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700A - 체액의 수집 및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체액의 수집 및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700A
KR20080002700A KR1020070066262A KR20070066262A KR20080002700A KR 20080002700 A KR20080002700 A KR 20080002700A KR 1020070066262 A KR1020070066262 A KR 1020070066262A KR 20070066262 A KR20070066262 A KR 20070066262A KR 20080002700 A KR20080002700 A KR 2008000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luid
collecting
sensor
case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785B1 (ko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한메딕스 주식회사
김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메딕스 주식회사, 김경훈 filed Critical 한메딕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0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2Detecting or monitoring se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09Liquid filling by evacuating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뇨 또는 혈액 등 체액 예컨대 배뇨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체뇨중 특정 성분을 측정하거나 계측할 수 있는 분석장치와 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체액 수집장치 및 관련부품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체액수집 및 분석장치는 체액 수집부와 수집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체액 수집장치는 체액수집부, 총도관, 어댑터로 구성되며, 상기 수집부는 다시 흡입관, 센서관, 세척관 및 통로로 형성되고 상기 체액 수집부 케이스와 탈착결합하도록 하고, 관련부품은 환자 전용 기저귀와 전용바지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휴대가 편리하며 환자의 배뇨 의사와 상관없이 배뇨할 때, 또는 의지대로 수족을 사용하지 못하는 때, 더 나아가 환자가 기저귀와 함께 사용하는 때 그리고 급성 또는 만성 질환자의 간병수발 관리에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환자, 체액수집부, 수집부 케이스, 어댑터, 흡입관, 센서부, 유동체, 총도관, 고정몸통

Description

체액의 수집 및 분석장치{Apparatus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Human Body Fluids}
본 발명은 인체의 체액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체액양 특히 배뇨량을 수집하고, 요(오줌) 중 Urea, Na+, pH, glucose, BUN, Cr, protein 등의 특정성분을 분석 계측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체액이라 함은 사람과 동물의 몸에 존재하는 액체성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람과 동물의 혈액, 림프액, 뇨, 타액, 땀 등을 총칭하나, 그중 사람의 혈액과 오줌이 대표적이라 할 것이다.
임삼의학에서 뇨량의 측정은 순환혈류량 평가의 주요인자이다.
각종 사고나 수술로 인한 실혈, 화상 등의 직접적 순환혈액량의 감소 또는 패혈증(혈액감염), 심부전(심근경색, 부정맥 등)으로 인한 간접적 순환 혈류량 부족으로 인해 인체는 쇼크(순환허탈)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자율(교감, 부교감)신경에 의해 의식에 관계없이 소동맥 수축이 이루어져 신체 각 장기에 공급되는 혈액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임상 현장에서는 각종 내과적 질환 또는 사고나 수술로 인한 실혈 시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수액(링겔: 생리식염수)을 환자에게 공급하여 순환혈액량을 정상화시켜 신장으로 공급되는 소동맥의 이완을 유도하여 신장 세포 괴사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수액 보충 후 순환혈액량이 적절한지, 신장에 적절한 혈액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배뇨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진이 순환혈액 부족분을 수액(링겔)을 통해 공급한 후 가정 먼저 체크하는 것이 바로 배뇨량이다.
즉, 신체 내로 들어간 량과 나오는 량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신장의 원활한 기능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환혈액량의 적절성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혈액, 뇨 및 기타 체액에 대한 정보를 얻고, 환자 스스로 간병인의 도움없이 간편하게 배뇨할 수 있는 체액의 정량 분석장치에 대하여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특허출원 제2005-109136호에 개시된 바 있다.
체액의 정량 분석장치에는 우선 체액을 수집하기 위한 체액수집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체액수집장치는 출원인이 선출원한 문헌 외에도 다수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배뇨가 가능한 환자의 경우 뇨를 편리하게 수집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집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자가 개발한 특허출원 제2000-47602호, 제2000-58206호, 제2001- 86938호, 제2002-44362호 등에서는 환자의 의식이 없더라도 배뇨시 뇨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흡입처리하고 온수 비데로 세정하는 발명에 대한 기술내용 등에서 체뇨 수집장치가 고안되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된 체뇨 수집장치는 임상시험의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환자가 측면 자세를 취하고는 사용이 불가하였다.
그 이유는 체뇨 흡입부와 센서가 고정되게 고안되어 있다는 점이다.
체뇨를 배출하는 흡입부와 체뇨를 감지하는 센서가 체액 수집부의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어서 환자의 욕창 예방을 위해 체위를 바꿔 측면으로 돌아 눕히면 상기 체액 수집부케이스도 함께 측면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체액 수집장치의 구조로서는 흡입부와 센서가 수집부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어서 중력방향으로 상기 수집부케이스 내부에 체뇨를 인식하여 흡입부에서 흡입하는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는 사용이 불가 특히 휠체어에 착석하여 착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체액수집부의 후부가 두텁고 상기 수집부의 하부에 총도관이 위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이었다.
즉, 환자가 휠체어에 착석시 보통은 앉은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수집부의 후부가 두터워 체액수집부가 회음부에 눌리게 될 뿐만 아니라, 총도관을 상기수집부의 하부에 위치한 구조이므로 환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시 총도관이 꺾여 체액통로 가 폐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환자가 기저귀 사용이 어렵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총도관이 수집부의 하부에 위하기 때문이다.
즉, 환자가 기저귀를 병행사용할 시에는 체뇨 수집부의 하부로 총도관이 통과하므로서 상호간 간섭이 생기므로 기저귀를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체뇨 수집부 하향부와 기저귀를 맞춰서 구멍을 뚫고 총도관을 상기 구멍으로 빼내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끝으로 환자가 배변시에 그 대처가 어렵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수집부케이스만을 별도로 착탈하거나 교체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수집부케이스의 경우 수집부의 입구 하부가 회음부 하부인 항문 주위에서 밀착하는 구조로 되어있고, 게다가 총도관이 상기 체뇨 수집부 후부에서 하부에 이르게 위치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환자가 배변시 체액수집부와 총도관 일대가 모두 분변으로 쉽게 오염되고 결국 체액수집부 케이스만 별도로 교체할 수 없는 구조로 인하여 세척을 위해 총도관을 포함한 수집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액흡입부와 센서부가 중력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체액 수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체액 흡입부와 센서가 체액수집부케이스 내부에서 중력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욕창방지를 위해 측면과 정면을 번갈아 가며 돌려 눕히는 경우에도 상기 체액 수집부 내부에서 중력방향으로 고이는 체액과 동일한 방향으로 체액흡입부와 센서가 함께 움직이므로 체액을 인식하고 흡입하는 기능을 완벽히 구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휠체어에서도 착탈이 용이한 체액 수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체액 수집부를 최소한으로 작고 얇게 형성하여 회음부가 눌리지 않게 하고, 상기 체액수집부의 케이스 상부 또는 배면에 총도관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착석시 총도관이 꺾이지 않고 정상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저귀와 병행사용시 언제든지 가능한 체액 수집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총도관이 수집부 상부 또는 배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체액수집장치와 자석의 인력이 상호작용하도록 고안된 고정체결보조구를 사용하여 고정체결보조구와 체액 수집장치 사이에 기저귀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환자를 간호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환자가 배변시 분변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분변에 의한 오염발생 시에도 수집장치의 케이스만을 용이하게 교체하게 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한 체액 수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밖에도 환자를 관리함에 있어서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바이오센서를 장착하여 체액(뇨, 혈액)의 특정 성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컨대, 효소센서, 면역센서, DNA센서, 세포센서, 실험실칩 등을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또 가스센서를 장착하여 기저귀와 혼용 사용할 경우 배변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체액정량분석장치를 통해 부저나 멜로디 등의 수단을 통해 기저귀 교체시기를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예컨대, 전도성 센서, 압전형 센서,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형센서, 광섬유센서, Spetrometry 센서 등을 사용하여 달성하였으며, 이 밖에도 유동부전극과 수집부케이스 전극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동부전극 센서를 바이오센서대신 장착하므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들과 목적달성을 위한 과제와 수단 등은 이하에 기재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가 중력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이를 감지하 고 흡입하는 센서부 및 유동체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환자의 자세가 변경되어도 정확하게 감지 및 흡입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하여 체액수집장치를 그대로 착용한 채 휠체어와 같은 의자에 착석할 수 있어 휴대시 편리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수집체 및 유동체의 연결구조가 관절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유동체가 자체무게에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위치할 때에 기타 전선등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관절구조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특히, 관절로 구성된 이러한 구조는 선출원한 발명의 구조적 문제인 센서선(전선)의 외부노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센서선 파손의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연질의 관구조의 내구성이 취약한 점도 보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기저귀와 혼용 착용도 가능한 동시에 체액수집부 및 수집부의 케이스가 착탈이 용이하여 교체 및 세척이 편리하여 간병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팬구조와 케이스의 홈 및 1회용 망사 등을 이용해 통풍이 잘되도록 하여 피부짙무름을 예방하며,
한편, 가스센서를 장착하여 배변유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기저귀 교체 시기를 일찍 알려주어 간병 인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분변이 장시간 피부에 접촉 방치될 경우 생길 수 있는 피부 손상을 막는 효과가 있으며,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체액의 특정성분을 측정할 수 있어 임상적 진단 및 예후관리에도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들에 의하여 환자가 배뇨의 의지없이 배뇨시나 의지대로 수족 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나 기저귀와 같이 사용하여야 되는 경우와 급성 및 만성질환자의 간병수발 관리 등에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에 연결된 체액의 정량 분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체액의 정량분석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체액정량분석장치(100)는 연결홈(15)을 통하여 도 4에 도시된 체액수집장치의 체액정량분석장치 측 끝단인 도 3의 어댑터(40)와 끼워 맞춤 고정되고, 상기 체액 수집장치를 통하여 흡입되는 체액을 통과시켜 상기 정량분석장치(100)에서 그 체액양의 계측 및 특정성분을 계측하게 된다.
상기 분석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하우징은 도 2와 같이 크게 상부통(10)과 하부통(20)으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통(10)과 하부통(20)은 측면 중앙에 외부에 스프링에 탄설된 버튼(30)에 의하여 상하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석장치는 상부통 및 하부통이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이 될 수 있는 저장부(25)를 본 발명의 상부통을 비롯하여 다른 구성요소들과 별도로 분리시켜 보다 위생적으로 취급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상부통(10)의 상단에는 손잡이(11)를 형성하여 취급이 용이하게 하였고, 상기 손잡이의 앞쪽에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12)를 설치하여 체액의 정량분석을 구현하게 하였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의 전방에는 체액수집부장치와 연결되는 도 3에 도시된 어댑터(40)가 삽입되는 연결홈(15)을 형성하였다.
이 연결홈(15)중에 하나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선으로 이 전선을 통하여 도 4에 도시된 체액수집장치의 센서부(62)와 연결하였으며, 수집장치에 추가로 구동모터(90)와 임페러(91) 또는 팬이 장착될 경우 전원 공급의 수단이 된다(도 39 참조).
상기 하부통(20)은 체액저장부(25)가 삽입되고, 하부통 손잡이(21)가 연설되며 좌방에는 팩킹부(22)가 있는 체액통과 공이 천설되어 있다.
상기 하부통(20)과 저장부(25)는 하부의 나사(23)를 통하여 분리 및 조립되게 구성되었다.
도 3에 도시된 어댑터의 상부몸통(41)에는 각각 체액(뇨)통로(32a)와 세척수통로(33a)를 설치하고, 상기 어댑터(40)의 하부몸통(42)에는 체액(뇨)통로(32b)와 세척수통로(33b)를 각각 형성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어댑터의 세척수 통로(33a)는 도 4의 체액수집장치의 총도관(65) 중의 하나인 세척관(53)과 연결되어 도 7에 도시한 체액수집부의 중간몸체의 연결구(53')에 연결된다. 어댑터의 체액통로(32a)는 체액수집장치의 상기 총도관(65)의 또 하나인 체액흡입관(51)과 연결되어 도 7의(59)를 통해 도 6의 흡입부(61) 및 고 정관(64)으로 연결된다.
상기 세척관(53), 체액흡입관(51) 및 센서관(52)은 1개의 도시되지 않은 총도관(65)내에 싸여지며, 상기 센서관(52)은 도 2의 연결구(15)내 별도로 전원선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체액수집장치(50)라 함은 도 4의 수집부(60)와 도 5의 여성용 수집부케이스(70) 또는 도 17의 남성용케이스(70')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 체액수집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도 4의 체액수집부(60)는 수집체(95), 어댑터(40), 그리고 상기 수집체와 어댑터를 연결하는 총도관(65)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집체(95)는 수집부경부(54')와 수집부 고정몸통(54)으로 구성되며 이들 경부(54')와 고정몸통(54)은 단일구조물이지만 수집부케이스와 결합될 때에는 수집부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물은 수집부 경부(54')로, 한편 수집부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물은 고정몸통(54)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은 수집부와 수집부케이스의 결합시 결합방법에 따른 내부구조물의 구성을 결정지을 수 있으며, 그 한 예로 후술하는 도 18 또는 19와 같이 분리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수집부 경부(54')와 고정몸통(54)에 각각 다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물이 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일예로 수집부 경부(54')에는 통기성을 증대시켜 피부 짙무름을 예방할 수 있는 드리이팬과 분변여부를 자동 인식할 수 있는 가스센서 등이 장착될 수 있고, 고정몸통에는 세척관의 개구부가 있어 비데세정이 가능한 구조와 자체 무게 중심으로 인해 항상 중력방향을 지향하여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흡입관 및 액체 인식 센서가 구성되며, 체액의 특정 성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의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수집부 경부(54')에 장착되는 가스센서는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배변센서로는 암모니아가스센서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 총도관은 흡입관(51), 센서관(52) 및 세척관(53)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통로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체액흡입부(61) 및 센서부(62)는 수집부케이스(70),(71')의 내부에서 중력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액 수집장치(50)를 조립하여(도 8 참조) 환자가 착용시 욕창방지 등을 위하여 체위를 바꾸는 경우 체위의 상태에 따라 상기 흡입부(61) 및 센서부(62)가 함께 움직여 항상 수집부케이스(7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뇨를 하게 되면 하부에 위치한 액체감지센서가 즉시 감지하여 흡입부를 통하여 배뇨를 흡입하는 동작을 하기 때문에 중력방향으로 고이는 액체를 인식 및 흡입하는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센서부(62)의 센서는 체액유무를 인식하는 광센서, 전극센서, 열센서, 공기압센서 또는 부표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체액수집부(60)와 결합되는 수집부 케이스(70)는 도 5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케이스내에 체액수집체(60)의 고정몸통(54)이 삽입되는 삽입구멍(71)이 설치되고, 상부에 걸림돌기(7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집부 케이스 중앙부 또는 상기 삽입구멍(71)의 좌우측에 공기구멍(74)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수집부 케이스(70)의 내측에는 개구부 주위에 부착되어 신체의 회음부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밀착부(72)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부(72)는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총도관(65)은 1회용 수액 공급용 라인에 사용되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고무, 실리콘 또는 발포 실리콘 재질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발포실리콘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체액수집대상이 체뇨인 경우 수집부 케이스(70)의 밀착부(72)가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신체의 회음부에 밀착하므로 체뇨시 긴밀하게 밀착되어 액체(뇨 또는 세정액)의 누설없이 체액수집장치에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것을 센서부(62)에서 감지하면, 모터를 구동시켜 흡입부(61)를 통하여 흡입되어 도 1의 체액의 정량분석장치로 인입되어 배뇨와 동시에 정량분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 체액수집부의 경부에 연결된 총도관(65)이 수집부 케이스(70)의 상측 또는 배면에 위치구성시킨 것이 특징으로 수집부 케이스의 상측에 총도관(65)이 위치하고 있어서 환자가 도 6에 도시된 체액 수집장치(50)를 결합하여 착용 후 휠체어 등의 좌석에 착석시에도 총도관이 회음부 등의 신체에 눌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동시에 상기 총도관이 꺾여 폐쇄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도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 착용 가능하여 사용자가 야외 출타시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50) 바람직한 일실시예중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체액수집부(60)와 수집부 케이스(70)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체액수집부(60) 의 고정몸통(54)에 결합되는 각각의 부품들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체액수집부(60)의 고정몸통(54)의 하부에는 체액흡입관(59) 및 세척관(53)을 형성하는 중간몸체(57)가 끼워 맞춤되어 고정되고, 그 중간몸체(57)의 하부에 하부몸체(56)가 끼워 맞춤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중간몸체(57)에 형성된 구멍(58; 도 7 참조)은 아래에 구성된 센서부(62)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하부몸체(56)의 하단의 삽입구멍으로는 자바라 형상의 흡입부(61)가 끼워 맞춤되어 고정되고, 상기 흡입부(61)에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관(64)이 삽입고정되며, 이 고정관(64)의 타측에는 센서부(62)가 삽입고정되어 도 4와 같은 체액수집부(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흡입부(61)를 자바라 형상으로 구성하고, 하부에 중력방향으로 향하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고정용 고정관(64)을 형성하며, 흡입부(61)의 상부가 고정몸통(54)내 끼워 맞춤되어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흡입부(61)를 자바라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흡입부 자체가 중력방향으로 향하는 무게추의 역할을 하며, 흡입부의 상부가 고정몸체(54)내에 끼워 맞춤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액수집부(60)는 수집부케이스(70)와 결합되어 체액 수집장치(50)를 완성하는 것으로 결합시 도 4의 체액수집부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63)과 도 5의 수집부케이스(70)의 걸림돌기(73)가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삽입구멍(71)내에 상기 체액수집부(60)를 삽입시키면서 상기 걸림돌 기(73)가 걸림턱(63)과 끼워 맞춤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그 결합된 상태는 도 8에 나타내었다. 한편, 이의 분리시에는 역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의 고정몸체(54)를 밀어 수집부 케이스(70)의 삽입구멍(71)으로 회전시키면서 밀면 상기 걸림턱(63)에 결합된 걸림돌기(73)가 분리되어 체액수집부(60)와 수집부 케이스(70)로 간편하게 분리되므로 케이스(70) 자체만 교체하여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수집부 케이스(70)의 입구 하부가 항문으로부터 떨어진 신체 회음부 상부에 밀착하고 있어 분변시 오염이 되지 아니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분변시 설령 오염이 되더라도 수집부 케이스(70)에만 오염되기 때문에 이때에는 체액수집부의 고정몸체의 체결수단과 체액수집부 케이스의 체결수단이 서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스만의 교체 및 세척이 가능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총도관(65)은 수집부케이스(70)(70')에서 인체의 골반부를 향하여 휘어진 것이 환자 착용감 면에서 좋은데 120도인 경우에 환자의 착용감이 가장 좋다.
여기서 체결수단은 고정몸체의 걸림턱(63)과 케이스(70)의 걸림돌기(73)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외 다양한 체결수단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의 수집부와 유동체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총도관(65)이 통해 있고, 상기 총도관(65)에 결합되어 있는 수집부 경부(54')에는 상단에 걸림턱(63) 또는 수집체 좌우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이 걸림턱(63)에 수집부의 케이스(70)에 끼워 맞춤 고정된다.
수집부(6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3개의 통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 통로가 체액통로, 세척수 통로, 전원선이 통과되는 통로이다.
상기 세척수 통로(33a)는 수집체(60)내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수집체의 고정몸통(54)에는 관절형 구조로 흡입부와 센서부를 내장한 유동체(6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동체(61)는 관절을 기준으로 자체 무게에 의해 항상 중력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체(6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부(62)와 유동체 통로(104)가 형성되어 있다.
앞의 실시예의 경우 유동체(61)에 형성된 흡입부(61)가 아랫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유동체(61)에 형성된 흡입부는 유동체의 관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입부 방향이 유동체의 후방 즉, 수집부케이스 측을 향하도록 개설됨으로써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사용해도 흡입기능을 완벽히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사용용도에 따라 상기 유도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상기 유동체(61)가 수집부 고정몸통(54)에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수집부 고정몸통(54)으 외주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의 오링(335)을 삽입하여 수집체(95)와 체착 고정시켰다.
그 외부로는 세척수 통로(33a)를 형성하고 있는 수집부 고정몸통(54)의 하단에는 수집부 고정몸통과 상기 유동체(61)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연결체(110)가 고정 되어 있다.
중간연결체(110)는 상술한 수집부 고정몸통(54)내의 체액통로 및 세척수 통로(33a)와 끼워맞춤 고정되며, 후술하는 유동체(61)을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연결체(110)의 중앙에는 체액통로와 연결되는 통로에 고정용 연결봉(107)이 고정되며, 이 연결봉(110)의 끝단이 "ㅍ"자 형성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동체(61)의 삽입홈(108)을 통하여 체결시 이탈이 방지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동체(61)는 상부에 상기 연결봉(107)과 체결되기 위한 삽입홈(108)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체액감지용 센서를 내장하고 있으며, 하부에 유동체 통로(104)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봉(107)의 주위에는 반호 형상의 장공(109)을 형성하여 센서 등에서 유도되는 전선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유동체(61)가 자체 무게로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전선에 의하여 걸리는 형상이 방지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연결관계는 도 12에 의하여 더욱 자세히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체액수집부는 도 35a 및 도 3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집부 케이스(70)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회음부 접착부(702)와 상기 케이스(70)과는 테프론 재질의 물질로(703) 말착시키고 유동체(61)가 착설된 체액수집부(60)와 탄성미늘(704)을 통하여 체결한다.(도 35c,d 및 도 35c 참조)
수집부 몸통(54)과 이 몸통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부(54')로서 수집 체(95)를 형성하고 있고, 이 수집부 몸통(54)의 내부에는 중간연결체(11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세척수 통로(33a) 및 체액(뇨)통로(32a)를 구비하고 있는 중간 연결체(110)에 "ㅍ"자 형상의 연결봉(107)을 통하여 유동부(61)의 삽입홈(108)이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유동부(61)마디와 흡입부는 밀착성이 양호하고 마모가 적은 테프론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2는 체액수집부(60)의 유동부(61)가 자체 무게에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좌 또는 우로 180도 회전 위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체액감지센서에 감지되면, 흡입통로로 소변을 흡입하고, 흡입이 완료된 후 세정수 통로로 세정수를 분출하여 비데 작용을 한 후 다시 흡입통로로 비데용 세정수를 흡입하는 작용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와 같은 기본 작동을 행하면서 케이스내의 체액이 같이 유동되어도 상기 센서가 중력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항상 체액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고, 중력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환자의 이동이나 체위변동이 자유로운 특징을 가진다.
상기한 센서는 체액유무를 인식하는 광센서, 전극센서, 열센서, 공기압센서 또는 부표센서로 구성할 수가 있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무선으로 체액정량장치에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관절구조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도면 및 부호를 생략하고 상이 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연결체(110)와 유동부(61)가 서로 끼워 맞춰 기밀히 고정되고, 중간연결체(110)와 유동부(61)를 양쪽에서 정중앙으로 관통시킨 중공축(113) 좌우끝단에는 전선 결합구(111),(112)가 형성하여 이 전선결합구(111),(112)를 통하여 센서와 연결되는 전선(114)이 통과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부(61)의 유동체 통로(104)측면에 센서가 고정되게 구성한 후 센서에 연결되는 전선(114)이 인출되게 구성한다.
이 전설결합구(111),(112)는 볼트식구조로서 유체에 대한 방수 능력이 부여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전선결합구(111),(112)를 하나의 전선결합 파이프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관절식 결합장치의 경우에는 중간연결체(110)에 고정된 유동부(61)가 자체 무게에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중간연결체(110)에서 유동체(61)가 중력에 따라 180도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양쪽 전선결합구(111),(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내부의 전선이 엉키지 않고, 전선의 저항을 받지 않아 더욱 원활히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a와 도 14b는 본 발명의 관절구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도 상술한 설명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도면 및 부호를 생략하고 상 이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중간연결체는 도면과 같이 구형상의 상부 관절(121)로서 형성되게 구성하고, 그 상부 관절(121)내에 유동체의 하부관절(122)로서의 유동체가 삽입되게 구성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호 유동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관절구조 역시 하부 관절에 센서가 부착되어 그 무게중심에 유동체인 하부관절이 중력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회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5a와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관절구조의 각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 구조는 도 14a와 유사하나 차이점은 관절이 구형상이 아닌 원기둥형상을 가진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관절구조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다관절로 형성될 때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중간 연결체(110)에는 제1관절(124) 및 제2관절(125)이 순차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2관절(125)에 상술한 유동체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관절(124)에는 세정수 통로 등을 형성할 수가 있다.
한편, 본발명의 수집부 케이스(70)는 여성용으로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밀착부(72)가 신체의 회음부에 기밀하게 밀착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7에는 남성용의 수집부 케이스(7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남성용수집부 케이스는 여성용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상기 케이스(70')에는 삽입구멍(71)의 주위에 부착되는 밀착부(72)의 하단을 연장하여 남성 성기의 귀두부위를 덮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며, 단지 사용시 착용 각도 만 상이할 뿐 여성용 수집부 케이스(7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8은 도 4와 달리 본 발명 체액 수집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중간몸체(57)를 통하여 고정몸체(54)에 결합된 하부몸체(56)에는 앞뒤로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결합뭉치(76)가 연결되는 관절형 구조를 이루도록 유동관(77)을 형성하고 있다.
이 유동관(77)의 내부에는 흡입부 및 센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동관(77)은 자체 무게의 의하여 항상 중력방향을 지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절을 가진 유동관을 사용하면 중력의 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이는 액체를 인식하고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좌우 측면으로만 굴곡하므로 단일도관 구조나 자바라 형태의 도관으로만 이루어진 구조에서 액체 흡입시 전후 떨림현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진동문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체액 수집장치의 수집부와 수집부케이스의 착탈 분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는 총도관(65)이 연결된 수집체가 수집부 경부(54')와 고정몸통(54)으로 나뉘어진 구조로 흡입부와 센서부가 결합된 고정몸통이 케이스(70)내에 고정되어 수집체가 수집부케이스와 탈착 교체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수집부케이스 교체 분리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이때에도 고정몸체(54) 상부의 걸림턱(63)내 케이스(70)의 걸림돌기(730가 결합 및 이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수집부 케이스(7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케이스(70)내에 별도의 센서(S1),(S2)를 다수개 구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체뇨 흡입부는 센서부와 함께 구성되지 않아도 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케이스 내에는 하부 및 양측면에 3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케이스(70)가 회전하는 경우 케이스내의 체액이 같이 유동되어도 상기 센서들에 의하여 체액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므로 흡입부만 센서부와 별도로 중력방향으로 자유롭게 굴곡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센서(S1),(S2)는 체액유무를 인식하는 광센서, 전극센서, 열센서, 공기압센서 또는 부표센서(도 29 참조)로 구성할 수가 있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무선으로 체액정량장치에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표센서는 중량방향인지센서로서 수집부 케이스의 내부면에 다수의 집뇨용 흡입구(622)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구의 개폐를 전자식 예컨대 솔레노이드밸브(623)로 개폐하게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전극센서 타입은 도 36a와 도 36b에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30 및 도 33에는 부체에 수신함이 있어 1차무선, 2차무선의 경우 도 34와 같이 1차 유선, 2차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한다. 센서부에 RFID 송수신부를 구성하고 체뇨수집부 본체에는 RFID 송수신부를 장착한 구조이다(도 30참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하여 사물을 인식, 추적, 통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는 전력을 전파로 송출하여 수신부에는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은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다.
RFID의 허용주파수는 135KHz이하 (목축용), 13,56kHz(도서관용), 433,92Mhz(컨테이너용, 100m), UHF(860Mhz-960Mhz, 물류용), 2,45GHz(여권, RFID)를 사용한다.
여기에서는 센서부와 본체와의 거리가 최대 10m인 점을 감안하여 UHF 영역대를 사용한다. 이 영역대는 TV 주파수와 유사하므로 인체에 무해한 영역이 된다.
본 발명 집뇨 본체의 RFID 송수신부에서 해당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여 센서부의 RFID 송수신부는 콘덴서에 전력을 축척하여 Active 상태가 된다.
상기 본체의 RFID 송수신부에서 해당 ID를 센서부 RFID 송수신부로 제공한 후 Command를 전송하면 센서부 RFID 수신부는 이를 받아 뇨 측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본체의 RFID 송수신부에 알려준다.
해당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뇨 측정 명령(본체--> 수집부): 수신 아이디(1 Byte)--- 뇨 측정 명령어(1 Byte)-- CRC(1 Byte)
뇨 측정 여부(수집부--> 본체): 수신 아이디(1 Byte)--- 뇨 측정 결과(1 Byte)-- CRC (1 Byte)
또 다른 실시예로는 센서부의 뇨 측정 센서가 유선으로 수집부와 연결되고 수집부에는 400Mhz/900Mhz/2.4Ghz ISM band 영역의 RF 송수신부가 장착되며, 수집부는 별도의 전원장치를 가지고 동작한다(도 33 및 도 34 참조).
본체에도 수집부와 동일한 주파수 영역의 RF 송수신부가 장착된다.
ISM band의 주파수는 충돌의 우려가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가진다.
뇨 측정 명령(본체--> 수집부): Sync 데이터 (2 Bytes)-- 수신 아이디(1 Byte)--- 뇨 측정 명령어(1 Byte)-- CRC (1 Byte)
뇨 측정 여부(수집부--> 본체): Sync 데이터 (2 Bytes)-- 수신 아이디(1 Byte)--- 뇨 측정 결과(1 Byte)-- CRC(1 Byte)
한편,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 수집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주로 수집부 케이스의 환풍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은 체액 수집부(60)와 결합된 수집부 케이스(70)의 환기를 위하여 부채살과 같은 구조인 다수개의 환기구멍(P12)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환기구멍(P12)에 의하여 장시간 착용시 통기성을 증대시켜 피부 짙무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체액수집부 케이스(70)에 미세한 환기구멍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있는 1회용 소모품 면직물이 감싸도록 구성하여도 (선풍기 망케이스와 같은 구조)환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2는 체액수집부(60)에 모터와 임펠러가 장착되는 팬장식구(P10)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며, 상기 수집체가 수집부 케이스(70)와 결합 및 분해되는 작동원리는 상기와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구동모터(90)와 임펠러(91)와 LCD패널(92)(611)이 구비되고 조정버튼(93)이 설치된 도 28 또는 도 39(a)(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3은 수집부 케이스(70)내에 모터와 임펠러가 장착되는 팬장착부(P12)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 및 도 23의 팬고정부(P10),(P12)에 모터가 장착된 팬이 고정되게 하여 강제적으로 환기시키는 경우보다 장시간 착용하여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체액수집부의 수집부와 수집부 케이스(70)내 드라이 팬의 구성 요소로서 구동모터와 임펠러를 분리하여 각각 장착할 수 있으며 팬은 상기한 수집부에 모터는 케이스내에 각각 장착되게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28참조) 반대로 임펠러팬은 수집부케이스 내에 모터는 수집부에 장착시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체액 수집장치(50)는 환자용 기저귀(87)와 병행하여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24는 체액수집부(60)와 결합된 수집부 케이스(70)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수집부 경부에는 자석고정대가 사출시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고정체결보조구(도 25참조)는 고정대, 고정연결띠 그리고 복대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대(91)는 수집부 경부(54')에 형성된 자석고정대와 대응되어 인력이 작용되는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체결보조구에 연결되는 고정연결띠는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3방향일 경우에는 T 자 팬티와 같은 힘살 구조이며 4방향이면 일반 팬티와 같은 힘살 구조로 복대에 손쉽게 체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예로 고정연결띠 끝단에 갈고리가 있고 복대에 그 갈고리를 걸 수 있는 고리를 설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25은 기저귀(87)가 상술한 바 있는 고정체결보조구(85)와 함께 수집장치(50)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체결보조구(85)는 고정연결띠(86)가 세방향(또는 네 방향도 가능)으로 고정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 자석(82)이 삽입되어 있는 자석고정구가 고정체결보조구(85)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이다. 또는 고정체결보조구와 자석 및 고정연결띠가 고무나 실리콘 등의 연질로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체결보조구(85)와 수집부 케이스(70)사이에는 기저귀(87)를 위치시고, 고정체결 보조구(85)의 세(또는 네)방향의 고정연결띠(86)를 몸에 고정시 고정체결부조구(85)의 자석부(82)와 함께 수집장치의 자석(83)이 서로 인력이 발생하여 기저귀와 함께 고정위치를 잡아주게 되어, 고정체결보조구를 기저귀 외부에 사용하여서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가 기저귀(87)와 병행하여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기저귀 외부에서 고정체결보조구를 이용해 수집장치를 신체 회음부에 정확히 위치 및 고정시키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첫째, 착용감이 좋다. 기저귀 밖에서 수집장치를 적당한 압력으로 골고루 회음부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배변시 대처가 매우 편리하다. 이는 배변시 분변에 의한 구성물들의 오염을 최소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고정체결보조구는 기저귀 밖에 위치하므로 분변에 의해 전혀 오염되지 않으므로, 분변에 오염된 1회용 기저귀는 폐기하고 수집장치의 수집부케이스만 교체 및 세척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위생적 관리가 가능하다.
도 26은 수집부 케이스(70)의 둘레에 세 방향 또는 네 방향으로 고정연결띠를 연결할 수 있는 체결홈(88)을 구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기저귀와 병행하여 체결할 수도 있으며, 그 구성은 상술한 고정체결보조구의 고정 연결띠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에 사용되는 전용기저귀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체액수집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용 기저귀는 기저귀(87) 상부에 체액수집부의 통과구멍(87a)을 형성하고, 그 통과구멍(87a)의 하단에 분변차단 막(87b)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환자용 전용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액수집부가 위치할 신체 회음부에 부위에 구멍이 뚫려 있어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쉽게 체액수집장치를 상기 회음부에 착탈가능하며 통기 효과를 증대시키며 착요감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구멍 아래에 분변 오염방지막이 있어 배변시 분변으로 인한 수집부케이스의 오염조차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성환자의 경우 신체 회음부에 수집부케이스를 정확히 밀착시키기 위해 여성용 체액 수집부에 착탈이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재질 의 손잡이(630)를 사용할 수 있으며,(도 37참조) 필요한 경우 상기 환자용 전용 기저귀(도 27 참조) 대신에 회음부만 가릴 수 있는 엉덩이 부분이 없는 환자전용 기저귀(640)를 제공할 수 있다(도 38참조).
한편, 수집장치에 장착된 센서부를 가스센서를 사용하므로서 체액수집장치가 배뇨를 자동으로 해결해 주므로 기저귀의 교체 횟수를 크게 줄여 간병에 필요한 인력 및 기저귀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배변은 여전희 1회용 기저귀를 이용해 처리하므로 기저귀 외부에 배변의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간병인에게 경고음이나 멜로디를 통해 알려, 1회용 기저귀를 채운 상태에서도 배변 여부를 명확히 인지하여 1회용 기저귀를 갈아주면 된다.
이러한 특징이 구현되도록 체액수집장치에 가스센서를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가능한 가스센서로는 전도성 센서, 압전형 센서,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형 센서, 광섬유 센서, Spectrometry센서 등 크게 5개 범주의 센서가 가능하다. 가스센서를 보호하고 그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액체투과는 막고 공기만 통할 수 있는 1회용 가스센서 앞에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체액수집 및 분석장치에 장착된 바이오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액(특히 뇨, 혈액)성분 중 특정 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1회용 바이오센서를 수집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바이오센서를 통해 측정가능한 성분으로는 Na, Cr, 당, 단백, urea, cortisol, pH 등 이외 다양한 성분이 가능하며, 측정대상에 따라 다양한 바이오센서 기술을 응용할 수 있다. 체액수집장치에 적용 가능한 바이오센서로는 효 소센서, 면역센서, DNA센서, 세포센서, 실험실 칩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총도관(65)을 생략하거나(도 30, 도 33 및 도 34참조) 총도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석장치 표면에 버튼(미도시)을 장착하여 총도관의 호스를 자동으로 인출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같은 구조의 단순한 변경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가 사용되는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때 수집부 케이스(70)는 두 방향의 고정연결띠(86)를 통해 허리 벨트(86a)에 연결되어 용이하게 착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부가 연결되는 체액의 분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체액정량 분석장치를 형성하는 상부통과 하부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부를 체액의 정량분석장치와 연결할 때 사용하는 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를 구성하는 체액수집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를 구성하는 체액수집부 여성용 케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전체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부를 구성하는 중간몸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체액수집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전체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체액 수집장치의 수집부와 유동체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유동체가 체액수집부 몸통에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대한 체액 수집부에 대한 일부 측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체액 수집부의 유동체 자체 무게에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관절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관절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관절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관절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관절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관절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 체액수집부의 남성용 케이스를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체액수집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 체액수집부의 케이스에 센서가 장착되는 실시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 체액수집부의 케이스에 환기구명을 형성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22는 본 발명 체액수집부에 팬장착부를 형성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23은 본 발명 체액수집부의 케이스에 팬장착부를 형성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가 환자용 전용 기저귀와 병행 사용할 때의 수집부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가 체결보조구를 이용하여 환자용 전용 기저귀와 병행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가 환자용 전용 기저귀와 병행 사용할 때의 수집부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에 사용되는 환자용 전용 기저귀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부 상단부에 콘트롤패널이 장착된 본 발명의 체액수집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체액수집부 케이스 내부외연에 다수의 집뇨용 흡입구와 그 흡입구의 개폐를 솔레노이드 밸브로 조절할 수 있음을 보인 중력방향인지센서가 장착된 수집부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해석분석장치의 센서부에 바람직한 신호전달 무선화 시스템을 도입한 실시예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체액분석장치의 고정몸체에 센서부와 유동체의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 체액분석장치의 밧데리 충전식 센서부와 유동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 체액분석장치의 밧데리 충전식 센서부와 유동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 체액분석장치의 센서부에 신호전달 무선화시스템을 도입한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 체액분석장치의 센서부에 신호전달 무선화시스템을 도입한 또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 35a는 본 발명 체액수집장치의 수집부 케이스 배면 사시도이다.
도 35b는 본 발명 체액수집장치의 체액수집부와 그 케이스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c는 본 발명 체액수집장치의 체액수집부와 그 케이스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투시도이다.
도 36a, 도 36b는 본 발명 체액수집장치의 체액수집부에 전극센서가 장착된 것응ㄹ 보인 투시도이다.
도 37은 여성환자에게 수집부케이스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여성용 체액 수집부에 착탈이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재질의 손잡이를 구비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8은 여성환자 전용 기저귀 대신에 회음부만 가릴 수 있는 엉덩이 부분이 없는 여성 환자전용 기저귀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수집장치에 추가로 구동모터와 임페러 또는 팬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체액수집장치가 사용되는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통 11 : 상부통손잡이
12 :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 15 : 연결홈
20 : 하부통 21 : 하부통손잡이
25 : 저장부 30 : 버튼
32a, 32b : 체액(뇨)통로 33a : 세척수 통로(공급로)
16 : 세척수 저장부 36 : 필터
37 : 필터 고정구 40 : 어댑터
41 : 어댑터 상부몸통 42 : 어댑터 하부 몸통
51 : 체액흡입관 52 : 센서관
53 : 세척관 54 : 고정몸체
56 : 하부몸체 57 : 중간몸체
60 : 체액 수집부 61 : 유동체
62 : 센서부 64 : 고정관
63 : 걸림턱 70 : 여성용 케이스
70' : 남성용케이스 72 : 밀착부
73 : 걸림돌기 76 : 결합뭉치
77 : 유동관 P12, P10 : 팬장착부
81 : 환기구멍 82, 83 : 자석
84 : 고정홈 85 : 체결보조구
88 : 체결홈 90 : 구동모터
91 : 임펠러 92 : 액정
93 : 조정버튼 95 : 수집체
100 : 분석장치 101 : 좌측몸체
102 : 우측몸체 f1, f2 : 필터
105 : 프리즘센서 107 : 연결봉
104 : 유동체 통로 108 : 삽입홈
110 : 중간 연결체 111, 112 : 전선결합구
121 : 상부관절 122 : 하부관절
610 : 체액흡입구 611 : 콘트롤러
612 : 송신기 620 : 전극센서(유동부센서)
630 : 여성용 체액수집부 손잡이 640 : 환자전용바지
701 : 고정용치구 702 : 회음부접착부
703 : 테프론재고정구 704 : 탄성미늘
705 : 너트구멍

Claims (36)

  1. 수집부와 수집부케이스로 구성된 체액수집장치에 있어서,
    체액흡입관(51), 센서관(52) 및 세척관(53)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통로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는 총도관(65)과 상기 총도관(65)의 끝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액흡입관(51), 센서관(52) 및 세척관(53)과 연이어 통해 있는 통로가 형성된 수집체(95)와;
    상기 수집체(95)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된 수집부 케이스(70)(70')로 구성되고,
    상기 수집체(95)에 연결되는 흡입부(60) 및 센서부(62)가 자체 무게 중심이 중력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수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체(95)와 연결된 총도관(65)이 수집부 케이스 (70)(70')의 뒷면 또는 상측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집부케이스에서 인체의 골반부를 향하여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수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 케이스(50)에는 개구부의 주위에 부착되는 밀착부(72)가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수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61)가 유연한 재질의 도관으로 구성되어 중력방향으로 지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61)가 유연한 재질의 자바라 형상 또는 유동체(61)로 구성되어 중력방향으로 180도 자유로이 굴곡 지향하도록 구성된 체액 수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60)의 수집체에 세척관이 형성되어 비데세정이 가능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체 하부에 전후 측의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결합뭉치(76)가 연결되는 관절형 구조를 이루고 그 내부에 흡입부(61)와 센서관이 구성되어 관절을 기준으로 자유로이 굴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체액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광센서, 전극센서, 열센서, 부표센서, 공기압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체액 중 특정 성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효소센서, 면역센서, DNA센서, 세포센서, 실험실칩 등의 바이오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센서부가 배변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는 전도성센서, 압전형센서, 광섬유센서, Spectrometry센서,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Field Effect Transistor)형 센서 등의 가스센서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센서는 암모니아센서인 것이 특징인 체액수집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수집부에 장착된 가스센서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액체는 투과되지 않으면서 공기만 투과되는 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센서부가 체액수집부 케이스(70)(70')내에 구성되고 케이스내면에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솔레노이드밸브로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센서부의 신호를 무선으로 체액정량장치에 송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체액수집부의 수집체에 드라이 팬이 장착될 수 있는 팬고정부(P1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체액수집부 케이스(70)(70')에 드라이 팬이 장착될 수 있는 팬장착부(P1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드라이 팬의 구성 요소가 체액수집부의 수집체와 체액수집부 케이스(70)(70')에 각각 분리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의 수집체(95)에 형성된 체결수단과 체액수집부 케이스(70)(70')에 형성된 체결수단이 서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 케이스(70)(70')의 외부 표면에 환기구멍 (81)을 형성하여 통풍기능이 향상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미세구멍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는 1회용 소모품으로 체액 수집부 케이스(70)(70')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통풍기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장치를 신체에 부착하기 위해 복대, 고정연결띠 및 고정대로 구성된 고정체결보조구(85)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장치와 고정체결보조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자석(82)을 부착하여 자석의 인력을 이용해 기저귀(87)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를 신체에 부착하기 위해 케이스(70)(70')자체에 고정용 체결홈(8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 부착부위에 통과구멍이 있고 구멍하단에 분변 오염방지막(87b)을 형성한 환자전용 기저귀를 주변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총도관(65)이 실리콘 또는 발포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를 여성신체 회음부에 용이하게 부착하고 사용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630)를 주변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를 신체에 부착하고 사용하게 하기 위한 환자전용바지(640)를 주변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의 상단에 구동모터(90), 임펠러(91), 콘트롤패널(92), 조정버튼(93)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체액수집장치.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집부와 유동부의 관절이 테프론재질로 밀착 구성되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07)의 주위에는 반호 형상의 장공(109)을 형성하여 센서 등에서 유도되는 전선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31. 제 1항에 있어서, 파이프 형성으로 서로 끼워맞춰 고정되는 수집체 내부의 체액 흡입 통로와 유동체(61)와,
    상기 유동체(61)의 정중앙을 관통하는 중공축(113)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센서선(114)이 지나가는 구조와,
    상기 중공축의 양끝단의 전선 결합구(111),(112)는 방수 및 회전가능한 구조가 특징인 체액수집장치.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체는 구형상의 형성되는 상부 관절(121)과, 그 상부 관절(121)내에 유동체(61)가 삽입되어 기밀하게 고정되는 하부관절(122)로 구성되어 자체 무게중심으로 하부관절이 중력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절(122)은 구형상 또는 원기둥형상의 구조로 구성되 있고 상부 관절(121)에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구조가 복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35. 제 1항에 있어서, 유동체의 흡입구(104) 방향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3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방향이 수집부케이스 측을 향하여 개설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수집장치.
KR1020070066262A 2006-06-30 2007-07-02 체액의 수집 및 분석장치 KR100940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416 2006-06-30
KR20060061416 200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00A true KR20080002700A (ko) 2008-01-04
KR100940785B1 KR100940785B1 (ko) 2010-02-11

Family

ID=3884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262A KR100940785B1 (ko) 2006-06-30 2007-07-02 체액의 수집 및 분석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500705B2 (ko)
EP (1) EP2038650B1 (ko)
JP (1) JP4732519B2 (ko)
KR (1) KR100940785B1 (ko)
CN (1) CN101506652B (ko)
HK (1) HK1131824A1 (ko)
TR (1) TR201900083T4 (ko)
WO (1) WO2008002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124B1 (ko) * 2009-11-17 2012-03-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분석물질의 검출 방법 및 장치
CN203705460U (zh) * 2014-01-27 2014-07-09 叶之谦 尿液收集和检测装置
US10028701B2 (en) 2014-11-03 2018-07-24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Disposable insert having sensor and RFID
CN104324423A (zh) * 2014-11-07 2015-02-04 南通市妇幼保健院 一种控制排尿功能的尿管留置装置
CN104655862B (zh) * 2015-01-19 2016-04-06 路建磊 尿液收集分析装置
CN109152532B (zh) * 2016-06-10 2021-12-14 泰尔茂株式会社 氧测定装置
CN106963400B (zh) * 2017-04-20 2019-08-09 胡金红 一种医用排尿量检测装备
CN106963399B (zh) * 2017-04-20 2019-07-23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用于医院的自动测尿量设备
CN107367602A (zh) * 2017-07-04 2017-11-21 俞海燕 排泄物气味检测装置以及排泄物气味检测系统
JP7364572B2 (ja) * 2018-01-12 2023-10-18 メイヨ・ファウンデーション・フォー・メディカル・エデュケーション・アンド・リサーチ 流体中のアンモニア及びアンモニウムの検出及び定量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7326348B2 (ja) 2018-06-01 2023-08-15 クリアトラック 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尿流量計
USD873995S1 (en) 2018-06-01 2020-01-28 ClearTrac Technologies, LLC Uroflowmeter
USD932632S1 (en) 2018-07-13 2021-10-05 ClearTrac Technologies, LLC Uroflowmeter
CN109692020B (zh) * 2018-12-28 2021-07-23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急诊内科尿检设备
USD932648S1 (en) 2019-03-08 2021-10-05 ClearTrac Technologies, LLC Uroflowmeter
WO2023086804A1 (en) * 2021-11-10 2023-05-19 Carnegie Mellon University Automated perineal car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0527B (sv) * 1984-11-21 1987-06-29 Mediplast Ab Anordning for uppsamling av vetskeprover i en vetskepassage, innefattande en ihalig ventilkropp
JP3465439B2 (ja) * 1995-08-19 2003-11-10 東陶機器株式会社 尿サンプリングユニット
GB9523253D0 (en) * 1995-11-14 1996-01-17 Mediscus Prod Ltd Portable wound treatment apparatus
JP2985816B2 (ja) * 1997-02-04 1999-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体採取装置
WO2000000124A1 (en) * 1998-06-26 2000-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ecal collector with improved adhesive flange attachment means
JP2000150341A (ja) 1998-11-09 2000-05-30 Nec Corp 荷電粒子線直描データ作成方法、荷電粒子線直描データ検証方法、荷電粒子線直描データ表示方法及び露光装置
JP3130890B2 (ja) 1999-02-25 2001-01-31 セイコー精機株式会社 磁気軸受装置及び磁気軸受制御装置
KR100292663B1 (ko) * 1999-03-16 2001-06-15 주영춘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침대
HUP0500055A2 (hu) * 1999-11-29 2005-07-28 Hill-Rom Services, Inc. Sebkezelő berendezés
KR200190892Y1 (ko) * 2000-02-15 2000-08-01 김성엽 소변 집료장치
KR20010086938A (ko) 2000-03-04 2001-09-15 이준문 웹사이트를 통한 유언 전달 관리체계 구성 방법
AU2001278811A1 (en) * 2000-08-17 2002-02-25 Hanmedics Co., Ltd. Personal urine collecting apparatus having bidet system
KR100395342B1 (ko) * 2000-10-04 2003-08-21 한메딕스 주식회사 집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20044362A (ko) 2000-12-05 2002-06-15 이계안 차량 도난 방지 장치
JP2002165821A (ja) * 2000-12-05 2002-06-11 Hitoshi Sawara 排泄物処理装置
JP3718136B2 (ja) * 2001-04-17 2005-1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排泄物の処理を併用した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と接続可能なサーバ
KR20030013226A (ko) * 2001-08-14 2003-02-14 유인권 무게중심 자동조절기와 이를 부착한 대소변 구별 자동세척환자용 변기
JP2005517939A (ja) * 2002-02-20 2005-06-16 レビンソン オーデ 尿検体採取器具
KR100494365B1 (ko) * 2002-02-28 2005-06-13 한메딕스 주식회사 집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160134A1 (en) * 2002-10-21 2006-07-20 Melker Richard J Novel application of biosensor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
US7152750B2 (en) * 2003-08-21 2006-12-26 Conor Coffey Baby bottle cover
KR100672912B1 (ko) 2004-05-14 2007-01-22 포하우스 코퍼레이션 표면 함수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직하식 백-라이트 모듈
JPWO2006046532A1 (ja) * 2004-10-29 2008-05-22 学 伊勢 排泄物処理装置
US20070082342A1 (en) * 2005-02-14 2007-04-12 Braig James R Near-patient module for analyte detection system
US20070185466A1 (en) * 2006-02-08 2007-08-09 Maja Co Urine specimen collector assembly
JP4350791B2 (ja) * 2006-03-31 2009-10-21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51951A1 (en) 2014-02-20
US20090312726A1 (en) 2009-12-17
HK1131824A1 (en) 2010-02-05
JP2009508136A (ja) 2009-02-26
US8500705B2 (en) 2013-08-06
EP2038650A4 (en) 2014-08-27
KR100940785B1 (ko) 2010-02-11
CN101506652B (zh) 2014-02-12
JP4732519B2 (ja) 2011-07-27
CN101506652A (zh) 2009-08-12
EP2038650B1 (en) 2018-10-10
TR201900083T4 (tr) 2019-02-21
EP2038650A1 (en) 2009-03-25
WO2008002113A1 (en)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785B1 (ko) 체액의 수집 및 분석장치
US11259953B2 (en) Female smart wearable system for urine incontinence management
KR102236558B1 (ko) 자동 집뇨장치
CA2974944C (en) Urine collection device for dependent patients
TWI812950B (zh) 穿戴式沖洗裝置
WO2019239433A1 (en) Fecal collection device
CN210697949U (zh) 女用集尿器及其固定装置
US20080015528A1 (en) Clothing article incorporated with urine drainage device
KR101963361B1 (ko) 남성용 소변받이
CN202590135U (zh) 经结肠内三腔气囊封闭引流管套装
CN201286788Y (zh) 接尿器
KR100857897B1 (ko) 체액 수집장치
WO2021142510A1 (en) Improved continence pad
CN112022485A (zh) 女用集尿器及其尿套
CN215688912U (zh) 一种泌尿科用辅助排尿装置
CN214805860U (zh) 一种新型小便收集装置
CN211095130U (zh) 女用集尿器及其尿套
CN210697948U (zh) 女用集尿器
CN220175358U (zh) 一种随身尿液及粪便收集装置
CN211095131U (zh) 女用集尿器及其尿套
CN210094736U (zh) 一种小儿泌尿外科病员裤
KR102422475B1 (ko) 여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CN115887093B (zh) 失能女性接尿裤
CN210784947U (zh) 一种大小便分离裤
CN216985419U (zh) 一种尿液收集及粪便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