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998A -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998A
KR20070119998A KR1020060071487A KR20060071487A KR20070119998A KR 20070119998 A KR20070119998 A KR 20070119998A KR 1020060071487 A KR1020060071487 A KR 1020060071487A KR 20060071487 A KR20060071487 A KR 20060071487A KR 20070119998 A KR20070119998 A KR 2007011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rail
frame
p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8336B1 (ko
Inventor
윤길
Original Assignee
서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산업(주) filed Critical 서윤산업(주)
Publication of KR2007011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의 플랫폼에 설치되는 PSD(Platform Sliding Do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설치높이 조절이 용이한 PS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PSD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프레임 상측에 구비된 레일부; 상기 도어 상측에 구비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여 상기 도어가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도록 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움직이는 상부 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롤러부는 회동축과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핀이 편심을 이루고 있는 제1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롤러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사선 장홈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갖는 제2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부하에 대처하기 위한 제3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철, 도어, PSD, 롤러, 이탈, 높이조절, 편심, 사선장공

Description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EASY ADJUSTABLE HEIGHT PS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D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 제1,제2,제3 롤러 40,50,60 : 제1,제2,제3 레일
11,21,31 : 회동축 12,22,32 : 외륜
13,23 : 고정핀 16,26 : 요홈
41,51 : 돌출부 45 : 롤러수용홈
61 : 지지부 65 : 롤러구속홈
70 : 연결부재 71 : 고정판부
72 : 장착판부 73 : 사선장공
D : 도어 F : 프레임
P : 플랫폼
본 발명은 지하철의 플랫폼에 설치되는 PSD(Platform Sliding Do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설치높이 조절이 용이한 PS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SD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승강장에서 선로와 플랫폼 사이에 설치되어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만든 안전 장치로,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히 멈추면 전동차 문과 함께 열려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전동차로 인한 소음, 먼지, 강풍 등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88385호 「자동도어 개폐장치용 도어행거」 및 등록실용신안 제389410호 「지하철용 PSD 개폐장치」와 본원발명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PSD는 도어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가 프레임에 구비된 레일에 결합되어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고 도어를 슬라이드이동 시키고, 도어의 하부에는 대개 단순히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별도의 레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는 플랫폼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져 있어 도어의 슬라이드이동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은 승강장의 플랫폼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고, 한 쌍의 도어가 소정간격을 두고 프레임에 설치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한다.
PSD가 설치되는 승강장의 선로는 일직선이 아닌 곳이 많고, 또한 프레임이 연속하여 설치되는 플랫폼 바닥은 쉽게 식별되진 않으나 그 높낮이가 일정하지 아니하고 굴곡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PSD가 설치되는 플랫폼의 바닥이 편평하지 아니하고 굴곡져 있음으로 인해, 프레임에 도어를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되고, 설치된 도어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도어는 다량 제작하므로 그 상하길이가 동일하고, 프레임은 그 상부가 일직선(즉,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플랫폼에 설치되는데, 플랫폼의 바닥은 편평하지 아니하고 굴곡이 있다. 즉, 도어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설치공간이 일정하지 아니하여 어느 곳에서는 그 상하길이가 도어의 상하길이보다 길고, 다른 어느 곳에서는 어느 설치공간은 그 상하길이가 도어의 상하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도어의 상하길이가 프레임의 설치공간보다 더 긴 경우에는 도어를 프레임에 설치하지 못하고, 억지로 설치한 경우에는 도어의 하부가 플랫폼 바닥에 접촉하여 도어의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도어의 상하길이가 더 짧은 경우에는 도어를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는 문제가 없지만, 도어와 설치공간의 길이 차에 따라 각 도어의 하부가 플랫폼의 바닥에 떠 있는 간격에 기복이 있어 중력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의 영향이 상기 간격 차에 따라 각 도어 마다 다르고, 그에 따라 전체 도어의 안정성, 보다 크게는 PSD 전체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설치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등록실용신안 제288385호 「자동도어 개폐장치용 도어행거」는 피고정브라켓에 사선방향의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롤러의 회전축을 삽입결합시켜 롤러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서 도어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장공을 이용하여 도어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에서는 도어의 설치높이가 장기간 유지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롤러는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고 도어는 전동차의 진입시 발생되는 강풍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상시 받게 되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롤러가 장공을 따라 하방으로 밀리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의 PSD는 도어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아니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차의 진입시에는 강풍이 발생되어 도어를 수평방향으로 흔들게 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PSD가 고장나고,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된다. 강풍이 강한 경우에는 도어가 프레임으로부터 탈거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참고로, 등록실용신안 제288385호 「자동도어 개폐장치용 도어행거」에 구비 된 이탈방지롤러는 도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단순히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PSD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의 설치높이를 용이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강풍 등에 의해 도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PSD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SD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프레임 상측에 구비된 레일부; 상기 도어 상측에 구비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여 상기 도어가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도록 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움직이는 상부 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롤러부는 회동축과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핀이 편심을 이루고 있는 제1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롤러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사선 장홈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갖는 제2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부하에 대처하기 위한 제3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D는, 지하철의 플랫폼(P)과 선로 사이에 구비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의 설치공간을 개폐하는 도어(D)와, 상기 도어(D)를 슬라이드이동시키는 롤러(10,20,30)와, 상기 롤러(10,20,30)를 위한 레일(40,50,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F)은 플랫폼(P)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특히 전철 객차의 출입문 위치에 맞게 승객출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어(D)는 프레임(F)의 출입공간에 설치되어 한 쌍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여 출입공간을 개폐한다.
상기 프레임(F)의 상부에는 도어(D)를 슬라이드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롤러부와 레일부는 도어(D)를 슬라이드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롤러부는 연결부재(70)에 장착되고, 도어(D)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제1롤러(10)와, 설치된 도어(D)의 상부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롤 러(20)와, 도어(D)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부하(즉, 강풍 등에 의해 선로에서 플랫폼(P)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처하기 위한 제3롤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부는 프레임(F)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제2,제3 롤러(10,20,30) 각각을 위한 제1레일(40), 제2레일(50), 제3레일(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1의 PSD 하부에는 도어의 이탈방지와 안정된 이동을 위한 별도의 가이드부(미(未)지칭 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롤러(10)의 요홈(16)은 하부에서 상기 제1레일(40)의 돌출부(41)와 접촉하고, 상기 제2롤러(20)의 요홈(26)은 상부에서 상기 제2레일(50)의 돌출부(51)와 접촉하고, 상기 제3롤러(30)는 상기 제3레일(60)의 양측 지지부(61)와 접촉하여 구속된다.
상기 제1롤러가 상기 도어(D)의 전체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롤러(20)는 중력방향으로 제1롤러(10)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그 요홈(26)에 돌출부(51)가 삽입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롤러, 결국은 상기 도어가 레일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3롤러(30)는 수평방향으로 제1롤러(10)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제3레일(6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그 회동축(31)이 제1롤러(10)의 회동축(11)과 수직을 이루어서 전철의 진입시나 바람이 불 경우 도어(D)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로부터 상기 도어의 흔들림이나 레일 이탈 사태를 방지한 다.
결국, 제1롤러(20)와 제3롤러(30)는 제1롤러(10)와 함께 도어(D)의 안정된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동시에 도어(D)가 레일부에서 이탈되거나 요동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레일(40)과 제2레일(50)이 형성하는 롤러수용홈(45)은 롤러(10,20)가 출입하는 개방부가 중력방향에 대하여 측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롤러(10)및 제2롤러(20)가 중력방향에 대하여 측방에서 롤러수용홈(45)으로 삽입되어 각각 제1레일(40) 및 제2레일(50)에 접촉되고,
상기 제3레일(60)의 롤러구속홈(65)은 롤러출입구가 중력방향을 따라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롤러(30)가 아래쪽에서 롤러구속홈(65)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레일(60)의 롤러출입구는 중력방향을 따라 위쪽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3롤러(30)가 위쪽으로 삽입될 뿐 지지방향과 이동방향은 아래쪽에 형성된 경우와 동일하다.
롤러부와 연결부재의 결합체를 주로 정면에서 바라 본 도 3a와 후면에서 바라 본 도 3b를 참고하여 도어(D)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와 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70)는 도어(D)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부(71)와, 상기 고정판부(71)에 수직연설되어 있고 롤 러(10,20,30)가 장착되는 장착판부(7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롤러(10,20,30)는 각각 회동축(11,21,31)과 상기 회동축(11,21,3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외륜(12,22,3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롤러 외륜과 회동축의 조립 결합은 통상적으로 스냅링을 이용한 공지된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제1롤러(10) 및 제2롤러(20)는 고정판부(71)에서 중력방향으로 소정거리 범위 내에서 장착위치가 가변되고, 그럼으로써 도어(D)의 설치높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도어(D)의 하중을 지탱하는 제1롤러(10)가 직접적으로 도어(D)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게 되고, 제2롤러(20)는 제1롤러(10)의 고정위치 변경에 따라 제2레일(50)에 결합되기 위해 장착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제1롤러(10)의 장착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구성요소는 제1롤러(10)의 회동축(11)과 연결부재(70)의 고정판부(71)를 연결하는 고정핀(13)으로서, 상기 고정핀(13)은 제1롤러(10)의 회동축(11)과 편심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고정핀(13)을 회전시키면 회동축(11)이 소정거리 범위 내에서 중력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제1롤러(10)의 위치가 변경된다.
제2롤러(20)의 고정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구성요소는 연결부재(70)의 고정판부(71)에 중력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사선 장공(70)과, 제2롤러(20)의 회동축(21)과 상기 고정판부(71)의 사선장공(70)에 삽입결합되는 고정핀(23)이다. 여기서의 고정핀(23)은 제1롤러(10)와 같이 회동축(21)과 편심을 이루고 있을 필요 는 없다.
제1롤러(10) 및 제2롤러(20)를 이용하여 도어(D)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롤러 수용홈(45)에 제1 및 제2 롤러(10,20)가 쉽게 수용되도록 제1롤러(10)는 중력방향에 대해 상부로 이동시키고, 제2롤러(20)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롤러(10,20)를 롤러수용홈(45)에 삽입되도록 도어(D)를 프레임(F)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어(D)의 하중이 상기 제1롤러(10)를 통하여 프레임(F)의 제1레일(40)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살짝 들어 올려 플래폼(P)으로부터 필요한 간격(예: 5mm~10mm)만큼 이격시키고 수평을 맞춘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10)의 고정핀(13)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핀(13)은 상기 회동축(11)에 대하여 편심을 이루고 있으므로(즉 가상의 동일 축선상에 배열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롤러(10)의 중심, 즉 상기 회동축(11)은 상기 플래폼(P)과의 거리(달리 표현하면 제1롤러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조절된 상기 도어의 높이와 수평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도어의 상부 두 곳에 설치된 제1롤러의 외륜(12)이 상기 제1레일(40)의 돌출부(41)에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의 고정핀(13)에 결합된 볼트(15)를 스패너 또는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이면
상기 제1롤러(10)의 고정, 결국은 조절된 상기 도어의 높이 및 수평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2롤러(20)의 조절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핀(23)을 상기 장착판부(72)의 사선형 장공(73)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2롤러(20)의 상부가 상기 제2레일(50)의 돌출부(51)와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역시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너트(25)를 조여 높이 조절된 제2롤러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제2롤러(20)는 도어(D)의 하중을 지탱하지 않으므로 위아래로 이동이 간편하도록 장공(73)을 이용한 것이고, 제1롤러(10)는 도어(D)의 하중을 지탱하므로 고정된 후에 도어(D)의 하중에 의해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편심된 고정핀(13)을 이용한 것이다.
이어서 제3롤러(30)의 외륜(32)을 제3레일(60)의 양 지지부(61)에 의하여 형성되는 롤러구속홈(65)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외륜(32)이 회동축(31)을 통하여 연결된 장착편(33)을 상기 장착판부(72)에 고정함으로써 제3롤러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PSD는 바람이나 진동에 의한 상하 좌우 부하에도 흔들리거나 레일부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며, 설치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PSD를 이루는 도어의 높이 및 수평 조절방식을 회동축(11)과 연결부재(7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핀(13)이 편심을 이루는 제1롤러(10)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제1롤러를 비롯한 제2 및 제3 롤러의 개념은 PSD 외에도 다른 슬라이딩 도어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 방식을 적용한 특정 거치식(hanger type) 슬라이딩 도어의 형태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랫폼 바닥이 편평하지 아니하더라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각 도어와 플랫폼 바닥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도어를 제2롤러 및 제3롤러에 의해 이중 삼중으로 지지함으로써 제1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진입에 의해 발생하는 강풍으로 인해 도어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도어가 프레임에서 탈거되거나 PSD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프레임 상측에 구비된 레일부;
    상기 도어 상측에 구비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여 상기 도어가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도록 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움직이는 상부 롤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롤러부는 회동축과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핀이 편심을 이루고 있는 제1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롤러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사선 장홈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갖는 제2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는 상기 도어의 하중 지지를 위한 것이고,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도어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롤러 하부와 접촉하는 제1레일과, 상기 제2롤러 상부와 접촉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부하에 대처하기 위한 제3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3롤러를 구속하는 제3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KR1020060071487A 2006-06-16 2006-07-28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KR100838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282 2006-06-16
KR20060016282 2006-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998A true KR20070119998A (ko) 2007-12-21
KR100838336B1 KR100838336B1 (ko) 2008-06-13

Family

ID=3913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487A KR100838336B1 (ko) 2006-06-16 2006-07-28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26Y1 (ko) * 2011-02-10 2013-09-10 박억진 출입문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054U (ko) * 1997-07-23 1999-02-18 송경섭 벽장문용 상부 활차
KR200288385Y1 (ko) * 2002-06-12 2002-09-09 강태원 자동도어 개폐장치용 도어행거
KR200313460Y1 (ko) * 2003-02-10 2003-05-14 곽인학 행거 도어용 높이조절식 로울러부착형 브라켓
JP3715297B2 (ja) * 2003-10-24 2005-11-09 昭和鋼機株式会社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26Y1 (ko) * 2011-02-10 2013-09-10 박억진 출입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336B1 (ko) 200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053A (en) Guide roller support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
NZ531912A (en) Stop bar for creating a temporary safety space within an elevator hoistway
US5544462A (en) Movable wall system
JPH1128706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KR100838336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KR10102281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JP2881720B2 (ja) 吊り戸用戸車
KR100834028B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KR101410539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KR200425034Y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용 기둥 고정구조
US7735262B2 (en) Pocket door mounting system
JP2001098862A (ja) 引戸門扉の戸車脱輪防止装置
JP2009208870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の設置方法
JP3043911B2 (ja) 自動ロック宅配ボックス
CN216588337U (zh) 一种人防门活动检修门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KR19980015183U (ko) 자동문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KR20130017767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CN210946595U (zh) 道闸
JP4539339B2 (ja) 引戸の上部ガイド構造
EP2746209A1 (en) Mounting of guides for guide rails on an elevator car.
KR101471429B1 (ko) 캔버스도어 행거벨트 고정방법
JP2917268B2 (ja) 対象物取付け方法
KR20220042742A (ko) 안전문 작동 간섭방지 간격 조정판
KR100802592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용 기둥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