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007A - 스토커 - Google Patents

스토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007A
KR20070072007A KR1020050135921A KR20050135921A KR20070072007A KR 20070072007 A KR20070072007 A KR 20070072007A KR 1020050135921 A KR1020050135921 A KR 1020050135921A KR 20050135921 A KR20050135921 A KR 20050135921A KR 20070072007 A KR20070072007 A KR 20070072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cker
cassette
robo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한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2007A/ko
Publication of KR2007007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토커는 카세트가 로딩/언로딩되어 안착시킬 수 있는 로보트부와; 상기 로보트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로보트부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는 슬라이딩부를 마련함에 따라 복잡한 구조의 주행부가 없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절감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유지, 보수해야되는 다수의 항목들이 없어져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순한 구조로 인해 데드스페이스가 저감되어 공간활용도가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토커{Stocker}
도 1은 종래의 스토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랙 마스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랙마스터를 구비한 스토커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의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토커 10 : 슬라이딩부
20 : 승강부 30 : 가이드라인
40 : 전원공급선 50 : 로보트부
90 : 셀프 100 : 카세트
본 발명은 카세트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스토 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콘트라스트(contrast) 비가 크고, 계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작다는 장점 때문에, CRT(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수단으로 점차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을 구비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층과 공통전극을 구비한 컬러필터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기판 제작공정, 셀 제조공정 및 모듈 공정의 세 가지 공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액정표시소자 제조공정은 상기 기판 제작공정, 셀 공정 및 모듈 공정과정을 거치기 위해 상기 기판을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제조 장비로 순차적으로나 그룹형태로 반송 또는 이송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화면부를 구성하는 액정패널의 제조, 운반과정이 중요하다. 통상 상기 액정패널로 사용되는 유리기판은 제조할 때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외부 충격에서 보호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유리기판은 카세트에 다수 매 유입되어 이송, 저장되며, 각 공정 단계에 진입할 때 마다 상기 카세트는 각 공정에 구비된 로더부에 안착되어 저장된다.
또한, 제조 공정 상 일부의 제조장치에 고장 또는 수리를 위해 모든 제조 공정 라인(Line)을 중지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제조장치에 상기 기판을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부합하는 카세트(Cassette)를 사용하여 다수의 상기 기판을 저장 및 이송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이유로 인하여 상기 기판의 물량이 많아지고 상기 기판의 제작공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켜 저장시키기 위한 스토커(Stocker)가 필요하다.
즉,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각 공정에 구비된 로더부 및 카세트를 일시 저장하는 스토커와 같은 카세트 저장장치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토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커(501)는 카세트(600)를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셀프(Shelf, 5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셀프(590)는 다수의 카세트(600)를 저장하기 위해서 다수의 행과 열로 나누어진 셀 형상에 각각 카세트(600)를 저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커(501)와 같은 카세트(600) 저장장치에는 랙 마스터(rack master, 5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랙 마스터(510)는 다수의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6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2는 종래의 랙 마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마스터(510)는 카세트(600)를 로딩/언로딩하는 로보트부(550), 상기 로보트부(550)를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부(5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랙마스터(510)는 이동을 위해서 스토커(501)는 레일(585)를 구비하며 상기 랙마스터(510)는 상기 카세트(600)를 좌, 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주행부(58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580)는 레일(585)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주행 휠(58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랙마스터(510)는 승강부(520)를 통해 카세트(600)를 상, 하로 운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부(520)와 주행부(580)를 통해서 상, 하,좌, 우로 이동된 카세트(600)는 소정의 셀프(59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카세트(600)를 소정의 셀프(590)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로보트부(550)에 로딩된 카세트(600)를 소정의 높이에서 로봇 암(555)을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셀프(590)에 카세트(600)를 인포트(in-port)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셀프(590)에 저장된 카세트(600)를 상기 셀프(590)에서 아웃포트(out-port)하기 위해서 로봇 암(555)을 이용하여 상기 카세트(600)를 로보트부(550)에 로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갖는 상기 렉마스터(510)로 인하여 스토커(501)의 데드스페이스(dead space)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랙마스터를 구비한 스토커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들어 복잡한 구조를 가진 상기 랙마스터(510)를 운용하기 위한 다수의 구조물이 스토커(501) 내부에 마련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커(501)는 다수의 셀프(590)와 카세트(600)를 운반하는 랙마스터(5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랙마스터(510)는 카세트(600) 운반을 위해 카세트(600)를 로딩/언로딩 할 수 있는 로보트부(550)와 상기 로보트부(550)의 이동을 위한 승강부(520)와 주행부(580)를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랙마스터(510)는 상기 셀프(590)가 마련된 영역보다 크게 주행부(580)을 마련하여야만 상기 카세트(600)를 셀프(590)에 인/아웃 포트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셀프(590)보다 더 큰 영역까지 마련된 주행부(580)로 인해서 A'로 표시된 데드스페이스가 발생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580)는 레일(585) 및 주행 휠(587), 비접촉식 전원공급부(미도시) 등의 구조물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물에 의한 랙마스터(510)에 높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셀프(590)의 하부에는 카세트(600)를 인-아웃포트를 하지 못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B'영역만큼 데드스페이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렉마스터(510)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스토커(501)의 데드스페이스(A', B')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복잡한 구조를 가진 상기 랙 마스터(510)를 통한 카세트 (600)의 운반에 있어서 상기 랙마스터(510)의 주행부(580) 등의 복잡한 구조에 의해서 문제점이 발생하는 항목이 증가하여 유지, 보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랙마스터의 복잡한 주행부 구조가 아닌 구조가 단순화된 슬라이딩부를 마련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단순한 구조로 인한 공간확보를 할 수 있는 스토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토커는 카세트가 로딩/언로딩되어 안착시킬 수 있는 로보트부와; 상기 로보트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로보트부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로보트부를 좌,우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라인은 상기 로보트부의 블럭결합하며, 상기 블럭과 상기 가이드라인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커(1)는 카세트(100)를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셀프(Shelf, 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셀프(90)는 다수의 카세트(100)를 저장하기 위해서 다수의 행과 열로 나누어진 셀 형상에 각각 카세트(100)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기판이 적재된 상기 카세트(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딩부(10)를 구비하고 있다. .
상기 슬라이딩부(10)는 가이드라인(3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라인(30)은 카세트(10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라인(30)은 스토커(1)의 양 끝단부 마련된 승강부(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20)는 스토커(1)의 양 끝단부에 지지대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 상기 가이드라인(30)을 지지하며 상기 카세트(100)를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10)와 로보트부(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라인(4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30) 상에는 로보트부(50)가 안착되는데 상기 로보트부(50)는 카세트(100)를 로딩/언로딩할 수 있는 로봇암(5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로보트부(50)에는 상기 로봇암(55)에 지지하여 카세트(100)를 적재할 수 있는 포크(5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로보트부(50)는 상기 가이드라인(30)과 결합할 수 있는 블럭을 구비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10)는 가이드라인(30)과 상기 가이드라인(30)에 결합하는 로보트부(50)의 블럭(5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30)은 로보트부(50)에 적재된 카세트(100)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라인(30)은 로보트부(50)의 블럭(52)과 결합한다. 상기 블럭(52)과 가이드라인(30) 사이에는 볼베어링(35)이 더 구비되어 상기 로보트부(50)가 상기 가이드라인(30)에 슬라이딩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상기 로보트부(50)는 카세트(100)를 로딩할 수 있는 포크(58)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크(58)를 운동시킬 수 있는 로봇 암(55)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카세트(100)를 셀프(90)에 인-아웃 포트 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경우, 랙마스터는 주행부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주행부는 주행 휠, 레일, 비접촉전원공급부 등의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해야되는 다수의 항목들이 있어 유지, 보수가 어려웠다. 게다가 복잡한 구조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10)를 구비한 스토커(1)는 구조가 단순화되어 설치비용이 절감, 구조 단순화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슬라이딩부(10)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스토커(1)의 데드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측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커(1)는 셀프(90), 슬라이딩부(10)와 로보트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셀프(90)는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로 정렬되어 각각의 셀에 카세트(100)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슬라이딩부(10)는 가이드라인(30)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라인(30)은 로보트부(50)의 블럭(52)과 결합하여 상기 로보트부(50)를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커(1)는 상기 슬라이딩부(10)의 가이드라인(30)과 로보트부(50)의 블럭(52)만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커(1)의 이동수단을 단순화시켰다. 따라서 스토커(1)의 양단부에 승강부(20)만 마련할 수 있는 공간만이 필요하게 되어 데드스페이스가 최소화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토커(1)는 슬라이딩부(10)의 가이드라인(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카세트(100)를 인-아웃 포트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랙마스터에 마련된 레일, 주행부의 주행 휠 등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셀프(90) 하부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1)에 이동수단으로 슬라이딩부(10)를 마 련함에 따라 복잡한 구조의 주행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복잡한 구조으로 인한 유지, 보수해야되는 다수의 항목들이 저감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단순한 구조로 인해 데드스페이스가 저감되어 공간활용도가 증가하게 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는 슬라이딩부를 마련함에 따라 복잡한 구조의 주행부가 없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절감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유지, 보수해야되는 다수의 항목들이 없어져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순한 구조로 인해 데드스페이스가 저감되어 공간활용도가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카세트가 로딩/언로딩되어 안착시킬 수 있는 로보트부와;
    상기 로보트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로보트부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보트부는 상기 카세트를 안착시키는 포크와 상기 포크 상으로 카세트를 로딩/언로딩시키는 로봇 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로보트부를 좌,우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은 상기 로보트부의 블럭에 결합하며, 상기 블럭과 상기 가 이드라인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를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셀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카세트가 보관되는 셀프의 양 끝단에 형성된 승강부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KR1020050135921A 2005-12-30 2005-12-30 스토커 KR20070072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921A KR20070072007A (ko) 2005-12-30 2005-12-30 스토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921A KR20070072007A (ko) 2005-12-30 2005-12-30 스토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007A true KR20070072007A (ko) 2007-07-04

Family

ID=3850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921A KR20070072007A (ko) 2005-12-30 2005-12-30 스토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20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03B1 (ko) * 2007-09-06 2014-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토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03B1 (ko) * 2007-09-06 2014-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토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187B1 (ko) 기판 보관용 카세트 시스템
KR101027509B1 (ko) 막 증착 장치
KR100973190B1 (ko) 기판 이송용 카세트 및 기판 이송용 로봇, 그리고 그것들을구비한 기판 이송용 카세트 시스템
CN1854743B (zh) 在线电子束测试系统
KR20080056049A (ko) 스토커 및 이를 사용한 기판 반송 방법
KR20070072007A (ko) 스토커
KR20060133377A (ko) 카세트 적재장비
KR101309859B1 (ko) 스토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70084835A (ko)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US20090156082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20070072067A (ko) 스토커 및 그 운용방법
KR20050095194A (ko) 스토커 시스템
KR20110048684A (ko) 스토커 레일 변위 측정 장치
CN101165546A (zh) 基板检查装置
KR100759890B1 (ko) 스토커 장치
KR20160081619A (ko) 반송대차 얼라인 장치
KR101014749B1 (ko) 기판 보관용 카세트 시스템
KR20080001944A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KR20070113850A (ko) 랙마스터, 이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60072939A (ko)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KR100989157B1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KR20070072005A (ko) 로터리 스토커
KR20080062166A (ko) 랙마스터 및 그 운용방법
KR20080012582A (ko) 스토커 시스템
KR20050068237A (ko) 카세트 로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