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244A - 카세트 워크 가이드 - Google Patents

카세트 워크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244A
KR20080001244A KR1020060059445A KR20060059445A KR20080001244A KR 20080001244 A KR20080001244 A KR 20080001244A KR 1020060059445 A KR1020060059445 A KR 1020060059445A KR 20060059445 A KR20060059445 A KR 20060059445A KR 20080001244 A KR20080001244 A KR 2008000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main body
guide
roller
wor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선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244A/ko
Publication of KR2008000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가 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카세트 워크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카세트와 접촉하는 빗면에 롤러를 부착하여 카세트와의 마찰력을 롤러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마찰에 의한 파티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는 카세트를 가이드 하기 위해 일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진 빗면을 따라 홈이 파여져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 및 상기 본체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카세트가 안착될 지지대에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세트 워크 가이드{CASSETTE WORK GUIDE}
도 1은 클린룸 내의 액정표시장치 공정 라인에서 무인 반송차가 이용되는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스토커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토커의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카세트 워크 가이드의 일예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세트 워크 가이드에 카세트가 탑재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세트 워크 가이드의 일실시예 좌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가 적용된 무인 반송차의 일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0 : 카세트 워크 가이드 71 : 본체
72 : 롤러 73 : 홈
74 : 나사 75 : 삽입홈
81 : 고정핀 82 : 베어링
83 : 외부막
본 발명은 카세트가 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카세트 워크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카세트를 관리하기 위한 스토커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도록 광빔의 투과량을 조절함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대표적인 평판 표시장치이다. 특히, LCD는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LCD는 사무자동화(Office Automation) 장치 및 노트북 컴퓨터의 표시장치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TFT 기판)(이하, 간단히 'TFT 기판'이라 함), 칼라필터층을 포함한 칼라필터기판(C/F 기판)(이하, 간단히 'C/F 기판'이라 함) 및 박막트랜지스터기판과 칼라필터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크게 기판 제조공정, 액정패널 제조공정 및 모듈 공정의 세 가지 공정으로 나뉘어진다.
먼저, 기판 제조공정은 세정된 유리기판을 사용하여 TFT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및 C/F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각각 나뉘어지는데, TFT 기판 제조공정은 하부 유리기판 상에 신호라인과,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을 제조하는 공정을 말하며, C/F 기판 제조공정은 상부 유리기판 상에 블랙매트릭스(Blackmatirx)와, 칼라필터층과, 공통전극(ITO)을 순차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말한다.
다음으로, 액정패널 공정은 TFT 기판과 C/F 기판을 합착하고 그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패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액정패널 공정은 다시 배향막 형성 공정, 러빙(Rubbing)공정, 셀 갭(Cell Gap)형성 공정, 어셈블리(Assembly) 공정, 셀 절단(Cell Cutting) 공정, 액정주입 공정, 편광 필름(Film) 부착 공정 등의 많은 단위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모듈공정은 액정패널과 신호처리 회로부를 연결시키는 공정으로서, 상기 모듈공정 역시 수많은 단위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수많은 단위 공정들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클린룸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느 하나의 공정장비에서의 공정이 완료된 다수의 기판은 일단 카세트(Casset)에 적재된 후 무인 반송차(Automatic Guided Vehicle: AGV)에 의해 클린룸 내의 또 다른 공정장비로 이송된다.
즉, LCD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기판을 여러 공정장비에 공급하기 위 해서 무인 반송차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무인 반송차는 통상 일반차량과는 달리 클린룸에서의 환경오염 방지 등을 고려하여 동력원으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한다.
도 1은 클린룸 내의 액정표시장치 공정 라인에서 무인 반송차가 이용되는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공정라인(클린룸)은 각 공정에 필요한 각종 공정장비(20)들, 각 공정장비들로 기판이 담겨진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인 무인 반송차(9), 무인 반송차의 이동을 위한 인지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린룸의 바닥에 설치된 스파트 마크(Spot Mark)(41)로 구성된 레일(40) 및 다수의 카세트를 관리하기 위한 다수의 스토커(Stocker)(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공정장비(20)들은 스파트 마크(Spot Mark)로 구성된 레일(4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무인 반송차(9)는 상기 레일(40)을 따라 각 공정장비(20)들을 이동해 가면서 각 공정장비(20)에 필요한 카세트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무인 반송차(9)는 레일(40) 상에서 각 공정장비들(20)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 후 기판이 실려져 있는 카세트를 각 공정장비로 로딩(Loading)시키거나, 각 공정장비로부터 언로딩(Unloading)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LCD 장치의 기판 제조공정, 액정셀 제조공정 및 모듈 제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판이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공정장비(20)로 순차적으로나 그룹형태로 반송 또는 이송되어져야만 한다. 또한, LCD 장치의 제조공정에서는 제조공정 상 일부의 공정장비(20)에 고장 발생시 고장 또는 수리를 위 해 모든 제조공정 라인(line)을 중지시킬 수 없으므로 기판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카세트(cassette)를 사용하여 다수의 기판을 낱장으로 저장 및 이송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이유로 인하여 기판의 물량이 많아지고, 기판의 제조공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카세트를 저장시키기 위한 스토커(stocker)(10)가 필요하다.
도 2는 일반적인 스토커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스토커(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토커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스토커는, 스토커(10) 내부의 시스템을 통제하는 SMC(Stocker Master Controller, 미도시)와, 이 SMC의 제어에 따라 카세트(15)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한 랙 마스터(rack master)(30)(또는, 스태커 로봇(stacker robot))과, 랙 마스터에 의해 로딩된 카세트를 각각 하나씩 보관하는 복수개의 쉘프(shelf)(17)와, 카세트를 운반하는 무인 반송차(AGV : Auto Guided Vehicle)(9)가 스토커(10)에 카세트(15)를 입고시키기 위해 카세트(15)를 내려놓기 위한 AGV 입력포트(21)와, 스토커(11)에 보관된 카세트(15)를 출고하여 AGV(9)에 인계하기 위한 AGV 출력포트(23)와, 작업자(25)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되는 MGV(Manual Guided Vehicle)(27)를 사용하여 카세트(15)를 입출고하기 위한 MGV 입/출력포트(2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커(1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카 세트(15)를 입출고시킨다.
먼저, 카세트(15)를 입고하고자 하는 경우, AGV(9)를 통해 이송된 카세트(15)를 AGV 입력포트(21)를 통해 컨베이어(미도시)로 탑재시켜 이송한다. 그런 다음, 컨베이어로 이송된 카세트(15)를 적재함으로써 카세트(15)의 입고가 완료된다.
반면, 카세트(15)를 출고하고자 하는 경우, 랙 마스터(30)가 선택된 카세트(15)를 쉘프(17)로부터 로딩하여 컨베이어로 이송한다. 그런 다음, 컨베이어는 AGV 출력포트(23) 까지 반송시키고, 반송된 카세트(15)를 AGV(19)로 로딩함으로써 카세트(15)의 출고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AGV 입력포트(21), 쉘프(17) 및 AGV 출력포트(23) 등과 같이 카세트가 놓여지는 공간(5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워크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카세트 워크 가이드의 일예시도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카세트가 놓여지는 공간(5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세트 워크 가이드(60)가 각 모서리마다 형성되어 있어서, 각종 물류 장비들이 카세트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도록 티칭(Teaching) 값을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세트 워크 가이드에 카세트가 탑재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상기 스토커 중 카세트가 안착되는 공간(50)에는 카세트의 하판부 형태에 맞춰 티칭값 보정을 위한 카세트 워크 가이드(60)가 형성되어 있어서 카세트(15)가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카세트 워크 가이드가 카세트 하판과 간섭이 없는 상태 즉, 물류 장비의 티칭 상태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는 상태가 가장 이상적인 일이지만, 물류 장비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혹은 메인트(Maint) 상황에 따라 티칭 값이 조금씩 변하게 되고, 따라서 물류 장비 사이의 반송시 이런 현상에 의한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카세트 워크 가이드(60)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카세트 하판과 간섭은 사용시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부분이며, 이로 인한 파티클 발생은 현재 고질적인 문제로 남아 있다.
카세트 워크 가이드(60)의 세부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를 가이드 하기 위해 일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61) 및 상기 본체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홈(62)에 삽입되어 카세트가 안착될 지지대에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은 카세트 워크 가이드(60)가 형성된 지지대(50) 즉, 상기 AGV 입력포트(21), 쉘프(17) 및 AGV 출력포트(23) 등에 카세트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카세트(15)는 랙 마스터 또는 로봇 등에 의해 운반되어 상기 지지대(50) 위에 놓여지게 되는데,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15)의 모서리가 카세트 워크 가이드 본체(61)의 빗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정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 중 카세트(15)의 모서리가 카세트 워크 가이드 본체(61)의 빗면에 충돌되기 때문에 카세트 워크 가이드(60)의 갈림 현상이 발생되어 각종 파티클(64)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LCD 제조 공정 중 발생되는 불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은 파티클에 의한 이물불량으로서, 상기와 같은 카세트 워크 가이드(60)로부터 발생되는 파티클(64) 역시 이물불량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대(50) 부분을 지속적으로 클리닝 해 주어야 하거나 카세트 워크 가이드(60)를 일정 주기마다 교체해 주어야 한다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부연설명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카세트 워크 가이드(60)는 UHMW(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재질로 제작되고, 카세트(15) 하판과 접촉되는 부분이 각을 이루고 있어 자연스럽게 카세트가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유도하지만, 카세트와 접촉되는 부분이 플랫(Flat) 타입이기 때문에 카세트 하중으로 인한 마찰로 조금씩 갈리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로인해 클린룸 내부에 이물질(64)들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인해 LCD 제조 공정 중 불량품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와 접촉하는 빗면에 롤러를 부착하여 카세트와의 마찰력을 롤러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마찰에 의한 파티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 는, 카세트를 가이드 하기 위해 일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진 빗면을 따라 홈이 파여져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 및 상기 본체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카세트가 안착될 지지대에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나사는 스토커 또는 무인 반송차의 지지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 빗면의 홈에 삽입되어 본체와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외부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외부면을 감싸고 있는 외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막은 모노머 캐스트 나이론(Monomer Cast Nylon)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롤러를 상기 본체에 탈부착 시킬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70)는 LCD 제조 공장의 물류 장비 간의 티칭값 보정을 위한 카세트 워크 가이드 타입을 롤러 부착 타입으로 변경하여 카세트 하판이 카세트 워크 가이드와 접촉 시에도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를 가이드 하기 위해 일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진 빗면을 따라 홈이 파여져 있는 본체(71), 상기 본체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72) 및 상기 본체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홈(73)에 삽입되어 카세트가 안착될 지지대에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7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70)는 상기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토커(10)의 AGV 입력포트(21), 쉘프(17) 및 AGV 출력포트(23) 등의 지지대에 형성되어 카세트의 안착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세트 하판과 접촉하는 부분을 종래의 플랫(Flat) 타입에서 롤러(Roller) 부착 타입으로 변경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세트 워크 가이드의 일실시예 좌측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72)는 본체(71) 빗면의 홈에 삽입되어 본체와 결합되는 고정핀(81), 상기 고정핀의 외부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베어링(82) 및 상기 베어링의 외부면을 감싸고 있는 외부막(8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외부막(83)은 종래에 사용된 UHMW가 사용될 수 있으나, UHMW 보다 마모성 등이 보다 우수한 모노머 캐스트 나이론(Monomer Cast Nylon)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캐스트 나이론은 반응촉매가 혼합된 나이론 모노머(카프로 락 탐)를 금형에 주입하여 대기압에서 음이온 중합시켜 제조되는 산업용 수지로서, 일반 NYLON-6와 화학적으로는 동일하나 NYLON-6의 10배에 달하는 고분자량과 결정화도가 훨씬 높아, 내약품성, 기계적물성, 내마모성, 자기 윤활성, 내부식성등 이 우수한 재질이다. 따라서, 상기 모노머 캐스트 나이론은 본 발명과 같은 롤러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70)에 적용되는 롤러(72)는 본체(71)에 부착되는 고정핀(81)과 외부막(83) 사이에 베어링(82)을 삽입함으로써, 카세트(15)와 접촉되는 외부막(83)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세트와의 접촉면이 마모되어 파티클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카세트 워크 가이드(70)가 상기와 같이 롤러 형태로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롤러 역시 장시간 사용되면 그 표면에 마모가 발생되어 파티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의 본체에는 상기 나사가 삽입되어 지지대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 삽입홈(73)이 형성되어 있어서 롤러에 마모가 생겨 파티클이 발생하게 되면 간편하게 새로운 카세트 워크 가이드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는 롤러(72)가 마모된 경우 롤러 자체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1)에 롤러 삽입홈(75)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롤러 삽입홈(75)은 도 7에 도시된 형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롤러(72)를 본체(71)로부터 탈부착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 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카세트가 보관되는 스토커의 AGV 입력포트(21), 쉘프(17) 및 AGV 출력포트(23) 등의 지지대(50)에 형성되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70)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무인 반송차(9)와 같이 카세트가 놓여질 수 있는 모든 물류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무인 반송차(9)의 경우에는 상기 스토커(10)로부터 카세트(15)를 반출하여 각 공정 장비(20)로 이송하거나, 각 공정 장비 간에 카세트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가 안착될 수 있는 지지대(50)가 있으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7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가 적용된 무인 반송차의 일예시도이다.
즉, 무인 반송차(9)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린룸 내부에서 상기 각종 공정장비(20)들로 카세트를 무인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를 공정장비로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로봇 암(91), 각종 장애물들과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 센서들, 충격시 비상정지를 위한 범퍼(Bumper), 충격시 비상 정지를 위한 비상정지 스위치, 무인 반송차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 비상정지를 위한 비상정지 버튼 및 상기 각종 구성요소들을 탑재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된 조종바퀴(Steering Wheel) 및 상기 카세트가 안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5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70)가 형성되어 있어서, 카세트(15)는 무인 반송차(9)의 정위치에 탑재되어 각 공정 장비(20) 및 스토커(1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스토커 및 무인 반송차 외에도 카세트가 놓여지게 되는 모든 지지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워크 가이드는, 카세트와의 접촉시에 발생되는 파티클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티클 발생의 감소로 인해 LCD 제조 공정의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잇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 클리닝으로 인한 인력 소모 및 업무 로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카세트를 가이드 하기 위해 일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진 빗면을 따라 홈이 파여져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 및
    상기 본체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카세트가 안착될 지지대에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를 포함하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는 스토커 또는 무인 반송차의 지지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본체 빗면의 홈에 삽입되어 본체와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외부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외부면을 감싸고 있는 외부막을 포함하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막은 모노머 캐스트 나이론(Monomer Cast Nylon)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롤러를 상기 본체에 탈부착 시킬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워크 가이드.
KR1020060059445A 2006-06-29 2006-06-29 카세트 워크 가이드 KR20080001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45A KR20080001244A (ko) 2006-06-29 2006-06-29 카세트 워크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45A KR20080001244A (ko) 2006-06-29 2006-06-29 카세트 워크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244A true KR20080001244A (ko) 2008-01-03

Family

ID=3921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445A KR20080001244A (ko) 2006-06-29 2006-06-29 카세트 워크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2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026B1 (ko) 카세트 이송장치
KR101244530B1 (ko) 무인 반송차 충전 장치
KR20080001244A (ko) 카세트 워크 가이드
KR20080056049A (ko) 스토커 및 이를 사용한 기판 반송 방법
KR20140105051A (ko) 스토커의 오토 티칭 시스템
CN100419511C (zh) 盒叠放设备和使用其制造液晶显示装置的方法
KR20070071281A (ko) 기판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0510181B1 (ko) 자동반송시스템
KR20070002587A (ko) 카세트 반송 장치
KR100989157B1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KR100983573B1 (ko) 스토커 시스템 및 카세트 입고 시 이의 제어 방법
US7720563B2 (en) Stocker driving system and stocker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80056573A (ko) 이중롤러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이송방법
KR20080044461A (ko) 기판 로딩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01953A (ko) 카세트 입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55204B1 (ko)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KR20080049280A (ko) 자동반송 시스템
KR101243799B1 (ko) 카세트 반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46890B1 (ko) 원장 이송 로봇
CN111566552B (zh) 显示单元制造系统
KR20080001871A (ko) 무인 반송차의 가이드 테이프
KR101586694B1 (ko) 카세트 이송 시스템
KR20230130567A (ko) 케미컬 공급 시스템
KR20080001232A (ko) 스토커 아암 티칭 장치
KR101571627B1 (ko) 스토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