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548U - 방음판넬 조립체 - Google Patents

방음판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548U
KR20080001548U KR2020080006377U KR20080006377U KR20080001548U KR 20080001548 U KR20080001548 U KR 20080001548U KR 2020080006377 U KR2020080006377 U KR 2020080006377U KR 20080006377 U KR20080006377 U KR 20080006377U KR 20080001548 U KR20080001548 U KR 200800015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panel
frame
pressing
coupled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289Y1 (ko
Inventor
김순자
Original Assignee
김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자 filed Critical 김순자
Priority to KR2020080006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28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2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Abstract

방음판의 부분적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의 출입부(119)는 방음판넬(101)의 가장자리 밑면을 지지하는 쿠션러버(190)가 결합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된 수평부(111)와, 수평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방음판넬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이탈방지턱(114a)이 형성된 안내홈(114)이 있는 수직부(112)로 이루어지며; 안내홈(114)에 그 헤드(17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수나사부(171)가 출입부(119) 공간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170)와;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체결공(154)이 형성되고 수직부(112)에 밀착되는 고정부(151)와, 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그 일부분이 상기 방음판넬(101)을 눌러주는 누름부(152)를 구비하는 누름구(150)와;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누름구를 수직부(112)에 고정시키는 너트(185)와; 체결볼트 및 누름구의 외부노출을 차단시키는 커버(160);를 구비한다. 본 고안 방음판넬 조립체는 프레임에 방음판넬을 지지하는 쿠션러버가 결합됨으로써, 도로변의 차량통행등에 따른 진동에도 불구하고 방음판넬과 프레임간의 접촉에 따른 진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방음판넬, 프레임, 누름구, 체결볼트, 쿠션러버, 커버

Description

방음판넬 조립체{A soundproof pannel assembly}
본 고안은 방음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방음판의 부분적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볼트등의 조립부품의 분실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방음판의 부분적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음판의 고정 프레임 결합구조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83331호에 설명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도로에 제공된 포스트(10)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어 방음벽을 이루게 되며 방음판(2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 상호 접하는 방음판을 보호하게 되는 고정프레임(300)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구조는 포스트(10)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음판(20)의 외측단 한쪽면이 상기 포스트(10) 사이를 통과하여 일방향으로 삽입 밀착되도록 안쪽 테두리에 일방향으로 개방된 단턱 형상의 안내홈(3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홈(320)에 밀착된 상기 방음판(20)의 외측단 다른면을 밀착 고정시키도록 일측에 밀착 절곡단(361)을 가지며 보올트(380)로서 안내홈(3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음판 고정부재(360)를 구비한다.
이는 포스트(10)에 끼움 고정된 고정 프레임(300)으로부터 방음판(20)을 일방향으로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여 훼손에 따른 방음판(20)의 설치 및 교체작업시 부분적 교체의 용이성 확보로 작업 공수 및 경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번째는 도로변의 차량통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서 볼트(380)의 풀림으로 방음판(20)과 프레임(300)간의 진동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두번째는 고정부재(360)의 조립시 볼트(380)를 외측에서 조임시켜야 하므로 고정프레임(300)에 형성된 나사구멍(340)에 볼트(380)를 정확하게 대응시켜 조립하기 불편하다.
세번째는 고정부재(360)를 고정프레임(300)에 볼트(380)로 체결고정시킨 후, 볼트(38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로변의 차량통행등에 따른 진동에도 불구하고 방음판의 진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고정부재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본 고안은 사각형상의 방음판넬과, 상기 방음판넬의 상/하/양 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방음판넬을 보호하는 상프레임, 하프레임, 양측의 제1,2프레임을 구비하는 방음판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방음판넬이 진입 또는 분리될 수 있는 "ㄴ"자 형상의 출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부는 상기 방음판넬의 가장자리 밑면을 지지하는 쿠션러버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방음판넬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안내홈이 있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홈에 그 헤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수나사부가 상기 출입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 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그 일부분이 상기 방음판넬을 눌러주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누름구와;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누름구를 상기 수직부에 고정시키는 너트와; 상기 체결볼트 및 누름구의 외부노출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누름구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ㄱ"자 형성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제1,2훅크(161)(162) 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훅크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의 누름부 단부에는 상기 제2훅크가 걸려지는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의 저면에 톱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방음판넬 조립체는 프레임에 방음판넬을 지지하는 쿠션러버가 결합됨으로써, 도로변의 차량통행등에 따른 진동에도 불구하고 방음판넬과 프레임간의 접촉에 따른 진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 조립체는 프레임의 수직부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체결볼트의 수나사부가 돌출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수나사부에 누름구의 체결공을 쉽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본 고안 조립체는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체결볼트 및 누름구의 외부노출을 차단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에 제1,2훅크를 형성하여서, 프레임 및 누름구에 간단하게 누름작동시킴으로써 커버의 조립을 간편하게 한다.
또한, 누름부의 저면에 톱니부가 형성됨으로써, 누름구가 방음판넬을 가압하게 될때 톱니부가 변형되면서 방음판넬을 가압하게 되므로, 방음판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음판넬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서 진동소음을 보다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실시예의 방음판넬 조립체를 나타낸 도 3과, 도 3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 4와, 도 3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방음판넬(101)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음판넬(101)의 상/하/양 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방음판넬(101)을 보호하는 상프레임(130), 하프레임(140), 양측의 제1,2프레임(110)(120)을 구비한다.
상기 하프레임(140) 및 양측의 제1,2프레임(110)(120)은 도 7에서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프레임(130)은 도 6에서와 같이 다른 프레임들과는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그 차이가 영향이 없다.
따라서 본 고안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특징이 되는 부분의 상기 각 프레임(110,120,130,140)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도 9를 참조하면서, 제1측프레임(110)부분에서의 단면도면을 대표로 하여 이하에서는 설명한다.
제1프레임(11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방음판넬(101)이 진입 또는 분리될 수 있는 "ㄴ"자 형상의 출입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입부(119)는 상기 방음판넬(101)의 가장자리 밑면을 지지하는 쿠션러버(190)가 결합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된 수평부(111)와, 상기 수평부(1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방음판넬(101)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이탈방지턱(114a)이 형성된 안내홈(114)이 있는 수직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홈(114)에는 체결볼트(17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데, 체결볼트(170)의 헤드(172)가 안내홈(1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수나사부(171)가 상기 출입부(119) 공간으로 돌출되게 된다.
참조번호 150은 제1측프레임(110)에 체결고정되어서 방음판넬(101)의 가장자리를 눌러 고정시키는 누름구로서, 상기 수나사부(171)에 결합되는 체결공(15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12)에 밀착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로부터 절곡되어 그 일부분이 상기 방음판넬(101)을 눌러주는 누름부(152)를 구비한다.
상기 누름구(150)의 고정부(151)와 누름부(152) 사이의 절곡각도는 직각보다 큰 둔각을 갖도록 절곡형성하여서,누름부(152)와 방음판넬(101)과의 접촉면적을 줄였다.
또한, 상기 누름부(152)의 저면에는 톱니부(153)를 형성하여서, 누름구(150)가 방음판넬(101)을 가압하게 될때 톱니부(153)가 변형되면서 방음판넬(101)을 가압하게 되므로, 방음판넬(10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음판넬(101)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서 진동소음을 보다 줄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170) 및 누름구(150)의 외부노출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제1측프레임(110)과 누름구(150)에 결합되는 커버(160)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160)는 "ㄱ"자 형성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제1,2훅크(161)(16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112)의 상단부에 상기 제1훅크(161)가 걸려지는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150)의 누름부(152) 단부에 상기 제2훅크(162)가 걸려지는 걸림편(15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커버(16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서 제1훅크(161)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참조번호 172는 상기 수나사부(17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누름구(150)를 상 기 수직부(112)에 고정시키는 너트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된 방음판넬 조립체는 먼저 체결볼트(170), 누름구(150) 및 커버(160)를 각 프레임(110)(120)(130)(14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각 프레임의 결합홈(113)에 쿠션러버(190)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방음판넬(101)을 각 프레임의 수평부(111)에 안착시켜서 쿠션러버(190)에 지지시킨다.
이어서 각 프레임의 안내홈(114)에 체결볼트(170)의 헤드(172)를 슬라이딩 결합하여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누름구(150)의 체결공(154)을 수나사부(171)에 결합시킨 후 와셔(180)와 너트(185)를 수나사부(171)에 결합시켜서 누름구(150)를 수직부(112)에 밀착고정시킨다.
이때 누름구(152)의 누름부(152)의 톱니부(153)가 변형되면서 방음판넬(101)의 상면을 가압하여 쿠션러버(190)에 밀착지지되게 된다.
이어서 도 8에서와 같이, 커버(160)의 제2훅크(162)를 누름구(150)의 걸림편(155)에 걸은 상태에서, 제1훅크(161)측을 가압시키면 제1훅크(161)가 약간 탄성변형되면서 걸림턱(115)에 걸려 결합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방음판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 방음판넬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횡단면도,
도 6은 상프레임 단면도,
도 7은 하프레임 및 측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커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3의 제1측프레임측의 단면도.

Claims (3)

  1. 사각형상의 방음판넬과, 상기 방음판넬의 상/하/양 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방음판넬을 보호하는 상프레임, 하프레임, 양측의 제1,2프레임을 구비하는 방음판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방음판넬(101)이 진입 또는 분리될 수 있는 "ㄴ"자 형상의 출입부(119)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부(119)는 상기 방음판넬(101)의 가장자리 밑면을 지지하는 쿠션러버(190)가 결합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된 수평부(111)와, 상기 수평부(1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방음판넬(101)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이탈방지턱(114a)이 형성된 안내홈(114)이 있는 수직부(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홈(114)에 그 헤드(17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수나사부(171)가 상기 출입부(119) 공간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170)와;
    상기 수나사부(171)에 결합되는 체결공(15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12)에 밀착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로부터 절곡되어 그 일부분이 상기 방음판넬(101)을 눌러주는 누름부(152)를 구비하는 누름구(150)와;
    상기 수나사부(17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누름구(150)를 상기 수직부(112)에 고정시키는 너트(185)와;
    상기 체결볼트(170) 및 누름구(150)의 외부노출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누름구(150)에 결합되는 커버(1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60)는 "ㄱ"자 형성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제1,2훅크(161)(16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112)의 상단부에 상기 제1훅크(161)가 걸려지는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150)의 누름부(152) 단부에 상기 제2훅크(162)가 걸려지는 걸림편(1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152)의 저면에 톱니부(1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 조립체.
KR2020080006377U 2008-05-14 2008-05-14 방음판넬 조립체 KR200454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77U KR200454289Y1 (ko) 2008-05-14 2008-05-14 방음판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77U KR200454289Y1 (ko) 2008-05-14 2008-05-14 방음판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548U true KR20080001548U (ko) 2008-06-03
KR200454289Y1 KR200454289Y1 (ko) 2011-06-24

Family

ID=4132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377U KR200454289Y1 (ko) 2008-05-14 2008-05-14 방음판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2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107B1 (ko) * 2019-05-10 2020-01-14 주용산업주식회사 탄성 결속구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상부 방음판 고정장치
KR20220010325A (ko) * 2020-07-17 2022-01-25 덕인금속 주식회사 H형 내진 복합결합장치를 갖는 건축용 금속내진패널
KR20220010328A (ko) * 2020-07-17 2022-01-25 덕인금속 주식회사 T형 내진 복합결합장치를 갖는 건축용 금속내진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29Y1 (ko) * 2012-02-17 2013-12-04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방음패널용 프레임 구조체
KR101395069B1 (ko) * 2013-12-11 2014-05-16 유문식 분리형 투명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625500B1 (ko) * 2015-08-26 2016-05-30 맹윤섭 알루미늄복합재 조립구조
KR101978137B1 (ko) 2018-04-17 2019-05-14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방음벽 구조체
KR102237279B1 (ko) * 2020-10-29 2021-04-07 솔로몬산업 주식회사 교체 및 유지 보수 편리를 위한 회절 간섭형 투명 방음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1563B2 (ja) * 1994-03-14 1998-12-02 積水樹脂株式会社 透光性防音板
KR100802025B1 (ko) * 2006-10-24 2008-02-12 주용산업주식회사 발광용 홀더부재를 갖는 전방분리형 투명방음판
KR100724761B1 (ko) * 2006-12-19 2007-06-04 송승민 안전 복합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107B1 (ko) * 2019-05-10 2020-01-14 주용산업주식회사 탄성 결속구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상부 방음판 고정장치
KR20220010325A (ko) * 2020-07-17 2022-01-25 덕인금속 주식회사 H형 내진 복합결합장치를 갖는 건축용 금속내진패널
KR20220010328A (ko) * 2020-07-17 2022-01-25 덕인금속 주식회사 T형 내진 복합결합장치를 갖는 건축용 금속내진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289Y1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289Y1 (ko) 방음판넬 조립체
KR19990012351U (ko) 건축물외장판재의설치구조
KR100849864B1 (ko) 문틀구조 및 문틀구조 시공방법
KR20170000831U (ko)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KR100562998B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JP6857037B2 (ja) 構造体
KR200402960Y1 (ko) 가구용 판넬 연결구조체
JP2013121270A (ja) ポストの配線ダクト装置
KR20130000960U (ko) 지붕 구조물 연결장치
KR100704739B1 (ko) 방음벽
KR102440536B1 (ko) 내장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의 내장판 결합 구조
JP4388319B2 (ja) 洗い場付浴槽の設置構造
JP4723404B2 (ja) 簡易構築物の天井形成方法
KR101140266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200345761Y1 (ko)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KR101387577B1 (ko) 방음벽
JP4132972B2 (ja) 面格子の取付部材
KR200470229Y1 (ko) 방음패널용 프레임 구조체
KR102164387B1 (ko) 리모델링용 방음판
KR100579952B1 (ko) 차량의 웨이스트 라인 몰딩 부착 구조
JPH0140937Y2 (ko)
JP5285950B2 (ja) 窓下部における水切り構造及びコーナー水切り部材
JPH089283Y2 (ja) 柱と上枠との取付構造
JPS6020761Y2 (ja) 塀用笠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123

Effective date: 201105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