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651U -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651U
KR20080004651U KR2020070005978U KR20070005978U KR20080004651U KR 20080004651 U KR20080004651 U KR 20080004651U KR 2020070005978 U KR2020070005978 U KR 2020070005978U KR 20070005978 U KR20070005978 U KR 20070005978U KR 20080004651 U KR20080004651 U KR 20080004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glass door
casing
rotating member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기
Original Assignee
이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기 filed Critical 이준기
Priority to KR2020070005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651U/ko
Publication of KR20080004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6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스프링과 같은 복잡한 구성을 편심 운동을 하는 편자로 대치함으로 그 구성이 간편하고, 개폐장치의 "ㄷ"형 고정판을 "-"과 "ㄴ"형으로 끼워 맞춤 형식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케이싱에 조립한 후 끼워 맞춤으로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여 개폐장치의 생산성을 높이고 고장이 적으며 생산 단가를 획기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강화유리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강화유리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실외측 케이싱에는 결합공을 거쳐 키실린더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1 회동체를 설치하고 이 제1 회동체와 치합하며 제1 회동체의 회전에 의해 수평 운동하는 제1 이동부재와 "ㄴ"형 고정편을 설치하며,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수평운동에 의해 가이드(도면부호 생략)를 거쳐 편심운동하는 편자가 설치되며, 실내측 케이싱에는 통상의 회동노브가 설치되며 회동노브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치차가 형성된 제2 회동체를 설치하고, 이 제2 회동체와 치합하여 제2 회동체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와 "-"형 고정편을 결합하여 되는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정편, 키실린더, 케이싱, 회동체, 편자

Description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A door lock for glass door}
도 1은 종래 개폐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 설명 -
11, 11a ; 압착판 12 ; 배면
13 ; 편자 20,34 ;케이싱
21; 키실린더 22 ; 조립공
23,33 ; 고정기어 26,36 ; 이동부재
38 ; 쇄정봉
본 고안은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닫이 방식으로 된 강화 유리문의 일측에 끼워져 압착 유지되는 압착판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에는 키실린더를 장착하고 안쪽에는 조작노브를 장착하여 실외, 실내 양측에서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 조립이 용이한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문의 개폐장치는 유리문의 일측에 고정편이 끼워져 설치되고 실내외측에 각각 키실린더 및 조작노브를 장착하여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쇄정봉을 이동시켜 유리문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23290호 및 제2002-61277호가 있으며, 이들은 유리문의 내부와 외부에 장착된 작동부 내에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문의 내·외부에서 잠금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대한 설명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9694호에는 유리문의 일측에 면접촉된 상태로 끼워지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일측에 키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는 실외측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의 타측에 회전레버의 조작방향에 따라 작동하는 실내측 잠금부재와, 상기 회전레버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어느 한쪽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쇄정봉을 출몰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로 구성된 유리문의 잠금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였다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 0412330호에는 유리도어에 끼워져 압착 유지되는 고정편과, 키실린더 및 조작노브의 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 제2 회동편, 제1 제2 이동부재를 갖춘 도어록킹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0194호, 제10-0660195호에는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576호에는 강화 유리문 양 도어 개폐장치가, 제20-0349517호에는 유리문용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기술들은 쇄정봉을 출몰시키기 위한 구성이 기어의 맞물림에 의존하도록 되어 있고 연계부품들이 전반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고, 하나같이 개폐장치의 고정편이 "ㄷ"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자체가 용이하지 못하고, 그에 따른 제작단가가 높아짐은 물론 자주 오동작을 일으켜 고장을 야기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판스프링과 같은 복잡한 구성을 편심 운동을 하는 편자로 대치함으로 그 구성이 간편하고, 개폐장치의 "ㄷ"형 고정판을 "-"형과 "ㄴ"형으로 끼워 맞춤 형식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케이싱에 조립한 후 끼워 맞춤으로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여 개폐장치의 생산성을 높이고 고장이 적으며 생산 단가를 획기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강화유리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문에 끼워져 유리문을 압착 유지시키는 고정편을 "ㄴ"형 고정편과 "-"형 고정편으로 나누고, 상기 "ㄴ"형 고정편의 일측에 장착되어 키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제1 회동편과 이 제1 회동편에 연동하여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를 갖는 실외측 케이싱과, 상기 "-"형 고정편의 타측에 장착되어 조작노브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작동하는 제2 회동편과 이 제2 회동편에 연동하여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를 각각 설치하며, 이 제2 이동부재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어 유리문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한쌍의 쇄정봉이 설치되어 있는 실내측 케이싱과, 상기 "ㄴ"형 고정편의 배면에는 가이드에 의해 편심운동하는 편자가 끼워 맞춤으로 설치되고, 이 "ㄴ"형 고정편의 배면 돌출부는 실내측 케이싱의 내부로 끼워 맞춤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을 그 실시예를 겸하여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개폐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유리문(D)에 끼워져 압착 유지되는 고정편(10)과 이 고정편(10)의 타측에 장착되어 키실린더(21)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제1 회동편(25) 및 이 제1 회동편(25)에 연동하여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26)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실외측 작동부재와, 상기 고정편(1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장착되어 조작노브(31)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작동하는 제2 회동편(35) 및 이 제2 회동편(35)에 연동하여 수평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36)를 각각 구비하며, 이 제2 이동부재(36)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어 유리문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한쌍의 쇄정봉이 마련되어 있는 실내측 작동부재와, 상기 고정편(10)의 선단에 유지된 상태에서 양 끝단이 상기 제1 및 제2 회동편(25, 35)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걸림핀에 끼워져 조립되는 판스프링(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10)의 선단에는 슬릿(12)이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40)의 몸체(41)가 끼워져 유지되며, 이 몸체(41)의 양 끝단에는 상하로 분기됨과 동시에 각각 장공을 가지는 결속편(42)이 연이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동편(25, 35)은 몸체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플랜지 일측에 돌출편을 개재하여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편은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26, 36) 하부에 형성된 작동홈 내로 조립되어 있는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의 복잡함과 고정편(10)의 일체화에 따라 조립의 불편함을 줄이기 어려운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그 구성 요소가 강화유리문의 측면을 끼워 고정하는 고정편을 "ㄴ"형 고정편과 "-"형 고정편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상기 강화유리문을 기준으로 고정편의 실외 및 실내 측에 각각 설치되는 케이싱과 고정편의 배면에는 가이드에 의해 편심운동하는 편자가 끼워 맞춤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실외측 케이싱(20)에는 결합공(22)을 거쳐 키실린더(21)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1 회동체(23)를 설치하고 이 제1회동체(23)와 치합하며 제1 회동체(23)의 회전에 의해 수평 운동하는 제1 이동부재(26)와 "ㄴ"형 고정편(11)을 설치하며, 상기 제1 이동부재(26)의 수평운동에 의해 가이드(도면부호 생략)를 거쳐 편심운동하는 편자(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측 케이싱(34)에는 통상의 회동노브(31)가 설치되며 회동노브(31)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치차가 형성된 제2 회동체(33)를 설치하고, 이 제2 회동체(33)와 치합하여 제2회동체(33)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36)와 "-"형 고정편(11a)을 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먼저 실외측 케이싱(20)의 조립공(22) 내로 키실린더(21)를 끼워 넣어 제1 회동체(23)을 체결한 후 제1 이동부재(26)와 치합하도록 조립시키며, 제1 이동부재(26)의 일측 돌기와 연동하는 편자(13)를 조립히되 이 편자(13)는 도면 부호가 생략된 가이드를 거쳐 "ㄴ"형 고정편(11)의 배면에 끼워 조립한다.
이어서, 실내측 케이싱(34)의 내부에는 통상의 회동노브(31)와 연동하는 제2 회동체(33)를 체결한 후 제2 이동부재(36) 및 "-"형 고정편(11a)을 결합한다.
이후, 실외측 케이싱(20)부와 실내측 케이싱(34)부를 마주 대하도록 하고, 상기한 "ㄴ"형 고정편(11)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실내측 케이싱(34)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 맞춤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조립을 위하여 끝이 구부러진 드라이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 그 조립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상기에서, 키 조작에 의해 강화 유리문을 쇄정하거나 해제시키고자 할 때에는 실외측 케이싱(20)의 키실린더 내로 열쇠(도시 생략)를 끼워 넣어 정역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제1 회동체(23)에 작용하는 회전력에 의해 제1 이동부재(26)는 수직운동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도면부호를 생략한 가이드를 따라 편심운동하는 편자(13)도 함께 이동하면서 실내측 케이싱(34)의 제2 이동부재(36)를 작동시키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쇄정봉(38)을 출몰시키면서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 1과 도 3으로 비교되는 바와 같이 그 구성 요소가 극히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면 부호의 일부가 다르게 명명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고안자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명칭으로 부르는 경향이 있으며, 가급적 같은 부호의 경우에는 명칭은 달라도 서로 관련이 되도록 한 것으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같은 부호에 같은 명칭을 사용하였고, 이건 고안의 경우에는 같은 부호에 같은 명칭을 사용하였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의 개폐장치는 종래의 플렌지, 돌출편, 걸림핀 및 안착공이 형성된 회동편과 슬릿 및 몸체, 결속편, 장공 및 고정브래킷을 갖춘 판스프링 생략하고, 치차형 회동편과 편자로 하였기 때문에 그 구성이 극히 단순하고(도 1과 도 3의 비교), 고정편을 "ㄴ"형 고정편과 "-"형 고정편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도 용이하여 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이 적은 고부가가치의 강화유리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강화유리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실외측 케이싱(20)에는 결합공(22)을 거쳐 키실린더(21)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1 회동체(23)를 설치하고 이 제1회동체(23)와 치합하며 제1 회동체(23)의 회전에 의해 수평 운동하는 제1 이동부재(26)와 "ㄴ"형 고정편(11)을 설치하며, 상기 제1 이동부재(26)의 수평운동에 의해 가이드(도면부호 생략)를 거쳐 편심운동하는 편자(13)가 설치되며, 실내측 케이싱(34)에는 통상의 회동노브(31)가 설치되며 회동노브(31)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치차가 형성된 제2 회동체(33)를 설치하고, 이 제2 회동체(33)와 치합하여 제2회동체(33)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36)와 "-"형 고정편(11a)을 결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
KR2020070005978U 2007-04-11 2007-04-11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 KR200800046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978U KR20080004651U (ko) 2007-04-11 2007-04-11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978U KR20080004651U (ko) 2007-04-11 2007-04-11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51U true KR20080004651U (ko) 2008-10-15

Family

ID=4150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978U KR20080004651U (ko) 2007-04-11 2007-04-11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65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9228B (zh) 竖铰链窗单元
EP2090468B1 (en) Glove box assembly for a dashboard of a motor vehicle
RU2435013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й охранный модуль для дверей, оснащенных откры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анти-паника"
US8347668B2 (en) Differential linkage attachment of door handles
EP1717389A1 (en) Door handle
KR20080004651U (ko) 강화 유리문의 개폐장치
KR100848878B1 (ko) 도어락 장치
JPH0122872Y2 (ko)
JP6414415B2 (ja) 開放操作力軽減機能付き引手装置
JP2013113051A (ja) 開力軽減錠
KR101162695B1 (ko) 양방향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딩창문 잠금장치
JP5981102B2 (ja) ハンドル錠
KR20090054742A (ko) 도어록 장치
KR100711268B1 (ko) 도어록킹장치
JP4516877B2 (ja) キー変換式錠
CN209523667U (zh) 一种防盗百叶窗
JP4757570B2 (ja) 扉のハンドル装置及びラッチ錠
KR200412330Y1 (ko) 도어록킹장치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JP6559026B2 (ja) 錠前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JP4591264B2 (ja) ストッパー付窓ステー
JP5829528B2 (ja) 建具
JP2013083054A (ja) クレセント錠
KR101487882B1 (ko) 창문 잠금장치용 그립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