(31)에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로킹 부재(14)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킹 부재(14)는 스루홀(32)을 통해 한 쌍의 접속 부재(1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킹 부재(14)는 상층부(33) 없이 메인 바디(14a)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로킹 부재(14)는 인쇄배선기판(31)에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소켓(21)은 오목부(23)와 다수의 소켓 콘택트(접속부; 22)를 포함한다. 오목부(23)는 플러그(11)의 한 쌍의 접속 부재(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소켓 콘택트(22) 각각은 오목부(23)의 내측면(21a) 중 하나의 내측면 상에 정렬된다. 또한, 다수의 소켓 콘택트(22)는 오목부(23)의 다수의 내측면(2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또한, 다수의 소켓 콘택트(22) 각각은 인쇄배선기판(41) 상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된다. 소켓(21)은 연성을 갖지 않는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23)의 개구의 폭은 한 쌍의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 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오목부(23)의 폭 간격은 개구에서 가장 좁고 인쇄배선기판(41)에 인접한 부분에서 가장 넓으며, 가장 좁은 부분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소켓(21)에 있어서, 내측면(21a) 각각은, 내측면(21a)의 각각이 삽입 방향에 대해 θ2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소켓(21)의 내측면(21a) 각각은, 내측면(21a)의 각각이 인쇄배선기판(41)에 수직한(또는 오목부(23)의 바닥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θ2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내측면(21a) 사이의 간격은, 상부 단면(upper end faces; 21b)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가장 작고 인쇄배선기판(41)에 인접한 부분(오목부(23)의 바닥면)에서 가장 크며, 가장 작은 부분에서 가장 큰 부분으로 점점 증가한다. 소켓(21)의 내측면(21a) 각각의 경사각(θ2)은 접속 부재(12)의 내측면(12b) 각각의 경사각(θ1)의 절대값과 거의 동일하다. 각각의 경사각(θ1 및 θ2)을 조정하면, 플러그(11)가 소켓(21)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특히, 절대값이 더 클수록, 플러그(11)가 소켓(21)에서 벗어나기 더 어렵다. 그러나, 경사각(θ1 및 θ2)의 절대값 각각은, 접속 부재(12)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야만 한다. 또한, 경사각(θ1 및 θ2) 사이의 차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수의 플러그 콘택트(13) 각각과 다수의 소켓 콘택트(22) 중 대응하는 소켓 콘택트 사이의 접촉 압력을 조정할 수 있 다. 특히, 경사각(θ2)에 비해 경사각((θ1)이 더 클수록, 접촉 압력은 더 커진다. 이와 같이, 다수의 플러그 콘택트(13) 각각과 다수의 소켓 콘택트(22) 중 대응하는 소켓 콘택트 사이의 접촉 압력은 적절한 값으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플러그(11)와 소켓(21)을 이와 같은 형상으로 각각 형성함으로써, 접속 부재(12)가 바깥쪽으로 휘게 되면(각각 좌우 방향으로),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은 오목부(23)의 내측면(21a)에 각각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 부재(12)의 내측면(12b) 각각은 인쇄배선기판(31 및 41)에 수직하게 된다. 또한, 소켓(21)의 오목부(23)의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는 접속 부재(12) 각각의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로킹 부재(14)의 높이는, 인쇄배선기판(3)의 높이와 각 접속 부재(12)의 높이를 더함으로써 얻어지는 값과 거의 동일하다. 즉, 로킹 부재(14)의 높이는 인쇄배선기판(31)의 상면에서 접속 부재(12) 각각의 하부 에지면(12c) 까지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플러그(11)의 접속 부재(12) 각각의 높이는 소켓(21)의 오목부(23)의 깊이과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접속 부재(12) 각각의 높이는 소켓(21)의 상부 단면(21b)에서 오목부(23)의 바닥면까지의 간격보다 약간 더 짧다. 이것은, 접속 부재(12)가 바깥쪽으로 휘어 있을 때, 접속 부재(12) 각각의 하부 에지면(12c)이 오목부(23)의 바닥면과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속 부재(12) 각각의 하부 에지면(12c)은, 내측면(12b)이 접속 부재(12) 각각의 도 2의 A에 도시된 것보다 더 짧아지도록 기울어질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속 부재(12) 각각의 하부 에지면(12c)은, 접속 부재(12)가 바깥쪽으로(각각 좌우 방향으로) 휘어 있을 때, 오목부(23)의 바닥면과 마찰하지 않을 것이다.
로킹 부재(14)와 소켓(21)은 제한된 연성(flexibility)을 갖는 강성의 재료(rigid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러그(11)의 접속 부재(12)는 연성이며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로킹 부재(14)와 소켓(21)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연성이 큰 합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플러그(11)의 접속 부재(12)로서, 예를 들면, 나일론, 유리 충전 나일론, PPS(Poly Phenylene Sulfide), 유리 충전 PPS 또는 PBT(Poly Buthylene Terephthalete)와 같은 소프트 플라스틱 또는 탄성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프러그 콘택트(13)와 소켓 콘택트(22)는 구리, 주석, 금, 은 또는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접속 부재(12)는 접착제를 통해 인쇄배선기판(31)에 고정되고, 또한, 소켓(21)도 접착제를 통해 인쇄배선기판(41)에 고정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접속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A 내지 C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소켓에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순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14)와 플러그(11)가 분리된 상태에서 접속 부재(12)가 소켓(21)의 오목부(23)와 마주보도록 플러그(11)가 위치된다.
다음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1)의 접속 부재(12)는 소켓(21)의 오목부(23)에 삽입된다. 이때, 소켓(21)의 내측면(21a)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 각각은 내측면(21a)과 완전히 접촉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각각의 플러그 콘택트(13)와 그에 대응하는 소켓 콘택트(22) 사이에 갭(51)이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 콘택트(13) 각각과 그에 대응하는 소켓 콘택트(22)는 서로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플러그(11)가 소켓(21)에 삽입되면, 플러그 콘택트(13) 각각과 그에 대응하는 소켓 콘택트(22) 사이에 기계적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14)는 플러그(11)의 스루홀(32)을 통해 한 쌍의 접속 부재(12)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로킹 부재(14)의 측면은, 각각 경사져 있는 접속 부재(12)의 내측면(12b)에 각각 접하게 되고, 그 결과 내측면(12b)을 바깥쪽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접속 부재(12)는 바깥쪽으로(각각 좌우 방향으로) 벌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12)의 각 내측면(12b)의 경사각(θ1)은 오목부(23)의 각 내측면(21a)의 경사각(θ2)과 거의 동일한 절대값을 갖는다. 또한, 접속 부재(12)의 각 외측면(12a)은 인쇄배선기판(31 및 41)에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은, 로킹 부재(14)가 한 쌍의 접속 부재(12) 사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부(23)의 내측면(21a)과 각각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콘택트(13)는 적절한 압력으로 소켓 콘택트(22)와 각각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플러그(11)와 소켓(21)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달성된다.
플러그(11)는 상기 상술된 플러그(11) 부착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소켓(21)으로부터 분리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로킹 부재(14)는 스루홀(32)을 통해 한 쌍의 접속 부재(12) 사이로부터 제거된다. 로킹 부재(14)는, 예를 들면, 도구 등을 사용하여 상층부(33)를 들어올림으로써 스루홀(3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로킹 부재(14)가 제거되면, 접속 부재(14)가 탄성체이기 때문에, 접속 부재(1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접속 부재(12)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면, 플러그 콘택트(13)는 소켓 콘택트(22)로부터 각각 분리된다. 다음에, 플러그(11)가 소켓(21)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결과 커넥터(10)가 도 3의 A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플러그(1)가 소켓(21)으로부터 분리될 때 플러그 콘택트(13)와 소켓 콘택트(22) 사이에 갭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계적 응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0)에 따르면, 플러그(11)가 소켓(21)에 삽입될 때, 플러그(11)의 플러그 콘택트(13)는 소켓(21)의 소켓 콘택트(22)와 각각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플러그 콘택트(13)와 그에 대응하는 소켓 콘택트(22) 사이에서 기계적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플러그(11)의 플러그(11)의 플러그 콘택트(13)와 소켓(21)의 소켓 콘택트(22)가 변형되거나, 닳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의 접속 또는 분리(disconnection)가 반복되는 경우에도, 플러그와 소켓의 콘택트가 서로 마찰되어 닳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콘택트 사이의 접촉 압력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촉 압력 증가로 인해 콘택트 사이의 접속에서 전기적 손실이 증가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14)가 한 쌍의 접속 부재(12) 사이에 삽입되면, 접속 부재(12)의 외측면(12a) 각각은 하부 에지부(12c)에 가까워짐에 따라 바깥쪽으로 더 크게 벌어지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4에 도시된 커넥터와 비교하여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커넥터가 진동하는 경우에도, 플러그가 소켓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14)는 한 쌍의 접속 부재(12)를 소켓(21)의 내측면(21a)으로 각각 누른다. 따라서, 플러그 콘택트(13)와 소켓 콘택트(22) 사이의 접촉 압력이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콘택트(13)와 소켓 콘택트(22) 사이의 접촉 저항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콘택트(13) 각각과 그에 대응하는 소켓 콘택트(22)는 탄성적으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경시적인 열화에 대해 내성이 있고, 따라서, 접촉 압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촉 저항의 증가로 인한 전기 접속 손실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은 접속시 신뢰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연계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되는 본질은 이들 특정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본질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취지와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다른 수정예, 대체예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가의 의도는 특허등록 과정에서 특허청구범위가 수정되더라도 청구된 발명의 모든 등가의 발명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ⅡA-ⅡA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2의 B는 도 1의 ⅡB-ⅡB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의 A 내지 C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소켓에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투시도.
도 5의 A 및 B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소켓에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커넥터와 관련된 문제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커넥터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대책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Claims (21)

  1. 상면과 하면을 갖는 제 1의 부분(31)과, 상기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접속 부재(12)와, 상기 접속 부재 각각의 외측면(12a)에 위치된 플러그 콘택트(13) 세트, 및 상기 상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하면으로 연장하는 스루홀(32)을 구비하는 플러그(11)와;
    상단면(21b)과, 상기 상단면으로 개방되고 한 쌍의 내측면(21a)을 구비하는 오목부(23)와, 상기 내측면 각각에 위치된 소켓 콘택트(22) 세트를 구비하는 소켓(21); 및
    상기 스루홀을 통한 상기 오목부 내로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 내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 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접속 부재 각각이 그에 대응하는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하고 상기 소켓 콘택트 세트의 각각과 그에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 사이에 갭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킹 부재의 삽입에 의해 상기 로킹 부재의 외면을 상기 접속 부재의 내면에 대해 누르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접속 부재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소켓의 내측면을 향해 벌어져서 상기 갭이 제거되고 상기 소켓 콘택트 세트의 각각이 그에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간격이 가장 큰 상기 접속 부재의 상단(upper end)에서 간격이 가장 작은 상기 접속 부재의 하단(lower end)으로 점점 감소되며,
    상기 소켓에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에서의 상기 소켓의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간격이 가장 작은 상기 개구부에서 간격이 가장 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으로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내측면 각각은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대해 제 1의 각도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 각각은 상기 삽입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 각각은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제 2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1의 각도는 상기 제 2의 각도와 절대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의 폭은 상기 접속 부재의 상단에서의 상기 접속 부재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의 내측면 각각은 상기 접속 부재의 대응하는 내측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의 폭은 상기 스루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긴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콘택트는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른 라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는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른 라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 각각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강성의 재료(rigid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제 1의 인쇄배선기판; 및
    상기 소켓이 장착되도록 구성된 제 2의 인쇄배선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를 상기 제 1의 인쇄배선기판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joining meme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연성의 재료(soft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은 상기 제 1의 인쇄배선기판의 일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내측면 각각은 상기 제 1의인쇄배선기판에 수직한 평명에 대해 제 1의 각도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 각각은 상기 제 1의 인쇄배선기판에 수직한 평면과 평행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 각각은 상기 제 2의 인쇄배선기판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제 2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1의 각도는 상기 제 2의 각도와 절대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인쇄배선기판은 플렉시블 인쇄배선기판, 리지스 인쇄배선기판 및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배선기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플러그를 소켓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접속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의 부분에 형성된 스루홀, 및
    상기 각 접속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를 포함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소켓 콘택트를 포함하는 소켓; 및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로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루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 각각이 그에 대응하는 오목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를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플러그를 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러그의 한 쌍의 접속 부재를 소켓의 오목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에 형성된 스루홀 속으로 로킹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로킹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접속 부재 사이에서 상기 오목부 속으로 삽입 방향으로 눌러, 상기 오목부 속으로의 상기 로킹 부재의 삽입 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접속 부재를 바깥쪽으로 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부재를 바깥쪽으로 휘게 하는 단계는 (ⅰ)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을 상기 오목부이 내측면으로 각각 누르고 (ⅱ) 상기 접속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를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소켓 콘택트와 각각 접촉하게 하여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상기 소켓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KR1020070068042A 2006-07-07 2007-07-06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 KR100895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7865A JP4939133B2 (ja) 2006-07-07 2006-07-07 コネクタ
JPJP-P-2006-00187865 2006-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35A true KR20080005135A (ko) 2008-01-10
KR100895920B1 KR100895920B1 (ko) 2009-05-07

Family

ID=3891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042A KR100895920B1 (ko) 2006-07-07 2007-07-06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91079B2 (ko)
JP (1) JP4939133B2 (ko)
KR (1) KR100895920B1 (ko)
CN (1) CN101106227A (ko)
TW (1) TW2008058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6430B2 (ja) * 2012-01-12 2016-01-20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JP5920565B2 (ja) * 2012-01-30 2016-05-18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US9130327B2 (en) * 2013-06-18 2015-09-08 Trinity, Llc Power assembly for display
CN106872791B (zh) * 2017-03-04 2019-05-07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连接器的footprint损耗的方法及系统
CN110854567A (zh) * 2019-11-21 2020-02-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路板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786A (en) * 1969-11-10 1971-06-28 Joseph A Alfiero Connector for terminal strips
US4678255A (en) * 1986-04-03 1987-07-07 Wells Electronics, Inc. Chip connector
KR19980013439U (ko) * 1996-08-30 1998-06-05 박병재 탈착이 용이한 컨넥터
JP2002083648A (ja) * 2000-07-06 2002-03-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39133B2 (ja) 2012-05-23
CN101106227A (zh) 2008-01-16
TW200805803A (en) 2008-01-16
KR100895920B1 (ko) 2009-05-07
US20080009160A1 (en) 2008-01-10
US7491079B2 (en) 2009-02-17
JP2008016370A (ja)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5923B (zh) 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CN101584086B (zh) 具有预载荷盖的边缘连接器
JP4090060B2 (ja) コネクタ
JP6797677B2 (ja) 電気コネクタ
CN1960069B (zh) 易于改进电磁干扰特性的小型电连接器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KR20080034853A (ko) 전기 상호 연결 시스템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TWI482371B (zh) 可減少接觸不良發生的連接器
CN101714730A (zh) 用于将屏蔽件保持和电连接到连接器组件的柔性插脚
US8277228B2 (en) Connector set and jointer for use therein
KR100895920B1 (ko) 커넥터와 커넥터 접속 방법
JP2012089345A (ja) コネクタ
US8506321B2 (en) Connector
US7527522B2 (en) Connector assembly
JP4441157B2 (ja) コネクタ
EP3940890B1 (en) Floating connector
KR2010009080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2005006533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4149904B2 (ja) 接続端子及び該接続端子を用いたジョイントコネクタ
WO2021140918A1 (ja)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JP4563250B2 (ja)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KR100833804B1 (ko) 커넥터 조립체
US669562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durable mating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