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694A -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694A
KR20130005694A KR1020110067256A KR20110067256A KR20130005694A KR 20130005694 A KR20130005694 A KR 20130005694A KR 1020110067256 A KR1020110067256 A KR 1020110067256A KR 20110067256 A KR20110067256 A KR 20110067256A KR 20130005694 A KR20130005694 A KR 2013000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fters
insulating material
wooden house
heat insulating
pur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611B1 (ko
Inventor
강재식
최경석
김기현
정영용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한회사 에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한회사 에스와이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6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6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목조주택은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리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 지지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서까래와,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판과, 상기 도리와 개판 사이에 형성되는 단골을 막기 위해 상기 도리와 상기 개판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구비하여, 단골막이에서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Wooden Ho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조주택은 건물의 벽체·마루바닥·지붕 등의 뼈대를 주로 나무로 만든 가구식 구조체(架構式構造體)로, 동양 고전식(東洋古典式) 구조법, 한식 구조와 일본에서 개량한 일식 구조, 양풍구조(洋風構造)의 양식이 있는데, 건물의 무게가 가볍고 구조공작이 쉬우나 내화성(耐火性)·내구성(耐久性)이 약하다. 그러나 목조주택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건물에 비해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 또한 양옥과는 달리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건축한 목조주택이다. 목조주택의 하나인 한옥을 만드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주춧돌 위에 나무로 기본골격을 만든 후 그 기본골격 위에 지붕을 씌우고 벽체와 창호 등을 설치한다.
한옥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부재는 기둥, 보, 도리, 서까래 등이다. 이와 같이 한옥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부재의 크기는 보통 집의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기둥 상부로는 집의 평면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결구 방식이 나타난다. 이 부분의 목재 엮기 방식을 가구(架構)라고 한다.
한옥을 만드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주춧돌 상부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이 세워지고, 기둥의 위에는 대들보가 설치된다. 대들보 위에는 중도리, 중보 및 대공이 차례로 세워지고, 대들보와 중도리 위에는 다수의 서까래가 설치된다.
서까래는 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도리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지게 안착되며, 서까래의 상부에는 개판이 깔리게 된다. 따라서 도리의 위에 안착된 서까래와 서까래의 사이에는 틈(gap)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리와 도리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안착된 서까래 및 그 상부에 깔려진 개판의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 틈을 전통가옥 건축분야에서는 단골(또는 당골)이라 하며, 단골을 막는 것을 "단골막이"라 한다.
한옥에 있어서는 이러한 단골을 막기 위해 흙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하여 갈라지기 때문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단골막이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골막이의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골막이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까래의 수축에 따라 단골막이에서 발생하는 틈을 막을 수 있는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은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리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 지지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서까래와,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판과, 상기 도리와 개판 사이에 형성되는 단골을 막기 위해 상기 도리와 상기 개판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는 상기 도리에 지지되며 상기 서까래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단열재와, 상기 서까래에 지지되며 상기 개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단열재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단열재 및 상기 제2단열재는 각각 상기 서까래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까래가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에 안착하는 고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밴드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단열재는 발포폴리스티렌(EPS), 압출폴리스티렌(XPS), 셀룰로스 폼 단열재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은 기둥의 상부에 도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 상측으로 홈이 형성된 제1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단열재에 형성된 홈에 서까래를 끼우는 단계와,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하측으로 홈이 형성된 제2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단열재의 상부에 개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열재에 형성된 홈에 서까래를 끼우는 단계 이전에, 고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밴드에 상기 서까래를 끼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단골막이로 단열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골막이에서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골막이를 형성하는 단열재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목조주택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까래가 삽입되며 단열재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안착되는 고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밴드를 구비함으로써 서까래가 수축하더라도 밴드가 팽창하여 단골막이에 발생하는 틈을 막을 수 있어 단골막이에서의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에서 단골막이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골막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목조주택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하에서는 목조주택의 하나인 한옥을 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에서 단골막이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에서 단골막이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어진다.
배치된 주춧돌(10)의 상부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20)이 세워지고, 상기 기둥(20)의 위에는 도리(30) 및 대들보(40)가 세워진다. 상기 대들보(40) 위에는 중도리(50) 및 중보(70)가 세워지고, 상기 중보(70)의 위에는 대공(75)이 세워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대공(75)의 상부에는 종도리(80)가 세워지고, 상기 종도리(80)의 상부에는 용마루(90)가 설치된다.
한편 도리(30) 및 중도리(50) 위에는 다수의 서까래(51)들이 걸쳐지게 된다. 상기 서까래(51)의 상부는 개판(52)이 깔려지고, 개판(52)의 상부에는 흙이 깔리게 된다.
따라서 도리(30) 위에 설치되는 서까래(51)와 서까래(51)의 사이에는 틈(gap)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틈을 단골이라고 하며 단골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하부로는 도리(30), 양측으로는 서까래(51), 상부로는 개판(52)으로 둘러싸인 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에서는 이와 같은 단골을 막기 위해 단열재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단열재를 사용하여 단골막이를 형성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단열재(100)를 이용하여 단골을 막는 단골막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열재(100)는 서까래(5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0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단열재(100)가 수용홈(101)을 구비함으로써 서까래(51)가 수용홈(101)에 밀착되면서 안착되도록 하여 단골을 막게 된다.
한편 단골에 단열재(100)의 설치를 쉽게 하기 위해 단열재(100)는 도리(30)에 지지되며 서까래(5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단열재(110)와, 서까래(51)에 지지되며 개판(5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단열재(120)를 구비한다.
제1단열재(110)는 서까래(51)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수용홈(111)을 구비하고, 제2단열재(120)는 서까래(51)의 상측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수용홈(121)을 구비한다.
서까래(51)를 수용하기 위해 제1단열재(110)에 구비되는 제1수용홈(111)과 제2단열재(120)에 구비되는 제2수용홈(121)은 각각 반원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제1수용홈(111)과 제2수용홈(121)이 서로 합쳐지면 서까래(51)가 수용되는 하나의 수용홈(101)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단열재(110)와 제2단열재(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단열재(110)와 제2단열재(120)는 단골막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111,121)을 가지도록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다. 제1단열재(110)와 제2단열재(120)가 공장에서 제작될 때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작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열재(100)는 공장에서 생산하기 쉬운 발포폴리스티렌(EPS), 압출폴리스티렌(XPS), 셀룰로스 폼 단열재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값이 싼 단열재(100)를 사용하여 단골막이로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목조주택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서까래(51)를 단열재(100)의 수용홈(101)에 수용하기에 앞서 서까래(51)를 고탄성을 가지는 밴드(130)에 삽입한 후 밴드(130)를 수용홈(101)에 수용할 수 있다. 이때 밴드(130)는 고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홈(101)에 수용되었을 때 수용홈(101)과 밀착되는 정도를 높일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목재는 수축하게 되는데, 서까래(51)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서까래(51)가 수축하게 되면 서까래(51)와 수용홈(101)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고탄성을 가지는 밴드(130)가 탄성 복원하면서 서까래(51)와 수용홈(101)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매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서까래(51)가 수축하더라도 밴드(130)가 팽창하여 단골막이에 발생하는 틈을 막을 수 있어 단골막이에서의 단열 성능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은 기둥(20)의 상부에 도리(30)를 설치하는 단계(S110)와, 상기 도리(30)의 상부에 상측으로 홈(111)이 형성된 제1단열재(110)를 설치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제1단열재(110)에 형성된 홈(111)에 서까래(31)를 끼우는 단계(S130)와, 상기 서까래(31)의 상부에 하측으로 홈(121)이 형성된 제2단열재(120)를 설치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제2단열재(120)의 상부에 개판(52)을 설치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도리(30)의 상부에 상측으로 홈(111)이 형성된 제1단열재(110)를 설치할 때에는 도리(30)의 상부에 공장에서 생산된 제1단열재(110)를 길이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잘라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제1단열재(110)를 도리(30)의 상부에 설치할 때에는 서까래(51)의 경사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단열재(110)에 형성된 홈(111)에 서까래(31)를 끼우는 단계 이전에, 고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밴드(130)에 상기 서까래(31)를 끼운다. 이와 같이 고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밴드(130)에 서까래(31)를 끼운 후 밴드(130)를 제1단열재(110)에 형성된 홈(111)에 안착시킴으로써 서까래(31)를 홈(111)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서까래(31)가 제1단열재(110)에 형성된 홈(111)에 안착된 후 제2단열재(120)가 제1단열재(110)의 상부를 덮도록 하여 서까래(31)가 제1단열재(110)에 형성된 홈(111)과 제2단열재(120)에 형성된 홈(121)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한편 제2단열재(120)를 설치할 때에는 제1단열재(110)를 설치할 때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필요한 만큼 잘라서 설치한다.
제2단열재(120)를 설치한 후에 제2단열재(120)의 상부에 개판(52)을 설치하므로 개판(52)은 제2단열재(1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개판(52)의 상부에는 지붕을 형성하는 부재들이 설치되므로 제1단열재(110) 및 제2단열재(120)에 형성된 홈(111,121)은 서까래(31)와 더욱 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단골막이의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단골막이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0: 기둥 30: 주심도리
51: 서까래 52: 개판
110: 제1단열재 120: 제2단열재
130: 밴드

Claims (7)

  1.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리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 지지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서까래와,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판과,
    상기 도리와 개판 사이에 형성되는 단골을 막기 위해 상기 도리와 상기 개판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구비하는 목조주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도리에 지지되며 상기 서까래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단열재와, 상기 서까래에 지지되며 상기 개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단열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주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열재 및 상기 제2단열재는 각각 상기 서까래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주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까래가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에 안착하는 고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주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폴리스티렌(EPS), 압출폴리스티렌(XPS), 셀룰로스 폼 단열재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주택.
  6. 기둥의 상부에 도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 상측으로 홈이 형성된 제1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단열재에 형성된 홈에 서까래를 끼우는 단계와,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하측으로 홈이 형성된 제2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단열재의 상부에 개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열재에 형성된 홈에 서까래를 끼우는 단계 이전에,
    고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밴드에 상기 서까래를 끼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KR1020110067256A 2011-07-07 2011-07-07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KR10128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256A KR101280611B1 (ko) 2011-07-07 2011-07-07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256A KR101280611B1 (ko) 2011-07-07 2011-07-07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94A true KR20130005694A (ko) 2013-01-16
KR101280611B1 KR101280611B1 (ko) 2013-06-28

Family

ID=4783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256A KR101280611B1 (ko) 2011-07-07 2011-07-07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6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873B1 (ko) * 2011-06-16 2013-09-05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옥의 개량형 당골막이
KR101399913B1 (ko) * 2013-06-24 2014-05-3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한옥 및 그 건축방법
KR20160059728A (ko) * 2014-11-19 2016-05-27 이병문 당골막이
KR20210020285A (ko) 2019-08-14 2021-02-24 이영숙 아로마 힐링 목조 주택
KR102556913B1 (ko) * 2022-07-18 2023-07-20 주식회사 금오한옥건설 한옥 지붕의 연결 구조,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48Y2 (ja) * 1989-07-26 1995-02-22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桁用断熱材
JP2583308Y2 (ja) 1992-07-03 1998-10-22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屋根パネルの連結構造
JP2004148771A (ja) 2002-11-01 2004-05-27 Paramount Glass Kogyo Kk マット状無機質繊維断熱材及び断熱構造
KR101141804B1 (ko) * 2009-08-24 2012-05-04 한진 한옥용 단골막이 착고 및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873B1 (ko) * 2011-06-16 2013-09-05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옥의 개량형 당골막이
KR101399913B1 (ko) * 2013-06-24 2014-05-3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한옥 및 그 건축방법
KR20160059728A (ko) * 2014-11-19 2016-05-27 이병문 당골막이
KR20210020285A (ko) 2019-08-14 2021-02-24 이영숙 아로마 힐링 목조 주택
KR102556913B1 (ko) * 2022-07-18 2023-07-20 주식회사 금오한옥건설 한옥 지붕의 연결 구조,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611B1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611B1 (ko)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KR101374163B1 (ko) 덧서까래형 한옥지붕 및 그 제작방법
JP5455496B2 (ja) 木造建築物の屋根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58158B1 (ko) 전통가옥의 시스템 단열 기와지붕
KR20130033848A (ko)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KR20170052098A (ko) 서까래 조립체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JPH04309636A (ja) 建築用パネル、当該建築用パネルからなる木造建築物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101343053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KR101289236B1 (ko)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KR101277054B1 (ko) 목조주택 지붕 및 목조주택 지붕의 제조방법
KR101314186B1 (ko) 목조주택 단열구조 및 목조주택 단열구조의 형성방법
JP3421554B2 (ja) 小屋梁等の上に施工する断熱材及び該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
JP7374671B2 (ja) 屋根構造
JP5750134B2 (ja) 建物の屋根構造
JP6102683B2 (ja) 小屋組構造及び住宅
JP2602828Y2 (ja) 木造建築の通気防止構造
JP2000073547A (ja) 床部構造、断熱材受部材および建物ユニット
JPH08277597A (ja) 断熱屋根パネルおよび屋根構造
JP2690259B2 (ja) 木造建築物
JP2020002624A (ja) 断熱パネル、断熱パネルの敷設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H10252166A (ja) 断熱ブロック、断熱壁、断熱屋根および断熱屋根の施工方法
JP6501337B2 (ja) 屋根構造
JP2005256370A (ja) 断熱換気屋根を有する建築物
JP2024033531A (ja) 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