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265A -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265A
KR20130013265A KR1020110074809A KR20110074809A KR20130013265A KR 20130013265 A KR20130013265 A KR 20130013265A KR 1020110074809 A KR1020110074809 A KR 1020110074809A KR 20110074809 A KR20110074809 A KR 20110074809A KR 20130013265 A KR20130013265 A KR 2013001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brid panel
hybrid
hanok
panel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060B1 (ko
Inventor
김기현
정영용
강재식
최경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에스와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에스와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에스와이
Priority to KR102011007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0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06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12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roof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ing framework of roof purlins or raf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04D1/04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of ceramics, glass or concrete,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E04D1/045Vaulted roofing elements laid alternately side-up and side-down, e.g. monks and nuns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은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부재와, 지붕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를 구비하며, 상기 골격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패널과,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기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Han-o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an-ok}
본 발명은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고 단열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조주택은 건물의 벽체·마루바닥·지붕 등의 뼈대를 주로 나무로 만든 가구식 구조체(架構式構造體)이다. 이러한 목조주택의 구조로는 동양 고전식(東洋古典式) 구조법, 한식 구조와 일본에서 개량한 일식 구조, 양풍구조(洋風構造) 등이 있다. 목조주택은 건물의 무게가 가볍고 구조공작이 쉬운 장점을 가지나, 내화성(耐火性)·내구성(耐久性)이 약한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목조주택은 장점 및 단점을 가지기는 하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건물에 비해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 또한 목조주택의 하나로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건축한다. 한옥을 만드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주춧돌 위에 나무로 기본골격을 만든 후 그 기본골격 위에 지붕을 씌우고 벽체와 창호 등을 설치한다.
한옥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부재는 기둥, 보, 도리, 서까래 등이다. 이와 같이 한옥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부재의 크기는 보통 집의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한옥을 지을 때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주춧돌 상부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을 세우고, 기둥의 위에는 대들보를 설치한다. 대들보 위에는 중도리, 중보 및 대공을 차례로 세우고, 대들보와 중도리 위에는 다수의 서까래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서까래의 상부에 개판(蓋板)을 덮거나 산자를 엮어 덮고 그 위에 알매흙을 깔고 그 위에 기와를 덮어 지붕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개판 위에 놓이는 알매흙은 단열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여름이면 습기를 빨아들이고 겨울이면 습기를 내뿜어 습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알매흙이 습기를 빨아들인 상태에서 그 무게가 매우 무거워지게 되고, 무거운 지붕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목조주택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재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알매흙이 습기를 빨아들인 상태로 유지되면 알매흙과 접촉하고 있는 개판 및 서까래 등의 목재가 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개판 및 서까래 등의 목재가 습기를 빨아들이게 되면 개판 및 서까래와 같은 목재가 섞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개판 및 서까래와 같은 목재를 교체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단열성능이 높은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붕을 형성하는데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지 않아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은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부재와, 지붕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를 구비하며, 상기 골격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패널과,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기와를 구비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연질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진공 단열재를 감싸는 패드형 단열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골격부재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과, 상기 골격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과, 복수개의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골격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골격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의 고정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이웃하는 한쌍의 상기 돌출부와 실링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과,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을 상기 골격부재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이 상기 골격부재와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브라켓을 통한 열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단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지붕을 통한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습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지붕을 통한 복사열의 유입을 차단하는 복사저항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패널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의 일측면에 방습시트를 부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의 타측면에 복사저항체를 부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을 지붕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재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의 상부에 기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을 골격부재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골격부재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골격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한옥의 지붕에 단열성능이 뛰어난 하이브리드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한옥의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흙에 비해 무게가 가벼운 하이브리드 패널을 사용하여 단열을 함으로써 지붕을 지지하는 구조부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지붕의 곡선 형상대로 가공한 하이브리드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한옥의 지붕을 형성할 때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한옥의 지붕을 형성하는데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지 않아 인건비 및 전체적인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옥의 지붕에 하이브리드 패널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한옥의 지붕에 하이브리드 패널이 설치되는 순서를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은 도 3에서 절개선 'Ⅰ-Ⅰ'에 따른 하이브리드 패널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절개선 'Ⅱ-Ⅱ'에 따른 하이브리드 패널의 단면도.
도 7은 하이브리드 패널의 상부에 기와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지어진다.
배치된 주춧돌(10)의 상부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20)이 세워지고, 상기 기둥(20)의 위에는 주심도리(30) 및 대들보(40)가 세워진다. 상기 대들보(40) 위에는 중도리(50) 및 중보(70)가 세워지고, 상기 중보(70)의 위에는 대공(75)이 세워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대공(75)의 상부에는 종도리(80)가 세워지고, 상기 종도리(80)의 상부에는 용마루(90)가 설치된다. 한편 중도리(50) 위에는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부재(51)가 안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부재(51)로 서까래가 사용된 것을 보였으나, 골격부재(51)로는 서까래 뿐만 아니라 트러스 구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골격부재(51)의 상부에 지붕(100)이 형성된다.
도 2는 한옥의 지붕에 하이브리드 패널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한옥의 지붕에 하이브리드 패널이 설치되는 순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서 절개선 'Ⅰ-Ⅰ'에 따른 하이브리드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절개선 'Ⅱ-Ⅱ'에 따른 하이브리드 패널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지붕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지붕(100)은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부재(51)와, 지붕(100)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를 구비하며 상기 골격부재(5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패널(120)과,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12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기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골격부재(5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패널(120)은 지붕(100)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기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사용함으로써 한옥 지붕(100)의 구조가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한옥 지붕(100)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어 한옥의 냉방이나 난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 패널(120)은 지붕(100)의 형상을 이루는 곡선의 형상대로 공장에서 미리 가공된다. 이와 같이 공장에서 지붕(100)의 형상을 이루는 곡선의 형상대로 가공된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골격부재(51)에 설치만 하면 되므로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골격부재(51)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어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패널(120)은 골격부재(51)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패널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 패널(120)은 골격부재(51)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과, 골격부재(51)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과, 복수개의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 및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로 구분함으로써 각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각 하이브리드 패널(130,140,150)을 운반하는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지붕(100)에 설치하는데 있어서도 편리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골격부재(51)에 설치할 때에는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및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을 먼저 골격부재(51)에 고정한 상태에서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을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및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을 골격부재(51)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강철판(161) 및 브라켓(162)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철판(161)은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및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및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은 브라켓(162)에 의해 골격부재(51)에 결합된다.
브라켓(162)은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지며, 하이브리드 패널(130,140)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162a)와, 골격부재(51)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162b)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부(162a)에는 볼트(165) 등이 삽입되는 볼트 체결공(163)이 형성되고, 제2결합부(161b)에는 나사(166) 등이 결합되는 나사 체결공(164)이 형성된다. 이때 볼트 체결공(163)은 세로방향의 길이를 가져, 볼트 체결공(163)이 보강철판(161)과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및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이 골격부재(51)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브라켓(162)이 골격부재(51)와 결합되는 부위에는 브라켓(162)을 통한 열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단패드(167)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은 골격부재(51)에 고정되는 고정부(131)와, 고정부(131)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고정부(13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32)를 구비한다. 따라서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의 단면은 역'T'자 형상을 가진다.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은 골격부재(51)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양측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은 골격부재(51)에 고정되는 고정부(141)와, 고정부(141)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의 고정부(1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42)을 구비한다. 이때 걸림턱(142)의 높이는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의 돌출부(132)의 높이와 같다.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이 골격부재(51)에 결합되면 걸림턱(142)의 하면은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의 고정부(131)와 접하고, 걸림턱(142)의 측면은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의 돌출부(132)와 접하게 된다. 또한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과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의 상면은 평평하게 된다.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은 중앙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의 돌출부(13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이 이웃하는 한쌍의 중앙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서로 결합된 중앙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및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의 상면은 평평하게 된다.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은 중앙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의 돌출부(132) 사이에 삽입된 후 돌출부(132)와 실링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각 하이브리드 패널(130,140,150)은 연질 단열재(121), 진공 단열재(122) 및 패드형 단열재(12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각 하이브리드 패널(130,140,150)에 사용되는 연질 단열재(121)는 셀룰로오스 폼단열재, 그라스울, 미네랄울, 발포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이브리드 패널(120)은 진공 단열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122)는 일반 단열재에 비해 단열 성능이 8~10배 정도의 고성능 단열재이므로, 진공 단열재(122)를 사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 패널(120)은 상기 진공 단열재(122)를 감싸는 패드형 단열재(123)를 구비할 수 있다. 패드형 단열재(123)는 5mm 정도의 얇은 단열재로 폴리에스테르 또는 글라스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드형 단열재(123)가 진공 단열재(122)를 감쌈으로써 진공 단열재(122)가 파손되어 진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각 하이브리드 패널(130,140,150)의 외부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두께가 얇은 철판(125)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하이브리드 패널(130,140,150)이 철판(125)으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패널(120)은 단열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구조체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패널(120)은 무거운 기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이브리드 패널(120)이 개판 없이 직접 골격부재(51)에 고정되기 때문에 방과 같이 천장 마감이 되지 않고 골격부재(51)가 드러나는 거실 또는 대청과 같은 공간에서는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골격부재의 상부에 석고보드 또는 마그네슘보드 등의 마감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골격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고보드 또는 마그네슘보드 등의 마감재에 회미장 등의 마감처리를 함으로써 실내에서 전통적인 한옥의 느낌을 살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의 고정부(131)는 연질 단열재(121), 진공 단열재(122) 및 패드형 단열재(123)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돌출부(132)는 연질 단열재(121)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의 고정부(141)는 연질 단열재(121)로 형성되고, 걸림턱(142)은 연질 단열재(121), 진공 단열재(122) 및 패드형 단열재(123)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은 연질 단열재(121), 진공 단열재(122) 및 패드형 단열재(123)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이때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과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이 겹치는 부분 및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과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이 겹치는 부분은 진공 단열재(122)가 서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각 하이브리드 패널(130,140,150)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하측면에는 방습시트(111)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방습시트(111)는 빗물이 지붕(100)을 통해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을 가지며, 지붕(100)에 있는 습기를 흡수하여 배출하는 성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상측면에는 복사저항체(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사저항체로(170)는 알루미늄 박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상부에 복사저항체(170)가 설치됨으로써 지붕(100)을 통해 전도 및 대류열 뿐만 아니라 복사열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지붕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패널(120) 중에서 주심도리(3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연질 단열재(121)로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주심도리(3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두께가 얇아야 할 뿐만 아니라, 실외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므로 단열 성능이 월등히 뛰어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 및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은 모두 연질 단열재(121)로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패널(120)이 골격부재(51)의 상부에 설치되면, 기와가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7은 하이브리드 패널의 상부에 기와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붕(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부재(51)에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설치한 후,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상부에 기와(200)를 설치한다.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상부에 기와(200)를 걸 때에는 먼저 나사(210)를 이용하여 암기와(200a)를 하이브리드 패널(120)에 고정시키고, 수기와(200b)가 한쌍의 암기와(200a)를 누르도록 함으로써 기와(200)가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상부를 덮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상부에 기와(200)를 설치하게 되면 전체적인 한옥의 지붕(100) 구조가 완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상술한 한옥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130,140,150)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제작하는 단계(S110)와,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일측면에 방습시트(111)를 부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S120)와,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타측면에 복사저항체(170)를 부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S130)와,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지붕(100)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재(51)에 고정하는 단계(S140)와,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상부에 기와를 고정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한편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골격부재(51)에 고정하는 단계(S140)는 골격부재(51)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을 설치하는 단계와, 골격부재(51)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140)을 설치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13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15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패널(120)의 운반 및 설치가 쉬워지며,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어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하이브리드 패널(12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패널(120)이 방습기능 및 복사열까지 차단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51: 골격부재 100: 지붕
120: 하이브리드 패널 130: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
140: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 150: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
170: 복사저항체

Claims (13)

  1.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부재와,
    지붕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를 구비하며, 상기 골격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패널과,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기와를 구비하는 한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연질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진공 단열재를 감싸는 패드형 단열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골격부재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과,
    상기 골격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과,
    복수개의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골격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골격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의 고정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한옥.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이웃하는 한쌍의 상기 돌출부와 실링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과,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을 상기 골격부재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상기 골격부재와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브라켓을 통한 열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단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지붕을 통한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습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은 상기 지붕을 통한 복사열의 유입을 차단하는 복사저항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12.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패널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의 일측면에 방습시트를 부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의 타측면에 복사저항체를 부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을 지붕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재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의 상부에 기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옥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패널을 골격부재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골격부재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골격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부 하이브리드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상기 중간 고정 하이브리드 패널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하이브리드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제조방법.
KR1020110074809A 2011-07-27 2011-07-27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KR10127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809A KR101277060B1 (ko) 2011-07-27 2011-07-27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809A KR101277060B1 (ko) 2011-07-27 2011-07-27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265A true KR20130013265A (ko) 2013-02-06
KR101277060B1 KR101277060B1 (ko) 2013-06-20

Family

ID=4789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809A KR101277060B1 (ko) 2011-07-27 2011-07-27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955B1 (ko) * 2022-11-11 2023-10-25 배삼성 장연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4436A (zh) * 2018-04-18 2018-11-27 北京利泰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复合保温屋面结构及其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208Y1 (ko) * 1985-08-22 1988-11-25 주식회사 기린산업 조립식 판넬
KR100822901B1 (ko) * 2004-07-02 2008-04-17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방사열 전달 및 일사열 취득을 저감시킨 통기층을 가지는외벽 또는 지붕의 구조 및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
CN101874137A (zh) * 2007-11-27 2010-10-27 旭玻璃纤维股份有限公司 隔热面板和隔热结构
KR200446380Y1 (ko) 2009-07-20 2009-10-27 이현우 목조건축물용 지붕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955B1 (ko) * 2022-11-11 2023-10-25 배삼성 장연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060B1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674B1 (en) Premanufactured structural building panels
US6085479A (en) Premanufactured structural building panels
US7913469B2 (en) Concrete load-bearing wall with compound heat-insulating layer
RU2630829C2 (ru) Способ теплоизоляции здания
US8122657B2 (en) Metal “log” buildings with rigid insulation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KR20130005694A (ko)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JP2012246622A (ja) 基礎構造の施工方法、及び基礎換気構造
GB2467923A (en) Timber-based insulating building section
KR101132334B1 (ko)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EP1794381A1 (en) Building construction kit with storey high wall panels
RU2489553C1 (ru) Ограждающая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17-этажного крупнопанельного жилого дома с самонесущей наружной стеной и навесной внутренней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EP2449185B1 (en) Supplementary insul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insulating a façade
RU157001U1 (ru) Стенов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RU105652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моду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варианты)
KR100823300B1 (ko) 콘크리트 골조주택 스틸마감구조 및 방법
JP3787408B2 (ja) 屋根構造
KR101343053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JP3102903U (ja) 通気構造を備えた家屋
KR101674833B1 (ko) 시멘트 사이딩, 세라믹 사이딩 또는 외부마감재로 마감되는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벽 단열 구조
JP2001342695A (ja) 合成樹脂発泡体製屋根用遮熱・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屋根用遮熱・断熱材の施工方法
JP2023073490A (ja) 建物
KR101292019B1 (ko) 목조주택 기둥의 단열구조 및 목조주택 기둥의 단열방법
CZ34152U1 (cs) Systém střešního zateplení budov
KR20030006150A (ko) 지붕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지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