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785U -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 Google Patents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785U
KR20080003785U KR2020070003665U KR20070003665U KR20080003785U KR 20080003785 U KR20080003785 U KR 20080003785U KR 2020070003665 U KR2020070003665 U KR 2020070003665U KR 20070003665 U KR20070003665 U KR 20070003665U KR 20080003785 U KR20080003785 U KR 200800037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extinguishing
shap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한국아치스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치스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치스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3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785U/ko
Publication of KR20080003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에 관한 것으로, 자기소화성 처리된 단열재(20)의 단면을 전동 재단칼을 사용하여 H-형강(10)의 웨브(11)와 일측 플랜지(12)의 형상대로 재단하여 전체적으로 '역 T자' 형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웨브(11)에 대응하는 재단부분이 상기 단열재(20)의 외측면까지 이어지도록 하여 상기 H-형강(10)의 웨브(11)와 하방 플랜지(12) 외부를 감싸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자기소화성 처리에 따른 화재발생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결로방지에 따른 자재부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장식 및 색상부가를 통해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기능적으로 우수한 것이다.
H-형강, 아치판넬, 철골조, 단열재

Description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H-steel with self-extinguishing heat insul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이 트러스 구조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재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 지붕 구조물 10 : H-형강
11 : 웨브 12 : 하방 플랜지
13 : 상방 플랜지 20 : 단열재
21 : 외부장식 22 : 공간부
본 고안은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에 관한 것으로, 휴게실이나 체육관 등 각종 건축물의 지붕 구조물의 하부를 지탱하는데 사용되는 H-형강의 외부를 특수 재단된 자기소화성 처리된 단열재가 감싸 덮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형강은 I-형강과 더불어 건축물의 기초 골격을 이루는 기둥, 트러스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 건축물을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축물의 기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지만, 강당이나 체육관 등의 지붕 구조물을 지탱하는 트러스(예를 들어 '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철골조의 외관이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H-형강(10)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건축물이 미완공 상태라는 인식에 따른 불안감과 철골조의 모습 자체에서 느껴지는 중압감 등 미관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들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반사시켜 소음발생을 더욱더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열을 더 쉽게 전달하여 화재를 악화시키고, 특히 온도변화가 극심한 지붕 구조물(1)을 직접 지탱하기 때문에 형강의 표면에서 결로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철골조가 부식됨으로써 구조물의 붕괴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기소화성 처리된 단열재로 H-형강 외부를 감싸 덮음으로써 화재발생을 예방함은 물론 표면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열재에 대한 다양한 모양과 색상처리를 통해 수려한 미감을 줄 수 있는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자기소화성 처리된 단열재(20)에 H-형강(10)의 웨브(11)와 하방 플랜지(12)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공간부(22)를 재단하여, 상기 단열재(20)가 상기 H-형강(10)의 웨브(11)와 하방 플랜지(12)의 둘레를 둘러 감싸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단열재(20)는 외측면을 가공하거나 다른 장식물의 부착을 통해 다양한 모양의 외부장식(21)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색상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인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재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20)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제작되며 추가적으로 자기소화성 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단열재(20)는 건축물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H-형강(10)의 길이에 맞도록 재단한다.
단열재(20)의 재단을 위해서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전동 재단칼(도면 미도시)을 사용하는데, 컴퓨터를 통해 정확한 수치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전동 재단칼이 자동적으로 입력된 수치에 따라서 상기 단열재(20)를 재단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재(20)의 형상을 사각형 기둥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단열재(20)가 H-형강(10)의 외부를 감싸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해당 H-형강(10)의 웨브(11) 및 하방 플랜지(12)의 크기에 맞도록 상기 단열재(20)를 재단하여 H-형강(10)을 감싸는 형상으로 공간부(22)를 형성한다. 다양한 사이즈의 H-형강이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H-형강에 맞도록 크기를 측정하면 정확한 수치로 공간부(22)를 재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H-형강(10)의 웨브(11)와 하방 플랜지(12)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수치에 따라서 상기 공간부(22)를 형성하도록 재단하되, 상기 웨브(11)에 대응하는 공간부(22)의 일측이 상기 단열재(20)의 외측면까지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역 T자' 형을 이루도록 재단한다.
상기와 같이 재단된 단열재(20)는 단면이 해당 H-형강(10)의 웨브(11) 및 하방 플랜지(12)의 형상에 대응하는 '역 T자' 형의 공간부(22)를 갖게 되며, 상기 공간부(22)에서 상기 웨브(11)가 상방 플랜지(13)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단열재(20)의 일측 외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어 상기 H-형강(10)의 웨브(11)와 하방 플랜지(12) 외부를 감싸 덮을 수 있도록 한다(도 4 및 도 5 참조).
본 고안에서는 단열재(20)의 단면을 해당 H-형강(10)의 크기에 따라 '역 T자' 형의 공간부(22)를 갖도록 재단하여 상기 H-형강(10)의 상방 플랜지(13)는 노출된 상태로 웨브(11)와 하방 플랜지(12) 부분만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방 플랜지(13)가 상기 단열재(20)로 인하여 지붕구조와 연결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기 지붕구조에 의해 상기 단열재(2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H-형강(10)의 외부를 상기 단열재(20)로 감싸 덮는 작업이 용이하며, 반대로 상기 단열재(20)를 상기 H-형강(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와 같이 H-형강(10)의 외부를 재단된 단열재(20)를 통해 감싸 덮음으로써 실내의 소음을 흡수하고, 열전도율을 낮추어 화재발생시 화재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H-형강(10)의 표면에서 결로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재(20)의 외측면에는 가공하거나 다른 장식물의 부착을 통해 다양한 모양의 외부장식(21)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원하는 색상을 부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심미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단열재를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 원하는 색상을 부가함으로써 수려한 미감을 일으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소화성 처리를 통하여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결로방지에 따른 자재부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자기소화성 처리된 단열재(20)에 H-형강(10)의 웨브(11)와 하방 플랜지(12)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공간부(22)를 재단하여, 상기 단열재(20)가 상기 H-형강(10)의 웨브(11)와 하방 플랜지(12)의 둘레를 둘러 감싸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20)는 외측면을 가공하거나 다른 장식물의 부착을 통해 다양한 모양의 외부장식(21)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색상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KR2020070003665U 2007-03-06 2007-03-06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KR200800037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665U KR20080003785U (ko) 2007-03-06 2007-03-06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665U KR20080003785U (ko) 2007-03-06 2007-03-06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85U true KR20080003785U (ko) 2008-09-10

Family

ID=4133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665U KR20080003785U (ko) 2007-03-06 2007-03-06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7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164B1 (ko) * 2009-06-03 2012-03-27 장쌍권 아치형 판넬의 내장재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164B1 (ko) * 2009-06-03 2012-03-27 장쌍권 아치형 판넬의 내장재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04094A (zh) 一种格构轻钢房屋的施工方法
KR20220033279A (ko) 외단열 건식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206205276U (zh) 一种竹制屋面结构
JP2014074293A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AU2017100716A4 (en) Composite wall assembly
KR20080003785U (ko) 자기소화성 단열재가 결합된 h-형강
KR20090130711A (ko) 건축용 단열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CN104805928A (zh) 泵浇芯材纤维板覆面夹心保温外墙
CN210598117U (zh) 一种石墨烯夹芯保温墙体免拆模板结构
CN204940684U (zh) 一种新型的复合墙板
CN110374288A (zh) 一种防漏、节能、抗震的墙砖干挂施工方法
CN206591631U (zh) 焊接式桁架房屋构造
CN102199941A (zh) 双层板保温隔热拱形波纹钢屋盖
CN103758255B (zh) 一种装饰保温复合墙体及其制作方法
CN206328925U (zh) 一种新型的楼面建筑结构
JP200728508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建物の外壁構造、及び使用する断熱支持パネル
JP6963997B2 (ja) 仮設建物の壁構造
KR200311225Y1 (ko) 단열코팅제가 도포된 샌드위치판넬
JP7214285B1 (ja) 木造建築物においてヒートブリッジを防止する外張り断熱透湿耐震構造
KR20130013265A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CN201649456U (zh) 双层板保温隔热拱形波纹钢屋盖
CN203583739U (zh) 藻井式吊顶结构
JP374987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
JP6427013B2 (ja) 木造建物及びその外周壁構造
JP200710726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建物に於ける片持ち支持バルコニー、及び片持ちバルコニー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05

Effective date: 201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