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932A -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 Google Patents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932A
KR20060000932A KR1020040049924A KR20040049924A KR20060000932A KR 20060000932 A KR20060000932 A KR 20060000932A KR 1020040049924 A KR1020040049924 A KR 1020040049924A KR 20040049924 A KR20040049924 A KR 20040049924A KR 20060000932 A KR20060000932 A KR 20060000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tocker
rack
trolley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음노선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932A/ko
Publication of KR2006000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마스터를 2차선 이상의 레일에 적용함과 아울러 각각의 레일간에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랙마스터 간의 간섭을 없애고 카세트의 반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는 카세트를 쉘프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스토커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랙 마스터와; 상기 랙 마스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개의 트롤리 레일과; 상기 트롤리 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A STOCKER FOR STORING A CASSETTE}
도 1은 종래의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분기부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에 도시된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스토커 15 : 카세트
30 : 랙 마스터 40, 50 : 트롤리 레일
50a : 분기부 60 : 가이드 레일
61 : 구동모터 62 : 풀리
63 : 벨트 64 : 롤러
본 발명은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stock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의 반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는 콘트라스트(contrast)비가 크고, 계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작다는 장점 때문에 CRT(Cathod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써 점차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CD 장치의 LCD 패널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화소전극을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층과 공통전극을 구비한 컬러필터 기판과, 이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LCD 장치의 제조공정은 크게 기판 제조공정, 셀 제조공정 및 모듈 제조공정으로 분리된다.
먼저, 기판 제조공정은 세정된 유리기판(glass)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공정과, 칼라필터 제조공정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공정은 하부기판 상에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을 제조하는 공정이며, 칼라필터 제조공정은 차광막이 형성된 상부기판 상에 염료나 안료를 사용하여 'R', 'G', 'B' 색상의 칼라필터층을 형성하여 공통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셀 제조공정은 박막 트랜지스터 공정이 완료된 하부기판과 칼라필터 공정이 완료된 상부기판의 두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스페이서를 산포하여 합착하고, 액정을 주입하여 LCD 장치의 셀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마지막으로, 모듈 제조공정은 신호처리를 위한 회로부를 제조하고,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LCD 패널과 미리 제조된 신호처리 회로부를 연결시켜 모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은 LCD 장치의 제조공정에서는 기판 제조공정, 셀 제조공정 및 모듈 제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기판이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제조장비로 순차적으로나 그룹형태로 반송 또는 이송되어져야만 한다. 또한, LCD 장치의 제조공정에서는 제조공정 상 일부의 제조장치에 고장 발생시 고장 또는 수리를 위해 모든 제조공정 라인(line)을 중지시킬 수 없으므로 기판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부합하는 카세트(cassette)를 사용하여 다수의 기판을 낱장으로 저장 및 이송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이유로 인하여 기판의 물량이 많아지고, 기판의 제조공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카세트를 이동시켜 저장시키기 위한 스토커(stocker)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스토커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커는, 스토커(11) 내부의 시스템을 통제하는 SMC(Stocker Master Controller, 미도시)와, 이 SMC의 제어에 따라 카세트(15)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한 랙 마스터(rack master, 도 2의 '30'참조)(또는, 스태커 로봇(stacker robot))과, 랙 마스터(30)에 의해 로딩된 카세트(15)를 각각 하나씩 보관하는 복수개의 쉘프(shelf, 17)와, 카세트(15)를 운반하는 AGV(Auto Guided Vehicle, 19)가 스토커(11)에 카세트(15)를 입고시키기 위해 카세트(15)를 내려놓기 위한 AGV 입력포트(21)와, 스토커(11)에 보관된 카세트(15)를 출고하여 AGV(19)에 인계하기 위한 AGV 출력포트(23)와, 작업자(25)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되는 MGV(Manual Guided Vehicle, 27)를 사용하여 카세트(15)를 입출고하기 위한 MGV 입/출력포트(29)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커(11)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카세터(15)를 입출고시킨다.
먼저, 카세트(15)를 입고하고자 하는 경우, AGV(19)를 통해 이송된 카세트(15)를 AGV 입력포트(21)를 통해 컨베이어(미도시)로 탑재시켜 이송한다. 그런 다음, 컨베이어로 이송된 카세트(15)를 적재함으로써 카세트(15)의 입고가 완료된다.
반면, 카세트(15)를 출고하고자 하는 경우, 랙 마스터(30)가 선택된 카세트(15)를 쉘프(17)로부터 로딩하여 컨베이어로 이송한다. 그런 다음, 컨베이어 는 AGV 출력포트(23)까지 반송시키고, 반송된 카세트(15)를 AGV(19)로 로딩함으로써 카세트(15)의 출고가 완료된다.
이러한 카세트(15)의 입출고 과정을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커(11)에서는 랙 마스터(30)가 좌우 각각 하나씩 총 두개가 설치되어 하나의 트롤리 레일(trolley rail, 40)을 통해 전후(도시된 점선방향)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랙 마스터(30)가 전후 주행 외에는 움직일 수 없으며, 랙 마스터(30)가 상호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예컨대, 두개의 랙 마스터(30) 중 어느 하나의 랙 마스터(3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랙 마스터(30)가 차지하는 영역만큼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AGV 입/출력포트(21, 23) 등으로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반송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랙마스터를 2차선 이상의 레일에 적용함과 아울러 각각의 레일간에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랙마스터 간의 간섭을 없애고 카세트의 반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저장용 스토 커는 카세트를 쉘프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스토커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랙 마스터와; 상기 랙 마스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개의 트롤리 레일과; 상기 트롤리 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기부를 구비한다.
상기 분기부는 상기 트롤리 레일과 물리적으로 분리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롤리 레일을 세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부는 그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풀리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분기부를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구조 단면도로서,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를 도시한 구조 단면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를 도시한 구조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요소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커의 내부 시스템을 통제하는 SMC(미도시)와, 이 SMC의 제어에 따라 카세트(15)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랙 마스터(도 3 및 도 4의 '30'참조)와, 랙 마스터(30)에 의해 로딩된 카세트(15)를 각각 하나씩 보관하는 복수개의 쉘프(17)와, 카세트(15)를 운반하는 AGV(19)가 스토커(11)에 카세트(15)를 입고시키기 위해 카세트(15)를 내려놓기 위한 AGV 입력포트(21)와, 스토커(11)에 보관된 카세트(15)를 출고하여 AGV(19)에 인계하기 위한 AGV 출력포트(23)와, 작업자(25)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되는 MGV(27)를 사용하여 카세트(15)를 입출고하기 위한 MGV 입/출력포트(29)로 구성된다. 그리고, 랙 마스터(30)를 전후는 물론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트롤리 레일(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후'는 트롤리 레일(50)의 장축방향을 가리키며, '좌우'는 단축방향을 가리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는 스토커 마다 두개의 트롤리 레일(50)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각 트롤리 레일(50)에는 각각 두개의 랙 마스터(30)가 설치된다. 트롤리 레일(50)에는 랙 마스터(30)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분기가 가능한 분기부(50a)가 마련된다. 이러한 분기부(50a)는 트롤리 레일(50) 전후에 각각 하 나씩 설치되며, 분기부(50a)의 하부에는 분기부(50a)를 트롤리 레일(5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별도로 독립적으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도 5의 '60'참조)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랙 마스터(30)를 다른 트롤리 레일(50)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해당 랙 마스터(30)를 분기부(50a)로 이동시킨 후 분기부(50a)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60)을 통해 이동시키고자 하는 트롤리 레일(50)로 랙 마스터(30)를 이동시킨다.
분기부(5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0)을 통해 좌우방향, 즉 트롤리 레일(50)과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분기부(50a)로 이동된 랙 마스터(30)는 가이드 레일(60)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예컨대, 가이드 레일(60)은 가이드 레일(60)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61)와, 이 구동모터(6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pully, 62)와, 이 풀리(6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벨트(belt)(또는, 체인(chain))(63)구성된다. 벨트(63)는 다수의 롤러(roller, 64)와 연결되어 롤러(64)를 회전시킨다. 롤러(64)는 암(arm, 65)을 축으로 벨트(63)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동작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우선 분기부(50a)로 이동된 랙 마스터(3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구동모터(61)를 구동시켜 풀리(62)를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풀리(62)와 접속된 벨트(63)을 회전시켜 롤러(64)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러(64) 상부에 안치된 분기부(50a) 상의 랙 마스터(30)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는 도 3에 도시된 스토커와 달리 카세트의 반송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3개 의 트롤리 레일(50)이 설치되고, 각 트롤리 레일(50)에는 각각 두개의 랙 마스터(30)가 설치된다. 따라서, 랙 마스터(30)는 총 6개가 설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만큼 카세트의 반송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 레일(50)에는 랙 마스터(30)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분기가 가능한 분기부(50a)가 마련되며, 이 분기부(50a)로 이동된 랙 마스터(30)는 트롤리 레일(50) 전후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가이드 레일(60)에 의해 이동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마스터(30)는 트롤리 레일(50)의 개수에 따라 4개 또는 6개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랙 마스터(30)의 수는 스토커의 길이 및 필요 반송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의 트롤리 레일(5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의 트롤리 레일(5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들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의 트롤리 레일(5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통해 랙 마스터(3)인 ①번과 ④번을 서로 교환하고, ②번과 ③번을 서로 교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번 랙 마스터(30)를 전측에 설치된 분기부(50aa)로 이동시켜 싣고, ③번 랙 마스터(30)를 후측에 설치된 분기부(50ab)로 이동시켜 싣는다. 그런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0)을 통해 분기부(50aa, 50ab)를 이동시킨 후 분기부(50aa, 50ab)에 실어진 ①번과 ③번 랙 마스터(30)를 트롤리 레일(50)로 이동시켜 내려 놓고, ①번과 ③번 랙 마스터(30)가 내려진 분기부(50aa, 50ab)에 각각 ②번과 ④번 랙 마스터(30)를 이동시켜 싣는다. 그런 다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0)을 구동시켜 분기부(50aa, 50ab)를 이동시킨 후 분기부(50aa, 50ab)에 각각 실어진 ②번과 ④번 랙 마스터(30)를 트롤리 레일(50)로 이동시켜 내려 놓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트롤리 레일(50)에 설치된 랙 마스터(30)를 서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랙 마스터(3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이 랙 마스터(30)와 구동이 가능한 랙 마스터(30)를 서로 교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 레일(50)이 3개 설치되는 스토커에 있어서, ②번 랙 마스터(30)와 ③번 랙 마스터(30)를 서로 교환하고, ④번 랙 마스터(30)와 ⑤번 랙 마스터(30)를 서로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③번 랙 마스터(30)를 전측에 설치된 분기부(50aa)로 이동시켜 싣고, ⑤번 랙 마스터(30)를 후측에 설치된 분기부(50ab)로 이동시켜 싣는다. 그런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0)을 통해 분기부(50aa, 50ab)를 이동시킨 후 분기부(50aa, 50ab)에 실어진 ③번과 ⑤번 랙 마스터(30)를 트롤리 레일(50)로 이동시켜 내려 놓고, ③번과 ⑤번 랙 마스터(30)가 내려진 분기부(50aa, 50ab)에 각각 ②번과 ④번 랙 마스터(30)를 이동시켜 싣는다. 그런 다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0)을 구동시켜 분기부(50aa, 50ab)를 이동시킨 후 분기부(50aa, 50ab)에 각각 실어진 ②번과 ④번 랙 마스터(30)를 트롤리 레일(50)로 이동시켜 내려 놓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트롤리 레일(50)에 설치된 랙 마스터(30)를 서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두개의 트롤리 레일(50)이 설치된 스토커와 마찬 가지로 어느 하나의 랙 마스터(3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이 랙 마스터(30)와 구동이 가능한 랙 마스터(30)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토커 내부에 적어도 2개의 트롤리 레일을 설치하고, 각 트롤리 레일에는 스토커의 길이 및 반송량에 따라 랙 마스터를 적절히 설치하며, 상기 랙 마스터가 서로 교환이 가능하도록 각 트롤리 레일의 일정 부위에 분기부를 설치함으로써 랙 마스터 간 간섭되는 위치없이 모든 구역을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커 내부 모든 구역이 접근가능하므로 주변 연결장치의 구성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카세트를 쉘프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스토커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랙 마스터와;
    상기 랙 마스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개의 트롤리 레일과;
    상기 트롤리 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는 상기 트롤리 레일과 물리적으로 분리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레일을 세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는 그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풀리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분기부를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KR1020040049924A 2004-06-30 2004-06-30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KR20060000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924A KR20060000932A (ko) 2004-06-30 2004-06-30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924A KR20060000932A (ko) 2004-06-30 2004-06-30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932A true KR20060000932A (ko) 2006-01-06

Family

ID=3710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924A KR20060000932A (ko) 2004-06-30 2004-06-30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859B1 (ko) * 2006-05-22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토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859B1 (ko) * 2006-05-22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토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57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64681B1 (ko)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KR20060000932A (ko)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KR100966434B1 (ko) 카세트 적재장비
KR20080048813A (ko) 랙 마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토커
KR20080055382A (ko) 랙 마스터
KR101309859B1 (ko) 스토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50095194A (ko) 스토커 시스템
KR100989157B1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KR20080001944A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KR100959127B1 (ko) 스토커
KR100983573B1 (ko) 스토커 시스템 및 카세트 입고 시 이의 제어 방법
KR20050105599A (ko) 스토커 시스템
KR20080012582A (ko) 스토커 시스템
KR102623307B1 (ko) 오버헤드 컨베이어용 대차
KR101243799B1 (ko) 카세트 반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55195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20220137394A (ko) 오버헤드 컨베이어
KR100628268B1 (ko) 이재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이재 로봇 제어 방법
KR20050060371A (ko) 스토커
KR20060029067A (ko) 랙 마스터를 구비한 스토커
KR20040003878A (ko) 스택커 로봇
KR100652054B1 (ko) 자동 반송 장치와 장비 사이의 카세트 전달 안내 시스템및 안내 방법
KR20070072007A (ko) 스토커
KR20070064459A (ko) 자동 반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