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518B1 -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518B1
KR101508518B1 KR20140120965A KR20140120965A KR101508518B1 KR 101508518 B1 KR101508518 B1 KR 101508518B1 KR 20140120965 A KR20140120965 A KR 20140120965A KR 20140120965 A KR20140120965 A KR 20140120965A KR 101508518 B1 KR101508518 B1 KR 10150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ok
fixed
fixedly install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직
김상협
김성찬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12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5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고, 운반이 용이하며, 시공이 용이한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는 종부재와 횡부재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된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소정의 위치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초석과; 상기 초석 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도리와; 상기 도리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대들보와; 상기 도리 상에 대들보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서까래와; 상기 받침프레임의 가운데에 고정 설치되는 협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은 종부재와 횡부재를 격자형상으로 받침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받침프레임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을 나사 결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초석 상에 기둥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도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리에 직각으로 대들보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리 상에 대들보와 동일방향으로 서까래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프레임의 가운데에 협문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은 한옥 문간채를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한옥 문간채를 설치할 대상 지반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 상에 한옥 문간채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Hanok side door and it's prod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옥 시공방법은 집터를 조성하고, 그 터에 초석을 세우고, 그 초석 위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기둥 위에는 대들보와 중간보를 종횡으로 교차시키는 상태로 골조를 설치하여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간에서 초석과 기둥 사이에 마루 및 온돌로 이루어진 방바닥을 형성하고, 기둥과 기둥 그리고 중간보 사이를 흙벽돌 또는 창문틀로 막아 벽을 형성하여 방을 형성하거나, 마루 등을 구획하며, 대들보와 중간보 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고, 기와를 얹어 지붕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종래의 한옥 건축시에는 현장에서 용도에 맞게 목재를 가공하여 한옥부재를 설치함으로 한옥의 최종건축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옥부재가 모듈화 및 부품화가 되어 있지 않아 한옥부재를 건축현장에서 직접 가공하여 사용하므로 정밀도와 취급성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한옥의 건축부재가 규격화되지 못하여 현장에서 재료를 현장의 규격에 맞도록 가공하므로 시간과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당연히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09-0046140호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한옥에 있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메인프레임(10)이 가로·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구조체(100, 200)와, 상기 단위구조체(100, 2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연결프레임(12)과, 상기 단위구조체(100, 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수직연결프레임(14)과 경사프레임(15) 및 외곽프레임(16)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 12, 14, 15, 16)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외면에 목재부(20)가 결합되고, 각 프레임(10, 12, 14, 15, 16)와 인접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패널(2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은 이동과 구조적 강도 및 변형 등으로 인하여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1422789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조립식 한옥골조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형강(110)을 종횡으로 용접하여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단(100)과; 상기 기단(100)의 소정의 위치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초석(200)과; 상기 초석(20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도리(400)와;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대들보(500)와;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서까래(600)로 구성되고, 상기 기단형강(110)은 상, 하부플랜지(122, 124)와 웨브(126)로 이루어진 Z형강(120)과; 상기 Z형강(120)의 양단부 하부플랜지(124)에 용접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막이철물(130)로 구성되며, 상기 기단형강(110)의 고막이철물(130) 간에 구획형강(140)이 용접 설치되며, 상기 구획형강(140)은 사각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평강(142)과; 상기 평강(142)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접 설치되는 전단볼트(144)와; 상기 평강의 양단에 용접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막이철물(1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조립식 한옥골조는 한옥 전문가의 도움없이 모듈화 및 부품화된 한옥부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한옥을 쉽게 지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조립된 한옥골조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에는 대규모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구조적 강도 및 변형 등으로 인하여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10-2009-0046140(공개일: 2009.05.11) 등록특허 10-1422789(등록일: 2014.07.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운반이 용이하며, 시공이 용이한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는 종부재와 횡부재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된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소정의 위치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초석과; 상기 초석 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도리와; 상기 도리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대들보와; 상기 도리 상에 대들보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서까래와; 상기 받침프레임의 가운데에 고정 설치되는 협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은 종부재와 횡부재를 격자형상으로 받침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받침프레임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을 나사 결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초석 상에 기둥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도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리에 직각으로 대들보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리 상에 대들보와 동일방향으로 서까래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프레임의 가운데에 협문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은 한옥 문간채를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한옥 문간채를 설치할 대상 지반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 상에 한옥 문간채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횡부재의 측면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삽입홈에 지게차의 지게발(F)이 삽입되어 지게차에 의해서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마루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므로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현장으로 운반시에는 마루를 분리시킨 상태로 하여 운반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셋째, 본 발명은 지지대를 문설주가 감싸는 형태로 협문이 설치됨으로 외부에서는 지지대를 전혀 볼 수 없으므로 목재의 천연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협문에 초인종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문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의 골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한옥골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한옥골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1,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2,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3,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의 마루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의 받침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1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1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2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2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3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3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의 마루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의 받침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H)는 종부재(110)와 횡부재(120)를 격자형상으로 조립된 받침프레임(100)과;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초석(200)과; 상기 초석(20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도리(400)와;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대들보(500)와;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서까래(600)와;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가운데에 고정 설치되는 협문(7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H)는 받침프레임(100), 초석(200), 기둥(300), 도리(400), 대들보(500), 서까래(600) 및 협문(7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받침프레임(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부재(110)와 횡부재(120)를 격자형상으로 조립된 것으로, 상기 횡부재(120)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3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횡부재(12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0)에는 지지판(150)이 설치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50)은 그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대(130)는 협문(700)을 삽입 설치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이 지지대(130)를 감싸는 상태로 협문(700)의 문설주(710)가 삽입되므로 궁극적으로 외부에서는 지지대(130)를 볼 수 없으므로 목재의 천연미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50)은 지지대(130)에 설치되는 협문(700)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지지대(130)의 하부 횡부재(120) 간을 직각으로 가로질러 설치한 것으로, 이 지지판(150)은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횡부재(120)의 측면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홈(140)을 형성한 이유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H)의 운반을 위해 형성한 것으로, 특히 상기 삽입홈(140)에 지게차(C)의 지게발(F)이 삽입되어 지게차(C)에 의해서 이동식 한옥 문간채(H)를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초석(200)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의 가운데에 천공형성된 볼트공으로 구성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00) 상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0)은 하단부 일정부분이 내측 상향으로 삽입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40)이 초석(20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300)의 하단부간을 가로질러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 간에 마루(900)가 슬라이딩되도록 삽입설치되며, 상기 마루(900)의 저면 일측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다리(910)가 접철식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마루(900)의 측면에 손잡이(920)가 고정 설치된다.
특히, 상기 마루(90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므로 이동식 한옥 문간채(H)를 현장으로 운반시에는 마루(900)를 분리시킨 상태로 하여 운반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도리(400)는 기둥(3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가운데에 연결봉이 용접된 받침철물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철물의 연결봉 상에 일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일측의 반턱진 도리(400) 상에 상투걸이 연결철물이 끼워지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 상에 타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상태로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과; 상기 수직측판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직측판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평판은 수직측판의 중간에 배치되거나, 일측 수직측판의 상단부 내측과 타측 수직측판의 상단에 배치되거나, 수직측판 간의 상단부 내측에 배치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리(400)의 측면에 대들보(500)가 설치되되, 일측의 도리(400)와 타측의 도리(400)가 상투걸이 연결철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의 측면에 대들보(500)가 삽입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과; 상기 수직측판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직측판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평판은 수직측판의 중간에 배치되거나, 일측 수직측판의 상단부 내측과 타측 수직측판의 상단에 배치되거나, 수직측판 간의 상단부 내측에 배치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둥(300)과 도리(400) 및 대들보(500)는 모듈화하여 부재로 제작하고, 표준형의 상투걸이 연결철물을 사용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300) 상부에는 상투걸이 연결철물을 설치하여 도리(400)를 반턱이음지게 하고, 대들보(500)는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의 날개판에 대들보(500) 양쪽에서 결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서까래(600)는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과; 상기 형강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용접 설치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서까래목재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서까래(600)는 형강과 삽입봉 및 서까래목재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형강은 L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강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 바닥에 다수개의 천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형강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에 삼각판이 다수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삼각판에 다수개의 천공홀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봉은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봉의 선단에는 화살형상의 미늘이 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 미늘은 서까래목재의 요홈에 삽입 후 탄성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서까래목재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서까래목재는 서까래(600)를 구성하는 주요부재로서, 전체적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의 절반 지점의 내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요홈이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요홈에 미늘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미늘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협문(700)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설주(710)와; 상기 문설주(710)에 힌지 결합되는 문짝(7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짝(720)의 정면에는 문양(7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문양(730)의 상부에 문고리(7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문양(730)의 배면에 초인종(750)이 고정 설치된 부재이다.
즉, 상기 협문(700)은 일반적인 한옥 협문을 구성하는 문설주(710)와 문짝(7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문짝(720)에는 방문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초인종(750) 또는 인터폰이 설치되고, 이러한 초인종(750)이나 인터폰은 평상시에는 문양(730)에 의해 덮여 있어서 장식적인 기능을 하도록 하고, 초인종(750)이나 인터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문양(73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초인종(750)이나 인터폰을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문양(730)은 자성체로 구성된다.
즉, 상기 문양(730)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로 형성한 이유는 문양(730)을 열어 초인종(750)을 사용하고, 초인종(750) 사용 후, 다시 문양(730)을 내려서 상기 초인종(750)을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양(730)에 자성을 가해 자성체를 형성하면 문양(730)을 열 때는 별문제 없이 열고 문양을 닫을 때에는 자성체에 인력이 작용하여 스스로 닫히게 되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협문(700)은 받침프레임(100)에 삽입홈(14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홈(140)에 지게차(C)의 지게발(F)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문(700)은 지지대(130)를 문설주가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으로 외부에서는 지지대(130)를 전혀 볼 수 없으므로 목재의 천연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협문(700)은 문짝(720)에 초인종(75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문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문(700)은 초인종(750)이 문양(730)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장식적인 기능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협문(700)은 문양(730)이 자성체로 형성됨으로써, 초인종(750)을 사용 후에 문양(730)을 덮는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은 종부재(110)와 횡부재(120)를 격자형상으로 받침프레임(100)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200)을 나사 결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초석(200) 상에 기둥(30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도리(4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대들보(5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서까래(6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가운데에 협문(70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은 종부재(110)와 횡부재(120)를 격자형상으로 조립하여 받침프레임(100)을 형성하되, 상기 횡부재(120)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3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횡부재(12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0)에는 지지판(150)이 설치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50)은 그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여 받침프레임(100)을 조립한 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200)을 나사 결합으로 설치한 후, 상기 초석(200) 상에 기둥(300)을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기둥(300)의 하단부 간을 가로질러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을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 간에 마루(900)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설치하되, 상기 마루(900)의 저면 일측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다리(910)를 접철식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마루(900)의 측면에 손잡이(920)를 고정 설치하여 마루(900)를 형성한 후,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도리(400)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대들보(500)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서까래(600)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가운데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설주(710)와; 상기 문설주(710)에 힌지 결합되는 문짝(7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짝(720)의 정면에는 문양(7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문양(730)의 상부에 문고리(7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문양(730)의 배면에 초인종(750)이 고정 설치된 협문(700)을 고정 설치하여 제작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제작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은 한옥 문간채(H)를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한옥 문간채(H)를 설치할 대상 지반(G)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T)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T)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B)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B) 상에 한옥 문간채(H)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은 공장에서 종부재(110)와 횡부재(120)를 격자형상으로 조립하여 받침프레임(100)을 형성하되, 상기 횡부재(120)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3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횡부재(12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0)에는 지지판(150)이 설치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50)은 그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여 받침프레임(100)을 조립한 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200)을 나사 결합으로 설치한 후, 상기 초석(200) 상에 기둥(300)을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기둥(300)의 하단부간을 가로질러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을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 간에 마루(900)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설치하되, 상기 마루(900)의 저면 일측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다리(910)를 접철식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마루(900)의 측면에 손잡이(920)를 고정 설치하여 마루(900)를 형성한 후,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도리(400)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대들보(500)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서까래(600)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가운데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설주(710)와; 상기 문설주(710)에 힌지 결합되는 문짝(7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짝(720)의 정면에는 문양(7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문양(730)의 상부에 문고리(7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문양(730)의 배면에 초인종(750)이 고정 설치된 협문(700)을 고정 설치하여 제작한 이동식 한옥 문간채(H)를 그 받침프레임(100)의 삽입홈(140)에 지게차의 지게발을 삽입한 상태에서 이동시켜 화물차에 탑재시킨 후, 설치 대상 현장으로 이동식 한옥 문간채(H)를 운반한다.
이어서, 상기 한옥 문간채(H)의 제작 및 운반과는 별도로 이동식 한옥 문간채(H)를 설치할 대상 지반(G)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T)한 후, 상기 터파기(T)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B)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기초(B) 상에 한옥 문간채(H)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은 받침프레임(100)의 삽입홈(140)에 지게차의 지게발을 삽입하여 운반이 편리하고,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100)을 철골로 구성함으로써, 한옥의 이동과 구조적 강도 및 변형 등을 최소화시키며, 기둥(300)과 도리(400) 및 대들보(500)를 모듈화하여 부재로 만들고, 표준형의 연결철물을 사용하여 간단히 손쉽게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다.
100: 받침프레임 110: 종부재
120: 횡부재 130: 지지대
140: 삽입홈 150: 지지판
200: 초석 300: 기둥
400: 도리 500: 대들보
600: 서까래 700: 협문
710: 문설주 720: 문짝
730: 문양 740: 문고리
750: 초인종 800: 가이드레일
900: 마루 910: 지지다리
920: 손잡이 B: 기초
G: 지반 H: 이동식 한옥 문간채
T: 터파기

Claims (31)

  1. 종부재(110)와 횡부재(120)를 격자형상으로 조립된 받침프레임(100)과;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초석(200)과; 상기 초석(20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도리(400)와;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대들보(500)와;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서까래(600)와;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가운데에 고정 설치되는 협문(7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횡부재(120)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3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횡부재(12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0)에는 지지판(150)이 설치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50)은 그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의 하단부간을 가로질러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 간에 마루(900)가 슬라이딩되도록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900)의 저면 일측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다리(910)가 접철식으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이동시가 한옥 문간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900)의 측면에 손잡이(92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문(700)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설주(710)와; 상기 문설주(710)에 힌지 결합되는 문짝(7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720)의 정면에는 문양(7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문양(730)의 상부에 문고리(7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문양(730)의 배면에 초인종(75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11. 종부재(110)와 횡부재(120)를 격자형상으로 받침프레임(100)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200)을 나사 결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초석(200) 상에 기둥(30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도리(4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대들보(5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서까래(6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가운데에 협문(70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횡부재(120)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3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횡부재(12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0)에는 지지판(150)이 설치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50)은 그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의 하단부간을 가로질러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 간에 마루(900)가 슬라이딩되도록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900)의 저면 일측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다리(910)가 접철식으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이동시가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900)의 측면에 손잡이(92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협문(700)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설주(710)와; 상기 문설주(710)에 힌지 결합되는 문짝(7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720)의 정면에는 문양(7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문양(730)의 상부에 문고리(7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문양(730)의 배면에 초인종(75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제작방법.
  21. 한옥 문간채(H)를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한옥 문간채(H)를 설치할 대상 지반(G)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T)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T)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B)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B) 상에 한옥 문간채(H)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옥 문간채(H)는 종부재(110)와 횡부재(120)를 격자형상으로 조립된 받침프레임(100)과;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초석(200)과; 상기 초석(20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도리(400)와;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대들보(500)와;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서까래(600)와;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가운데에 고정 설치되는 협문(7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횡부재(120)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3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횡부재(12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0)에는 지지판(150)이 설치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50)은 그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의 하단부간을 가로질러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800) 간에 마루(900)가 슬라이딩되도록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900)의 저면 일측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다리(910)가 접철식으로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이동시가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900)의 측면에 손잡이(92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협문(700)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설주(710)와; 상기 문설주(710)에 힌지 결합되는 문짝(7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720)의 정면에는 문양(7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문양(730)의 상부에 문고리(7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문양(730)의 배면에 초인종(75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 문간채 시공방법.

KR20140120965A 2014-09-12 2014-09-12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50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0965A KR101508518B1 (ko) 2014-09-12 2014-09-12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0965A KR101508518B1 (ko) 2014-09-12 2014-09-12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518B1 true KR101508518B1 (ko) 2015-04-13

Family

ID=5303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0965A KR101508518B1 (ko) 2014-09-12 2014-09-12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93A (ko) * 2019-05-28 2020-12-08 김상협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KR20210045785A (ko) * 2019-10-17 2021-04-27 김덕규 이동식 황토집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755A (ko) * 2008-06-27 2010-01-06 무안군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32334B1 (ko) 2011-11-16 2012-04-05 임정택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KR101422789B1 (ko) 2013-12-30 2014-07-2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755A (ko) * 2008-06-27 2010-01-06 무안군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32334B1 (ko) 2011-11-16 2012-04-05 임정택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KR101422789B1 (ko) 2013-12-30 2014-07-2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93A (ko) * 2019-05-28 2020-12-08 김상협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KR102262169B1 (ko) 2019-05-28 2021-06-07 김상협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KR20210045785A (ko) * 2019-10-17 2021-04-27 김덕규 이동식 황토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09553B1 (ko) * 2019-10-17 2021-10-07 김덕규 이동식 황토집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774523U (zh) 一种可临时搭建的装配式建筑
CN102127930B (zh) 钢混建筑网模构件及组合填充框剪围护工法
US8082718B2 (en) Bookshelf building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7325835B2 (ja) 建築システム
WO2002066757A9 (en) A load bearing building panel
KR101508518B1 (ko)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WO2011127522A1 (en) A method of forming a structural element and a method of building a structure
KR101422789B1 (ko)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22175669A (ja) べた基礎の構築方法
KR101399913B1 (ko)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한옥 및 그 건축방법
CN103827410B (zh) 砌体建筑物及砌体建筑物的构筑方法
CN216276132U (zh) 一种低多层装配式轻钢轻混凝土结构体系
CN104806018A (zh) 钢框木模组合模板施工工艺
DE10005872C1 (de) Raumzelle und aus gleichartigen Raumzellen zusammengesetztes Gebäude
CN113931298A (zh) 一种低多层装配式轻钢轻混凝土结构体系及其建造方法
EP0513949A2 (de) Gerüst bestehend aus zwei Elementen zu je vier rechtwinkligen Triedern für die tragende Struktur von masseinheitlichen Bauwerken
JP6893151B2 (ja) 門型架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09486Y1 (ko) 조립식 철 구조물
KR102262169B1 (ko)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KR101422794B1 (ko) 한옥용 기단과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AU2002234421B2 (en) A load bearing building panel
DE803129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ntage-Bauwerken
KR101376782B1 (ko) 철골 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연결구조물
CN105019646A (zh) 一种u形钢结构模板
AP21A (en) A method of building sipple buildings such as houses schoolrooms etc, which requires less skilled labour then orthodox construction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