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453U -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 Google Patents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453U
KR20080001453U KR2020060030478U KR20060030478U KR20080001453U KR 20080001453 U KR20080001453 U KR 20080001453U KR 2020060030478 U KR2020060030478 U KR 2020060030478U KR 20060030478 U KR20060030478 U KR 20060030478U KR 20080001453 U KR20080001453 U KR 200800014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glass fiber
melamine foam
shee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연석
Original Assignee
송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연석 filed Critical 송연석
Priority to KR2020060030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453U/ko
Publication of KR20080001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4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는, 유리섬유 위에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유리섬유 시트(10),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켜 시트형태로 성형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섬유 시트(10)의 밑면과 접촉하는 멜라민 폼(11), 상기 유리섬유 시트(10)와 상기 멜라민 폼(11) 사이를 접착하는 제1난연접착층(12a), 상기 멜라민 폼(11)의 밑면에 접착된 알루미늄 시트(14), 상기 멜라민 폼(11)과 상기 알루미늄 시트(14) 사이를 접착하는 제2난연접착층(12b), 상기 알루미늄 시트(14)의 밑면에 형성된 난연점착층(12c), 및 상기 난연점착층(12c)의 보호를 위해 난연점착층(12c)의 밑면에 부착된 이형지(15)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시트 형상 또는 보드 형상을 가진다. 본 고안은 코로나 방전장치로 알루미늄 시트의 표면에 전기스파크를 가해 미세한 스크래치들을 발생한 후 스크래치들의 사이 사이에 접착제·점착제를 액상증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멜라민 폼을 쉽게 점착식으로 붙일 수 있으며, 기존의 멜라민 폼 단열재에 있어 폴리에틸렌 필름이 갖고 있던 가연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제거하여 완벽하게 난연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Figure P2020060030478
철도, 멜라민 폼, 단열, 흡음, 차단재, 시트, 보드, 블록, 에어컨 덕트, 출입문, 난연제, 난연접착, 난연점착, 유리섬유, 알루미늄 시트, 코로나 방전

Description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Incombustible sound-absorbing isolator using melamine foam}
도1은 종래의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가 적용되는 철도 차량 내부를 도시하며, 도3은 철도 차량내의 에어컨 덕트(36a)의 배치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도3의 철도 차량내의 에어컨 덕트(36a)안에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1,1a)가 설치된 상태와 상기 난연 흡음 차단재(1,1a)의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의 생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6은 도5 중 코로나 방전 장치를 이용해 알루미늄 시트(14)의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의 또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8a 및 도8b는 유리섬유 시트(10)로 멜라민 폼(11)의 6면을 전부 감싸 보드형 또는 블록형의 난연 흡음 차단재(1c)를 제작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9는 유리섬유 시트(10)로 멜라민 폼(11)의 6면을 전부 감싼 다음 유리섬유 시트(10)의 엣지들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난연섬유로 봉제 박음질하여 제작한 보드형 또는 블록형의 난연 흡음 차단재(1d)를 도시한다.
도10은 도8a 내지 도9의 보드형 또는 블록형의 난연 흡음 차단재(1c,1d)를 철도 차량의 자동출입문(32)이 수납되는 공간(32a) 안의 빈틈에 끼워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a: 멜라민 폼 난연 흡음 차단재
1c,1d: 블록형 멜라민 폼 난연 흡음 차단재
3: 철도 차량 내부 3a: 철도 차량
7: 코로나(corona) 방전장치 9: 유리섬유
10: 알루미늄 박막 코팅된 유리섬유 11: 멜라민 폼
12a,12b: 난연 접착층 12c: 난연 점착층
13: PE 필름 14: 알루미늄 시트
14a: 스크래치(scratch) 15: 이형지
16: 유리섬유 직물 30: 에어컨 통풍구
31: 전등 32: 출입문
32a: 출입문 수납공간 33: 천장34: 중간출입문
35: 판토그라프(pantograph) 36: 에어컨
36a: 에어컨덕트 36b: 송풍덕트
37: 바퀴 41a: 가이드롤러
41b: 접착제 도포롤러 42a,42b: 가이드롤러
43a,43b,44a,44b,45a,45b: 압착롤러 46a,47a: 롤러
46b: 접착제 도포롤러 46c: 접착제(接着劑)
47b: 점착제 도포롤러 47c: 점착제(粘着劑)
48: 알루미늄 시트 롤 48a: 가이드롤러
49: 이형지 롤 71: 발진기
72: 오존배기집합닥트 72b: 전극수지커버
73: 고압트랜스 74: 방전처리롤러
75a,75b: 가이드롤러 100: 상부부재
110: 하부부재 120: 봉제 자국
본 고안은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연성, 취급 용이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멜라민 폼의 상면에 알루미늄이 코팅된 유리섬유를 부착하고 상기 멜라민 폼의 하면에는 알루미늄 시트를 부착하되 상기 유리섬유와 상기 알루미늄 시트의 부착에는 난연접착제 및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에어컨 덕트 안과 자동출입문 수납 공간내의 빈틈 등 흡음 단열 차단이 필요한 곳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 음 차단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 혹은 선박, 항공기 등의 내장을 위한 난연 흡음 단열재로는 폴리우레탄 발포물과 유리섬유 울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물은 단열효과가 우수한 반면 화재발생시 2차 발화를 유발하고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 울은 난연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석면과 마찬가지로 인체유해성이 있어 작업자와 승객들의 호흡기와 피부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철도 차량, 선박 등의 불연 내장재로서 각광받고 있는 멜라민 폼(melamine foam)은 그 소재물질이 독일 바스프(BASF) 사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기존의 폴리우레탄 발포물이나 유리섬유 울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난연성과 단열성이 뛰어나고 가벼우며 인체에도 거의 해가 없는 것으로 인정되어 점차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멜라민 폼을 난연 흡음 차단재로 사용하여 소정의 장소에 부착하고자 할 경우 볼트, 못 등에 의해 고정하거나 또는 멜라민 폼의 뒷면에 점착테이프를 붙여 설치해야 하였다. 그러나, 철도 차량의 에어컨 덕트 안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 볼트나 못을 박으면서 작업하면 작업성이 너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주로 멜라민 폼의 뒷면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된 점착테이프를 붙이고 이 점착테이프에 의해서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도1은 종래의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멜라민 폼의 이면에 폴리에틸렌 점착테이프(13a)를 부착 한 것이다. 도1을 참고하면, 종래의 난연 흡음 차단재(1')는 시트 형상 또는 보드 형상의 멜라민 폼(11)의 상면에 유리섬유(9)가 제1난연접착제(12a)에 의해서 부착되며, 상기 멜라민 폼(11)이 하면에는 제2난연접착제(12b)에 의해서 폴리에틸렌 점착테이프(13a)가 부착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점착테이프(13a)는 폴리에틸렌 필름(13)위에 점착제(粘着劑, 12c)를 코팅한 것이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난연 흡음 차단재(1')는 작업성이 좋은 반면에 폴리에틸렌 필름(13)이 비난연성이라서 차량내 화재발생에 의해 장기간 화력 노출시 폴리에틸렌 필름이 자기 소화성을 상실하고 2차 발화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에틸렌 필름 대신 난연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검토된 바 있으나, 난연필름의 경우 소량생산이 불가하고 생산단가가 높아 철도 차량 등의 내장재로서 사용되기에는 부적당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멜라민 폼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종래에 점착테이프로 사용된 폴리에틸렌 필름 대신 불연성의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흡음 차단이 필요한 곳에 쉽게 접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난연 흡음 차단재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멜라민 폼의 이면에 불연성의 알루미늄 시트를 접착하고 이 알루미늄 시트의 밑면에 점착증을 형성함으로써, 가연성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대상물체에 쉽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한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멜라민 폼의 이면에 접착되는 알루미늄 시트를 사전에 코로나 방전장치에 의해 표면처리하여 그 표면에 미세한 스크래치들을 다수 형성함으로써 이 스크래치들의 사이로 난연접착제와 난연점착제가 쉽게 액상 증착될 수 있도록 한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는, 유리섬유 위에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유리섬유 시트;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켜 시트형태로 성형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섬유 시트의 밑면과 접촉하는 멜라민 폼; 상기 유리섬유 시트와 상기 멜라민 폼 사이를 접착하는 제1난연접착층; 상기 멜라민 폼의 밑면에 접착된 알루미늄 시트; 상기 멜라민 폼과 상기 알루미늄 시트 사이를 접착하는 제2난연접착층; 상기 알루미늄 시트의 밑면에 형성된 난연점착층; 및 상기 난연점착층의 보호를 위해 상기 난연점착층의 밑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시트 형상 또는 보드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가 적용되는 철도 차량 내부를 도시하며, 도3은 철도 차량내의 에어컨 덕트(36a)의 배치상태를 도시한다.
도2 및 도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 재가 적용되는 주요 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의 난연 흡음 차단재는 철도 차량 내부(3)의 천장(33)에 설치된 에어컨 덕트(36a) 내에 흡음 단열재로서 설치된다. 에어컨 덕트(36a)는 철도 차량의 천장(33) 위에 설치되는데, 그 안에는 에어컨 장치(36)에서 발생한 찬 공기가 통과하므로, 에어컨 덕트(36a)내의 차가운 공기가 그 외부의 더운 공기와 그대로 접촉하면 안팎의 온도차이로 인해 에어컨 덕트(36a)안에 결로(結露)가 발생하고 에어컨 통풍구(30)를 통해 차량 내부(3)로 물이 흘러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에어컨 덕트(36a) 내에 단열재를 붙여서 그 안의 찬 공기가 외부의 더운 공기와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에어컨 덕트 안의 공기 흐름으로 인한 소음도 차단하여야 하므로, 단열재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흡음 차단재로서의 역할도 하여야 한다.
또한, 철도 차량의 출입문(32)은 전동으로 작동되는데, 양쪽 문이 수납되는 공간 안에도 빈틈이 있어 그 빈틈을 단열 흡음 차단재로서 채울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멜라민 폼을 이용한 단열차단재는 철도 차량 등의 내장재로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화재시 난연성이 확실히 보장되지 않을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도2에서 미설명 부호 31은 천장(33)에 설치된 전등이며, 34는 중간출입문이다.
도3은 철도 차량(3a)의 에어컨 장치 및 덕트가 설치된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에어컨(36)으로부터 연장된 에어컨 덕트(36a)를 통해 에어컨의 찬 공기가 흐르고, 중간 중간에 분기된 송풍덕트(36b)를 통해 찬 공기가 차량 실내로 유입된다. 도3에서 미설명부호 35는 전철의 전력을 받는 판토그라프(pantograph)이며, 37은 차량의 바퀴들이다.
도4는 도3의 철도 차량(3a)내의 에어컨 덕트(36a)안에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1,1a)가 설치된 상태와 상기 난연 흡음 차단재(1,1a)의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도4를 참고하면, 에어컨 덕트(36a) 및 그로부터 분기된 송풍덕트(36b)안의 내벽면들에는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1,1a)가 다양한 형태로 재단되어 부착된다. 본 고안의 난연 흡음 차단재(1,1a)는 ??자 형태, ??자 형태, 평판 형태 등 여러 형태로 재단되어 에어컨 덕트(36a)와 송풍덕트(36b)안에 부착되는데, 난연 흡음 차단재(1,1a)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멜라민 폼(11)의 한쪽에는 알루미늄이 코팅된 유리섬유(10)가 제1난연접착제(12a)에 의해 부착되고, 다른 쪽에는 원하는 곳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부재(즉, 알루미늄 시트(14)와 난연점착제(12c))가 제2난연접착제(12b)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멜라민 폼(11)을 포함한 난연 흡음 차단재(1,1a)는 상기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섬유(10)가 에어컨 덕트(36a)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하고, 그 반대편의 알루미늄 시트(14)쪽이 에어컨 덕트(36a)의 내벽면과 점착되도록 하여 부착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유리섬유(10)는 종래의 유리섬유에다 알루미늄 코팅을 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코팅에 의해 유리가루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 중 유리 가루가 떨어져 나와 차량 내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난연접착제들(12a,12b)과 난연점착 제(12c)는 기존에 개발되어 시판중인 난연성의 접착제 및 점착제를 사용하면 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의 생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6은 도5 중 코로나 방전 장치를 이용해 알루미늄 시트(14)의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난연 흡음 차단재(1,1a)는 자동화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멜라민 폼(11)의 상하에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섬유(10)와 점착제가 코팅된 알루미늄 시트(14)를 연속적으로 접착시킴으로써 생산된다.
멜라민 폼(11)은 가이드롤러들(42a,42b)에 의해 안내되어 연속적으로 라인을 통과하며, 이 상태에서 그 멜라민 폼(11)의 상면에는 알루미늄이 이미 코팅된 유리섬유(10)가 부착된다.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섬유(10)는 가이드롤러(41a)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유리섬유(10)의 밑면에는 접착제 도포롤러(41b)에 의해 제1난연접착제(41b)가 도포되어 상기 유리섬유(10)와 멜라민 폼(11)이 압착롤러들(43a,43b)에 의해 합지된다.
이어서, 상기 멜라민 폼(11)의 밑면 쪽에서는 알루미늄 시트롤(48)에 감겨 있는 알루미늄 시트(14)가 풀려져 코로나 방전장치(7)를 통과하며, 코로나 방전장치(7)의 표면 처리에 의해 알루미늄 시트(14)의 앞뒤 양면에 미세한 스크래치(scratch)들이 무수히 많이 형성된다. 표면에 스크래치 들이 형성된 알루미늄 시트(14)는 가이드롤러(48a)에 의해 이송되며, 알루미늄 시트(14)의 윗면, 즉 멜라민 시트(11)와 접하는 면에는 접착제 도포롤러들(46a,46b)에 의해 제2난연접착제(46c)가 도포되고, 알루미늄 시트(14)의 아랫면, 즉 다른 물체에 접착되는 면에는 점착 제 도포롤러들(47a,47b)에 의해 난연점착제(47c)가 도포된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시트(14)는 압착롤러들(44a,44b)에 의해 상기 멜라민 폼(11)의 아래 면에 접착되며, 상기 알루미늄 시트(14)의 아래면, 즉 난연점착제가 코팅된 면에는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15)가 이형지롤(49)로부터 공급되어 압착롤러들(45a,45b)에 의해 합지된다. 이후, 멜라민 폼을 포함한 난연 흡음 차단재는 건조과정(미도시)을 거쳐 완성되며, 그 완성된 난연 흡음 차단재는 도5의 우측의 풍선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부터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섬유(10), 제1난연접착층(12a), 멜라민 폼(11), 제2난연접착층(12b), 알루미늄 시트(14), 난연점착층(12c) 및 이형지(15)의 구조를 갖게 된다.
도6은 도5의 난연 흡음 차단재 생산공정에서 알루미늄 시트의 표면처리를 위해 사용된 코로나 방전 장치(7)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서 알루미늄 시트(14)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는 이유는, 원래의 알루미늄 시트는 그 표면의 거칠기가 거의 없는 매우 매끄러운 상태라서 그 위에 접착제나 점착제를 증착시키기가 아주 어려우므로, 인위적으로 알루미늄 시트(14)의 표면에 미세한 스크래치들(14a)을 무수히 많이 형성해서 그 스크래치들(14a)의 사이로 접착제와 점착제가 증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코로나 표면처리는 폴리올레핀 필름, 종이, 금속 등의 처리기재에 코로나 방전을 조사시켜 기재의 표면을 개질시키는 기술이다. 고주파 전원에 의해 공급된 고주파·고전압 출력을 방전전극과 처리롤 간에 인가하면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데, 이 코로나 방전하에서 기재를 통과시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폴리머 및 알루미늄 재질의 낮은 표면에너지는 잉크, 접착제 및 코팅의 부착력 문제를 일으키므로, 최적의 접착을 위해서는 적용되는 재질보다 피처리물의 표면에너지를 약간 더 높게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코로나 표면처리는 피처리물 표면에 재질의 우수한 젖음성(Wettability)을 주어 접착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준다. 그리고, 코로나 표면처리는 단지 피처리물의 표면에서만 발생하므로, 강도 또는 외관과 같은 원소재의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6을 참고하면, 코로나 방전장치(7)안의 발진기(71)로부터 처리롤(74)과 고압트랜스(73)에 전선이 각각 연결되며, 고압트랜스(73)로부터 유도된 고전압 고주파의 전원은 상기 처리롤(74)을 지나가는 알루미늄 시트(14)위에 인가된다. 도6에서 도면부호 72는 고압트랜스(73)와 연결된 전극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배기집합덕트이며, 72a는 전극갭 조정장치이고, 72b는 전극수지커버이며, 75a 및 75b는 가이드롤러들이다.
처리롤(74)에 설치된 전극과 전극수지커버(72b) 안의 전극 사이에 발진기(71)로부터 발생한 고주파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코로나가 발생한다. 이들 전극 간격 사이에서 전자들은 가속되어, 전자우박(electron avalanching)이 일어나며, 이들 필드에 위치하는 피처리물(즉, 알루미늄 시트(14))은 대부분의 표면 위에서 발견되는 분자결합을 끊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2~3배의 전자충격을 받는다. 그러면, 산소는 만들어진 자유 래디컬(Free Radical)과 반응이 가능하게 되고, 피처리물 표면 위에 화학적인 관능기(Functional Group)를 급격하게 만들어 준다.
코로나 표면처리를 실시한 필름, 종이, 금속 등의 처리기재는 화학적, 물리 적으로 표면개질되어, 접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의 또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7에는 멜라민 폼(11)의 상하에 모두 유리섬유 시트들(10,16)이 접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유리섬유 시트들 중 멜라민 폼(11)의 위쪽에 접착된 유리섬유 시트(10)는 알루미늄이 코팅된 것이며, 멜라민 폼(11)의 아래쪽에 접착된 유리섬유 시트(16)는 알루미늄이 코팅되지 않은 유리섬유 직물이라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상기 제1 및 제2유리섬유 시트들(10,16)은 모두 유리섬유 재질로 된 것이기 때문에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며, 이와 같이 멜라민 폼(11)의 아래 위로 유리섬유 재질의 시트들(10,16)을 동일하게 적용하면 난연 흡음 차단재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8a 및 도8b는 유리섬유 시트(10)로 멜라민 폼(11)의 6면을 전부 감싸 보드형 또는 블록형의 난연 흡음 차단재(1c)를 제작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철 차량 등의 출입문(32)의 수납공간(32a)안에는 빈틈이 존재하므로, 이 빈틈을 막기 위한 흡음 단열 차단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흡음 차단재를 차량 내부의 틈새에 끼워 설치하는 경우에는 차량 벽면과 부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난연 흡음 차단재(1,1a)와 달리, 점착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시트(14)를 멜라민 폼(11)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 대신, 블록형 또는 보드형의 멜라민 폼(11)의 전체를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섬유(10)로 감싸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2실시예로서 멜라민 폼(11)의 전체를 알루미늄 코 팅된 유리섬유(10)로 감싼 블록형 또는 보드형의 난연 흡음 차단재(1c,1d)를 제공한다.
도8a를 참고하면,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섬유(10)를 상부부재(100)와 하부부재(110)로 나누어 멜라민 폼(11)을 감싸도록 한다. 상기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섬유(10)는 그 밑면에 난연접착층(12a)이 도포되어 멜라민 폼(11)에 접착될 수 있다.
도8b는 도7a의 유리섬유(10)의 상부부재(100)와 하부부재(110)가 멜라민 폼(11)을 완전히 감싼 상태를 도시한다.
도9는 유리섬유 시트(10)로 멜라민 폼(11)의 6면을 전부 감싼 다음 유리섬유 시트(10)의 엣지들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난연섬유로 봉제 박음질하여 제작한 보드형 또는 블록형의 난연 흡음 차단재(1d)를 도시한다.
도9가 도8a 및 도8b와 다른 점은 유리섬유의 상부부재(100)와 하부부재(110)를 난연성의 실을 이용해 바느질로 봉제하였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바느질로 봉제한 경우에는 굳이 유리섬유(10)와 멜라민 폼(11)을 난연접착제로 접착시킬 필요가 없다. 다만, 도9와 같은 보드형 또는 블록형의 난연 흡음 차단재(1d)의 생산작업상 효율을 위하여 유리섬유(10)와 멜라민 폼(11)을 난연접착제로 1차 접착시킨 다음 상부부재(100)와 하부부재(110)가 서로 만나는 엣지 부분을 바느질로 마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9에서 도면부호 120은 바느질한 봉제자국을 나타낸다.
도10은 도8a 내지 도9의 보드형 또는 블록형의 난연 흡음 차단재(1c,1d)가 철도 차량의 자동출입문(32)이 수납되는 공간(32a) 안의 빈틈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자동출입문(32)의 빈틈에 본 고안의 난연 흡음 차단재 가 설치되면 차량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열기, 냉기 등을 차단할 수 있어 실내의 정숙성과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는 현재 사용중인 철도 차량 등의 내장재로 사용중인 난연 흡음 차단재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필름이 가지고 있던 난연성 부족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여 멜라민 폼 난연흡음 차단재의 난연성을 완벽히 보장하였다.
종전에는 점착층을 멜라민 폼에 제공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되는 가연성의 폴리에틸렌 필름 대신 난연성의 알루미늄 시트를 사용하려고 하더라도, 알루미늄 시트의 표면성질 자체가 접착제·점착제의 액상 증착을 허용하지 않아 알루미늄 시트를 멜라민 폼과 결합시킬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코로나 방전장치로 알루미늄 시트의 표면에 전기스파크를 가해 미세한 스크래치들을 발생한 후, 그 스크래치들의 사이 사이에 접착제·점착제를 액상증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멜라민 폼을 쉽게 점착식으로 붙일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고안은 기존의 멜라민 폼을 단열재로 사용함에 있어 폴리에틸렌 필름이 갖고 있던 가연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완벽하게 난연성이 보장된 흡음 차단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유리섬유 위에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유리섬유 시트(10);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켜 시트형태로 성형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섬유 시트(10)의 밑면과 접촉하는 멜라민 폼(11);
    상기 유리섬유 시트(10)와 상기 멜라민 폼(11) 사이를 접착하는 제1난연접착층(12a);
    상기 멜라민 폼(11)의 밑면에 접착된 알루미늄 시트(14);
    상기 멜라민 폼(11)과 상기 알루미늄 시트(14) 사이를 접착하는 제2난연접착층(12b);
    상기 알루미늄 시트(14)의 밑면에 형성된 난연점착층(12c); 및
    상기 난연점착층(12c)의 보호를 위해 상기 난연점착층(12c)의 밑면에 부착된 이형지(15);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시트 형상 또는 보드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시트(14)의 상하 표면에는 코로나 방전장치에 의한 표면처리에 의해 다수의 미세한 스크래치들(scratches,14a))이 형성되며, 상기 제2난연접착층(12b)은 상기 알루미늄 시트(14)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래치들의 사이에 난연접착제를 액상 증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난연점착층(12c)은 상기 알루미늄 시트의 밑면에 형성된 스크래치들의 사이에 난연점착제를 액상 증착함으 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흡음 차단재는 철도 차량의 에어컨 덕트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이형지(15)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난연점착층(12c)의 밑면이 상기 에어컨 덕트의 내벽면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4. 유리섬유 위에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제1유리섬유 시트(10);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켜 시트형태로 성형한 것으로서 상기 제1유리섬유 시트(10)의 밑면과 접촉하는 멜라민 폼(11);
    상기 제1유리섬유 시트(10)와 상기 멜라민 폼(11) 사이를 접착하는 제1난연접착층(12a);
    상기 멜라민 폼(11)의 밑면에 접착되며 유리섬유 직물로 된 제2유리섬유 시트(16);
    상기 멜라민 폼(11)과 상기 제2유리섬유 시트(16) 사이를 접착하는 제2난연접착층(12b);
    상기 제2유리섬유 시트(16)의 밑면에 형성된 난연점착층(12c); 및
    상기 난연점착층(12c)의 보호를 위해 상기 난연점착층(12c)의 밑면에 부착된 이형지(15);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시트 형상 또는 보드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5. 유리섬유 위에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유리섬유 시트(10);
    상기 유리섬유 시트(10)의 이면(裏面)에 난연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난연접착층(12a); 및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켜 시트 형상 또는 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난연접착층에 의해 상기 유리섬유 시트의 이면과 접촉된 멜라민 폼(11);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섬유 시트(10)가 상기 멜라민 폼(11)의 육면을 둘러쌈으로써 전체적으로 시트형상 또는 보드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시트(10)의 엣지(edge)들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난연섬유에 의해 봉제 박음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흡음 차단재는 철도 차량의 자동출입문이 수납되는 공간안의 빈틈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KR2020060030478U 2006-11-27 2006-11-27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KR200800014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478U KR20080001453U (ko) 2006-11-27 2006-11-27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478U KR20080001453U (ko) 2006-11-27 2006-11-27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453U true KR20080001453U (ko) 2008-05-30

Family

ID=4132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478U KR20080001453U (ko) 2006-11-27 2006-11-27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4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079B1 (ko) * 2009-05-18 2010-08-16 덕유패널 주식회사 연속식 페놀폼 보드 및 이를 이용한 공조기용 덕트
KR200477116Y1 (ko) * 2010-10-12 2015-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기계 제어실의 소음차단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079B1 (ko) * 2009-05-18 2010-08-16 덕유패널 주식회사 연속식 페놀폼 보드 및 이를 이용한 공조기용 덕트
KR200477116Y1 (ko) * 2010-10-12 2015-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기계 제어실의 소음차단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7217T3 (es) Barrera de proteccion.
KR101692861B1 (ko) 열 차단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 및 그 제조방법
USRE39010E1 (en) Lightweight acoustical system
US20110100747A1 (en) Sandwich element for the sound-absorbing inner cladding of means of transport, especially for the sound-absorbing inner cladding of aircraft
KR101423398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GB2423281A (en) Fire-resistant ultra-lightweight panel with three-dimensional surface design
JP5574949B2 (ja) エレベータかご用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かご
US20100170745A1 (en) Sound absorbing material
KR20140002335A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20080001453U (ko) 멜라민 폼을 이용한 난연 흡음 차단재
US20170151753A1 (en) Sandwich element
KR20170003750A (ko) 천연섬유 복합 기재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의 제조방법
KR20000057360A (ko) 방화성 샌드위치형상 보드
WO2013004306A1 (en) Fire-resistant laminate
CN110945273A (zh) 隔热片以及使用了该隔热片的片材
JP6550035B2 (ja) ダクト保温構造、ダクト保温構造の施工方法
JP2012149713A (ja) 積層断熱材及び鉄道車両の空調ダクト用断熱材
KR101470212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H08267628A (ja) 難燃性複合断熱材および鉄道車両用空調ダクトの断熱材
CA2858603C (en) Heat shielded composite panel
KR101486139B1 (ko)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불연 단열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7380B1 (ko) 불연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JPH10231568A (ja) 耐火複合パネル
KR19980087554A (ko) 섬유사가 결합된 발포 알루미늄 흡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8303B1 (ko)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