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334B1 -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 Google Patents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334B1
KR101132334B1 KR1020110119639A KR20110119639A KR101132334B1 KR 101132334 B1 KR101132334 B1 KR 101132334B1 KR 1020110119639 A KR1020110119639 A KR 1020110119639A KR 20110119639 A KR20110119639 A KR 20110119639A KR 101132334 B1 KR101132334 B1 KR 10113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divided
frame
column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택
Original Assignee
임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택 filed Critical 임정택
Priority to KR102011011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등의 건식자재로 주요 구조부분을 시공하면서 마감재나 지붕만을 전통방식으로 시공하는 한식건축물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건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 보, 벽체 등 주요 구조부분을 소규모 각관 내지 각판을 이용하여 분할 이격구조로 설치하여 완성하는 새로운 방식의 건축구조와, 이를 바람직하게 적용하는 한식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골조 방식에 의한 건축구조는, 제1각편과 제2각편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기둥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분할기둥; 제1각편과 제2각편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분할기둥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분할기둥에 접합 설치되는 분할보; 내부틀과 외부틀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되, 분할기둥과 분할보를 연결하면서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중벽체틀; 상기 분할기둥, 분할보, 이중벽체틀의 노출표면에 시공되는 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분할기둥, 분할보, 이중벽체틀 중간의 공간층이 서로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Construction with Divided Framework and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골 등의 건식자재로 주요 구조부분을 시공하면서 마감재나 지붕만을 전통방식으로 시공하는 한식건축물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건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 보, 벽체 등 주요 구조부분을 소규모 각관 내지 각판을 이용하여 분할 이격구조로 설치하여 완성하는 새로운 방식의 건축구조와, 이를 바람직하게 적용하는 한식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통 건축방식에 따른 한식건축물은 천연목재에 의한 구조를 따른다. 즉, 전통 한식건축물은 천연목재를 제재, 치목, 조립하면서 건축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통 한식건축물은 천연목재를 인력에 의존하여 다루기 때문에 상당한 시공품이 들고 공사기간도 긴 편이며, 또한 고가의 천연목재를 이용하므로 공사비 또한 비싼 편이다. 뿐만 아니라 전통 한식건축물은 천연목재가 건습에 의한 수축 팽창이 크기 때문에 뒤틀림 변형이 크게 일어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자는 철골로 골조를 완성하면서 전통 한식건축물의 외관을 그대로 구현시킨 한식건축물을 개발하여 특허 제10-0934458호로 특허받은 바 있다. 특허 제10-0934458호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철골조로 기본 뼈대를 구성하고 마감목재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한식건축물을 구축한다. 하지만 특허 제10-0934458호를 통해서는 벽체의 마감재 선택이 제한적이었는데, 단열재가 설치된 면에서 습식재료로 바름하여 미장하는 마감처리가 곤란하여 마감보드로 마무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특허 제10-0934458호는 상당 크기의 철골 각관부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루기가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본 발명자는 도 2와 같은 중단열 철골보강벽체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10-2011-81633호로 출원하였다. 하지만 특허출원 10-2011-81633호는 벽체를 중단열구조로 완성하는데 머물렀기 때문에 기둥, 보 등 주요 골조와의 관계에서 단열구조의 연속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상당 규격의 철골 자재 사용에 따른 작업성 저하 문제는 여전하였다.
본 발명은 상당 규격의 철골 자재 사용에 따른 작업성 저하 문제를 개선하는 한편 단열구조의 연속성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기둥, 보, 벽체 등 주요 구조부분을 소규모 각관 내지 각판을 이용하여 분할 이격구조로 설치하여 완성하는 새로운 방식의 건축구조와, 이를 바람직하게 적용하여 완성하는 한식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각편과 제2각편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기둥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분할기둥; 제1각편과 제2각편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분할기둥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분할기둥에 접합 설치되는 분할보; 내부틀과 외부틀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되, 분할기둥과 분할보를 연결하면서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중벽체틀; 상기 분할기둥, 분할보, 이중벽체틀의 노출표면에 시공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분할기둥, 분할보, 이중벽체틀 중간의 공간층이 서로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에 의해 구축되되, 분할보가, 보 위치에서 분할기둥 위에 거치되면서 설치되는 분할들보;와, 도리 위치에서 분할수장 중 분할장여에 받침 지지되면서 분할기둥 또는 분할들보 위에 거치되면서 설치되는 분할도리;로 구분되게 구축되는 건물부문; 상기 건물부문의 분할보 중 분할도리에 시공되는 마감재 위로 목재 서까래, 지붕바탕, 기와지붕이 순차 시공되어 구축되는 지붕부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건물부분에서 이중벽체틀은, 내부틀과 외부틀 내측 표면에 막음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건물부분에서 마감재는, 분할기둥의 노출표면을 둘러싸도록 목재 마감재가 시공되는 기둥 마감재; 분할보의 노출표면을 둘러싸도록 목재 마감재가 시공되는 보 마감재; 분할수장의 노출표면을 둘러싸도록 목재 마감재가 시공되는 수장 마감재; 이중벽체틀의 내부틀 외측 표면으로 미장마감이 시공되는 벽체 내부마감재; 이중벽체틀의 외부틀 외측 표면으로 미장마감 또는 화방벽(火防壁)이 시공되는 벽체 외부마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한식건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기둥, 보, 벽체 등 주요 구조부분을 분할 이격구조로 완성하기 때문에 소규모 자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재비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분할구조의 구조틀 사이에 단열재를 연속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 전체에 걸쳐 단열에 유리한 중단열구조로 완성할 수 있다. 특히 구조부분의 시공과 단열재 설치를 동시에 진행해야 했던 종래 중단열 구조와는 달리, 구조부분을 선시공한 후에 단열재를 일괄 설치하면서 중단열 공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성을 향상을 시킬 수 있다. 특히 한식건축물의 시공에서 건물부분과 지붕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단열재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우수한 한식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다.
셋째, 철골 등의 현대 건축자재를 채택하면서 용접접합 내지 연결편에 의한 맞춤접합 등의 조립방법으로 구조부분을 시공한 후에 구조부분에 목재 마감재를 고정 설치하는 방법으로 한식건축물을 구축하기 때문에, 한식건축물에서 현대건축기법에 의한 시공성과 전통건축의 외관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제10-0934458호에 따른 철골골조에 의한 한식건축물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특허출원 제10-2011-81633호에 따른 중단열 철골보강벽체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골조 방식의 한식건축물에 대한 일례로서, 평면도, 도리 방향 단면도, 보 방향 단면도, 구조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한식건축물에서 각각 분할기둥과 이중벽체틀의 결합상세도, 분할들보의 시공상세도, 분할도리의 시공상세도로서, 분할기둥, 분할들보, 분할도리를 위한 자재로 각관을 채택한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분할기둥, 분할들보, 분할도리를 위한 자재로 L형앵글 내지 ㄷ채널을 변경 채택한 예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3d에서 'd'와 'e'부분에 대한 결합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골조 방식의 한식건축물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한식담장에 대한 일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는 벽체는 물론, 기둥, 보, 수장 등 주요 구조부분을 사이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분할 시공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보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 설치하는 통상적인 수평 구조부재를 의미하는데, 한식건축물이라면 보 위치에서 설치되는 좁은 의미의 보(대들보, 종보, 퇴량 등)는 물론 도리 위치에서 기둥 위에 보와 보 사이 보머리를 걸터앉도록 건너지르게 설치되는 도리(cross beam)부재를 포함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좁은 의미의 보를 넓은 의미의 보와 구분하기 위해 '들보'라 정의한다. 또한 수장(fixture)은 바닥, 천장, 창호 등을 구성하기 위해 기둥, 보에 연결 설치되는 부재가 되는데, 가령 한식건축물에서는 장여, 문선, 설주, 인방, 중방, 하방, 상방 등이 된다. 이하부터는 첨부한 도면에 따른 한식건축물을 예시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골조 방식에 의한 한식건축물에 대한 일례가 되는데, 각각 보 방향 단면도, 도리 방향 단면도, 구조틀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골조 방식에 의한 건축구조는,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이중벽체틀(W)에 의한 구조틀과, 구조틀의 노출표면에 시공되는 마감재(CF, BF, WF1, WF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조틀을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이중벽체틀(W)에 의한 분할 이중구조로 완성하는 것이다. 그 결과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이중벽체틀(W) 중간의 공간층이 서로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구조틀의 분할 이중구조에 의한 공간층에는 단열재(I)를 연속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건물 전체에 걸쳐 중단열 구조로 완성할 수 있다.
한식건축물이라면 분할보를 분할들보(B1)와 분할도리(B2)로 구분하고, 더불어 분할수장(H1, H2, H3, V1)을 마련하면서 구조틀을 구축한다. 분할기둥(C), 분할들보(B1), 분할도리(B2), 분할수장(H1, H2, H3, V1) 등 구조틀의 분할구조는 링크부재(가령 스페이서 등)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긴결시킬 수 있다. 한편 한식건축물로 구축한다면 분할수장(H1, H2, H3, V1)에 더하여 첨차, 익공, 동자 등 각종 장식재를 구성하기 위해 장식재용 내부심재(D)를 접합 설치할 수 있으며, 장식재용 내부심재(D)는 장식마감재(DF)를 덧씌워 마무리한다(도 3c 참조).
본 발명에서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이중벽체틀(W) 등에 의한 구조틀은 각각 경량형강, 고강도 알루미늄, 고강도 플라스틱 등 현대 건축자재를 채택하면서 용접접합, 연결편에 의한 맞춤연결 등의 방법으로 조립 설치하고, 마감재는 천연목재를 채택하여 마무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현대건축기법에 의한 시공성과 전통목조건축의 외관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도 3c에서는 서까래(R1)와 기와지붕(R3)에 의한 한식지붕으로 시공하여 한옥의 외관을 갖는 한식건축물로 구축하는 과정에서 단열재(I)를 지붕까지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설치하고 있다. 다시 말해 분할기둥(C), 분할들보(B1), 분할도리(B2), 분할수장(H1, H2, H3, V1), 이중벽체틀(W) 등의 구조틀을 설치하고 기둥 마감재(CF), 보 마감재(BF), 수장마감재(HF), 벽체 마감재(WF1, WF2)를 시공하여 건물부분을 완성하고, 건물부분의 분할도리(B2)에 시공되는 마감재 위로 목재 서까래(R1), 지붕바탕(R2), 기와지붕(R3)을 순차 시공하여 지붕부분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한식건축물을 구축하는데, 이 과정에서 건물부문의 구조틀 사이 공간층에 단열재(I)를 설치하고 이 단열재(I)를 지붕부문의 지붕바탕(R2)과 기와지붕(R3) 사이까지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단열재(I)는 완성된 구조틀에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틀 공사와 구분하여 중단열 공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중단열구조임에도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단열재(I)로는 두께가 얇아 사용성이 우수하면서 단열성이 좋은 열반사 단열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단열재(I)가 건물부분은 물론 지붕부분까지 건물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단열에 우수한 한식건축물로 완성된다. 한식지붕이라면 지붕부문의 지붕바탕(R2)은 서까래(R1) 위에 판재나 산자를 깐 후 진흙을 바르는 방식으로 처리하면 적절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한식건축물에서 각각 분할기둥(C)과 이중벽체틀(W)의 결합상세도(도 3a의 'a' 부분 상세), 분할들보(B1)의 시공상세도(도 3b의 'b' 부분 상세), 분할도리(B2)의 시공상세도(도 3c의 'c' 부분 상세)로서, 분할기둥(C), 분할들보(B1), 분할도리(B2)를 위한 자재로 각관을 채택한 예이다.
분할기둥(C)은 제1각편(C11)과 제2각편(C12)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는데, 제1,2각편(C11, C12) 각각이 기둥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분할기둥(C)은 건물 둘레를 둘러싸면서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 설치되는 기초틀에 용접 등의 고정 설치하면 된다(도 3b 참조). 도 4a는 건물 코너 위치에 설치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제안된 분할기둥(C)을 보여주는데, 사각각관에 의한 제1각편(C11)과 L자각관에 의한 제2각편(C12)을 서로 이격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사각구도로 완성된 분할기둥(C)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제2각편(C12)을 위해 사각각관 2개를 조립하여 L자각관으로 완성하고 있다. 건물 가운데 위치라면 제1,2각편(C11, C12) 모두 동일하게 동일한 크기의 사각각관을 이격 배치하여 사각구도의 분할기둥(C)으로 완성하면 된다(도 3a 참조). 분할기둥(C)에는 기둥 마감재(CF)가 설치된다.
이중벽체틀(W)은 건물 벽체의 보강 심재가 되는데, 내?외부틀(W1, W2)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중벽체틀의 내?외부틀(W1, W2)은 격자구조로 마련하면 적당하며, 가령 사각각관을 가로세로 조립한 격자틀로 마련하는 것이다. 다만 벽체 두께를 얇게 한다면 도 4a에서와 같이 사각각관에 의한 가로부재(W11, W21)와 띠판에 의한 세로부재(W12, W22)로 격자틀을 마련하도록 한다. 이중벽체틀(W)은 분할기둥(C) 내지 분할수장(H1, H2, H3, V1)이 설치된 다음에 이웃하는 분할기둥(C) 내지 분할수장(H1, H2, H3, V1) 사이에 설치하거나, 분할수장(H1, H2, H3, V1)과 조립한 상태로 준비한 후 분할기둥(C)이 설치된 다음에 설치하면 된다. 도 4a에서는 분할기둥의 제1,2각편(C11, C12) 사이에 하방으로서 분할수장의 제1,2각편(H31, H32)이 설치되고, 분할수장의 제1,2각편(H31, H32) 위로 이중벽체틀의 내?외부틀(W1. W2)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중벽체틀(W)에는 미장마감 내지 화방벽으로 마감재를 시공할 수 있다. 즉, 이중벽체틀의 내부틀(W1) 외측 표면으로 미장마감이 시공되는 벽체 내부마감재(WF1); 이중벽체틀의 외부틀(W2) 외측 표면으로 미장마감 또는 화방벽이 시공되는 벽체 외부마감재(WF2);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장마감은 몰탈 등의 습식재료에 의한 바름미장과 석고보드 등의 건식재료에 의한 설치미장을 포함한다. 다만 바름미장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내?외부틀(W1, W2) 내측 표면으로 합판 등의 막음판(W3)을 덧대고 아울러 내?외부틀(W1, W2) 외측 표면으로 메쉬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식미장으로도 처리할 수 있는데, 가령 진흙, 풍화토, 모래, 짚여물 등을 물로 이겨 반죽하여 초벌 바름하고, 고운 진흙과 모래에 부드러운 짚여물을 섞어 반죽한 것으로 재벌 바름하고, 회반죽으로 정벌 바름한다. 한편 화방벽은 기둥보다 튀어나오도록 두껍게 시공하는 덧벽으로, 자연석, 사고석, 벽돌 등을 쌓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분할보(B1, B2)는 제1각편(B11, B21)과 제2각편(B12, B22)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는데, 분할기둥(C)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분할기둥(C)에 접합 설치된다. 도 4b는 분할보 중에서 분할들보(B1)의 시공상세이고(도 3b에서 'b' 부분), 도 4c는 분할보 중에서 분할도리(B2)의 시공상세(도 3c에서 'c' 부분)인데, 분할들보(B1)는 보 위치에서 분할기둥(C) 위에 거치되면서 설치되는 부재가 되고, 분할도리(B2)는 도리 위치에서 분할수장 중 분할장여(H1)에 받침 지지되면서 분할기둥(C) 또는 분할들보(B1) 위에 거치되면서 설치되는 부재가 된다. 한편 맞배지붕 등의 경사지붕을 위해 종도리가 더 설치되는 경우에는, 분할들보(B1) 위에 대공을 위한 받침구조틀을 짠 후 그 위에 분할도리(B2)를 설치하면 된다(도 3c 참조). 분할들보(B1)와 분할도리(B2)에는 보 마감재(BF)가 설치된다.
한편 분할보(B1, B2)에는 제1,2각편(B11, B12, B21, B22) 사이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스페이서(L2)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스페이서(L2)는 띠판의 가운데가 절곡요부(L21, L22)로 마련되어 분할보(B1, B2)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각편 사이에 끼워 맞춤되면서 안착 설치되는 구조로 마련하면 적당하다. 도 4b와 도 4c에서는 사각각관으로 마련되는 제1,2각편(B11, B12, B21, B22) 사이에 절곡요부(L21)가 마련된 요철구조의 스페이서(L2)가 맞춤 삽입 설치되고 있다. 스페이서(L2)는 적절한 개수로 마련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도록 한다(도 3d 참조). 또한 스페이서(L2)는 자력을 가지는 자재로 마련할 수 있는데, 그 결과 철골자재에 의한 분할보의 제1,2각편(B11, B12, B21, B22)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등의 제1,2각편(C11, C12, B11, B12, B21, B22)을 각관으로 마련함에 따라, 이러한 각관에 대응하여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마감재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즉 내측면이 제1,2각편 각각의 외피와 동일하게 마련된 매개띠판(L1); 매개띠판의 외측면에 돌출된 고정편(L11); 매개띠판 양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돌기(L12); 고정편에 고정 설치된 목재 마감재(TF);로 구성하여, 걸림돌기(L12)가 제1,2각편(C11, C12, B11, B12, B21, B22)의 각관 모서리에 걸리게 원터치식으로 장치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나아가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매개띠판(L1)에 엠보싱(L13)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엠보싱(L13)은 고정핀에 의한 고정편(L11)을 매개띠판(L1)에 고정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정편(L11)의 머리를 수용하여 매개띠판(L1)을 제1,2각편(C11, C12, B11, B12, B21, B22)에 밀착 설치하기 위함이다(도 4a 참조). 한편 분할보(B1, B2)에는 스페이서(L2)도 장착되므로, 분할보(B1, B2)에 설치되는 매개띠판(L1)은 스페이서(L2)와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위치에 주의한다. 매개띠판(L1)도 스페이서(L2)와 마찬가지로 자력을 가지는 자재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자력으로 철골자재로 마련되는 제1,2각편(C11, C12, B11, B12, B21, B22)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걸림돌기(L12)를 생략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분할기둥, 분할들보, 분할도리를 위한 자재로 L형앵글 내지 ㄷ채널을 변경 채택한 예이다. 전반적으로 앞서 살펴본 도 4a 내지 도 4c와 동일하며, 제1,2각편(C11, C12, B11, B12, B21, B22)으로 L형앵글 내지 ㄷ채널을 채택함에 따라 마감재의 설치방법 정도에서 차이가 있다.
도 5a는 건물 코너 위치에 설치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제안된 분할기둥(C)을 보여주는데, 리프 L형앵글에 의한 제1,2각편(C11, C12)으로 분할기둥(C)을 확인할 수 있다. 건물 가운데 위치라면 제1,2각편(C11, C12) 모두 동일하게 동일한 크기의 ㄷ채널로 사각구도의 분할기둥(C)을 완성하면 된다(분할보와 유사함). 한편 분할기둥의 제1,2각편(C11, C12)은 작은 단면으로 소정의 구조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중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요부(C123)로 형성되는 단면형태가 유리하다. 이와 같이 분할기둥의 제1,2각편(C11, C12)을 리프 L형앵글 내지 ㄷ채널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제1,2각편 외측면에 고정핀 등의 고정편(C121)을 돌출되게 마련하는 것으로 목재 마감재(TF)를 간단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5a에서는 소정 크기의 골판에 의한 내?외부틀(W1, W2)로 구성되는 이중벽체틀(W)이 제1연결편(L3)에 의해 분할기둥(C)에 맞춤 연결 설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분할기둥의 제1,2각편(C11, C12)에 맞대어 고정되는 고정판(L31);과, 분할기둥의 제1,2각편 리프(C122)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L32);과, 이중벽체틀의 내?외부틀(W1, W2) 골판이 끼워지는 제2끼움홈(L33);이 마련되는 구조의 제1연결편(L3)을 이용하면서 분할기둥의 제1,2각편(C11, C12)과 이중벽체틀의 내?외부틀(W1, W2)을 각각 연결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중벽체틀(W)은 제2연결편(L4)에 의해 분할수장(H1, H2, H3, V1)과도 맞춤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분할수장의 제1,2각편 플랜지(H122)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L42); 이중벽체틀의 내?외부틀(W1, W2) 골판의 끝단부가 끼워지는 제2끼움홈(L43);으로 마련되는 구조의 제2연결편(L4)을 이용하면서 분할수장의 제1,2각편(H11, H12)과 이중벽체틀의 내?외부틀(W1, W2)을 각각 연결하는 것이다. 특히 이중벽체틀의 내?외부틀(W1, W2)을 위한 골판을 타공판으로 마련한다면 메쉬와 다름없게 되어 메쉬의 설치를 생략하면서 바로 바름미장이나 화방벽으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도 5b와 도 5c에서는 분할들보(B1), 분할도리(B2), 분할수장(H1)이 모두 중간에 절곡요부(B123)가 형성된 ㄷ채널에 의한 제1,2각편(B11, B12, B21, B22, H11, H12)으로 마련되고, 절곡요부(L22)가 마련된 단턱 구조의 스페이서(L2)가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할들보(B1), 분할도리(B2), 분할수장(H1)은 분할기둥(C)과 마찬가지로 제1,2각편(B11, B12, B21, B22, H11, H12) 외측면에 고정편(B121, B221)을 돌출되게 마련하여 목재 마감재(TF)를 고정 설치하면 된다. 또한 제1연결편(L3)을 이용하면서 분할들보(B1)와 이중벽체틀(W) 상호 간, 분할도리(B2)와 분할수장(분할장여, H1)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도 3d에서 'd'와 'e'부분에 대한 결합 상세도인데, 도 6a에서는 건물 코너 위치에서 분할기둥(C), 분할들보(B1), 분할도리(B2)의 결합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도 6b에서는 건물 가운데 위치에서 분할기둥(C), 분할들보(B1), 분할도리(B2)의 결합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a에서와 같이 건물 코너 위치에서 분할기둥(C)은 내측의 제1각편(C11)이 외측의 제2각편(C12)보다 낮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제2각편(C12) 또한 들보 방향 부분이 도리 방향보다 부분보다 낮게 설치된다. 그래야 춤이 높은 들보와 춤이 낮은 도리를 적절하게 레벨을 맞추면서 설치할 수 있다. 분할들보(B1)는 분할기둥(C)에서 낮게 설치된 부분 위에 설치되는데, 보는 바와 같이 분할기둥의 제1각편(C11)과 제2각편(C12)의 들보 방향 부분 위에 설치된다. 특히 분할기둥(C) 위로는 분할도리(B2)도 지나가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분할들보(B1)는 단부가 낮은 단턱으로 설치된다. 분할도리(B2)는 분할기둥(C)에서 높게 설치된 제2각편(C12)의 도리 방향 부분 위와 분할들보 제1각편(B11)의 낮은 단턱 위로 분할들보(B1)보다 낮은 춤으로 설치되며, 그 결과 분할들보(B1)와 분할도리(B2)는 비슷한 레벨로 설치된다.
도 6b에서와 같이 건물 가운데 위치에서 분할기둥(C)은 내측의 제1각편(C11)이 외측의 제2각편(C12)보다 낮게 설치되고, 분할들보(B1)는 제1,2각편(B11, B12) 모두 분할기둥의 제1각편(C11) 위로 단부가 낮아지는 단턱으로 설치되며, 분할도리(B2)는 제1각편(B21)이 분할들보(B1)의 낮은 단턱 위로 설치되고 제2각편(B22)이 분할기둥의 제2각편(C12) 위로 설치된다.
한식건축물은 건물부분 주변으로 굴뚝, 담장, 협문 중 하나 이상의 부속부문이 더 시공될 수 있는데, 도 7에서는 부속부문의 일례로 한식담장을 보여준다. 부속부문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격자틀(S2)이 수평연결재(S1)에 의해 연결 지지되면서 설치되는 지지틀; 지지틀의 격자틀(S2) 각각의 내측 표면에 각각 설치되는 막음판(S3); 지지틀의 격자틀(S2) 각각의 외측 표면에 미장마감 또는 담장마감으로 시공되는 외장마감(S4);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축하면 된다. 여기서 미장마감은 앞서 살펴본 이중벽체틀의 마감재 시공과 같으며, 바름미장으로 처리하는 경우라면 지지틀 표면에 메쉬(S5)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담장마감은 사고석담장, 꽃담장, 토담, 토석담 등 전통 담장에서 외마감재를 적절히 채용하면서 시공하면 된다. 굴뚝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완성하면 되며, 다만 한식담장이나 협문인 경우에는 지붕을 더 시공하여 완성한다.
한편 한식담장의 경우에는 긴 길이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 편의를 위해 지지틀 또는 마감처리된 담장의 일부 구간을 단위유닛으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담장을 시공할 바닥에 레일을 깔고, 지지틀의 격자틀(S2) 하부에 바퀴를 장치하여 격자틀(S2)을 레일 위로 이동시키면서 시공하면 되는데, 이때 레일은 한식담장의 기초가 되는 버림콘크리트에 설치하면 된다. 레일의 설치로 단위유닛의 이동 설치가 쉬워질 뿐만 아니라 단위유닛의 수평잡기가 용이해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틀의 일부 구간을 단위유닛으로 제작한 경우에는 지지틀 상호 간이 암수 결합되도록 하여 그 이음부를 현장에서 접합하도록 하며, 또한 담장의 일부 구간을 단위유닛으로 제작한 경우에는 단위유닛 상호 간이 암수 결합되도록 하고 그 이음부는 메지로 채워 이음새가 보이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 분할기둥
B1, B2: 분할보
H1, H2, H3, V1: 분할수장
W: 이중벽체틀
C11, B11, B21: 제1각편
C12, B12, B22: 제2각편
W1: 내부틀
W2: 외부틀
L1: 매개띠판
L2: 스페이서
L3, L4: 연결편
R1: 서까래
R2: 지붕바탕
R3: 기와지붕
CF, BF, DF, HF, WF1, WF2: 마감재
TF: 목재 마감재

Claims (12)

  1. 제1각편(C11)과 제2각편(C12)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기둥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분할기둥(C);
    제1각편(B11, B21)과 제2각편(B12, B22)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분할기둥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분할기둥에 접합 설치되는 분할보(B1, B2);
    내부틀(W1)과 외부틀(W2)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되, 분할기둥(C)과 분할보(B1, B2)를 연결하면서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중벽체틀(W);
    상기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이중벽체틀(W)의 노출표면에 시공되는 마감재(CF, BF, WF1, WF2);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이중벽체틀(W) 중간의 공간층이 서로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이중벽체틀(W) 중간의 공간층에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단열재(I);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분할기둥(C)은, 사각각관에 의한 제1각편(C11)과 L자각관 또는 사각각관에 의한 제2각편(C12)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할보(B1, B2)는, 사각각관에 의한 제1,2각편(B11, B12, B21, B22)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할기둥(C) 및 분할보(B1, B2)에 시공되는 마감재는,
    내측면이 제1,2각편의 외피와 동일하게 마련된 매개띠판(L1); 매개띠판의 외측면에 돌출된 고정편(L11); 매개띠판 양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돌기(L12); 고정편에 고정 설치된 목재 마감재(TF);로 구성되어, 걸림돌기(L12)가 제1,2각편(C11, C12, B11, B12, B21, B22)의 모서리에 걸리게 원터치식으로 장치되어 고정 설치되거나,
    내측면이 제1,2각편의 외피와 동일하게 마련되면서 자력을 가지도록 마련된 매개띠판(L1); 매개띠판의 외측면에 돌출된 고정편(L11); 고정편에 고정 설치된 목재 마감재(TF);로 구성되어, 매개띠판(L1)이 자력으로 제1,2각편(C11, C12, B11, B12, B21, B2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분할기둥(C)은, 리프 L형앵글 또는 ㄷ채널에 의한 제1,2각편(C11, C12)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보(B1, B2)는, ㄷ채널에 의한 제1,2각편(B11, B12, B21, B22)으로 구성되어 플랜지끼리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분할기둥(C) 및 분할보(B1, B2)에 시공되는 마감재는, 목재 마감재(TF)로 마련되어 각각의 각편(C11, C12, B11, B12, B21, B22) 외측면에 돌출된 고정편(C121, B121, B22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5. 제4항에서,
    상기 이중벽체틀(W)은, 소정 크기의 골판에 의한 내?외부틀(W1, W2)로 구성되어, 연결편(L3, L4)에 의해 분할기둥(C) 또는 분할보(B1, B2)에 의해 맞춤 연결되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분할보(B1, B2)는, 제1,2각편(B11, B12, B21, B22) 사이에 스페이서(L2)가 더 설치되어 이격 거리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분할보(B1, B2)는, 제1,2각편(B11, B12, B21, B22)이 사각각관 또는 ㄷ채널로 마련되며,
    상기 스페이서(L2)는, 띠판의 가운데가 절곡요부(L21, L22)로 마련되어 분할보(B1, B2)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제1,2각편(B11, B12, B21, B22) 사이에 끼워 맞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제1각편(H11, H31)과 제2각편(H12, H32)으로 분할되어 중간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분할기둥(C) 또는 분할보(B1, B2)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접합 설치되는 분할수장(H1, H2, H3, V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감재는, 분할수장(H1, H2, H3, V1)의 노출표면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9. 제8항에 따른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에 의해 구축되되, 분할보가, 보 위치에서 분할기둥(C) 위에 거치되면서 설치되는 분할들보(B1);와, 도리 위치에서 분할수장 중 분할장여(H1)에 받침 지지되면서 분할기둥(C) 또는 분할들보(B1) 위에 거치되면서 설치되는 분할도리(B2);로 구분되게 구축되는 건물부문;
    상기 건물부문의 분할보 중 분할도리(B2)에 시공되는 마감재(BF) 위로 목재 서까래(R1), 지붕바탕(R2), 기와지붕(R3)이 순차 시공되어 구축되는 지붕부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건물부분에서 마감재는, 분할기둥(C)의 노출표면을 둘러싸도록 목재 마감재(TF)가 시공되는 기둥 마감재(CF); 분할보(B1, B2)의 노출표면을 둘러싸도록 목재 마감재(TF)가 시공되는 보 마감재(BF); 분할수장(H1, H2, H3, V1)의 노출표면을 둘러싸도록 목재 마감재(TF)가 시공되는 수장 마감재(HF); 이중벽체틀의 내부틀(W1) 외측 표면에 미장마감이 시공되는 벽체 내부마감재(WF1); 이중벽체틀의 외부틀(W2) 외측 표면에 미장마감 또는 화방벽(火防壁)이 시공되는 벽체 외부마감재(WF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10. 제9항에서,
    상기 건물부문에는 분할기둥(C), 분할보(B1, B2), 이중벽체틀(W) 중간의 공간층에 단열재(I)가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되되,
    상기 단열재(I)가 지붕부문의 지붕바탕(R2)과 기와지붕(R3) 사이까지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11. 제9항에서,
    상기 건물부문의 분할기둥(C)은, 사각각관에 의한 제1각편(C11)과 L자각관 또는 사각각관에 의한 제2각편(C12)으로 구성되거나 L형앵글 또는 ㄷ채널에 의한 제1,2각편(C11, C12)으로 구성되며,
    상기 건물부문의 분할보(B1, B2)와 분할수장(H1, H2, H3, V1)은, 사각각관에 의한 제1,2각편(B11, B12, B21, B22, H11, H12, H31, H32)으로 구성되거나 ㄷ채널에 의한 제1,2각편(B11, B12, B21, B22, H11, H12, H31, H32)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1,2각편(B11, B12, B21, B22, H11, H12, H31, H32) 사이에 스페이서(L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12. 제9항에서,
    한식건축물은, 상기 건물부분 주변으로 굴뚝, 담장, 협문 중 하나 이상이 시공되는 부속부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속부문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격자틀(S2)이 수평연결재(S1)에 의해 연결 지지되면서 설치되는 지지틀;
    지지틀의 격자틀(S2) 각각의 내측 표면에 각각 설치되는 막음판(S3);
    지지틀의 격자틀(S2) 각각의 외측 표면에 미장마감 또는 담장마감으로 시공되는 외장마감(S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KR1020110119639A 2011-11-16 2011-11-16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KR10113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639A KR101132334B1 (ko) 2011-11-16 2011-11-16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639A KR101132334B1 (ko) 2011-11-16 2011-11-16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334B1 true KR101132334B1 (ko) 2012-04-05

Family

ID=4614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639A KR101132334B1 (ko) 2011-11-16 2011-11-16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3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18B1 (ko) 2014-09-12 2015-04-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CN109457836A (zh) * 2018-12-04 2019-03-12 郑勤民 封火墙结构以及含有封火墙结构的房屋结构
KR102006630B1 (ko) * 2018-11-01 2019-08-05 대한민국 전통 담장 보강용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전통 담장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74A (ja) * 1993-05-22 1994-11-29 Suteo Kotani 分割柱を用いた内外一体軽量壁面体家屋の建築工法
KR19990001166U (ko) * 1997-06-17 1999-01-15 김기정 건물의 벽체 구조
JP2002021225A (ja) 2000-07-11 2002-01-23 Sekisui House Ltd 間仕切壁
KR20070049122A (ko) * 2007-03-26 2007-05-10 김일현 건축용 구조재 한식집의 보호절점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74A (ja) * 1993-05-22 1994-11-29 Suteo Kotani 分割柱を用いた内外一体軽量壁面体家屋の建築工法
KR19990001166U (ko) * 1997-06-17 1999-01-15 김기정 건물의 벽체 구조
JP2002021225A (ja) 2000-07-11 2002-01-23 Sekisui House Ltd 間仕切壁
KR20070049122A (ko) * 2007-03-26 2007-05-10 김일현 건축용 구조재 한식집의 보호절점 형성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18B1 (ko) 2014-09-12 2015-04-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2006630B1 (ko) * 2018-11-01 2019-08-05 대한민국 전통 담장 보강용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전통 담장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457836A (zh) * 2018-12-04 2019-03-12 郑勤民 封火墙结构以及含有封火墙结构的房屋结构
CN109457836B (zh) * 2018-12-04 2024-05-17 乌恰县就业创业市政有限责任公司 封火墙结构以及含有封火墙结构的房屋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523B2 (en)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US7823360B1 (en) Open core building blocks system
RU2506376C1 (ru) Бетонное здание с легким стальным объемным каркасом и способ е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1132334B1 (ko)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US9453332B2 (en) Building system, particularly a residential building
EA013175B1 (ru) Наружная стен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истемы аркос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KR101213504B1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공법 및 조립식 한옥 구조
KR20010012388A (ko) 모듈라 샌드위치 패널과 주택건축방법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JP20022273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JP5508566B2 (ja) コンクリート・コンテナハウスの建築施工方法
CN104594671A (zh) 高海拔、高烈度震区500kV变电站全装配式主控楼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CN204456995U (zh) 高海拔、高烈度震区500kV变电站全装配式主控楼
KR101292748B1 (ko) 가구식 건축물의 맞춤식 공법 및 전통한식 구조
CN204456510U (zh) 一种用于500kV变电站主控楼的抗震型墙体
JP2006322205A (ja) 壁式木造建築物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KR101242016B1 (ko) 한옥 골격용 목재프레임
KR100555320B1 (ko) 오픈조인트식 외벽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체 시공방법
CN204475697U (zh) 用于500kV变电站主控楼的保温防水型组合屋面
KR20130068273A (ko) 조립식 임시 숙소 구조물
RU2745262C1 (ru) Сбор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кровельных панелей, карнизных панелей и стеновых плит и способ её соединения
JP6321966B2 (ja) 乾式腰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建物外部構築物並びに乾式腰壁構造の構築方法
JP593412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