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55A -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55A
KR20100001755A KR1020080061794A KR20080061794A KR20100001755A KR 20100001755 A KR20100001755 A KR 20100001755A KR 1020080061794 A KR1020080061794 A KR 1020080061794A KR 20080061794 A KR20080061794 A KR 20080061794A KR 20100001755 A KR20100001755 A KR 20100001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stalling
sides
grou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중석
Original Assignee
무안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안군 filed Critical 무안군
Priority to KR102008006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755A/ko
Publication of KR2010000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6Museums; Library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의선사 탄생지역인 무안군에 차 전시관 또는 차 역사관 을 건립하여 여러 사람에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한옥구조의 역사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바닥과 지면 사이가 이격 되도록 장초석과 누하주를 이용하여 건물의 기초기둥을 형성하고, 기초기둥인 장초석과 누하주 상단에 장귀틀을 설치하며, 그 상부에 배흘림 구조를 갖는 기둥 우주와 평주를 설치하며, 양측 평주의 상부에는 평주와 평주가 연결되도록 대량인 대들보를 설치하고, 대량 상부에는 종량을 설치하되 종량은 대량으로부터 안쏠림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건축하여 지붕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균일하게 기둥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며, 평주와 평주 사이의 바닥부가 최대한 넓게 형성되도록 건축하여, 역사관, 전시관, 향토관, 차 문화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장초석, 누하주, 우주, 평주, 역사관, 한옥양식

Description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method construction and structure construction of pavilion mode Korean-style house}
본 발명은 전시관, 역사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한옥구조의 역사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관은 한옥전통양식을 채택하여 고풍스런 분위기를 연출하고 내부는 콘크리트건물과 같이 공간부를 넓게 형성하여 지방의 향토관, 유명인사의 고향관, 차 역사관, 교육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목조 건축물을 제공하고, 또한, 건축되는 지역의 지형을 성토, 절토 등을 않고 본래의 지형 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지반의 기초공사를 기둥이 설치되는 위치에만 한정적으로 터파기 시공하여 기초석을 설치함으로, 지하로 흐르는 물길을 파기하지 않고 건축하여 토양의 황폐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시되는 내용물 또는 역사의 내용과 발원지에 적합 지역 환경에 적합하도록 환경을 파기하지 않고 평탄한 장소를 비롯한 산중턱의 비탈면, 하천 및 강이 인접한 둔덕, 평지 등에 한옥양식으로 건축하여 시민들에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한옥양식의 역사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남 무안군 삼향면에 초의 선사 차 역사관을 건립하여 후세에 초 의 선사에 의해 집대성된 차의 역사와 차 문화 및 차 예절을 체험 및 교육할 수 있도록한 역사관을 건립하기 위한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는 전시관 역사관 등을 건축시 현대양식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전통한옥 양식을 따른다 하더라도 콘크리트로 공포와 기둥을 형성하여 지붕을 기와로 건축한 건축물이 대부분이었다. 즉, 지붕과 외형은 한옥양식을 추구하였으나, 재료는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 진정한 전통가옥 양식을 추구하지 못하였다. 특히, 목재를 이용하여 전통양식을 추구하는 건물은 궁궐, 주택으로 사용하는 한옥, 사찰 등에서 건축되고 있으나 이렇게 실시되고 있는 건축양식 전시관, 강당, 역사관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의 전통 한옥양식에 의한 건축구조의 선 등록을 살펴보면, 특허출원 제2002-0021011호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의
선정된 지면을 시공하여서 된 기초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면 위에 토대목을 설치하면서 기초면과 토대목사이에 완충부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토대목위에 건물의 기둥을 세운 뒤 외벽체를 기둥과 토대목에 조립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과 외벽체 위에 보아지와 주두를 조립하고, 장혀를 조립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처마도리를 설치하는 단계와 처마도리에 각종 전선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처마도리 위에 지붕틀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붕틀 부재위에 서까래판넬을 설치하는 단계와, 기와 지붕판을 설치하는 단계로 설치되는 전통한옥은 기둥 과 벽면 및 서까래와 지붕툴 등이 순서에 의해 조립되므로 상호 맞물림에 의하여 공간에 허실이 없이 시공되고, 시공 후에 발생하는 수직하중이 기둥과 벽체 전체로 분산되는 안정된 구조이고, 구조물의 규격화로 취급성이 양호해져 건축의 공기가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나, 이러한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는 조립식 구조 일뿐만 아니라 한옥ㅈ의 전통양식이 아니라 일본 건축구조물 양식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양식과는 차이를 갖게되고, 사람이 많이 이용하는 전시관, 역사관으로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은 한옥전통양식을 채택하여 고풍스런 분위기를 연출하고 내부는 콘크리트건물과 같이 넓게 형성하여 지방의 향토관, 유명인사의 고향관, 차 역사관, 교육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목조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건축되는 지역의 지형을 파기하지 않고 본래의 지형 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지반의 기초공사를 기둥이 설치되는 위치에만 한정적으로 시공함으로 지하로 흐르는 물길을 파기하지 않고 건축함으로 토양의 황폐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과 지면 사이가 이격되도록 장초석과 누하주를 이용하여 건물의 기초기둥을 형성하고, 기초기둥인 장초석과 누하주 상단에 장귀틀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배흘림 구조를 갖는 기둥 우주와 평주를 설치하며, 양측의 평주 상부에는 평주와 평주가 연결되도록 대량인 대들보를 설치하고 대량 상부에는 종량을 설치하되 종량은 대량으로부터 안쏠림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건축하여 지붕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균일하게 기둥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고, 평주와 평주 사이의 바닥부가 최대한 넓게 형성되도록 건축하여, 역사관, 전시관, 향토관, 차문화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옥구조의 목재건물의 건축 양식을 채택하되 기둥을 배흘림구조로하고 기둥 상단부에는 안 쏠림구조를 갖는 건축양식을 채택함으로서 내부의 공 간을 넓게 하고 지붕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기둥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목재 건축의 견고성과 안전성을 갖도록 함으로 외형은 한옥 전통양식으로 표출하고 내부의 공간은 콘크리트 건물과 같이 넓게 형성하여 역사관, 전시관, 교육관, 차문화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건물이 건축되는 지반 구조를 파기하지 않고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건축함으로 토양의 황폐화를 방지하도록한 친환경적인 한옥 건축양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의선사의 탄생지에 차역사관을 건립함으로서 후세에 초의선사가 연구한 차의 역사, 차 문화, 차 예법 등을 교육 및 소개하여 무안군에 관광명소로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과 지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건축물 저부에 설치되어 초석을 형성하는 장초석(10) 및 누하주(11)와;
상기 누하주(11) 상단부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바닥을 형성하는 장귀틀(12)및 마루청판(13)과;
상기 마루청판(13)의 장귀틀(10)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 누하주(11) 상단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기둥을 형성하는 배흘림 형태의 우주(14) 및 평주(15)와;
상기 우주(14)와 평주(15) 상단에 횡 방향으로 교차설치된 주심도리(16)와 주심도리장여(17)를 지지토록하는 평방(18) 및 창방(19)과;
상기 주심도리(16) 및 주심도리장여(17) 외부에 외출목도리(20)와 출목도리장여(21)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내출목도리(20a)와 출목도리장여(21a)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공포(22)와;
상기 주심도리(16)및 주심도리장여(17) 양측 평방(18) 상에 대량(23)이 횡으로 연결되어 평주와 평주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대량(23)과;
상기 대량(23) 양단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양측에 받침기둥(24a)이 설치되고 받침기둥과 받침기둥(24a) 상단을 연결한 종량(24)과;
상기 종량(24)의 좌우측과 양측 상부에 설치되어 석가래를 지지할 수 있도록된 중도리장여(25) 및 중도리(26)와;
상기 종량(24) 중앙 상면에 판대공(27), 뜬창방(28), 종도리장여(29), 종도리(30), 적심도리(31)가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종도리(30)와 중도리(26), 내출목도리(20a), 주심도리(16), 외출목도리(20)가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설치된 석가래(32)와;
상기 석가래(32) 상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연목개판(33)을 설치하고, 그 상면에 적심설치, 강화회다짐, 보토다짐, 기와 잇기로 이루어지고 상단 중앙에 용마루로 구성된 한옥양식의 건축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루청판은 전면의 중앙부와 후면의 중앙부에 난간을 갖는 진입계단(35)과 비상계단(3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루청판의 외면 사각 테두리에는 안전난간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한옥건축 구조를 갖는 건축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과 지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건축물이 건축되는 지반을 터파기하여 홀(웅덩이)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상면에 장초석 및 누하주를 설치하여 지반공사 및 주추돌 시공하는단계;
상기 지반공사 및 주추돌 시공한 후 장초석에 올려진 누하주 상단부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바닥을 형성하는 장귀틀 및 마루청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마루청판을 시공한 후 장귀틀 상부에 설치하되 하부의 누하주와 일치되도록 배흘림 기둥형태의 우주 및 평주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흘림 기둥으로된 우주와 평주 상단에 횡 방향으로 교차설치된 주심도리와 주심도리장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평방 및 창방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평방과 창방 상부에 설치된 주심도리 및 주심도리장여 외부에 외출목도리와 출목도리장여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내출목도리와 출목도리장여를 형성하여 공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심도리 및 주심도리장여 양측 평방과 평방이 연결되고 하중을 평주와 평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대량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대량 양단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양측에 받침기둥이 설치되고 받침기둥과 받침기둥 상단이 연결되도록 종량을 설치하는단계;
상기 종량의 좌우측과 양측 상부에 설치되어 석가래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중도리장여 및 중도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종량 중앙 상면에 판대공, 뜬창방, 종도리장여, 종도리, 적심도리가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종도리와 중도리, 내출목도리, 주심도리, 외출목도리가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설치된 석가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석가래 상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연목개판을 설치하고, 그 상면에 적심설치, 강화회다짐, 보토다짐, 기와 잇기로 이루어지고 상단 중앙에 용마루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한옥양식의 건축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건축물 시공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지반공사 및 주추돌 시공
먼저 한옥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 건축물이 세워지는 지반(37)을 정리한 후 장초석(1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웅덩이와 같은 형태의 터파기를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한 다음 그 위에 석재로 이루어진 장초석(10)을 설치한다.
상기 장초석(10)은 한옥 건축물의 기둥 개수에 대응되는 숫자로 설치한다.
통상적으로 한옥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이 위치하는 지반(37)을 다짐작업을 한 후 주추돌을 설치한 후 기둥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인 시공방법이다.
한옥건축물시공방법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한옥건축물은 건축물이 세워지는 지반의 다짐 공사 이외에는 별도 지하공사나 콘크리트 공사가 없으므로 지하로 흐르는 물길을 차단하지 않게 됨으로 토양의 황폐화를 방지하는 반면에, 현대의 콘크리트 건물은 상부의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지하를 굴착하여 콘크리트로 건물의 내 외벽을 형성하므로 지하의 물길을 차단하게 됨으로 토양의 황폐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한옥건축방식으로 건축을 시공하는 동시에 건축물이 세워지는 지반의 다짐 공사를 할 필요 없이 지반의 지표면정리를 한 후 지면의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굴곡 된 지반에 한옥 건축물을 세우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건축방식은 지하수로 흐르는 물길을 차단하지 않고 토양이 황폐화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한옥건축의 특징과 콘크리트 건물의 특징을 이용하되 지반의 지형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옥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 부지를 선정하고 선정된 부지의 지표면정리를 한다. 지표면 정리는 잡목, 잡초, 돌제거, 절토 등을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건축부지의 지표면 정리를 한 후에는 건축되는 한옥건축물의 설계도에 따라 기둥이 세워지는 위치의 지면을 굴착하여 웅덩이 형태의 터파기를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터파기한 홀의 깊이는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깊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현장의 조건에 따라서 달라진다.
상기와 같이 지반에 터파기 홀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다 음 그 상부에 장초석(10)을 설치하고, 하부 기둥인 누하주(11)를 설치한다.
상기 장초석(10)의 길이는 지형의 굴곡 조건에 따라서 장귀틀(12)과 장초석(10)의 간격이 크면 장초석(10)의 길이가 큰 것을 사용하고, 장귀틀(12)과 장초석(10) 사이의 길이가 작으면 높이가 작은 장초석(1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장초석(10)과 장귀틀(12) 사이에는 목재로 된 누하주(11)가 설치된다.
제2 단계: 기둥과 마루바닥 시공
상기와 같이 주추돌이 되는 장초석(10)과 누하주(11)를 설치한 후에는 누하주(11) 상단부에 건축물의 마루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귀틀(12)를 형성한다.
상기 장귀틀(12)은 끼움방식으로 연결되는 청방을 누하주(11) 상단에 설치하여 장귀틀(12)을 견고하게 설치한다.
또한 건물의 기둥이 설치되는 위치의 누하주(11) 상단에는 우주(14)와 평주(15)를 설치하여 건물의 기둥을 세운다.
상기 우주(14)와 평주(15)는 통상의 기둥형태가 아닌 상단과 하단의 직경보다 중앙부 직경이 더 큰 배흘림 형태의 기둥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안정감을 추구하는 동시에 상부에 올려지는 대량(23)과 종량(24)이 안쏠림 구조에 적합한 기둥이되록 한다.
제3단계: 공포 및 지붕추녀를 형성하기 위한 창방과 평방시공
상기 2단계 공정에서 배흘림 기둥구조를 갖는 우주(14)와 평주(15)의 설치한 후 그 상단에 창방(19)과 평방(18)을 설치한다.
본 공정에서 창방(19)과 평방(18)을 설치함으로서 기둥을 형성하는 우주(14)와 우주(14), 평주(15)와 평주(15)의 상단부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우주(14)는 건물의 네귀에 해당하는 기둥이 되고 평주(15)는 우주(14)와 우주(14) 사이의 벽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우주(14)와 평주(15)의 상단에 창방(19)과 평방(18)을 설치함으로서, 건축물의 지붕과 석가래(32), 공포(22)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제4단계: 대량 및 종량 설치단계
상기 기둥 우주(14)와 평주(15) 상단에 서로 연결되도록 창방(19)과 평방(18)을 설치한 후에는 건축물의 4귀에 위치한 양측 우주(14)와 우주(14) 사이 및 양측 평주(15)와 평주(15)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대량(23)을 설치한다.
상기 대량(26)의 양측 단은 양측 우주(14)와 평방(15)이 연결되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평방 상부의 대량과 대량 사이에는 주심도리(16)와 주심도리장여(17) 및 덧장여(17a) 장화반(17b)이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평방(18) 상부의 외벽을 형성한다.
상기 대량(23) 양측 상부의 주심도리(16) 상부에는 내출목도리(20a)와 출목 도리장여(21a)를 설치하고, 주심도리(16) 외측에는 외출목도리(20)와 출목도리장여(21)가 설치되어 공포(22)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에 위치하는 연목개판(33)과 적심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대량(23)을 설치한 후에는 안쏠림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 대량(23)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이격시켜 작은 받침기둥(24a)을 설치한 후 받침기둥(24a)과 받침기둥(24a)이 연결되도록 종량(24)를 설치한다. 상기 종량(24)의 양측단 좌우측과 상단에는 중도리(26)와 중도리장여(25)를 설치한다.
이때 각각의 대량(23) 상부에는 안쏠림 구조로 받침기둥(24a)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종량(24)이 설치된다.
상기 종량(24)은 대량(23)보다 짧은 길이로서 지붕의 용마루(34)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제5 단계: 종도리 설치 단계
상기 안쏠림구조로 종량(24)을 설치한 후에는 종량(24) 중앙 상부에 판대공(27), 뜬창방(28), 종도리장여(29), 종도리(30)로 적층 설치한다.
상기 종도리(30)는 샹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건물의 정중앙의 상부에 위치하여 석가래와 각 기둥으로 전달되는 하중과 인장력의 기준점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는 종도리(30)를 중심 으로 상부에 용마루(34)가 위치하고 좌우로 대칭이 되도록 중도리(26), 내출목도리(20a), 주심도리(16), 외출목도리(20)가 설치되어 지붕으로 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6단계: 용마루 및 지붕 시공 단계
상기 종량(24) 중앙 상부 종도리(30) 를 설치한 후에는 종도리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석가래(32)를 설치하고 양측 석가래 상면에는 연목개판(23)을 설치한다.
또한 석가래(32)가 설치된 종도리(30) 상부에는 적심도리(31)를 설치하여 기 와의 용마루(34)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석가래 상부에 연목 개판을 설치한 후에는 강회다짐과 보토다짐을 한 후 상면에 기와를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지붕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석가래는 종도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중도리(26), 내출목도리(20a), 주심도리(16), 외출목도리(20)와 대응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보토 및 기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건축구조는 강당, 교육관, 역사관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간부를 넓게 형성해야 함으로 지붕을 지지하는 구조물이 대량을 중심으로 안쏠림 형태로 이루어져 지붕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상부에서 하부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기 둥인 평주와 우주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둥으로 사용되는 평주와 우주는 배흘림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선상으로 내려오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기둥과 지붕이 완료되면 통상의 방법으로 우주와 평주 사이 및 평주와 평주 사이에 벽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루 청판(13) 중앙 정면과 후면에 진입계단(35)을 설치하여 사람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고 후면 중앙에는 비상계단(36)을 설치하였다.
또한 마루청판(13)의 가장자리 사각 테두리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난간을 설치하여 사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건축 되는 본 발명의 역사관은 건물의 중앙부에는 진입계단(35)이 설치되어 지면과 마루청판(13)이 열결되도록 하고, 건물의 벽은 다수의 여닫이 문으로 구성하여 여름철과 같이 더운 날에는 벽에 형성된 다수의 문을 열면 평주와 평주 사이의 벽이 외부와 노출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함으로 시원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건물 중앙 입구에는 분전반을 비롯한 각종 제어기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전실을 배치하고 전실(40)의 입구 좌우측에는 전시실 내로 들어가는 출입문(38)을 양측으로 형성하여 방문객이 일측의 출입문(38)으로 들와 역사관의 전시물을 관람한 후 반대측 출입문(38)을 통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역사관의 내부 중앙 전면에 전실(40)을 배치하고 전실 전면 양측에 역사관실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출입문(38)을 형성함으로 관람객이 어느 일측 출입문으로 들어가더라도 관람실 내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질서있게 관람할 수 있도록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역사관 외형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역사관 외형 측면도로서, 지반(37)의 기초석 위치를 터파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위에 기초석인 장초석(10)을 설치하고, 장초석(10) 상단에는 기초기둥인 누하주(11)를 설치한다.
상기 누하주(11)와 장초석(10)을 설치한 후에는 누하주(11) 상단에 청방과 장귀틀(12)을 설치한 후 상면에 연속 반복적으로 마루청판(13)을 설치한다.
상기 기초석 중 장초석(10)과 누하주(11)의 일부는 건물의 기둥인 우주(14) 와 평주(15)가 설치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치하여 누하주 상단부에 우주(14)와 평주(15)를 설치한다.
상기 우주(14)와 평주(15)는 중앙부가 볼록한 배흘림 기둥형태로 형성하여 안쏠림 구조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또한, 우주(14)와 평주(15) 및 평주(15)와 평주(15) 사이에는 여닫이 문 형태의 벽체를 형성하되 전면에는 다수의 문이 열고 닫힐 수 있도록 설치하여 필요시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지붕의 처마 내측에는 다수의 공포(22)를 설치하여 외견상으로 역사관의 한옥 전통양식과 고풍스런 벗을 표출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옥 역사관 건물의 정면에는 진입 계단(35)을 설치하고 후면 중앙에는 비상계단(36)을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역사관 건물의 특징 중 하나는 건축되는 지반(37)을 평평하게 작업을 하지않고 지면의 본래 형상을 유지하면서 장초석(10)과 누하주(11)의 길이를 지면의 굴곡 및 경사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치하여 청방과 장귀틀(12) 및 마루청판(13)의 수평을 맞춘 것이다. 즉, 지면의 기형 굴곡에 따라서 장초석(10)과 누하주(11)의 길이는 상이하나 누하주(11)의 상단 높이를 균일하게 맞춘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은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 한 지반 터파기공사를 전체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누하주(11)와 장초석(10)이 설치되는 지반위치에만 웅덩이와 같은 형상으로 터파기하여 소정의 두께로 석재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시키고 그 위에 장초석과 누하주를 설치함으로서 지하로 흐르는 물길 등은 본래의 자연 상 태를 유지토록 함으로 건물 신축으로 인한 토양의 황폐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역사관을 횡으로 절단한 상태의 내부 평면 구성도로서, 건물의 네귀에 해당하는 모서리 위치에는 배흘림 기둥 우주(14)를 설치하고 양 측벽과 전 후면 벽 위치인 우주(14)와 우주(14) 사이에는 배흘림 기둥 평주(15)를 사용하였다.
또한 바닥은 마루 청판(13)을 사용하여 전통 한옥 방식의 마루를 구성하였다. 또한 건물의 사방벽면은 여닫이 문 형상으로 형성하되 전면에는 다수의 여닫이 문이 열릴 수 있도록 설치하고 좌우 측면과 후면 벽체는 여닫이 문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열고 닫을 수 없도록 고정설치하였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는 벽체가 한옥의 여닫이 문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주와 평주로 이루어진 기둥과 벽체 내에는 역사관 전시실이 형성되고, 역사관 전시실의 전면 중앙에는 전실(40)이 배치되며, 벽체의 사방 가장자리에는 통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갖고 관람자의 안전을 위해 난간이 설치되었다.
또한 전면 중앙부와 후면 중앙부에는 진입 계단(35) 비상계단(36)이 설치되었다.
도4는 본 발명의 역사관 건물을 길이 방향으로 수직 절단한 상태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5a는 본 발명의 역사관 건물을 전후 폭 방향으로 수직 절단한 상태의 측면 구성도 이며,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사관 건물의 공포구성을 나타낸 확대 발췌도이고,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사관 건물의 중도리와 종도리 부분을 확대한 상태의 발췌도로서, 지반에 기초석인 장초석과 누하주를 설치하고 누하주 상부에는 청방과 장귀틀이 설치되며 장귀틀 상면에는 마루청판이 설치되어 마루바닥을 형성 하였다.
또한 양측의 우주와 평주 상단에는 평방(18)과 창방(19)을 형성하고 양측의 우주(14)와 우주(14), 평주(15)와 평주(15)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대량(23)을 설치하고 대량(23) 상부에는 양측 단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킨 위치에 받침 기둥(24a)을 설치하고 종량(24)을 설치하였다.
상기 대량(23) 상부에 내측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받침기둥의 위치는 종량의 길이에 따라서 양측에서 내측으로 들어오는 이격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격 거리는 건물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소정의 거리 라고 설명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량(24)이 설치되면 종량(24) 중앙상부로 판대공(27), 뜬창방(28), 종도리장여(29), 적심도리(31), 용마루(34)가 적층설치된다.
또한,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계단(35)은 건물의 전면에 설치되고 비상계단(36)은 건물의 후면에 설치되어 지면의 경사 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기와 연결방법과 보토다짐 등은 통상의 한옥건물 건축방법에서 실시되는 기술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지면의 경사면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건물이 건축 됨으로 건물 하부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 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역사관 건물 지붕을 저면에서 본 절단상태의 구성도로서, 전후면 벽체 위치의 평주와 평주 사이에 대량이 설치되고 대량 상부에 대량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중도리가 설치된 것으로 저면에서 볼 때 우물정(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우주와 평주의 상단에 설치된 평방 상부에는 공포가 설치되면 공포의 내측에는 내출목되가 설치되고, 공포의 외측에는 외출목도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용어를 살펴보면,
창방: 한옥구조 건물의 기둥 위에 건너질러 장여나 소로, 화반을 받는 가로재를 말한다.
뜬창방: 용마루나 중도리 밑에 있는 대공 또는 동자기둥에 건너지른 창방을 말한다.
평방: 공포를 사용하는 전통건축물에는 주심포계, 다포계, 익공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중 다포계법식의 특징으로는 주상포사이에 주간포를 갖춘 조밀한 공포열과 이를 받치는 부재인 평방을 들 수 있다. 평방은 창방 위에 얹혀 공포를 받는 직사각형 단면의 장부재로서 춤보다 폭이 넓으며 창방과 마찬가지로 모서리에서는 머리가 기둥 밖으로 약간 튀어나오도록 하는데 이것을 평방의 뺄목이라 한다.
주심도리: 기둥의 중심 위에서 서까래를 받치고 있는 도리를 말한다.
중도리: 동자기둥에 얹어서 서까래나 지붕널을 받치는 가로재.
대량: 대들보를 말한다.
종량: 대들보 위의 동자기둥 또는 고주(高柱)에 얹히어 중도리와 마룻대를 받치는 것.
장여: 도리 밑에서 도리를 받치고 있는 길고 모진 나무를 말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역사관은 초의선사 탄생지에 차 역사관으로 건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사용목적에 따라서 전시관, 차 문화 예절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의 공간부를 넓게하고, 내부의 공간부가 넓게 형성되는 반면에 내부에 기둥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상부의 대들보인 대량 상부에서부터는 안쏠림 구조로 건축하여 상부 지붕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하부로 분산되도록하여 기둥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 한옥구조물의 안전성을 선택하였다.
또한 한옥건물 양식을 채택하면서 내부의 공간을 넓게하고 지반의 기초를 기둥 위치에만 기초석 또는 기초석과 같은 크기의 콘크리트 기초를 함으로 지하로 흐르는 물길을 차단하지 않아 토양의 황폐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건축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역사관 외형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역사관 외형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역사관을 횡으로 절단한 상태의 내부 평면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역사관 건물을 길이 방향으로 수직 절단한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5a 는 본 발명의 역사관 건물을 전후 폭방향으로 수직 절단한 상태의 측면 구성도.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사관 건물의 공포구성을 나타낸 확대 발췌도.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사관 건물의 중도리와 종도리 부분을 확대한 상태의 발췌도.
도6은 본 발명의 역사관 건물 지붕의 저면에서 본 절단상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장초석 11:누하주
12:장귀틀 13:마루청판
14:우주 15:평주
16:주심도리 17:주심도리장여
18:평방 19:창방
20:외출목도리 20a:내출목도리
21,21a:출목도리장여 23:대량
24:종량 24a:받침기둥
25:종도리장여 26:종도리
27:판대공 28:뜬창방
29:종도리장여 30:종도리
31:적심도리 32:석가래
33:연목개판 34:용마루
35:진입계단 36:비상계단
37:지면 38:출입문
40:전실

Claims (3)

  1. 건축물과 지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건축물 저부에 설치되어 초석을 형성하는 장초석(10) 및 누하주(11)와;
    상기 누하주(11) 상단부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바닥을 형성하는 장귀틀(12)및 마루청판(13)과;
    상기 마루청판(13)의 장귀틀(12)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 누하주(11) 상단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기둥을 형성하는 배흘림 형태의 우주(14) 및 평주(15)와;
    상기 우주(14)와 평주(15) 상단에 횡 방향으로 교차설치된 주심도리(16)와 주심도리장여(17)를 지지토록하는 평방(18) 및 창방(19)과;
    상기 주심도리(16) 및 주심도리장여(17) 외부에 외출목도리(20)와 출목도리장여(21)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내출목도리(20a)와 출목도리장여(21a)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공포(22)와;
    상기 주심도리(16)및 주심도리장여(17) 양측 평방(18) 상에 대량(23)이 횡으로 연결되어 평주와 평주를 지지할 수 있도록된 대량(23)과;
    상기 대량(23) 양단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양측에 받침기둥(24a)이 설치되고 받침기둥과 받침기둥(24a) 상단을 연결한 종량(24)과;
    상기 종량(24)의 좌우측과 양측 상부에 설치되어 석가래를 지지할 수 있도록된 중도리장여(25) 및 중도리(26)와;
    상기 종량(24) 중앙 상면에 판대공(27), 뜬창방(28), 종도리장여(29), 종도 리(30), 적심도리(31)가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종도리(30)와 중도리(26), 내출목도리(20a), 주심도리(16), 외출목도리(20)가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설치된 석가래(32)와;
    상기 석가래(32) 상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연목개판(33)을 설치하고, 그 상면에 적심설치, 강화회다짐, 보토다짐, 기와 잇기로 이루어지고 상단 중앙에 용마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청판은 전면의 중앙부와 후면의 중앙부에 난간을 갖는 진입계단(35)과 비상계단(3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3. 건축물과 지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건축물이 건축되는 지반을 터파기하여 홀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상면에 장초석 및 누하주를 설치하여 지반공사 및 주추돌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지반공사 및 주추돌 시공한 후 장초석에 올려진 누하주 상단부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바닥을 형성하는 장귀틀 및 마루청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마루청판을 시공한 후 장귀틀 상부에 설치하되 하부의 누하주와 일치되도록 배흘림 기둥형태의 우주 및 평주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흘림 기둥으로된 우주와 평주 상단에 횡 방향으로 교차설치된 주심도 리와 주심도리장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평방 및 창방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평방과 창방 상부에 설치된 주심도리 및 주심도리장여 외부에 외출목도리와 출목도리장여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내출목도리와 출목도리장여를 형성하여 공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심도리 및 주심도리장여 양측 평방과 평방이 연결되고 하중을 평주와 평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대량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대량 양단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양측에 받침기둥(24a)이 설치되고 받침기둥(24a)과 받침기둥(24a) 상단이 연결되도록 종량을 설치하는단계;
    상기 종량의 좌우측과 양측 상부에 설치되어 석가래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중도리장여 및 중도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종량 중앙 상면에 판대공, 뜬창방, 종도리장여, 종도리, 적심도리가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종도리와 중도리, 내출목도리, 주심도리, 외출목도리가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설치된 석가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석가래 상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연목개판을 설치하고, 그 상면에 적심설치, 강화회다짐, 보토다짐, 기와 잇기로 이루어지고 상단 중앙에 용마루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양식의 역사관 건축시공방법.
KR1020080061794A 2008-06-27 2008-06-27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KR20100001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94A KR20100001755A (ko) 2008-06-27 2008-06-27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94A KR20100001755A (ko) 2008-06-27 2008-06-27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55A true KR20100001755A (ko) 2010-01-06

Family

ID=4181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794A KR20100001755A (ko) 2008-06-27 2008-06-27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7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18B1 (ko) * 2014-09-12 2015-04-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18B1 (ko) * 2014-09-12 2015-04-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한옥 문간채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848B2 (ja) 家屋建物構造
US6763640B2 (en) Prefab brickwork
US4586299A (en) Building system of interconnected block elements
AU2018319415B2 (en) A modular building system
Varghese Building construction
US20050155297A1 (en) Massive construction system using rock masonry
Brzev et al. Performance of confined masonry buildings in the February 27, 2010 Chile earthquake
JP7107564B2 (ja) 地下シェルター及びその設置方法
KR20100001755A (ko)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US10487527B2 (en) Tornado proof housing
Arce Qasr Kharana Revisited
CN217870922U (zh) 一种自平衡类榫卯石结构体系
Breton Relations between Ethiopia and South Arabia: problems of architecture
TAHERI et al. An Overview of the Pathology of Historical Context in Soynas Village in Mahabad
Trad Sustainable cities after disaster: Beirut, Lebanon
Shaw et al. The" Lost" Portico at Knossos: The Central Court Revisited
Sharma A textbook of building construction
AHMAD et al. Śarda Temple: A Legacy of the Stone Temples of Kashmir
Fortner et al. Aesthetic Efficiency on the Atlanta BeltLine: An exposed structural concrete frame was essential for connecting the new structure to its neighborhood.
CN115110631A (zh) 一种自平衡类榫卯嵌砌连接结构及纯石结构体系
Siddiqi Making Place in Bangalore
JPH01299942A (ja) スラブ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Carlton et al. Hexham Abbey, Northumberland
JP2020041283A (ja) 組立式テント及び組立式テント用部品
CA2970006A1 (en) Superblock building method&#34;&#34;superblock building system&#34;hurricane h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