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131A - 부전위 방전 회로 - Google Patents

부전위 방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2131A
KR20070122131A KR1020070048114A KR20070048114A KR20070122131A KR 20070122131 A KR20070122131 A KR 20070122131A KR 1020070048114 A KR1020070048114 A KR 1020070048114A KR 20070048114 A KR20070048114 A KR 20070048114A KR 20070122131 A KR20070122131 A KR 20070122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ischarge
timing signal
nmos transisto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286B1 (ko
Inventor
마사오 쿠리야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2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Abstract

외부 전압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속도로 전하를 방출할 수 있는, 부전위 방전 회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전위 방전 회로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10)에 접속되고, 제1 방전 타이밍 신호를 레벨 쉬프트하여 출력하는 레벨 시프터(13)과, 레벨 시프터(13)의 출력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14)와, 인버터(14)에 의해 구동되는 제1 PMOS 트랜지스터(15)와, 제1 PMOS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전압 보호용 제2 PMOS 트랜지스터(16) 및 제1 NMOS 트랜지스터(17)과, 제2 방전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고, 제1 NMOS 트랜지스터(17)와의 접속 노드를 출력 단자로 하며, 소스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18)을 가진다.

Description

부전위 방전 회로{NEGATIVE POTENTIAL DISCHARGE CIRCUIT}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전위 방전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2는 종래의 NOR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부전위 방전 회로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4는 종래의 부전위 방전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5는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회로예이다.
도6은 다른 내부 전압 발생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1 챠지 펌프
    12 리미터
    13 레벨 시프터
    14 인버터
    15 제1 PMOS 트랜지스터
    16 제2 PMOS 트랜지스터
    17 제1 NMOS 트랜지스터
    18 제2 NMOS 트랜지스터
    19 출력 단자
    20 저항
    21 제2 연산 증폭기
    22 제1 연산 증폭기
    23, 26 PMOS 트랜지스터
    24, 27 NMOS 트랜지스터
    25 출력 단자
    T1 제1 방전 타이밍 신호
    T2 제2 방전 타이밍 신호
    VREF 기준 전압
    R1~R3 저항
    D1, D2 다이오드
    OP 연산 증폭기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회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부전압의 방전을 제어하는 부전위 방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NOR형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메모리 셀의 각 노드간에는 기생 용량 이 존재하며, 메모리 용량의 증가에 수반해 메모리 어레이 형상이 확대됨에 따라 기생 용량도 증가하며, 특히 소거 동작시의 소거 전압의 인가/방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거 동작에 있어서의 부전위 방전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NOR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에서, 컨트롤러는, 커멘드 인터페이스로 디코드된 커멘드에 근거해 데이터의 기입, 독출, 소거 등의 시퀸스 제어를 실시한다. 데이터의 기입 및 소거에는, 전원 전압을 승압한 승압 전압이 이용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에 의해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되는 내부 전원 제어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전원 제어 회로의 출력은, 로우 디코더나 컬럼 디코더를 통해 워드선이나 비트선에 공급된다.
메모리 셀 어레이는, 워드선과 비트선에 접속된 부유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메모리 셀을 매트리스형태로 배치하여 구성되고, 메모리 셀의 제어 게이트를 구동하는 로우 디코더 회로를 구비한다. 부유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의 N형 웰내에 설치된 P형 웰내에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과, 소스 및 드레인간상에 절연막을 통해 형성된 부유 게이트와, 부유 게이트상에 절연막을 통해 형성된 제어 게이트를 포함한다.
종래에 있어서의 플래시 메모리의 소거 방법인, 예를 들면 기판 소거 방법에서는, 컨트롤러는 내부 전원 제어 회로의 부전압 승압 회로와 정전압 승압 회로를 제어하고, 게이트(Vg)를 부전압(예를 들면-9 V)으로 하고, 소스(Vs)와 드레인(Vd)를 오픈 상태, 기판(Vb)를 정전압(예를 들면 5 V~9 V)로 제어하여, 부유 게이트에 축적된 전자를 기판으로 방출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는, 축적된 전자의 방출을 소정 시간 실시한 후, 도시하지 않은 부전압 방전 회로를 제어하여, 워드선의 전위를 0V로 되돌림으로써, 소거 동작을 종료한다.
도4는, 종래의 부전위 방전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에서, 제1 및 제2 PMOS 트랜지스터(15, 16)과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17, 18)이 직렬로 접속되고, 제1 PMOS 트랜지스터(15)의 소스는 전원(Vcc)에, 제2 NMOS 트랜지스터(16)의 소스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1 PMOS 트랜지스터(15)의 게이트에는 인버터(14)의 출력단이 접속되고, 인버터(14)의 입력단에는,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가 입력된다. 제2 PMOS 트랜지스터(16)와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게이트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2 NMOS 트랜지스터(18)의 게이트에는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가 입력된다. 또한 제2 NMOS 트랜지스터(18)의 드레인에는, 출력 단자(19)가 접속되어 있다.
부전위에 충전된 부하에 출력 단자(19)가 접속되고, 부전위를 방전시켜 부하의 전위를 0V로 하는 상태를 상정한다. 인버터(14)의 입력단에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가 입력되면, 제1 PMOS 트랜지스터(15)가 온한다. 동시에 내압 보호를 위해 삽입되어 있는 제2 PMOS 트랜지스터(16)와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이 온한다. 이에 의해, 부하의 부전위는 전원 전압(Vcc)를 향해 방전되고,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문턱값(Vth)만큼 낮은 -Vth에서 방전은 정지한다. 계속하여, 제2 NMOS 트랜지스터(18)의 게이트에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가 입력되면, 방전은 그라운드를 향해 이루어지고 0V가 되면 방전은 정지한다.
부하의 방전 속도는, 제1 PMOS 트랜지스터(15) 및 제1, 제2 NMOS 트랜지스 터(17, 18)의 사이즈로 정해진다. 그러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전압(Vcc)가 변동하면, 방전 속도도 그 영향을 받아 변동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NOR형 플래시 메모리의 워드선의 디스챠지를 실시하는 경우, N웰/벌크 전위의 커플링에 의해, 오버 슛 하지 않도록 일정 속도로 방전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개2005-310301에는, 커런트 미러를 이용한 방전 회로에 관한 기재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외부 전압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속도로 전하를 방출할 수 있는, 부전위 방전 회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전위 방전 회로는, 전원 전압에 의거하여 고전압을 출력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 내부 전압 발생 회로에 접속되어 제1 방전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고전압을 분압한 전압 레벨에 제1 방전 타이밍 신호를 레벨 쉬프트하여 출력하는 레벨 시프터; 레벨 시프터의 출력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소스가 내부 전압 발생 회로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인버터에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소스가 접속되고, 게이트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1 NMOS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제2 방전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어 소스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 제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전위 방전 회로의 내부 전압 발생 회로는, 전원 전압을 승압하고, 이승압 전압을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챠지 펌프와, 출력전압을 감시하는 리미터를 가지며, 리미터는, 출력전압을 분할한 분할전압과, 소정 출력전압을 설정하는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전압이 소정의 출력전압에 도달하면, 챠지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소정 출력전압을 넘어서면, 방전시켜 소정의 출력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전위 방전 회로의 내부 전압 발생 회로는, 전원 전압을 챠지 펌프로 승압한 승압 전압을, 레귤레이터를 통해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거나, 또는 전원 전압을, 직접 레귤레이터를 통해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전위 방전 회로의 내부 전압 발생 회로의 기준 전압이, 밴드갭 레퍼런스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전위 방전 회로는, NOR형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의 부측 전원에 접속되고, 상기 워드선의 디스챠지시에, 상기 워드선의 충전 전하를 방전하여, 소정 전압 레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방전 타이밍 신호는, 소거 기간이 종료하면 상승하고,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이 소정 전압까지 방전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하강하며, 또한 상기 제 2 방전 타이밍 신호는, 상기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이 상기 소정 전압까지 방전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하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전 타이밍 신호는, 상기 소거 기간이 종료하면 상승하고, 상기 제 2 방전 타이밍 신호는, 상기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 이 상기 소정 전압까지 방전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상승하고,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함과 함께 하강하고, 상기 소정 전압의 절대값은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값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전위 방전 회로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전위 방전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1에서, 부전위 방전 회로(1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기본으로 고전압을 출력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10), 내부 전압 발생 회로(10)에 접속되며,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가 입력되면, 고전압을 분압한 전압 레벨로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를 레벨 쉬프트하여 출력하는 레벨 시프터(13), 레벨 시프터(13)의 출력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14), 소스가 내부 전압 발생 회로(11)에 접속되며, 게이트가 인버터(14)에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15), 제1 PMOS 트랜지스터(15)의 드레인에 소스가 접속되고, 게이트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16), 드레인이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1 NMOS 트랜지스터(17), 드레인이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소스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가 입력되어 소스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18)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18)의 드레인에 접속된 출력 단자(19)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전압 발생 회로(10)은, 전원 전압(Vcc)에 접속되며, Vcc를 승압하여, 출력전압(VP)로서 출력하는 챠지 펌프(11)과 VP를 감시하는 리미터(12)로 구성되어 있다. 리미터(12)는, VP를 분할한 분할전압과, 소정 출력전압을 설정하는 기준 전 압(VREF)를 비교하여, VP가 소정 출력전압에 도달하면, 챠지 펌프(1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소정 출력전압을 넘어서면, 방전시켜 소정 출력전압을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내부 전압 발생 회로(10)의 VP는, 상기 챠지 펌프에서 발생한 승압 전위 혹은 전원 전압(Vcc)로부터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발생시킨 일정 전압이어도 된다.
도6은, 다른 내부 전압 발생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6a에서, 제1 및 제2 연산 증폭기(21, 22)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위(VREF)가 각각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는 서로 접속된 상태로 저항(20)의 중간 탭(P)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23)의 소스는 전원(Vcc)에, 게이트는 제1 연산 증폭기(2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24)의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게이트는 제2 연산 증폭기(21)의 출력 단자에, 소스는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24)의 드레인과 접지간에 저항(20)이 접속되고, 출력 단자(25)가 마찬가지로 NMOS 트랜지스터(24)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산 증폭기(21, 22)는, 출력 단자(25)의 전압이 저항(20)의 중간 탭(P)에서 분압된 전압값을, VREF와 각각 비교한다. 또한 그 비교값에 따라 PMOS 트랜지스터(23) 및 NMOS 트랜지스터(24)를 제어하여, 원하는 전압을 출력 단자(25)로 출력전압(VP)으로서 출력한다. 도6b에서는, 도6a의 회로에 더욱이 PMOS 트랜지스터(26)와 NMOS 트랜지스터(27)이 더해진다. 도6b에서, 제1 연산 증폭기(21)의 출력을 NMOS 트랜지스터(27)로 받아 PMOS 트랜지스터(26)과의 접속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 패스에 흐르는 일정 전류를, PMOS 트랜지스터(23)에 커런트 미러 화하여 공급하며, 원하는 전압을 출력 단자(25)로 출력전압(VP)으로서 출력하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23, 26)의 소스에는 전원 전압을 챠지 펌프로 승압한 승압 전압(VP)가 인가되므로, 도6b의 회로는, 도6a의 회로에 비해 Vcc보다 높은 전위를 방전시킬 수 있다.
기준 전압(VREF)를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에 의해 발생시키면, 전원 전압의 변동이나 온도의 변동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전압(~1. 25 V)를 얻을 수 있다. 도5는, 공지인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의 회로예이다. 연산 증폭기(OP)의 출력단과 비반전 입력 단자간에 저항(R1)가, 출력단과 반전 입력 단자간에 R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비반전 입력 단자와 접지간에는, 양극을 비반전 입력측으로 하여 다이오드(D1)가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와 접지간에는, 다이오드(D2)의 음극측을 접지측으로 하여, 저항(R3)와 다이오드(D2)가 직렬 접속되어서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1, D2)의 사이즈 및 저항(R1, R2, R3)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전압 변동, 온도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압 레벨(~1. 25 V)를, 출력단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1에서, 도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원 전압(Vcc)보다 큰 부전위에 충전된 부하에 출력 단자(19)가 접속되고, 부전위를 방전시켜 부하의 전위를 0V로 하는 상태를 상정한다. 레벨 시프터(13)의 입력단에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가 입력되면, 레벨 시프터(13)은, 고전압(VP)를 분압한 전압 레벨로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를 레벨 쉬프트 하여 출력한다. 인버터(14)는, 레벨 시프터(13)의 출력을 반전하여 제1 PMOS 트랜지스터(15)로 출력하고, 제1 PMOS 트랜지스터(15)는 온한다.
동시에 내압 보호를 위해 삽입되어 있는 제2 PMOS 트랜지스터(16)와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이 온 한다. 이에 의해 부하의 부전위는 전원 전압(Vcc)를 향해 방전되고,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문턱값(Vth)만큼 낮은 -Vth에서 방전은 정지한다. 계속해서 제2 NMOS 트랜지스터(18)의 게이트에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가 입력되면, 방전은 그라운드를 향해 이루어지며, 0V가 되면 방전은 정지한다. 내부 전압 발생 회로(10)의 출력전압(VP)는, 외부 전원 전압이 변동해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로 부전하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의 부전위 방전 회로(100)이, 도2의 NOR형 플래시 메모리의 내부 전원 제어 회로내에 설치되고,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 및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에 따라, 워드선이 디스챠지 동작을 할 때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3에서, 웰 챠지의 타이밍 기간에서는,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 및 워드선은 제로 전위에 있고, NOR형 플래시 메모리의 웰 부분이, 소정 값으로 충전되는 기간이다.
소거 기간에 있어, 워드선에는 소거 동작을 위해서 내부 전원 제어 회로에서 -9V가 공급된다.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 및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는, 제로 전위를 유지한채이다. 다음으로, 워드선 디스챠지 기간이 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가 상승하고, 도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워드선의 방전이 개시된다. 워드선의 전위가,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문턱값(Vth)만큼 낮은-Vth가 되면 방전은 정지한다. 계속해서,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가 상승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18)에 의해, 방전은 그라운드를 향해 이루어지며, 0V가 되면 방전은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는, 소거 기간이 종료하면 상승하고,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이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문턱값이 되면 하강하고, 또한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는,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이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문턱값이 되면 상승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하강하도록,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는, 소거 기간이 종료하면 상승하고,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는,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이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문턱값이 되면 상승하고,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와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는, 함께 하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전원 전압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속도로 부전하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제1 방전 타이밍 신호(T1) 및 제2 방전 타이밍 신호(T2)의 동작에서,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문턱값과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의 비교에 근거해 이루어지는 동작은, 컨트롤러가 내부 전압 제어 회로를 통해 워드선 전위를 검출하고, 컨트롤러에 설정된 제1 NMOS 트랜지스터(17)의 문턱값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도시하지 않음), 이 설정값은,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값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전압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속도로 부전하를 방출할 수 있으며, NOR형 플래시 메모리에 적용되었을 경우, 소거 전압의 방전 특성을 개선할 수 있어 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전압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속도로 부전 하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NOR형 플래시 메모리에 적용되었을 경우, 소거 전압의 방전 특성을 개선할 수 있어 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6)

  1. 전원 전압에 의거하여 고전압을 출력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에 접속되고, 제1 방전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고전압을 분압한 전압 레벨로 상기 제1 방전 타이밍 신호를 레벨 쉬프트하여 출력하는 레벨 시프터;
    상기 레벨 시프터의 출력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소스가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인버터에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소스가 접속되고, 게이트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1 NMOS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제2 방전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며, 소스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위 방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하고, 상기 승압 전압을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챠지 펌프와, 상기 출력전압을 감시하는 리미터를 가지며,
    상기 리미터는, 상기 출력전압을 분할한 분할전압과, 소정 출력전압을 설정하는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소정 출력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챠지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소정 출력전압을 넘어서면, 방전시켜 상기 소정 출력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위 방전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전원 전압을 챠지 펌프로 승압한 승압 전압을, 레귤레이터를 통해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전압을, 직접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상기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위 방전 회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이, 밴드갭 리퍼런스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NOR형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의 부측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워드선의 디스챠지시에, 상기 워드선의 충전 전하를 방전하여, 소정 전압 레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위 방전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전 타이밍 신호는, 소거 기간이 종료하면 상승하고,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이 소정 전압까지 방전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하강하며, 또한 상기 제 2 방전 타이밍 신호는, 상기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이 상기 소정 전압까지 방전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하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전 타이밍 신호는, 상기 소거 기간이 종료하면 상승하고, 상기 제 2 방전 타이밍 신호는, 상기 워드선 전위의 절대값이 상기 소정 전압까지 방전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상승하며,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함과 함께 하강하고, 상기 소정 전압의 절대값은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값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위 방전 회로.
KR1020070048114A 2006-06-23 2007-05-17 부전위 방전 회로 KR100897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4319A JP4989927B2 (ja) 2006-06-23 2006-06-23 負電位放電回路
JPJP-P-2006-00174319 2006-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131A true KR20070122131A (ko) 2007-12-28
KR100897286B1 KR100897286B1 (ko) 2009-05-14

Family

ID=3887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114A KR100897286B1 (ko) 2006-06-23 2007-05-17 부전위 방전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14637B2 (ko)
JP (1) JP4989927B2 (ko)
KR (1) KR100897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2696A (ja) * 2009-04-30 2010-11-18 Toshiba Corp Nand型フラッシュメモリ
KR102156230B1 (ko) 2013-10-24 202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잔류 전압을 강제로 방전시킬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10352986B2 (en) 2016-05-25 2019-07-16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tage of doped well in substrate
CN107481759B (zh) * 2016-06-08 2020-06-0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外部双电压输入选择开关电路及电子装置
JP6794395B2 (ja) 2018-03-09 2020-12-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CN113454722B (zh) 2020-05-19 2022-08-19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存储器器件及其编程操作
CN111758131B (zh) * 2020-05-19 2022-03-15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存储器的程序暂停和恢复的控制方法与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458A (en) * 1995-07-14 1997-05-06 Nevin; Larry J. Integrated negative D-C bias circuit
JP4094104B2 (ja) * 1997-02-27 2008-06-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記憶装置
JP3904282B2 (ja) * 1997-03-31 2007-04-1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481841B1 (ko) * 1997-11-25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의고전압을방전시키기위한회로를구비한플래시메모리장치
KR100515505B1 (ko) * 1998-07-07 2005-12-02 박영설 운동화의 미드솔에 관통되어진 통공을 갖도록 하는 제조금형
JP3979268B2 (ja) * 2002-11-13 2007-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の内部電源回路及び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JP4357351B2 (ja) * 2004-04-23 2009-11-04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04204A (ja) 2008-01-10
US7714637B2 (en) 2010-05-11
US20070297242A1 (en) 2007-12-27
KR100897286B1 (ko) 2009-05-14
JP4989927B2 (ja)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4439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36270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KR100471330B1 (ko) 전압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KR100427739B1 (ko) 전원 회로 및 그 전원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기억 장치
US8130026B2 (en) Booster circuit and voltage supply circuit
US6041012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a booster circuit and a storage device
KR100897286B1 (ko) 부전위 방전 회로
US20060202668A1 (en) Fast voltage regulators for charge pumps
US8471537B2 (en) Low power high voltage regulator for non-volatile memory device
US20120293243A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boosting circuit
US7777466B2 (en) Voltage regulator or non-volatile memories implemented with low-voltage transistors
US20030123289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US20030151945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witch circuit to supply voltage
KR20070121507A (ko) 전압 발생 회로
US7576523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US6559710B2 (en) Raised voltage generation circuit
US6735119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JP6506968B2 (ja) 電圧検出器
US7082062B2 (en) Voltage outpu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3979268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の内部電源回路及び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US7348832B2 (en) Dual-voltage generation system
JP4895867B2 (ja) 内部電圧発生回路
JP2001160295A (ja) 半導体集積回路
KR100223263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방법
US20240161835A1 (e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