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023A -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023A
KR20080002023A KR1020060060560A KR20060060560A KR20080002023A KR 20080002023 A KR20080002023 A KR 20080002023A KR 1020060060560 A KR1020060060560 A KR 1020060060560A KR 20060060560 A KR20060060560 A KR 20060060560A KR 20080002023 A KR20080002023 A KR 2008000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omposi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275B1 (ko
Inventor
정호영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2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고분자 레진,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 광개시제, 단분자 발광색소,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대면적화가 가능하고,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적용이 가능하며, 단분자 발광색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불순물 정제가 유리하여 소자의 수명이 증가된다.
유기 발광층

Description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Composition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투명 기판 20 : 양극
30 : 정공주입층 40 : 정공수송층
50 : 유기 발광층 60 : 전자수송층
70 : 전자주입층 80 : 음극
본 발명은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소자의 유기 발광층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소자는 반도체적인 특성이 있는 박막 형태의 유기 발광층이 양극 및 음극사이에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양극 및 음극에 전류를 인가하면 음극으로부터의 전자 및 양극으로부터 정공이 유기 발광층에 주입되어 생성된 엑시 톤(exciton)이 여기상태(excited state)로부터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천이되면서 가시광 영역의 빛을 내는 소자이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소자는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서 단분자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고 고분자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분자물질을 유기 발광층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분말형태의 단분자물질을 증착방법을 이용하여 박막형태의 유기 발광층을 형성한다.
상기 고분자물질을 유기 발광층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용제에 고분자물질을 용해시킨 후 스핀코팅방법이나 잉크젯방법을 이용하여 박막형태의 유기 발광층을 형성한다.
상기 단분자물질을 유기 발광층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불순물 정제가 유리하여 소자의 수명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지만, 증착방법을 통해 박막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대면적 소자를 제조할 경우에는 균일성(uniformity)이 떨어져 대면적화에는 불리한 단점이 있다.
상기 고분자물질을 유기 발광층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어 대면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불순물 정제가 불리하여 소자의 수명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분자물질을 유기 발광층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용제에 고분자물질을 용해시켜 적층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층을 형성할 경우 상부층 형성시 하부층이 용제에 용해될 수 있어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적용이 어려워 복수개의 층에 대한 패턴형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비록 대면적 소자에 불리하지만 현재까지는 단분 자물질을 유기 발광층으로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가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기 발광소자에서 상기 단분자물질과 고분자물질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유기 발광층 재료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불순물 정제가 유리하여 소자의 수명이 증가되고 균일성이 증가되어 대면적 소자에 적용가능하고 박막에 대한 패턴형성이 용이한 유기 발광층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 유기 발광층 재료가 적용되는 유기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베이스 고분자 레진,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 광개시제, 단분자 발광색소,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 광개시제, 단분자 발광색소,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에 대해서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은 베이스 고분자 레진,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 광개시제, 단분자 발광색소,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 상기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 광개시제는 용제에 용해되며, 상기 단분자 발광색소는 용제에 분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은 용액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유기 발광소자에 유기 발광층으로 적용될 경우 스핀코팅방법이나 잉크젯방법을 이용하여 박막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어 대면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상기 광반응성기를 가진 모노머는 상기 광개시제에 의해 광중합반응을 일으켜 가교결합을 형성하는데, 상기 광반응성기를 가진 모노머의 광중합반응에 의해 상기 조성물이 경화되므로 상기 조성물을 박막 형태로 구성한 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은 청색, 녹색, 및 적색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색소로서 단분자 발광색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불순물 정제가 유리하여 소자의 수명이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성성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은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비닐카바 졸(Polyvinylcarbazole:PVK)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서 30-6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으로 이용되는 폴리비닐카바졸은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표현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1
(여기서,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는 광중합반응에 의해 가교결합을 하는 것으로서, 카바졸 모노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서 5-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로 이용되는 카바졸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로 이루어진 카바졸 모노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2
,
화학식 3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3
,
화학식 4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4
,
화학식 5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5
.
상기 화학식 2는 하기와 같은 N-알킬화반응(N-Alkyla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6
상기 화학식 3은 하기와 같은 디메틸 브롬화반응(Dimethyl bromina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7
상기 화학식 4는 하기와 같은 알콜화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8
상기 화학식 5는 하기와 같은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7152436-PAT00009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아크릴 모노머의 광중합반응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및 이미다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서 0.5-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티릴-s-트리아진, 2-p-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6-트리아진, 2-(2-브로모-4-메틸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등이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페논,p-(디메틸아미노)벤 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이 있다.
상기 크산톤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크산톤, 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부틸티오크산톤,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등이 있다.
상기 벤조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인,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일 프로필 에테르, t-부틸 벤조일 에테르등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2-비이미다졸, 2,2-비스(2,4,6-트리시아노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등의 화합물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필요에 따라 증감제, 경화촉진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4-디메틸아미노 벤조페논, 이소프로필티옥산톤, 메틸-o-벤조일벤조에이트, 4-(메틸페닐티오)-페닐-페닐메탄, 2,4-디에틸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벤조페논, 에틸안트라퀴논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분자 발광색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0-50중량%로 포함되며, 하기와 같은 화학식 6 또는 하기 화학식 7로 표현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 화학식 6은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단분자 발광색소로 이용되고, 하기 화학식 7은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단분자 발광색소로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0
,
화학식 7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1
.
또한, 상기 단분자 발광색소는 PtOEP(Octaethylporphine platinum (II)),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유도체, 페릴렌, 퀴나크리돈, 루브렌, 디스티릴비페닐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유도체, 및 페릴렌은 적색의 빛을 방출하는 단분자 발광색소로 이용되고, 크나크리돈, 및 루브렌은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단분자 발광색소로 이용되고, 디스티릴비페닐 및 그 유도체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단분자 발광색소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 및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는 호스트물질을 구성하게 되고, 상기 단분자 발광색소는 게스트물질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호스트 물질은 UV영역에서 광을 흡수하고 단파장 영역에서 광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지며, 상기 게스트 물질은 상기 호스트 물질이 광을 방출하는 영역에 서 광을 흡수하고 가시광선(적색, 녹색, 청색) 영역의 빛의 방출하는 성질을 가진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진 호스트 물질과 게스트 물질을 조합함으로써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이소프로필 알콜(IPA), 노말 부탄올, γ-부티로락톤, N-메틸피롤리돈(NMP),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DMI) 및 그 유도체, 칼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칼비톨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톨루엔, 크실렌, 디하이드로벤조퓨란, 트리메틸벤젠, 테트라메틸벤젠, 시클로헥실벤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그 외의 구성성분을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된다.
한편, 상기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분산성 향상을 위한 분산제 또는 코팅성 향상을 위한 코팅제와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 할 수 있으며, 이들 첨가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는 투명기판(10) 위에 양극(20), 정공주입층(30), 정공수송층(40), 유기 발광층(50), 전자수송층(60), 전자주입층(70), 음극(8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적층구조를 가진다.
상기 투명기판(1) 은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20)은 ITO(indium tin oxide), 산화주석, 산화인듐과 산화아연의 복합산화물 등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30)은 코퍼프탈로시아닌(copper(Ⅱ) Phthalocyanine)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40)은 a-NPD, TPD,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diphenylbenzidine), 트리아졸 유도체, 스티릴아민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50)은 전술한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유기 발광층(50)은 전술한 베이스 고분자 레진,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 광개시제, 단분자 발광색소,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유기 발광층(5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을 스핀코팅방법이나 잉크젯방법을 이용하여 박막형태로 형성한 후,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반응성기를 가진 모노머를 광중합반응시켜 박막을 경화시킨 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이다.
상기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수송층으로는 Alq3, PBD, 나이트레이드 플루오레논 유도체, 안트라퀴노디메탄 유도체, 8-퀴놀리놀 유도체의 금속 착체, 메탈 프타로시아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은 알칼리 금속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으로는 Mg, Ag, Al, 또는 Li과 같은 금속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은 용액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유기 발광소자에 유기 발광층으로 적용될 경우 스핀코팅방법이나 잉크젯방법을 이용하여 박막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어 대면적화가 가능하다.
둘째, 광반응성기를 가진 모노머의 광중합반응에 의해 상기 조성물이 경화되므로 상기 조성물을 박막 형태로 구성한 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은 청색, 녹색, 및 적색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색소로서 단분자 발광색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불순물 정제가 유리하여 소자의 수명이 증가된다.

Claims (17)

  1. 베이스 고분자 레진,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 광개시제, 단분자 발광색소,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은 30 ~ 6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는 5 ~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광개시제는 0.5 ~ 5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단분자 발광색소는 20 ~ 50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용제는 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은 폴리비닐카바졸(Polyvinylcarbazole:PVK)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분자 레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비닐카바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2
    (여기서,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는 카바졸 모노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기를 가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로 이루어진 카바졸 모노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3
    ,
    화학식 3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4
    ,
    화학식 4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5
    ,
    화학식 5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6
    .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트리아진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및 이미다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분자 발광색소는 하기 화학식 6 또는 하기 화학식 7로 표현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7
    ,
    화학식 7
    Figure 112006047152436-PAT00018
    .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분자 발광색소는 PtOEP(Octaethylporphine platinum (II)),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유도체, 페릴렌, 퀴나크리돈, 루브렌, 디스티릴비페닐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이소프로필 알콜(IPA), 노말 부탄올, γ-부티로락톤, N-메틸피롤리돈(NMP),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DMI) 및 그 유도체, 칼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칼비톨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톨루엔, 크실렌, 디하이드로벤조퓨 란, 트리메틸벤젠, 테트라메틸벤젠, 및 시클로헥실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
  12.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유기 발광층용 조성물을 스핀코팅방법이나 잉크젯방법을 이용하여 박막형태로 형성한 후,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반응성기를 가진 모노머를 광중합반응시켜 박막을 경화시킨 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주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수송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및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전자주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전자수송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KR1020060060560A 2006-06-30 2006-06-30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KR10131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560A KR101319275B1 (ko) 2006-06-30 2006-06-30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560A KR101319275B1 (ko) 2006-06-30 2006-06-30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023A true KR20080002023A (ko) 2008-01-04
KR101319275B1 KR101319275B1 (ko) 2013-10-16

Family

ID=3921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560A KR101319275B1 (ko) 2006-06-30 2006-06-30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06A1 (ko) * 2016-04-22 2017-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바졸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22157879A1 (ja) * 2021-01-21 2022-07-28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331A (ko)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디엠에스 유기발광소자를 위한 유기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5747A (ko)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디엠에스 유기재료 처리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유기재료 혼합물 및 유기재료 혼합물을 이용한 전자소자
KR20210083673A (ko)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디엠에스 유기재료 처리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유기재료 혼합물 및 유기재료 혼합물을 이용한 전자소자
KR20220010154A (ko)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디엠에스 유기재료 처리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소자 제조용 유기재료, 전자소자 제조용 유기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된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전자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54442A1 (en) * 2001-12-12 2003-06-23 Tokuyama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KR100478524B1 (ko) * 2002-06-28 2005-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및 저분자 발광 재료의 혼합물을 발광 재료로사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06A1 (ko) * 2016-04-22 2017-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바졸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CN108884042A (zh) * 2016-04-22 2018-11-23 株式会社Lg化学 咔唑衍生物和使用其的有机发光元件
JP2019512555A (ja) * 2016-04-22 2019-05-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カルバゾール誘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CN108884042B (zh) * 2016-04-22 2022-08-09 株式会社Lg化学 咔唑衍生物和使用其的有机发光元件
WO2022157879A1 (ja) * 2021-01-21 2022-07-28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275B1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6017B (zh) 有机电致发光元件、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以及有机电致发光光源
US8847219B2 (en) Color conversion film and multicolor-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color conversion film
TWI613273B (zh) 有機el多色發光裝置
US8461572B2 (en) Organic 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19275B1 (ko)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CN112051709B (zh) 量子点光刻胶、由其获得的量子点发光层、包含该量子点发光层的qled及其制备和应用
TW201031259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WO2003079735A1 (ja) カラー発光装置
CN102364716A (zh) 有机电致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光发射装置
WO2010104183A1 (ja) 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有機el照明
JP6095978B2 (ja) 有機el装置用樹脂組成物及び有機el装置
US2007024884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18103744A1 (zh) 混合物、组合物及有机电子器件
CN102084721A (zh) 有机电致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CN104685651A (zh) 有机电致发光元件、有机el照明和有机el显示装置
JP2009123696A (ja) 有機電界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5673777B2 (ja) 有機薄膜パターニング用基板、有機電界発光素子、並びに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照明
CN104081878A (zh) 有机电致发光元件、有机el照明和有机el显示装置
JP2010108927A (ja) 有機電界発光素子、該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照明
Su Cross-linking strategies for hole transport/emissive layers in quantum-dot light-emitting diodes
JP2008112875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92475A (ja) 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照明
WO2022213993A1 (zh) 组合物及其在光电领域的应用
Juang et al. Flexible white lighting fabricated with quantum dots color conversion layers excited by blu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KR101319274B1 (ko) 유기 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