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939A -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939A
KR20060072939A KR1020040111734A KR20040111734A KR20060072939A KR 20060072939 A KR20060072939 A KR 20060072939A KR 1020040111734 A KR1020040111734 A KR 1020040111734A KR 20040111734 A KR20040111734 A KR 20040111734A KR 20060072939 A KR20060072939 A KR 2006007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fork
rack master
pair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두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939A/ko
Publication of KR2006007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는, 다수의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를 운반하는 랙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얹혀진 포크 상판과; 상기 포크 상판을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카세트를 로딩 또는 언로딩토록 하는 포크와; 상기 포크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가 사선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대를 일렬이 아닌 사선으로 배열함으로써, 승강부 지지축과 카세트의 무게중심간의 거리를 줄여 부하를 감소시키고, 승강부 구동 체인 등을 저 사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포크의 처짐이 개선되고, 이재 속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rack master elevator}
도 1은 종래의 랙 마스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랙 마스터 구조의 측면도 및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 구조의 측면도 및 상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승강부 310, 311 : 지지대
320 : 카세트 330, 331 : 주행 레일
332 : 주행 휠 340 : 포크
342 : 포크 상판
본 발명은 카세트 저장장치인 스토커의 랙 마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콘트라스트(contrast) 비가 크고, 계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작다는 장점 때문에, CRT(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수단으로 점차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을 구비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층과 공통전극을 구비한 컬러필터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기판 제작공정, 셀 제조공정 및 모듈 공정의 세 가지 공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액정표시소자 제조공정은 상기 기판 제작공정, 셀 공정 및 모듈 공정과정을 거치기 위해 상기 기판을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제조 장비로 순차적으로나 그룹형태로 반송 또는 이송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화면부를 구성하는 액정패널의 제조, 운반과정이 중요하다. 통상 상기 액정패널로 사용되는 유리기판은 제조할 때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외부 충격에서 보호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유리기판은 카세트에 다수 매 유입되어 이송, 저장되며, 각 공정 단계에 진입할 때 마다 상기 카세트는 각 공정에 구비된 로더부에 안착되어 저장된다.
또한, 제조 공정 상 일부의 제조장치에 고장 또는 수리를 위해 모든 제조 공정 라인(Line)을 중지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제조장치에 상기 기판을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부합하는 카세트(Cassette)를 사용하여 다수의 상기 기판을 저장 및 이송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이유로 인하여 상기 기판의 물량이 많아지고 상기 기판의 제작공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켜 저장시키기 위한 스토커(Stocker)가 필요하다.
즉,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각 공정에 구비된 로더부 및 카세트를 일시 저장하는 스토커와 같은 카세트 저장장치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커와 같은 카세트 저장장치 내에는 랙 마스터(rack master)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랙 마스터는 다수의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랙 마스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 마스터는 승강부(100)를 통해 상기 카세트(120)를 상, 하로 운반하고, 주행 휠(132) 및 레일(130)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카세트(120)를 좌, 우로 운반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100)를 통해 상, 하로 이동되는 포크(140)에 의해 상기 포크 상판(미도시)에 얹혀진 카세트(120)를 소정의 높이에서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자동이송장치(Automatic Guided Vehicle : AGV)(미도시) 또는 수동이송장치(Manual Guided Vehicle : MGV)(미도시)에 로딩/언로딩하 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대(110, 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승강부 지지대(110, 111)를 통해 상기 포크(140) 및 포크 상판(미도시)이 상, 하로 이동된다.
최근 들어 액정표시장치가 점차로 대형화됨에 따라 상기 랙 마스터를 통한 카세트의 운반에 있어서 카세트를 AGV 또는 MGV로 로딩/ 언로딩할 때 모멘트가 증가하여 포크 상판에 처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랙 마스터 구조의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단, 이는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대(110, 111)를 통해 포크(140) 및 포크 상판(142)이 일정 높이 만큼 상승된 후 전방향으로 뻗혀진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이 때, 상기 포크 상판(142)에는 카세트(120)가 얹혀진 상태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로 인해, 기판을 적재하는 카세트 또한 대형화되었으며, 그에 따라 카세트의 무게 또한 상당히 증가되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랙 마스터는 승강부 지지대(110, 111)의 지지축이 일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카세트(120)의 로드/언로드시 포크(140)를 전방향으로 뻗었을 때, 랙 마스터에 발생되는 모멘트는 카세트(120)의 무게(m)와 일렬로 이루어진 승강부 지지대(110, 111)의 중심축과의 카세트의 무게중심간의 거리(d1)의 곱 즉, m*d1이 된다.
이 때, 상기 카세트의 무게(m)가 최근 상당히 무거워짐에 의해 상기 모멘트 값은 상당히 크게 되며, 이에 따라 포크 상판(142)의 처짐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에 의해 포크 상판(142)의 떨림 현상이 발생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포크(140) 및 승강부 크로스 롤러 베어링(cross roller bearing)(미도시)을 대형화시키고, 승강부 구동 체인(미도시) 등을 고 사양으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대를 일렬이 아닌 사선으로 배열함으로써, 승강부 지지대의 중심축과 카세트의 무게중심 간의 거리를 줄여 승강부 구동 체인 등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켜 이를 저 사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토록 하고, 포크의 처짐이 개선되고, 이재 속도가 증가되는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는, 다수의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를 운반하는 랙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얹혀진 포크 상판과; 상기 포크 상판을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카세트를 로딩 또는 언로딩토록 하는 포크와; 상기 포크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가 사선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하측에 각각 주행 휠이 구비되며, 상기 주행 휠이 한 쌍의 주행 레일 위를 이동하여 상기 랙 마스터를 좌, 우로 이동시키며, 상기 한 쌍의 승강부 지지대가 상기 한 쌍의 주행 레일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즉, 상기 제 1주행 레일 측면에 제 1승강부 지지대가 구비되고, 제 2주행 레일 측면에 제 2승강부 지지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 제조 공정에 설치되는 스토커와 같은 카세트 저장장치 내에는 랙 마스터(rack master)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랙 마스터는 다수의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대를 일렬이 아닌 사선으로 배열함으로써, 승강부 지지축과의 카세트의 무게중심간의 거리를 줄이도록 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는 승강부(300)를 통해 상기 카세트(320)를 상, 하로 운반하고, 주행 휠(332) 및 레일(330, 331)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카세트(320)를 좌, 우로 운반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300)를 통해 상, 하로 이동되는 포크(340)에 의해 상기 포크 상판(미도시)에 얹혀진 카세트(320)를 소정의 높이에서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자동이송장치(Automatic Guided Vehicle : AGV)(미도시) 또는 수동이송장치(Manual Guided Vehicle : MGV)(미도시)에 로딩/언로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경우는 상기 승강부의 지지대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대(310, 311)는 사선으로 배열되어 있음을 특징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승강부 지지대(310, 311)는 랙 마스터의 좌, 우 운반을 위해 구비된 한 쌍의 주행 레일(330, 331)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주행 레일(330)의 측면에 제 1승강부 지지대(310)가 구비되어 있고, 제 2주행 레일(331) 측면에 제 2승강부 지지대(3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부 지지대(310, 311)가 일렬이 아닌 사선으로 배열됨으로써, 승강부 지지대(310, 311)의 중심축과 카세트의 무게중심간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며, 이는 이하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 구조의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단, 이는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대(310, 311)를 통해 카세트(320)가 일정 높이 만큼 상승된 후 포크(340) 및 포크 상판(342)이 전방향으로 뻗혀진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포크(340)는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서, 이는 카세트가 안착되는 포크 상판(342) 및 상기 포크 상판(342)을 전, 후로 이동시키도 록 신축 가능한 링크부재(344)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로 인해, 기판을 적재하는 카세트 또한 대형화되었으며, 그에 따라 카세트의 무게 또한 상당히 증가되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는 승강부 지지대(310, 311)의 중심축이 사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카세트(320)의 로드/언로드시 포크(340)를 뻗었을 때, 랙 마스터에 발생되는 모멘트는 카세트의 무게(m)와 상기 카세트의 무게 중심에 가까운 승강부 지지축과의 거리(d2)의 곱 즉, m*d2가 된다.
이 때, 상기 카세트의 무게(m)가 최근 상당히 무거워지고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지지축 구조에 의하면 상기 거리가 기존의 d1보다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모멘트 값이 종래의 일렬로 배열된 지지축 구조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즉, 종래의 랙 마스터에 대한 모멘트 값은 m*d1 인데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의 모멘트 값은 m*d2이며, 이 때, d2<d1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마스터 모멘트 값(m*d2)이 종래의 랙 마스터 모멘트 값(m*d1) 보다 적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멘트 값이 줄어들게 되면, 승강부의 구동 체인의 하중이 감소하고, 지지 가이드의 스펙(spec.)이 하향 조정되어 원가가 절감되며, 아울러 포크의 처짐 및 진동 발생이 억제되고, 이재 속도가 증가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대를 일렬이 아닌 사선으로 배열함으로써, 승강부 지지축과의 카세트의 무게중심간의 거리를 줄여 승강부 구동 체인 및 지지 가이드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고, 이를 저 사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토록 하고, 포크의 처짐이 개선되고, 이재 속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다수의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를 운반하는 랙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얹혀진 포크 상판과;
    상기 포크 상판을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카세트를 로딩 또는 언로딩토록 하는 포크와;
    상기 포크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가 사선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하측에 각각 주행 휠이 구비되며, 상기 주행 휠이 한 쌍의 주행 레일 위를 이동하여 상기 랙 마스터를 좌, 우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랙 마스터 승강부 지지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부 지지대가 상기 한 쌍의 주행 레일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행 레일 측면에 제 1승강부 지지대가 구비되고, 제 2주행 레일 측면에 제 2승강부 지지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KR1020040111734A 2004-12-24 2004-12-24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KR20060072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734A KR20060072939A (ko) 2004-12-24 2004-12-24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734A KR20060072939A (ko) 2004-12-24 2004-12-24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939A true KR20060072939A (ko) 2006-06-28

Family

ID=3716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734A KR20060072939A (ko) 2004-12-24 2004-12-24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2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187B1 (ko) 기판 보관용 카세트 시스템
KR100965413B1 (ko) 기판 처리용 클러스터 장치 및 클러스터 장치의 기판 처리방법
KR20150066032A (ko) 스토커 장치
KR100966434B1 (ko) 카세트 적재장비
KR101264681B1 (ko) 카세트 저장용 스토커
KR101309859B1 (ko) 스토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60072939A (ko) 랙 마스터의 승강부 지지구조
KR101000494B1 (ko) 이송장치
KR100759890B1 (ko) 스토커 장치
KR20050095194A (ko) 스토커 시스템
KR101014749B1 (ko) 기판 보관용 카세트 시스템
KR20080048364A (ko) 인터 스토커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하는 인터 베이 시스템
KR102623307B1 (ko) 오버헤드 컨베이어용 대차
KR20070072007A (ko) 스토커
JP4195256B2 (ja) コア装置を備えた製造ラインシステム
KR20090024580A (ko) 카세트 이송장치 및 카세트 이송방법
KR20070113850A (ko) 랙마스터, 이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70072067A (ko) 스토커 및 그 운용방법
KR20060078536A (ko) 스토커 포트 스테이지 구조
KR100959127B1 (ko) 스토커
KR20210133446A (ko) 물품 이송 장치
KR20070071263A (ko) 스토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41127B1 (ko) 카세트이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카세트이송방법
KR101052750B1 (ko) 기판 이송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060136116A (ko) 카세트 이송용 스태커로봇 및 이를 이용한 스토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