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128U -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넥타이 - Google Patents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128U
KR20080002128U KR2020060032228U KR20060032228U KR20080002128U KR 20080002128 U KR20080002128 U KR 20080002128U KR 2020060032228 U KR2020060032228 U KR 2020060032228U KR 20060032228 U KR20060032228 U KR 20060032228U KR 20080002128 U KR20080002128 U KR 200800021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transparent film
polyethylene resin
we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림
Original Assignee
이정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림 filed Critical 이정림
Priority to KR2020060032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128U/ko
Publication of KR20080002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1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 넥타이에 있어서, 특히, 넥타이의 전면에 꽃을 삽입할 수 있는 필름을 결합하고, 그 내부에 꽃을 파지하여 상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통기성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결합형 기능성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넥타이의 전면에 꽃을 수납할 수 있도록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이나 하트 및 별 모양등의 통기성 투명 필름을 재봉하여 구성하되, 상기 통기성 투명 필름은, 밀도 0.916∼0.922g/cc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밀도 0.923∼0.930g/cc의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밀도 0.931~0.940g/cc의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된 무기충진제 50~20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계 왁스 0.1∼30중량부를 배합한 조성물을 용융성형한 원판 시이트를 면적연신배율 1.5배∼36배로 연신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넥타이, 전면, 투명필름

Description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 넥타이{A Nectie Having Clearness Film}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넥타이
200: 투명필름
300: 꽃
본 고안은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넥타이의 전면에 꽃을 삽입할 수 있는 필름을 결합하고, 그 내부에 꽃을 파지하여 상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통기성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결합형 기능성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넥타이라 함은 그 제조 방식에 있어서 원단 이라는 소재의 활용만을 전문적으로 해왔을 뿐 다양한 소재와의 결합으로의 변화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근자에 와서는 넥타이의 고정적 모양을 일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넥타이 원단을 니트류 등으로 하는 등의 모든 원단을 활용하여 넥타이의 디자인 적 변형을 다양하게 끌어냈지만, 그 변화 자체 또한 원단만을 활용했다는 소재의 다양성의 한계를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넥타이 전면에 필름을 결합시켜 꽃을 넣고 다니면서 항상 향기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름이 습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통기성 기능을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넥타이의 전면에 꽃을 수납할 수 있도록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이나 하트 및 별 모양등의 투명 필름을 재봉하여 구성하되, 상기 투명 필름은, 밀도 0.916∼0.922g/cc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밀도 0.923∼0.930g/cc의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밀도 0.931~0.940g/cc의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된 무기충진제 50~20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계 왁스 0.1∼30중량부를 배합한 조성물을 용융성형한 원판 시이트를 면적연신배율 1.5배∼36배로 연신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수지 0.02∼20g/10분(ASTM D 1238-70에 따라 190℃, 2.16㎏하에서 측정)의 에틸렌 중합체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무기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오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크레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된 무기충진제는 잘게 갈아진 무기충진제를 강력한 압력의 공기로 부유시킨 상태에서 용융스테아린산을 분산시켜 코팅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왁스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5,00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 분자량 = 1.0∼5.0인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넥타이(100)의 전면에 꽃(300)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을 제작하되, 상기 포켓은 통기성 투명 필름(200)을 이용토록 한다.
상기 꽃(300)은 생화일수도 있고, 조화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허브향등이 포함된 조화를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에는 넥타이의 전면에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은 기능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통기성 투명 필름(200)을 넥타이(100)의 전면에 재봉하고, 상기 통기성 투명 필름(200)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포켓 수납공간에 생화 또는 조화로 이루어지는 꽃(300)을 꽂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통기성 투명 필름(200)을 적용하는바, 이는 습기가 찰 경우에 내용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통기성 투명필름(200)에 적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플리에틸렌 및 중밀도폴리에틸렌등 3종 이상의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부텐, 헥센, 옥텐 등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고안에 적합한 압출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는 모두 0.02∼20g/10분(ASTM D 1238-70에 따라 190℃, 2.16Kg하에서 측정) 범위의 것이 적당하다. 용융지수가 0.02g/10분미만일 경우에는 압출용융하여 원판 시이트를 제조할 때 이상유동이 발생하여 균일한 필름을 얻기가 어렵고, 20g/10분을 초과하게 되면 균일연신성이 악화된다.
또한 본 고안의 폴리에틸렌 수지는 밀도 0.916∼0.922g/cc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0.923~0.930g/cc의 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밀도 0.931~0.940g/cc의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3종을 균등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필름의 강도가 떨어지고, 이축연신시파열이 발생하며,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통기성 필름의 두께가 불균일하고 투습도가 낮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강도와 투습도는 향상되나 필름의 두께가 불균일하고 이축연신시 필름의 파열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수지를 2종만 사용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은 달성될 수 없다. 즉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필름의 가공성은 좋아지나 강도와 투습도가 낮아지고,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필름의 가공성 및 강도는 높아지나 이축연신시 필름의 파열이 발생하고,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이축연신시 필름의 파열을 방지하고 필름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나 필름의 두께가 불균일하고 필름의 가공시 네크인(neck-in) 현상이 발생하여 필름의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한 3종 이상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본 고안에 적합한 무기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오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크레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사용된다. 무기충진제의 형태로서는 판상, 침상, 구상 등이 있으나, 구상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평균입경은 0.1~5㎛, 좋기로는 0.5~3㎛범위의 것이다. 평균입경이 0.1㎛미만일 경우는 수지내에서의 무기충진제의 분산이 어려워 기계적 물성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고,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 성형된 통기성 필름의 표면외관이 불량해지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무기충진제를 스테아린산으로 코팅한 것을 사용한다.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된 무기충진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와 상승작용을 일으켜 폴리에틸렌 수지내에서 분산성이 증가하며, 2축연신 가공시의 생성 필름 파단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무기충진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코팅한 무기충진제 50∼20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중량부 미만시에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무기충진제와의 계면이 박리되어 발현되는 구멍이 연속적으로 관통하지 못해 통기성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고, 200중량부를 초과할 시에는 필름의 연신후 신을 등의 물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된 부기충진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자들이 개발한 방법, 즉 잘게 갈아진 무기충진제를 강력 한 압력의 공기로 부유시킨 상태에서 용융 스테아린산을 분산시켜 코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기충진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팅방법은 스테아린산과 무기충진제 입자를 가열된 드럼에 통과시키는 방법인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효율적이다. 예를들면, 본 고안의 코팅방법에 의하면 약 0.8wt%의 스테아린산으로 약 95%의 탄산칼슘을 코팅할 수 있는데, 이는 약 2.0wt%의 스테아린산으로 90~95%의 탄산칼슘을 코팅할 수 있는 종래 방법에 비하여 효율적이다. 뿐만 아니라, 무기충진제상에 완전히 코팅안된 스테아린산이 많이 잔류하게 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잔류 스테아린산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잔류 스테아린산에 의한 가공시에 부작용 즉, 다이빌드업(Diebuildup ; 압출다이 시이트 출구부근에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나 압출기 실린더내의 용융수지압 감소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왁스로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200∼5,00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1.0∼5.0인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폴리에틸렌계 왁스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200 미만일 경우에는 무기충진제에 대한 분산력은 우수하고 부드러운 촉감 발현에는 좋으나 강도가 매우 열악해지고, 롤오염 증가, 압출가공시 두께 불안정 등의 단점이 나타날 우려가 있고, 5,000 이상이 되면 분산력이 떨어지고 부드러운 촉감이 저하된다.
또한 분자량 분포인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 분자량이 5.0 이상일때에는 가공시 열분해에 의한 가스발생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왁스는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좋고, 더욱 좋기로는 0.5∼25중량부가 가장 적당하다. 0.1중량부 미만시에는 부드러운 촉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할 시에는 왁스양의 과다로 통기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본 고안에서 통기성 필름(200)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에는 통상의 첨가제 예를들면, 활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가공조제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폴리에틸렌계 왁스에 기인한 부드러운 촉감 발현은 물론 폴리에틸렌계 왁스의 무기충진제에 대한 강한 접착력 및 분산력에 기인하여 상기 폴리에틸렌계왁스가 종래 사용하던 분산제등 첨가제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더불어 고분자로 되어 있는 관계로 종래 저분자량으로 되어 있는 첨가제의 용출에 의한 연신롤 오염, 압출가공기 이상유동에 의한 두께 불안정 등 가공상 제 문제점이 나타남이 없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하고 적정 투습성을 가지는 통기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폴리에틸렌계 통기성 필름(200)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무기충진제 및 통상의 첨가제와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적정량 조절하여 통상의 블랜더나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혼합기로는 드럼 덤블러형 혼합기, 리본블랜더, 헨셀믹서, 수퍼믹서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헨셀믹서 등의 고속교반형의 혼합기가 좋다.
다음으로 혼합물을 혼련하는데, 종래 공지의 장치, 예를들면 통상의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믹싱롤, 밤바리믹서, 2축형 혼련기 등에 의해 적절히 실시된다. 이어서 혼련된 수지 조성물을 펠렛화한다. 수지 조성물 펠렛을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가공에 의한 통상의 필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준하여 필름을 성형하게 되는데, 원형 다이에 의한 인플레이숀 성형, 티-다이에 의한 티-다이 압출성형 등을 적절히 채용하여 실시하면 좋다.
다음으로 압출법에 의기 성형된 시이트를 유리전이점 이상 용융점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1.2배∼6.0배 범위로, 좋기로는 1.5배∼5.0배의 범위로 주행방향(MD)으로 연신한다. 이 경우 온도가 유리전이점 미만의 경우에도 신도가 항복점을 넘기이전에 필름에 파열이 발생하여 연신을 행할 수 없으며, 용융점을 넘게 되는 경우에는 분자사슬의 유동에 의해 주행방향연신시 만족할 만한 통기량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연신배율이 1.2배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통기량이 얻어지지 않게되며, 연신배율이 6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연신중 절단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안정하게 필름을 얻을 수 없다. 이어서 주행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을 상기 온도 범위의 조건 및 연신배율로 폭방향(TD) 연신하여 이축연신 통기성 필름을 얻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축연신을 하지 않고 일축 연신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일축 또는 이축연신 어느 방식으로도 제조할 수 있으며, 총 면적일신배율이 1.5∼36배의 범위로 되게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연신배율이 1.5배 미만에서는 충분한 통기성을 얻을 수 없고, 36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통기성은 얻어지지만, 강도가 현저히 나빠진다. 연신후의 필 름은 그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고정을 행해도 좋다.
본 고안에 따라,제조된 폴리에틸렌계 통기성 필름의 물성은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종류 및 물성, 무기충진제의 종류 및 입경, 상기 폴리에틸렌계 왁스의 종류 및 물성, 배합비율, 그리고 연신온도, 연신배율, 연신방식 등의 연신조건 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꽃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 포켓을 제공하고, 아울러 통기성 투명필름을 제공하여 꽃의 향기를 외부에 발산함은 물론 통기성 투명필름에 의해서 습기가 차지 않토록 하여 장시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저가형 선물로서 생화를 말린 조화등을 제공할 수 있어 경제적인 선물이 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5)

  1. 넥타이의 전면에 꽃을 수납할 수 있도록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이나 하트 및 별 모양등의 통기성 투명 필름을 재봉하여 구성하되,
    상기 통기성 투명 필름은, 밀도 0.916∼0.922g/cc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밀도 0.923∼0.930g/cc의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밀도 0.931~0.940g/cc의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된 무기충진제 50~20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계 왁스 0.1∼30중량부를 배합한 조성물을 용융성형한 원판 시이트를 면적연신배율 1.5배∼36배로 연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 넥타이.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수지 0.02∼20g/10분(ASTM D 1238-70에 따라 190℃, 2.16㎏하에서 측정)의 에틸렌 중합체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 넥타이.
  3.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오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크레이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 넥타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된 무기충진제는 잘게 갈아진 무기충진제를 강력한 압력의 공기로 부유시킨 상태에서 용융스테아린산을 분산시켜 코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 넥타이.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왁스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5,00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 분자량 = 1.0∼5.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 넥타이.
KR2020060032228U 2006-12-21 2006-12-21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넥타이 KR200800021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228U KR20080002128U (ko) 2006-12-21 2006-12-21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228U KR20080002128U (ko) 2006-12-21 2006-12-21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128U true KR20080002128U (ko) 2008-06-25

Family

ID=4132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228U KR20080002128U (ko) 2006-12-21 2006-12-21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1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6357A (zh) * 2016-07-28 2016-11-23 太仓市虹鹰印花有限公司 一种插花礼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6357A (zh) * 2016-07-28 2016-11-23 太仓市虹鹰印花有限公司 一种插花礼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58792B (zh) 一种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5254617A (en) Resin composition for producing a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a film by using the same
KR100338362B1 (ko) 우수한 가공성 및 투습도를 갖는 통기성 필름용 조성물
CN112029173B (zh) 一种聚乙烯透气膜及其制备方法
CN111978644B (zh) 一种聚丙烯透气膜及其制备方法
CN112778600A (zh) 一种聚烯烃透气膜专用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S62129321A (ja) 多孔性シ−トの製造方法
JP3499652B2 (ja) 透湿性フィルム
KR20080002128U (ko)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넥타이
KR100465176B1 (ko) 통기성필름의제조방법
KR20080057862A (ko) 넥타이 전면에 꽃을 꽂을 수 있는 투명필름을 재봉한넥타이
JP2006241276A (ja) ポリエチ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
KR101956011B1 (ko) 셀룰로스 미분말을 함유하는 성형체
JP4226089B2 (ja) パール光沢を有するポリプロピレン二軸延伸フィルム
JP2000007855A (ja) 異形押出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異形押出成形品
KR100801552B1 (ko) 표면특성 및 가공특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조성물
KR101547945B1 (ko) 평활도 및 유동성이 향상된 마스터배치 및 상기 마스터배치를 이용한 필름 조성물
CN114806002B (zh) 一种透气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3714649B2 (ja) 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
KR100867931B1 (ko) 내수압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통기성 필름
JPS63117043A (ja) 通気性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101114087B1 (ko)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4186419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包装材
JPS62167332A (ja) ポリオレフイン多孔性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29831A (ko) 항균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