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204B1 -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204B1
KR101055204B1 KR1020040073020A KR20040073020A KR101055204B1 KR 101055204 B1 KR101055204 B1 KR 101055204B1 KR 1020040073020 A KR1020040073020 A KR 1020040073020A KR 20040073020 A KR20040073020 A KR 20040073020A KR 101055204 B1 KR101055204 B1 KR 10105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cker
cassette
wheel
conveyo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138A (ko
Inventor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20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Abstract

본 발명은 서보모터와 휠간을 직접 축결합하여 토크(torque)를 증가시킬 수 있고, 소음 및 파티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스토커 외부의 카세트 반송차량과 상기 스토커 내부의 스택커 로봇 사이에서 카세트의 반입/반출을 중계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휠; 및 상기 휠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스토커, 스택커 로봇, 컨베이어, 카세트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A conveyer of a stocker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스토커의 정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스토커의 구조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상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Ⅰ~Ⅰ의 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Ⅱ~Ⅱ의 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 설명
500 : 몸체 555 : 레일
540a : 전륜 휠 540b : 후륜 휠
599 : 롤러 510 : 엔코더
511 : 서보모터 512 : 감속기
580 : 구동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제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보모터와 휠간을 직접 축결합하여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소음 및 파티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에 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점증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가지 평판 표시 장치가 연구되어 왔고, 일부는 이미 여러 장비에서 표시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 현재 화질이 우수하고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의 장점으로 인하여 이동형 화상 표시장치의 용도로 CRT(Cathode Ray Tube)를 대체하면서 LCD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이동형의 용도 이외에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전, 및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가 여러 분야에서 화면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적인 발전이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화면 표시장치로서 화상의 품질을 높이는 작업은 상기 장점과 배치되는 면이 많이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가 일반적인 화면 표시장치로서 다양한 부분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경량, 박형, 저 소비전력의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고정세, 고휘도, 대면적 등 고 품위 화상을 얼마나 구현할 수 있는가에 발전의 관건이 걸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액정패널은 공간을 갖고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크게 상기 제 1 기판상에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공정과, 상기 제 2 기판상에 R, G, B 컬러필터층, 공통전극 및 블랙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컬러필터 어레이 공정과, 상기 공정을 거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서로 합착하는 셀 공정과, 상기 합착된 기판에 구동회로부를 연결하는 모듈 공정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공정, 컬러필터 어레이 공정, 셀 공정 및 모듈 공정과정을 거치기 위해,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제조 장비로 순차적으로나 그룹형태로 반송 또는 이송되어야 한다. 또한, 제조 공정 상 일부의 제조장치의 고장 또는 수리를 위해 모든 제조 공정 라인(Line)을 중지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제조장치에 상기 기판을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들은 카세트에 다수개 수납되어 각 공정단계로 옮겨지며. 상기 기판들은 카세트 단위로 스토커에 저장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토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토커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토커의 구조 단면도이다.
종래의 스토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커(100) 내부의 시스템을 통제하는 SMC(Stocker Master Controller)(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SMC의 제어를 받아 카세트(115)를 로딩(Loading)/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한 스택커 로봇(200)(Stacker Robot)과, 상기 스택커 로봇(200)에 의해 로딩된 카세트(115)를 각각 하나씩 보관하는 복수개의 쉘프(117)(Shelf)와, AGV(124)(Auto Guided Vehicle)에 의해 자동으로 운반된 카세트(115)가 안착되는 AGV INPUT 포트(110)와, 상기 스토커(100)의 쉘프(117)에 보관된 상기 카세트(115)가 상기 스택커 로봇(200)에 의해 운반되어 놓여지는 AGV OUTPUT 포트(111)와, 작업자(130)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되는 MGV(125)(Manual Guided Vehicle)를 사용하여 상기 카세트(115)를 입출고하기 위한 MGV INPUT/OUTPUT 포트(2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토커(100)는 상기 카세트(115)를 상기 AGV INPUT 포트(110)와 상기 스택커 로봇(200) 사이 그리고, 상기 AGV OUTPUT 포트(111)와 상기 스택커 로봇(200)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더 구비하고 있다. 물론, 상기 MGV INPUT/OUTPUT 포트(201)와 상기 스택커 로봇(200)사이에도 상기 컨베이어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AGV(124) 및 MGV(125)는 상기 카세트(115)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스토커(100)에 입고시키거나, 상기 카세트(115)를 상기 스토커(100)로부터 출고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되는 반송차량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스토커(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카세트(115)를 입출고 시킨다.
먼저, AGV(124)를 통해 운반된 카세트(115)가 스토커(100)의 AGV INPUT 포트(110)에 놓여지면, 컨베이어가 스토커(100) 내부의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타고 상기 AGV INPUT 포트(110)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AGV INPUT 포트(110)에 안착된 카세트(115)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스택커 로봇(200)이 있는 곳까지 이동한다.
다음,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카세트(115)를 상기 스택커 로봇(200)이 로딩하여 쉘프(117)에 적재함으로써 상기 카세트(115)의 입고가 완료된다.
반면, 상기 카세트(115)를 출고하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스택커 로봇(200)이 선택된 카세트(115)를 상기 쉘프(117)로부터 로딩하고 컨베이어로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언로딩한다.
이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AGV OUTPUT 포트(110)까지 이동한 후 상기 카세트(115)를 상기 AGV OUTPUT 포트(110)에 올려놓는다, 다음으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AGV OUTPUT 포트(110)에 놓여진 카세트(115)를 상기 AGV(124)가 로딩함으로써 상기 카세트(115)의 출고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카세트(115)의 입출고 과정은 도 2의 실선화살표를 따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토커(100)에 구비된 컨베이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의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종래의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450)가 안착되는 스테이지(400)를 구비한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레일(333)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전륜 휠(340a) 및 한쌍의 후륜 휠(340b)과, 상기 몸체(30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3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10)는 상기 레일(333)의 일측면에 부착된 랙 기어(330)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320)에 축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320)를 회전시키는 서보모터(411)와, 상기 몸체(400)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서보모터(41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엔코더(410)와, 상기 서보모터(41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4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400)는 회전 및 수직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300)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450)가 안착되는 스테이지(400)의 상부면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44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카세트(450)와 상기 스테이지(400)간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택커 로봇(200)은 상기 공간으로 자신의 암(arm)을 밀어넣어 상기 카세트(45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스택커 로봇(200)으로부터 반송된 카세트(450)가 스테이지(400)에 안착되면, 엔코더(410)는 이를 감지하여 몸체(300)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서보모터(41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엔코더(4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보모터(411)는 자신의 구동축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에 축결합된 피니언 기어(32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 기어(320)는 자신과 맞물린 랙 기어(330)를 따라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엔코더(410), 서보모터(411) 및 감속기(412)로 구성된 구동부(310)와, 상기 구동부(310)에 연결된 상기 몸체(300)가 휠(340a, 340b)을 통해 상기 레일(33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종래의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엔코더(410)--->서보모터(411)--->감속기(412)--->랙 기어(330)에 물린 피니언 기어(320)--->몸체(300) 순서로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토커의 컨베이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카세트 반송장치에서 피니언 기어는 랙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는 금속성 재질이기 때문에 높은 데시벨의 소음을 발생시키며, 또한 많은 양의 파티클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파티클은 스토커의 내부에 침입하여, 카세트에 수납된 액정패널에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문제가 된다.
이외에도, 상기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간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윤활유가 도포되는데,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윤활유가 비산되어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액정패널에 침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 대신에,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에 서보모터의 구동축을 직접 축결합하여 몸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종래의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파티클과 윤활유에 의한 액정패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스토커 외부의 카세트 반송차량과 상기 스토커 내부의 스택커 로봇 사이에서 카세트의 반입/반출을 중계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휠; 및 상기 휠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Ⅰ~Ⅰ의 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650)가 안착되는 스테이지(600)를 구비한 몸체(500)와, 상기 몸체(5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한쌍의 레일(555)을 따라 굴러가는 한쌍의 전륜 휠(540a) 및 한쌍의 후륜 휠(540b)과, 상기 몸체(500)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전륜 휠(540a)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휠(540a)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580)는 상기 휠(540a)의 일측에 축결합된 서보모터(511)와, 상기 서보모터(51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엔코더(510)와, 상기 서보모터(511)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5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600)는 회전 및 수직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500)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650)가 안착되는 스테이지(600)의 상부면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66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카세트(650)와 상기 스테이지(600)간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택커 로봇은 상기 공간으로 자신의 암(arm)을 밀어넣어 상기 카세트(65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휠(540a)의 타측에는 샤프트(670)의 일단이 축결합되며, 상기 샤프트(670)의 타단은 상기 휠(540a)과 마주보는 또 다른 휠(540a)에 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670)는 상기 스테이지(600)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샤프트(67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10)이 상기 샤프트(67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610)은 상기 샤프트(67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스테이지(600)의 관통된 부분의 내벽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 (67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샤프트(67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커플러(61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레일(555)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599)가 구비되어, 상기 레일(555)이 제자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택커 로봇으로부터 옮겨진 카세트(650)가 스테이지(600)에 올려지면, 엔코더(510)는 이를 감지하여, 몸체(500)가 이동될 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서보모터(51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서보모터(511)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몸체(500)의 양측에 구비된 휠(540a)을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몸체(500)는 상기 레일(55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감속기(512)는 상기 서보모터(511)가 적절한 회전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엔코더(510)--->서보모터(511)--->감속기(512)--->휠(540a)--->몸체(500) 순서로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종래의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파티클 및 윤활유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서보모터(511)가 휠(540a)에 직접연결됨으로 인해 상기 휠(540a)에 전달되는 상기 서보모터(511)의 토크(torque)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Ⅱ~Ⅱ의 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850)가 안착되는 스테이지(800)를 구비한 몸체(700)와, 상기 몸체(7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한쌍의 레일(777)을 따라 굴러가는 한쌍의 전륜 휠(740a) 및 한쌍의 후륜 휠(740b)과, 상기 전륜 휠(740a)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축결합된 제 1 풀리(770a)와, 상기 제 1 풀리(770a)와 타이밍 벨트(766)를 통해 연결된 제 2 풀리(770b)와, 상기 제 2 풀리(770b)에 축결합된 서보모터(711)와, 상기 서보모터(71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엔코더(710)와, 상기 서보모터(711)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7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800)는 회전 및 수직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700)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850)가 안착되는 스테이지(800)의 상부면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888)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카세트(850)와 상기 스테이지(800)간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택커 로봇은 상기 공간으로 자신의 암을 밀어넣어 상기 카세트(85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휠(740a)의 타측에는 샤프트(870)의 일단이 축결합되며, 상기 샤프트(870)의 타단은 상기 휠(740a)과 마주보는 또 다른 휠(740a)에 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870)는 상기 스테이지(800)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샤프트(870) 를 회전지지하기 위한 베어링(810)이 상기 샤프트(87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810)은 상기 샤프트(87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스테이지(800)의 관통된 부분의 내벽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87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샤프트(87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커플러(8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711), 상기 엔코더(710) 및 상기 감속기(712)는 상기 몸체(700)에 내장된다.
한편, 상기 레일(777)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799)가 구비되어, 상기 레일(777)이 제자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택커 로봇으로부터 옮겨진 카세트(850)가 스테이지(800)에 올려지면, 엔코더(710)는 이를 감지하여, 몸체(700)가 이동될 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서보모터(71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서보모터(711)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보모터(711)에 축결합된 제 2 풀리(770b)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 풀리(770b)와 타이밍 벨트(766)를 통해 연결된 제 1 풀리(770a)도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풀리(770a)는 자신과 축결합되며 상기 몸체(700)의 양측에 구비된 휠(740a)을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몸체(700)는 상기 레일(777)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감속기(712)는 상기 서보모터(711)가 적절한 회전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엔코더(710)--->서보모터(711)--->감속기(712)--->제 2 풀리(770b)--->타이밍 벨트(766)--->제 1 풀리(770a)--->휠(740a)--->몸체(700) 순서로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 벨트(766)는 우레탄(urethane) 재질로서, 상기 제 2 풀리(770b)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풀리(770a)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1 풀리(770a) 및 제 2 풀리(770b)가 모두 금속재질이더라도, 상기 제 1 풀리(770a) 및 제 2 풀리(770b)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우레탄 재질인 타이밍 벨트(766)에 의해서 연결되므로 소음 및 파티클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는 종래의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파티클 및 윤활유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서보모터(711), 엔코더(710) 및 감속기(712)가 몸체(700)에 내장되므로 스토커 내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서보모터가 휠에 직접연결됨으로 인해 상기 휠에 전달되는 상기 서보모터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의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에 의한 소음, 파티클 및 윤활유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스토커 외부의 카세트 반송차량과 상기 스토커 내부의 스택커 로봇 사이에서 카세트의 반입/반출을 중계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휠; 및
    상기 휠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에 직접 축결합된 모터;
    상기 몸체의 이동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엔코더; 및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2. 삭제
  3. 스토커 외부의 카세트 반송차량과 상기 스토커 내부의 스택커 로봇 사이에서 카세트의 반입/반출을 중계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휠;
    서로 마주보는 휠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측 및 타측에 상기 휠이 축결합되며, 상기 몸체에 관통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된 커플러;
    상기 레일이 제자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의 양측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 및,
    상기 휠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에 축결합된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와 타이밍 벨트를 통해 연결된 제 2 풀리;
    상기 제 2 풀리에 축결합된 모터;
    상기 몸체의 이동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엔코더; 및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휠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측 및 타측에 상기 휠이 축결합되며, 상기 몸체에 관통삽입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KR1020040073020A 2004-09-13 2004-09-13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KR10105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020A KR101055204B1 (ko) 2004-09-13 2004-09-13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020A KR101055204B1 (ko) 2004-09-13 2004-09-13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138A KR20060024138A (ko) 2006-03-16
KR101055204B1 true KR101055204B1 (ko) 2011-08-08

Family

ID=3713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020A KR101055204B1 (ko) 2004-09-13 2004-09-13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4686B (zh) * 2018-02-10 2018-12-25 兴化市鑫翔机械有限公司 能够进行物料多向收取的装置
KR102213271B1 (ko) * 2020-08-28 2021-02-09 (주)제이렘 리버스 타입 타이밍벨트를 구비한 파렛트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138A (ko)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57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084101B2 (ja) 液晶表示素子用貼り合わせ装置
KR101055204B1 (ko) 액정표시장치용 스토커의 컨베이어
KR20080094287A (ko) 랙 마스터 및 중량물 고정방법
KR101192128B1 (ko) 카세트 반송 장치
KR100991821B1 (ko) 대면적 기판 처리 시스템의 기판 이송 장치
KR100769692B1 (ko) 층간 리프트
KR20190013329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KR20190013330A (ko) 주차 시스템용 차량 이송 장치
KR100683031B1 (ko) Lcd/pdp모니터 프레임 제조설비용 비젼시스템의제품 이송 및 카메라 위치조정장치
KR20060065785A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라인의 카세트 이송장치
KR20090024580A (ko) 카세트 이송장치 및 카세트 이송방법
CN217301456U (zh) 一种rgv小车用双输出行星减速机
KR20070072109A (ko) 스토커의 랙 마스터
KR100983573B1 (ko) 스토커 시스템 및 카세트 입고 시 이의 제어 방법
KR20100136711A (ko) 대면적 기판 처리 시스템의 기판 이송 장치
KR20060029067A (ko) 랙 마스터를 구비한 스토커
KR101048709B1 (ko) 스토커의 제어시스템
KR100989157B1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KR20080001944A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KR20080048884A (ko) 랙 마스터
KR100488940B1 (ko) 모듈 엠지비
KR20050055335A (ko) 카세트 자동 반송 장치 및 이의 비상 정지 방법
KR20060000932A (ko)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KR20060131407A (ko) 스토커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