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595U -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 Google Patents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595U
KR20080004595U KR2020080006921U KR20080006921U KR20080004595U KR 20080004595 U KR20080004595 U KR 20080004595U KR 2020080006921 U KR2020080006921 U KR 2020080006921U KR 20080006921 U KR20080006921 U KR 20080006921U KR 20080004595 U KR20080004595 U KR 200800045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r
clamp
pair
wir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훈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세종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595U/ko
Publication of KR20080004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9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한 쌍의 몸체가 각각 결합부(74)(84)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의 사이에는 드로퍼선(90)이 연결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 없이도 결합부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한 쌍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가 조가선과 전차선을 강하게 밀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에 유리하며, 나아가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catenary dropper clamp combined a pair of wedges}
본 고안은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없이도 결합부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한 쌍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가 조가선과 전차선을 강하게 밀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에 유리하며, 나아가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산업 고도화에 따라 물류량 증가와 도시 인구 집중에 따른 교통난 심화로 교통문제 해결이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고,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육로 교통은 이제 한계 상황에 이르렀으며 공해, 소음 등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도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가운데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안전성(安全性)과 신속성(迅速性), 편의성(便宜性) 등 대중 교통수단으로서 여러 가지 이점을 갖고 있는 전기 철도는 교통문제 해결의 최선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기철도는 1899년 직류 600V의 전차영업을 시작한 것이 효시이며, 1924년 철원∼금화간 직류 1,500V 전철이 개통되어 전기철도 시대의 문을 열었다. 1973년 산업선 전철화 및 1974년 수도권 전철화를 계기로 본격적인 전철화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수도권 광역전철망, 수원∼천안간 복선전철, 천안∼조치원 전철화, 조치원∼대구 전철화, 충북선 전철화 등 선진전기철도 국가로의 도약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2004년에는 경부고속전철 개통으로 꿈의 고속철도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전차선로는 주행하는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중 가선(Overhead Lines) 방식으로 시설물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전차선로(Catenary System)는 현수 지지(Carriage Cable) 역할을 수행하는 조가선(Messenger Wire)이 제일 상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팬터그래프(Pantograph)와 접촉하도록 전차선(Contact Wire)이 제일 하부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그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 또는 강체 성격의 부재(Rigid Member)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드로퍼(Dropper)또는 행거(Hanger)라 한다. 드로퍼 또는 행거는 속도향상에 따른 집전성능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가능한 한 경량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특히 전차선과 조가선의 순환전류 측면에서도 검토가 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드로퍼(Dropper) 또는 행거(Hanger)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전차선과 조가선에 클램프 타입의 금구로 고정 부착하고 그 사이 전선은 가요성(Flexibility)이 있는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을 드로퍼(Dropper) 방식이라고 하며, 기계적인 현수지지 역할과 함께 전기적인 통로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하여 철사와 같은 가요성이 없는 강체(Rigid Bar) 타입의 부재로 전차선에는 클램프로 연결되나 조가선에는 걸쳐놓는 방식의 행거(Hanger) 타입이 있다. 행거가 조가선에 걸리는 곳에서는 어느 정도의 압상 여유가 있도록 설치되므로 전차선의 영향을 조가선에 전달하는 기계적인 특성은 드로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나라 기존선에서는 운영 및 유지보수 경험에 따라 행거가 조가선과의 전기적 접촉이 불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캡으로 씌워 절연커버를 설치하고 여기에 행거를 걸어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럴 경우 행거는 전기적 통로 역할은 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2가지 드로퍼 클램프 방식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의 종래 2가지 기술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면 부호는 이미 등록된 관계로 상호 중복되는 것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우선, 첫 번째 종래 기술인 특허등록 제0298861호(출원번호 제1999-0002936호)(명칭: 균압용 드로퍼 크램프)의 기술은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통상의 조가선(12)을 설치할 때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가선(12)을 절곡지지부(55)와 체결구(58)의 사이에 삽입시켜 주고, 조가선(12)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장착공(56)에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일단을 삽입시키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삽입되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선단부에 슬리브(61)를 끼운 상태에서 가압돌부(54)의 상측으로 까지 삽입시켜 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구(58)를 견고하게 체결시켜 줌으로써 조가선(12)에 결합되어지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를 장착 고정시킬 수 있고,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는 가압돌부(54)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가선(12)에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를 고정 설치할 때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를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를 조가선(12)에 삽입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조가선(12)에 설치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하측단에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를 조가선(12)에 고정된 것과는 대칭되도록 설치하였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는 절곡지지부(55)를 전차선(20)의 자리홈(2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장착공(56)에 늘어뜨려진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하단을 삽입시키되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하단에 통상의 슬리브(61)를 끼운 상태에서 가압돌부(54)의 하측에까지 내려오도록 삽입시켜 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체결구(58)를 견고하게 체결시켜 줌으로써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전차선(20)은 압착되는 절곡지지부(55)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설치 구성에 의하면, 전차선(20)과 조가선(12) 사이에서 행거 및 드로퍼의 기능과 통전 기능을 병행하게 되므로 통전에 따른 간격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전동차의 위치에 관계없이 최단거리로 급전하게 되어 전차선(20) 상의 전압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첫 번째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에 적용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체결력은 체결구인 볼트(58)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므로 작업시 작업시간이 매우 길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고, 특히 유지 및 보수시에는 작업자가 공중에 매달려 작업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형상이 굴곡되게 형성됨은 물론 내부에 가압돌부(54)도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를 형성하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부품수가 많고 복잡하여 향후 유지 및 보수하는 등의 기술적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한편, 종래의 두 번째 기술인 실용신안등록 제0245764호(출원번호 제2001-0013966호)(명칭: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의 기술은 도 2(a)(b)(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ㄷ자형 양측면 일정높이에 원형의 볼트삽입공(12)(12a),(22)(22a)이 각각 형성된 걸림쇠(10) 및 물림쇠(20)와, 상기 걸림쇠(10) 내측에 물림쇠(20)가 삽입 고정되게 하는 고정볼트(30)와, 상기 물림쇠(20)의 양 끝단 절곡부(23)(23a)가 전차선의 상단부분에 형성된 홈에 고정될 수 있게 상기 고정볼트(30)에 나선 결합되는 너트(40)로 구성된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10) 및 물림쇠(20)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볼트(30)의 머리부가 위치되는 걸림쇠(10) 및 물림쇠(20)의 일측면 일정높이에 형성된 원형의 볼트삽입공(12)(22) 대신 사각형태의 볼트삽입공(1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쇠(10) 및 물림쇠(20) 일측면에 형성된 사각형 볼트삽입공(11)(21)에 상기 고정볼트(3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30) 머리부 하단에 상기 사각형 볼트삽입공(11)(21)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형태 고정부(31)가 형성된 구성이다. 미 설명부호 50은 오목부이고, 60, 60a는 결속부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물림쇠(20)가 걸림쇠(1) 내측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쇠(10) 및 물림쇠(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각형의 볼트삽입공(11)(21)으로부터 볼트 머리부 하단에 사각형태 고정부(31)가 형성된 고정볼트(30)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볼트(30)의 고정부(31)가 상기 걸림쇠(10) 및 물림쇠(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각형의 볼트삽입공(11)(21)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걸림쇠(10) 및 물림쇠(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볼트삽입공(12a)(22a)으로 나오도록 관통시킨 후, 상기와 같이 관통되어 나온 고정볼트(30)에 너트(40)를 나선 결합 시키므로서 조립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종료된 상기 전차선 단면 상단에 양측에 형성된 홈의 넓이만큼 고정볼트(30)에 나선 결합된 너트(40)를 나해시킨 다음, 걸림쇠(10)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물림쇠(20)의 양 끝단 절곡부(23)(23a)를 전차선의 상단 홈에 결속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30)에 너트(40)를 완전 나선 결합시켜 상기 전차선이 본 고안의 드롭퍼 클램프(1)에 결속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볼트(30)의 사각형태 고정부(31)는 상기 걸림쇠(10) 및 물림쇠(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각형의 볼트삽입공(11)(21)에 삽입고정된 상태이므로 공구를 이용하여 너트를 조인다 하더라도 상기 고정볼트(30)가 상기 걸림쇠(10) 및 물림쇠(20)의 볼트삽입공(11)(21)에서 회전이 방지되게 되어, 상기 너트(40)를 조일 수 있는 공구만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볼트(30)에 너트(40)가 완전히 나선 결합되게 된다. 이후, 조가선에 드롭퍼 클램프(1)를 이용하여 전차선을 수평의 일정높이로 고정시키는 과정은, 종래기술에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차선이 고정된 드롭퍼 클램프와 조가선에 고정된 드롭퍼 클램프를 양끝이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일정길이를 갖는 드롭퍼선(101)으로 각각 연결고정시켜며, 상기 조가선에 일정높이로 연결 고정된 전차선 전체를 교체하거나 또는 상기 전차선에 고정시킨 드롭퍼 클램프(1)만을 교체할 경우, 상기와 같은 드롭퍼 클램프(1)의 조립과정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고정하는 과정에 의해 드롭퍼 클램프(1)를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두 번째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드로퍼 클램프(1)가 걸림쇠(10)와 드롭퍼선(101)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접속되므로 바람 또는 전동차의 압상력 등으로 불완전 접촉이 발생되어 아크 및 그에 따른 단선 등의 사고위험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드롭퍼 클램프(1)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이 다양한 형상과 부품수가 많아 제작공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전차선 및 조가선의 체결구가 볼트(30)와 너트(40)로 이루어져 작업시간 및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 되었고,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보수시에는 작업자가 공중에 매달려 작업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하고 있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 쌍의 몸체가 각각 결합부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 없이도 결합부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한 쌍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가 조가선과 전차선을 강하게 밀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제4목적은 유지 및 보수에 유리하며, 제5목적은 나아가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드로퍼선의 상하단에 구비되어 조가선과 전차선에 결합되는 드로퍼 클램프에 있어서, 한 쌍의 몸체가 각각 결합부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의 사이에는 드로퍼선이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 쌍의 몸체가 각각 결합부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가 구비되도록 한 것으로, 특히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 없이도 결합부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한 쌍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가 조가선과 전차선을 강하게 밀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본 고안은 유지 및 보수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작공정이 단순하다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b)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의 설치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종래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드롭퍼 클램프가 전차선 상단 홈에 취부된 상태도이며,
(c)는 드롭퍼 클램프가 조가선 및 전차선 사이에 취부된 상태도이
다.
도 3 은 전차선을 잡아주기 위한 본 고안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드로퍼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상기 도 3 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 는 상기 도 4 의 평면도.
도 6 은 조가선을 잡아주기 위한 본 고안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드로퍼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7 은 상기 도 6 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8 은 상기 도 7 의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적용된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
프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10 은 본 고안에 적용된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
램프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70a: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
71, 71a, 81, 81a: V홈
74, 84: 결합부
80, 80a: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
90: 드로퍼선
본 고안에 적용된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는 도 3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드로퍼선의 상하단에 구비되어 조가선과 전차선에 결합되는 드로퍼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이하의 기술적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한 쌍의 몸체가 각각 결합부(74)(84)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의 사이에는 드로퍼선(90)이 연결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74)(84)는 도 3,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의 빗면으로 형성됨은 물론 한 쌍의 V홈(71)(71a)(81)(81a)이 상하단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의 저면에는 전차선(76)의 상면에 맞닿아 결합되도록 한 쌍의 단턱부(73)(73a)가 형성됨은 물론 이의 끝단에는 전차선(76)의 양측면에 형성된 클램프홈에 결합되게 한 쌍의 걸림편(72)(72a)이 형성된다.
더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의 상면에는 조가선(86)을 파지하도록 한 쌍의 파지홈(83)(83a)이 형성됨은 물론 이의 끝단에는 조가선(86)의 상단에 걸려지도록 한 쌍의 고리(82)(82a)가 형성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75와 85는 드로퍼선(90)을 전차선용 드로퍼 크램프(70)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에 상호 긴밀히 연결시키는 압착슬리브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한 쌍의 몸체가 각각 결합부(74)(84)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가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 없이도 결합부(74)(84)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한 쌍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가 조가선(86)과 전차선(76)을 긴밀히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된 도 3 은 한 쌍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가 분리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측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의 상단에는 압착스리브(75)에 의해 드로퍼선(90)이 연결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일측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를 먼저 전차선(76)에 연결하게 되는데, 먼저 전차선(76)의 일측 클램프홈에 걸림편(72)을 끼우면 단턱부(73)는 자연스럽게 전차선(76)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의 타측에는 또 다른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a)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결합부(74)인 V홈(71)(71a)을 상호 맞추어 살짝 끼워 넣음과 아울러 하단의 걸림편(72a)과 단턱부(73a)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전차선(76)의 타측 상단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측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 전사선용 드로퍼 클램프(70a)의 뒤쪽을 타격한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는 도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쐐기 끼움식으로 상호 결합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전차선(76)이 자연스럽게 자동으로 결합되며, 아울러 이때 상기 V홈(71)(71a)은 사선의 빗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의 빗면에 분력(分力)이 발생되어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된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도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의 결합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즉, 본 고안에 적용된 도 6 은 한 쌍의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가 분리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타측의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의 하단에는 압착스리브(85)에 의해 드로퍼선(90)이 연결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타측의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를 먼저 조가선(86)에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고리(82a)와 파지홈(83a)이 조가선(86)의 일측에 맞대어진 상태로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를 위치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의 일측에는 또 다른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결합부(84)인 V홈(81)(81a)을 상호 맞추어 살짝 끼워 넣음과 아울러 상단의 고리(82)와 파지홈(83)도 전술한 바와 같이 조가선(86)의 타측 상단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느 일측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의 뒤쪽을 타격한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는 도 7,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쐐기 끼움식으로 상호 결합됨과 아울러 상단에는 조가선(86)이 자연스럽게 자동으로 결합되며, 아울러 이때 상기 V홈(81)(81a)은 사선의 빗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의 빗면에 분력(分力)이 발생되어 상기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결합된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는 도 9,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볼트와 너트의 체결 없이도 결합부(74)(84)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한 쌍의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가 조가선(86)과 전차선(76)을 긴밀히 접속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또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아울러 유지 및 보수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더하여 제작공정이 단순하다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Claims (4)

  1. 드로퍼선의 상하단에 구비되어 조가선과 전차선에 결합되는 드로퍼 클램프에 있어서,
    한 쌍의 몸체가 각각 결합부(74)(84)의 빗면에 의해 결합 되는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와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a)의 사이에는 드로퍼선(90)이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4)(84)는 사선의 빗면으로 형성됨은 물론 한 쌍의 V홈(71)(71a)(81)(81a)이 상하단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용 드로퍼 클램프(70)(70a)의 저면에는 전차선(76)의 상면에 맞닿아 결합되도록 한 쌍의 단턱부(73)(73a)가 형성됨은 물론 이의 끝단에는 전차선의 양측면에 형성된 클램프홈에 결합되게 한 쌍의 걸림편(72)(72a)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용 드로퍼 클램프(80)(80a)의 상면에는 조가선(86)을 파지하도록 한 쌍의 파지홈(83)(83a)이 형성됨은 물론 이의 끝단에는 조가선의 상단에 걸려지도록 한 쌍의 고리(82)(82a)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KR2020080006921U 2008-05-27 2008-05-27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KR200800045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921U KR20080004595U (ko) 2008-05-27 2008-05-27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921U KR20080004595U (ko) 2008-05-27 2008-05-27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66 Division 2007-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95U true KR20080004595U (ko) 2008-10-14

Family

ID=4150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921U KR20080004595U (ko) 2008-05-27 2008-05-27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5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07Y1 (ko) * 2009-07-30 2011-08-04 서울메트로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07Y1 (ko) * 2009-07-30 2011-08-04 서울메트로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752B1 (ko) 전차선로 균압 드롭퍼
KR100733690B1 (ko)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
KR20080004595U (ko) 한 쌍의 쐐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KR20080004594U (ko) 압착 탄성력을 갖는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KR101902361B1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100838057B1 (ko) 전차선로의 드로퍼 클램프
KR200452645Y1 (ko) 전차선로용 드롭퍼 클램프
KR101513875B1 (ko) 전차선로용 드로퍼 클램프
DK3002151T3 (en) Insulating mechanical coupler for an electric air lin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coupler in an electric air line
CN213619453U (zh) 一种新型吊弦
KR101064391B1 (ko) 특 고압 전차선 송전선로의 안전보호 장치.
CN212695635U (zh) 一种动车组高压电缆安装结构
KR100298861B1 (ko)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CN112172615A (zh) 一种新型吊弦
CN202623968U (zh) 接触线快速接头线夹
CN203157760U (zh) 便于安装的刚性悬挂接触网
CN206908248U (zh) 高压电缆固定线夹
KR200401403Y1 (ko) 전차선로용 직선클램프
KR200423163Y1 (ko)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
CN204452460U (zh) 撑杆装置及铁路货车
KR101316676B1 (ko) 전차선 보수용 클램핑장치
CN215850906U (zh) 一种客车扶手顶座及扶手
JP4934410B2 (ja) 緊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カマレス金具
CN209240917U (zh) 接触线快速接头线夹
CN204870602U (zh) 无卡阻刚性悬挂接触网汇流排导滑系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