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889A -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889A
KR20070119889A KR1020060054407A KR20060054407A KR20070119889A KR 20070119889 A KR20070119889 A KR 20070119889A KR 1020060054407 A KR1020060054407 A KR 1020060054407A KR 20060054407 A KR20060054407 A KR 20060054407A KR 20070119889 A KR20070119889 A KR 20070119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evaporator
vertical plate
hou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595B1 (ko
Inventor
임재숙
Original Assignee
임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숙 filed Critical 임재숙
Priority to KR102006005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595B1/ko
Priority to PCT/KR2007/002107 priority patent/WO2007145426A1/en
Publication of KR2007011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 F26B13/183Arrangements for heating, cooling, condensate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6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20Temperature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냉매가 유동하여 주위의 열을 수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평행하게 이격된 내부응축기를 포함하는 냉각사이클부재와, 상기 냉각사이클부재의 증발기의 하단에 위치되어 수분을 포함한 주위온도가 낮아져서 형성되는 수분이 통과되는 수분통과공을 가지는 수분흐름판과, 상기 수분흐름판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수용된 수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물받이와, 상기 내부응축기의 상방에 위치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 및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각 단 사이에는 관통공을 가지는 격벽으로 구획되며, 제일 아래에 위치된 격벽에 형성된 관통공의 위치와 그 인접된 바로 위에 위치된 격벽에 형성된 관통공의 위치가 반대로 형성되어 제일 아랫단으로부터 위단으로 갈수록 공기가 지그재그 형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중 제일 위쪽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내부응축기 및 증발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냉각사이클을 변화시켜 하우징 내의 공기온도를 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며, 오작동의 위험을 방지하며, 최소의 에너지로 작동되며, 악취나 오폐수의 발생의 문제점이 없으며, 설치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냄새제거장치 등 의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복수개의 단으로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열풍이 음식물 쓰레기 전반에 걸쳐 골고루 미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적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 혹은 건조 처리를 거친 음식물 쓰레기는 냉장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food tras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인 내부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제1음식물 쓰레기 수용단과 제3음식물 쓰레기 수용단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제2음식물 쓰레기 수용단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바라본 수평판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수평판의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물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사이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냉각사이클부재
21. 증발기 24. 내부응축기
30. 수분흐름판 32. 수분통과공
40. 물받이 50.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52. 제1음식물 쓰레기 수용단 54. 제2음식물 쓰레기 수용단
56. 제3음식물 쓰레기 수용단 60. 송풍기
70. 풍향조절판 72. 풍향조절밸브
74. 온도센서 80. 외부응축기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공간에서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차가운 냉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냉장보관 및 냉동사이클의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밀폐식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처리하는 방식과, 분쇄 후 가열처리를 하는 방식과, 단순열풍을 이용한 건조 방식과, 처리조에 직접가열 및 열풍을 이용하는 방식이 개발된 바 있다.
이 중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처리하는 방식은 오염된 침출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심한 냄새가 발생한다는 문제점과,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는 불편함과. 공기 중으로 수증기와 가스의 배출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분쇄 후 가열처리를 하는 방식은 처리시간이 짧은 장점은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이 발생한다는 문제점과 복잡한 구조로 세척이 불가하다는 단점과 가열용 히터 사용으로 소비전력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과 분쇄시 과다한 침출수가 발생하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열풍을 이용한 건조방식은 발생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하수관로를 이용한 설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불편함과 냄새 역류 현상이 발생하고 하수관로에 냄새제거용 관로가 별도로 없는 곳에는 설치가 불가하다는 문제점과 별도의 수증기 냉각 및 냄새 제거장치가 필요하고 별도의 가열용 히터의 사용으로 소비전력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처리조에 직접 가열 및 열풍을 이용하는 방식은 가열용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고 발생된 수증기를 별도의 냉동사이클 및 냉각수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액화시켜 배출함으로써 소비전력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과 별도의 냄새제거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는 불편함과 외부로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해야 하므로 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제공되는 열풍 등이 음식물 쓰레기에 골고루 전달되지 않아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는 통상 모아 두었다가 일정한 양이 되었을 때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왜냐하면 적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처리장치를 가동한다는 것은 에너지의 낭비가 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처리하고 난 후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처리가 끝난 음식물 쓰레기를 제때제때 분리하여 버려야 하지만 잊어버리고 버리지 않으면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여 악취가 계속해서 발생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적은 양의 쓰레기를 처리하기 전이나, 처리 후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전까지 그 처리장치 내에서 냉장 보관하는 구성이 없어서, 그 사용상에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오작동의 위험을 방지하며, 최소의 에너지로 작동되며, 악취나 오폐수의 발생의 문제점이 없으며, 설치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냄새제거장치 등의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복수개의 단으로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열풍이 음식물 쓰레기 전반에 걸쳐 골고루 미칠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 혹은 건조 처리를 거친 음식물 쓰레기는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밀폐식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냉매가 유동하여 주위의 열을 수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평행하게 이격된 내부응축기를 포함하는 냉각사이클부재와, 상기 냉각사이클부재의 증발기의 하단에 위치되어 수분을 포함한 주위온도가 낮아 져서 형성되는 수분이 통과되는 수분통과공을 가지는 수분흐름판과, 상기 수분흐름판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수용된 수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물받이와, 상기 내부응축기의 상방에 위치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 및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각 단 사이에는 관통공을 가지는 격벽으로 구획되며, 제일 아래에 위치된 격벽에 형성된 관통공의 위치와 그 인접된 바로 위에 위치된 격벽에 형성된 관통공의 위치가 반대로 형성되어 제일 아랫단으로부터 위단으로 갈수록 공기가 지그재그 형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중 제일 위쪽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내부응축기 및 증발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제1수직판에 결합되며, 제1공기유동홈을 그 일측면에 가지며, 그 표면에는 제1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그 파여진 부분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제1수평판과,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1돌기수용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를 구비하는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음식물 쓰레기 수용단과, 상기 제1수직판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2수직판과, 상기 제2수직판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 을 가지며 상기 제2수직판에 결합되며, 제2공기유동홈을 상기 제1공기유동홈이 위치된 면과 반대면에 가지며, 그 표면에는 제2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그 파여진 부분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제2수평판과,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2돌기수용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음식물 쓰레기 수용단과, 상기 제2수직판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3수직판과, 상기 제3수직판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제3수직판에 결합되며, 제3공기유동홈을 상기 제2공기유동홈이 위치된 면과 반대면에 가지며, 그 표면에는 제3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그 파여진 부분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제3수평판과,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3돌기수용홈에 삽입되는 제3돌기를 구비하는 제3수용부를 포함하는 제3음식물 쓰레기 수용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상기 송풍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통로에 위치되는 격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응축기와 증발기로 진입되는 공기를 각각 분할하는 풍향조절판과, 상기 풍향조절판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응축기와 증발기로 진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밸브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송풍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55 ?? 이상이면 상기 공기를 상기 증발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절반 이상 유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상기 냉각사이클부재는, 일기관인 냉동기와 밸브1과 밸브2와 내부응축기와 외부응축기와 밸브3과 밸브4와 증발기와 모세관1과 모세관2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건조시킬 때에는 냉동기-밸브1-내부응축기-체크밸브-외부응축기-모세관1-증발기-냉동기를 순환하는 사이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냉장보관할 때에는 냉동기-밸브2-외부응축기-모세관1-증발기-냉동기를 순환하는 사이클과, 냉동기-밸브2-외부응축기-모세관2-밸브3-내부응축기-밸브4-냉동기를 순환하는 사이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상기 외부응축기는 그 내부에 자체 온도센서와 냉각팬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응축기의 자체 온도가 40 ??이상 일 때 냉각팬이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내부온도가 이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인 내부구성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제1음식물 쓰레기 수용단과 제3음식물 쓰레기 수용단의 분리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제2음식물 쓰레기 수용단의 분리사시도를, 도 5는 도 4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바라본 수평판의 측면도를, 도 6은 도 4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수평판의 측면도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물받이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사이클 구성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100)는 하우징(10)과, 냉각사이클부재(20)와, 수분흐름판(30)과, 물받이(40)와, 복수개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50)와, 송풍기(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진다.
상기 냉각사이클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냉매가 유동하여 주위의 열을 수수하는 증발기(22)와, 상기 증발기(22)와 평행하게 이격된 내부응축기(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22)와 내부응축기(24), 외부응축기(80)사이에는 상기 증발기(22)를 통과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드는 일기관(미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응축기(24)와 증발기(22) 사이에는 상기 외부응축기(80)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 저압의 상태로 만드는 모세관1, 2가 설치된다. 이는 통상적인 냉동사이클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분흐름판(30)은 상기 냉각사이클부재(20)의 증발기(22)의 하단에 위치되어, 수분을 포함한 주위 공기가 그 온도가 낮아져서 그 포함하였던 수분을 더 이상 수용하지 못하고 내어놓음으로써 형성되어 모이는 수분이 통과되는 수분통과 공(32)을 가진다.
상기 물받이(40)는, 도 2와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흐름판(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0)에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수용된 수분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50)는 상기 내부응축기(24)의 상방에 위치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에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였다가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50)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50)는 제1음식물 쓰레기 수용단(52)과, 제2음식물 쓰레기 수용단(54)과, 제3음식물 쓰레기 수용단(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음식물 쓰레기 수용단(52)은, 제1수직판(521)과 제1수평판(523)과 제1수용부(527)를 구비한다.
상기 제1수직판(5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판 형상의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서랍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수직판(521)을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대해서 돌출되게 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수직판(521)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판(521)의 안쪽 테두리에는 보다 긴밀한 씰링을 위하여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씰링부(521a)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수평판(523)은 상기 제1수직판(521)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을 가지면서 상기 제1수직판(521)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수평판(523)은 제1공기유동홈(524)을 그 일측면,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판(523)의 그 표면에는 제1돌기수용홈(5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판(523)은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1수용부(527)에 수용된 음식물에서 떨어지는 수분을 저장하여, 그 수분이 상기 증발기(22)나 내부응축기(24)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22)나 내부응축기(24)를 오염이나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제1수용부(527)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1돌기수용홈(525)에 삽입되는 제1돌기(528)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1수평판(523)이 상기 제1돌기(528)에 의해 상기 제1수용부(527)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수평판(523)과 후술하는 제1수용부(527)의 하부 끝단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음식물 쓰레기 수용단(54)은, 제2수직판(541)과 제2수평판(543)과 제2수용부(547)를 구비한다.
상기 제2수직판(5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판(521)의 상방에 위치되며 세워진 판 형상의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서랍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2수직판(541)을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대해서 돌출되게 인출시 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수직판(541)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판(541)의 안쪽 테두리에는 보다 긴밀한 씰링을 위하여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씰링부(541a)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수평판(543)은 상기 제2수직판(541)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을 가지면서 상기 제2수직판(541)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수평판(543)은 제2공기유동홈(544)을 상기 제1공기유동홈(524)이 위치된 면과 반대면,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판(543)의 그 표면에는 제2돌기수용홈(5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판(543)은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2수용부(547)에 수용된 음식물에서 떨어지는 수분을 저장하여, 그 수분이 상기 증발기(22)나 내부응축기(24)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22)나 내부응축기(24)를 오염이나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제2수용부(547)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2돌기수용홈(545)에 삽입되는 제2돌기(548)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2수평판(543)이 상기 제2돌기(548)에 의해 상기 제2수용부(547)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수평판(543)과 후술하는 제2수용부(547)의 하부 끝단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3음식물 쓰레기 수용단(56)은, 제3수직판(561)과 제3수평판(563)과 제3수용부(567)를 구비한다.
상기 제3수직판(56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직판(541)의 상방에 위치되며 세워진 판 형상의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서랍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3수직판(561)을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대해서 돌출되게 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수직판(561)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수직판(561)의 안쪽 테두리에는 보다 긴밀한 씰링을 위하여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씰링부(561a)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3수평판(563)은 상기 제3수직판(561)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을 가지면서 상기 제3수직판(561)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3수평판(563)은 제3공기유동홈(564)을 상기 제2공기유동홈(544)이 위치된 면과 반대면,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3수평판(563)의 그 표면에는 제3돌기수용홈(5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수평판(563)은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3수용부(567)에 수용된 음식물에서 떨어지는 수분을 저장하여, 그 수분이 상기 증발기(22)나 내부응축기(24)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22)나 내부응축기(24)를 오염이나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제3수용부(567)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3돌기수용홈(565)에 삽입되는 제3돌기(568)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3수평판(563)이 상기 제3돌기(568)에 의해 상기 제3수용부(567)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수평판(563)과 후술하는 제3수용부(567)의 하부 끝단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송풍기(60)는 상기 복수개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중 제일 위쪽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3음식물 쓰레기 수용단(56)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내부응축기(24) 및 증발기(22)가 위치된 방향으로 유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100)는 풍향조절판(70)과 풍향조절밸브(72)와 온도센서(74)를 더 구비한다.
상기 풍향조절판(70)은 상기 송풍기(6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통로에 위치되는 격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응축기(24)와 증발기(22)로 진입되는 공기를 분할,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풍향조절밸브(72)는 상기 풍향조절판(70)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응축기(24)와 증발기(22)로 진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온도센서(74)는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하여, 상기 송풍기(6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55 ?? 이상이면 상기 공기를 상기 증발기(22)가 위치된 방향으로 더 많이 유동시키도록 상기 풍향조절밸브(72)가 작동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가 상기 증발기(22) 와 내부응축기(24)로 분할 유동되는 비율이 80 : 20 인 것으로 한다.
이렇게 내부공기의 온도가 높으면 이 높은 온도의 공기를 바로 증발기(22)가 위치된 방향으로 더 많이 유동시켜 이 높은 온도의 공기의 온도를 낮추면 상기 내 부응축기(24)를 지나 최종적으로 나오는 공기의 온도도 낮아져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러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만으로 내부응축기(24)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기에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상기 냉각사이클부재(20)의 내부응축기(24)와 구획되어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의 열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응축기(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부응축기(80)는 자체 온도 센서(82)와 냉각팬(84)을 가지고 있어서, 예를 들어 그 자체 온도가 40 ?? 이상이 되면 상기 냉각팬(84)이 작동되도록 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1수용부(527)와 제2수용부(547)와 제3수용부(567)에 처리를 요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담아서 상기 하우징(10)에 서랍식으로 수용시킨다.
이어서, 상기 냉동사이클부재(20)를 가동시키면 상기 내부응축기(24)에서 고온의 열이 방출되어 그 주위의 공기는 뜨거워진다.
이렇게 뜨거워진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동홈(524)을 통과하여 상기 제1수용부(527)의 그물망 내에 위치된 음식물 쓰레기를 통과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들을 건 조시키며 또한 상기 그물망의 하단과 상기 제1수평판(523)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수용부(527)의 하부에 위치된 음식물 쓰레기도 골고루 건조시킨다. 이 때 상기 제1수용부(527)에 수용된 음식물로부터 떨어지는 수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판(523)의 오목하게 파여진 부분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2수평판(543) 및 제3수평판(563)도 동일하다.
이어서, 상기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동홈(544)을 통과하여 상기 제2수용부(547)의 그물망 내에 위치된 음식물 쓰레기를 통과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들을 건조시키며 또한 상기 그물망의 하단과 상기 제2수평판(543)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2수용부(547)의 하부에 위치된 음식물 쓰레기들도 골고루 건조시킨다.
이어서, 상기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3공기유동홈(564)을 통과하여 상기 제3수용부(567)의 그물망 내에 위치된 음식물 쓰레기를 통과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들을 건조시키며 또한 상기 그물망의 하단과 상기 제3수평판(563)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3수용부(567)의 하부에 위치된 음식물 쓰레기들도 골고루 건조시킨다.
이어서, 이렇게 음식물 쓰레기들을 골고루 건조시킨 고온의 공기는 상기 송풍기(60)에 의해 그 유동 방향이 바뀌어 상기 내부응축기(24) 및 증발기(22)가 위치된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어서, 상기 고온의 공기는 풍향조절밸브(72)에 의해서 그 온도가 55 ?? 이상일 때는 상기 증발기(22)가 위치된 방향으로 더 많이 유동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가 증발기(22)가 위치된 방향으로 100 분의 80 이 유동된다고 설명된바 있다. 그리고 그 온도가 55 ?? 미만일 때는 상기 내부응축기(24)가 위치 된 방향으로 더 많이, 즉 100 분의 80 이 유동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22)의 부근에서 상기 증발기(22)로 열전달이 되고 난 뒤에 열을 빼앗긴 공기 등에서 더 이상 수분을 수용하지 못하고 빠져나오는 수분 등은 상기 수분흐름판(30) 위를 유동하면서 상기 수분통과공(32)을 통과하여 상기 물받이(40)에 고이게 된다. 이렇게 물받이(40)에 고인 수분은 정기적으로 제거를 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속해서 순환 반복적으로 상기 냉동사이클부재(20)에 의해 제공되는 열로 온도가 상승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응축기(80)는 그 자체에 온도 센서(82)와 냉각팬(84)이 있어 그 온도가 40 ?? 이상이 되면 상기 냉각팬(84)이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상승된 열을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전달시켜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하가 되도록 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양이 적거나 이미 처리된 음식물을 사용자가 분리 배출을 하지 않을 때에는 그 음식물 쓰레기가 냉장 보관된다.
이렇게 냉장보관 되는 경우에는 두 가지 경로의 사이클로 순환된다.
그 중 한 가지는 일기관인 냉동기-밸브2-외부응축기-모세관1-증발기-냉동기를 순환하는 사이클인데,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외부응축기를 통해서 외부와 온도 교환을 하기 증발기로 유입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계속 하강시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냉장보관도록 한다.
또 다른 사이클은 냉동기-밸브2-외부응축기-모세관2-밸브3-내부응축기-밸브4-냉동기를 순환하는 사이클인데, 이 때 내부응축기는 그 역할이 증발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역시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저온의 냉매를 열교환시켜 그 하우징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것이다. 응축기는 크게 열교환기이므로 이러한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며, 오작동의 위험을 방지하며, 최소의 에너지로 작동되며, 악취나 오폐수의생의 문제점이 없으며, 설치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냄새제거장치 등의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복수개의 단으로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열풍이 음식물 쓰레기 전반에 걸쳐 골고루 미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냉장기능이 있어 적은 양의 쓰레기를 처리하기 전이나, 처리 후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전까지 부패 없이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냉매가 유동하여 주위의 열을 수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평행하게 이격된 내부응축기를 포함하는 냉각사이클부재;
    상기 냉각사이클부재의 증발기의 하단에 위치되어 수분을 포함한 주위 공기의 온도가 낮아져서 형성되는 수분이 통과되는 수분통과공을 가지는 수분흐름판;
    상기 수분흐름판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수용된 수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물받이;
    상기 내부응축기의 상방에 위치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 및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각 단 사이에는 관통공을 가지는 격벽으로 구획되며, 제일 아래에 위치된 격벽에 형성된 관통공의 위치와 그 인접된 바로 위에 위치된 격벽에 형성된 관통공의 위치가 반대로 형성되어 제일 아랫단으로부터 위단으로 갈수록 공기가 지그재그 형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 중 제일 위쪽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내부응축기 및 증발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재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제1수직판에 결합되며, 제1공기유동홈을 그 일측면에 가지며, 그 표면에는 제1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그 파여진 부분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제1수평판과,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1돌기수용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를 구비하는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음식물 쓰레기 수용단;과,
    상기 제1수직판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2수직판과,
    상기 제2수직판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제2수직판에 결합되며, 제2공기유동홈을 상기 제1공기유동홈이 위치된 면과 반대면에 가지며, 그 표면에는 제2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그 파여진 부분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제2수평판과,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2돌기수용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음식물 쓰레기 수용단;과,
    상기 제2수직판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3수직판과,
    상기 제3수직판의 길이중심선과 교차되는 길이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제3수직판에 결합되며, 제3공기유동홈을 상기 제2공기유동홈이 위치된 면과 반대면에 가지 며, 그 표면에는 제3돌기수용홈이 형성되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그 파여진 부분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제3수평판과,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각 면은 그물망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3돌기수용홈에 삽입되는 제3돌기를 구비하는 제3수용부를 포함하는 제3음식물 쓰레기 수용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통로에 위치되는 격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응축기와 증발기로 진입되는 공기를 각각 분할하는 풍향조절판;과,
    상기 풍향조절판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응축기와 증발기로 진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밸브;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송풍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55 ?? 이상이면 상기 공기를 상기 증발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더 많이 유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사이클부재는, 일기관인 냉동기와 밸브1과 밸브2와 내부응축기와 외부응축기와 밸브3과 밸브4와 증발기와 모세관1과 모세관2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건조시킬 때에는 냉동기-밸브1-내부응축기-체크밸브-외부응축기-모세관1-증발기-냉동기를 순환하는 사이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냉장보관할 때에는 냉동기-밸브2-외부응축기-모세관1-증발기-냉동기를 순환하는 사이클과,
    냉동기-밸브2-외부응축기-모세관2-밸브3-내부응축기-밸브4-냉동기를 순환하는 사이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응축기는 그 내부에 자체 온도센서 및 냉각팬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응축기의 자체 온도가 40 ??이상 일 때 냉각팬이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내부온도가 이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20060054407A 2006-06-16 2006-06-16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85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407A KR100854595B1 (ko) 2006-06-16 2006-06-16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PCT/KR2007/002107 WO2007145426A1 (en) 2006-06-16 2007-04-28 Drying apparatus for food tr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407A KR100854595B1 (ko) 2006-06-16 2006-06-16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889A true KR20070119889A (ko) 2007-12-21
KR100854595B1 KR100854595B1 (ko) 2008-08-28

Family

ID=3883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407A KR100854595B1 (ko) 2006-06-16 2006-06-16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54595B1 (ko)
WO (1) WO200714542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44B1 (ko) * 2008-03-21 2010-09-15 조부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51692Y1 (ko) * 2008-08-26 2011-01-05 (주)원봉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
CN108088180A (zh) * 2017-12-13 2018-05-29 南宁致侨农业有限公司 农作物烘干装置
KR20200046426A (ko) * 2018-10-24 2020-05-07 (주)에이제이컴퍼니 음식 쓰레기 냉장고
CN115978935A (zh) * 2023-02-07 2023-04-18 江阴市腾达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受热均匀的链式烘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067B1 (ko) * 2009-02-11 2009-06-04 김학건 음식물 건조기
KR102500814B1 (ko) * 2022-06-20 2023-02-16 주식회사 지씨셀 혈액 여지 건조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273B1 (ko) * 1996-11-26 1999-04-01 전병관 가정용 소형 폐기물 건조기
KR19980043569A (ko) * 1996-12-04 1998-09-05 신창균 건조기
JPH11287560A (ja) * 1998-04-02 1999-10-19 Toyo Plant:Kk 回転式真空乾燥機
KR200195384Y1 (ko) * 2000-04-06 2000-09-01 박주성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JP3671826B2 (ja) * 2000-09-20 2005-07-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有機廃棄物処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44B1 (ko) * 2008-03-21 2010-09-15 조부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51692Y1 (ko) * 2008-08-26 2011-01-05 (주)원봉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
CN108088180A (zh) * 2017-12-13 2018-05-29 南宁致侨农业有限公司 农作物烘干装置
KR20200046426A (ko) * 2018-10-24 2020-05-07 (주)에이제이컴퍼니 음식 쓰레기 냉장고
CN115978935A (zh) * 2023-02-07 2023-04-18 江阴市腾达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受热均匀的链式烘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5426A1 (en) 2007-12-21
KR100854595B1 (ko)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595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RU2374573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0898930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229156B1 (ko) 복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RU2382297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системой испарения конденсата
US20120292008A1 (en) Integrated energy recovery systems
KR101882216B1 (ko) 농수산물 상온 유지 제습 건조기
KR20160034469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JP4697970B2 (ja) 米保冷庫
KR101711337B1 (ko) 열대기후용 고효율 에어워터 시스템
JP2004116846A (ja) 乾燥システム
US6076271A (en) Garbage disposer
KR10094221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10125948A (ko) 압력상승방지 버퍼 유닛을 구비한 음식물처리기
US3364590A (en) Dryer unit
KR20180138486A (ko) 제습기
KR101431580B1 (ko) 제습 장치
KR20180065733A (ko) 정수기
KR10125350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81461B1 (ko) 이동식 히트펌프의 응축수 처리구조
CA2924886A1 (en) Modular assembly for regulating moisture and temperature of content in a container
KR20210124766A (ko) 제빙 유닛
KR100972817B1 (ko) 음식물쓰레기 냉장보관 및 건조장치
CN108613541A (zh) 一种吸收开水能量的除湿供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