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544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544B1
KR100982544B1 KR1020080026300A KR20080026300A KR100982544B1 KR 100982544 B1 KR100982544 B1 KR 100982544B1 KR 1020080026300 A KR1020080026300 A KR 1020080026300A KR 20080026300 A KR20080026300 A KR 20080026300A KR 100982544 B1 KR100982544 B1 KR 10098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guide tube
heater
cas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834A (ko
Inventor
조부제
Original Assignee
조부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부제 filed Critical 조부제
Priority to KR102008002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4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2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having means for operating 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6Dustp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7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20Temperature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음식물과 수분을 분리하고 수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건조시켜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건조된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별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되, 투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내관과,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안내관을 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장치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aparatus for treating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음식물과 수분을 분리하고 수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건조시켜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건조된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별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대형 음식업소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대부분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일반 쓰레기와 함께 매립하여 폐기처리할 경우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면서 침출수와 악취가 발생하여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한편 병해충이 번식하여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일반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 및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 등을 각각 별도로 분리하여 수거하고 있으며, 여기서 음식물쓰레기는 가정이나 음식업소에서 수분이 어느정도 제거된 상태로 탈수시켜 음식물 쓰레기통에 담아서 음식물 수거차량이 수거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음식물쓰레기는 설거지를 하거나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에서 싱 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음식물홀더에서 오수가 걸러져 모아지고, 상기 음식물홀더에 음식물쓰레기가 어느정도 모아지면 음식물홀더에서 음식물 쓰레기통으로 옮겨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싱크대의 음식물홀더에 모아진 음식물쓰레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초래하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통으로 옮겨진 음식물쓰레기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패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한편 병해충이 번식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주방의 싱크대 아래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및 분쇄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이는 한편 부패와 악취를 줄이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7179호(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제20-0384872호(음식폐기물 처리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싱크대 아래의 수납공간에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하우징조립체가 설치되고, 하우징조립체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가 설치된 한편 하우징조립체에서 탈수된 오수가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배수라인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내부에서 스크류의 회전으로 압축과정을 거쳐 탈수 및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일측에 설치된 수거함에 담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선행된 기술은 목적하는 바와 같이, 스크류의 회전에 의한 압축과정으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및 분쇄하여 부피를 축소하는 한편 부패와 악취의 발생 을 줄이고 있으나,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라 하더라도 미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을 경우 부패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뒤따르고, 특히 음식물쓰레기에서 탈수된 오수는 염분과 기름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하수를 더욱 오염시키므로 하수의 정화처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싱크대에 설치하여 하수구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으로, 음식점 등과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배출되는 장소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다 처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볼 형상의 망체에 수납한 후에 스크류 형상의 안내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분리되어 별도의 오수받이에 모이게 되고 수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송풍기와 히터의 열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여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안내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분의 제거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저장부가 배출구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저장부로 떨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히터열을 송풍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를 통하여 안내관의 토출구를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잘 이루어지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및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안내관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단계별로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볼 형상의 망체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한 후에 이동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흩어지지 않게 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때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안내관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되, 투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내관과,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에 설치되어안내관을 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안내관의 투입구가 외부로 연통되게 하여 이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안내관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를 향하는 투입구와 하부를 향하는 토출구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내관의 하부에는 오수배출공이 형성되고, 이 오수배출공에 그물망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수배출공의 하부에는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오수를 받는 오수받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 오수받이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관의 토출구의 하부에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모이는 저장부가 더 구비된 것들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는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되는 오물받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오물받이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부에는 안내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 는 히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히터는 상기 안내관의 토출구를 통하여 히터열이 공급되고, 상기 안내관으로 공급된 히터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히터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히터는 음식물 쓰레기가 쌓여 저장되는 저장부 상단에 외측과 연계되게 되고 상기 히터관은 오수받이와 연계되게 구비되며, 상기 히터관의 끝단부에는 송풍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관의 투입구로 수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토출구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안내관의 직경 크기를 가지는 원판형의 가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중앙부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동수단은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볼 형상의 망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망체는 일측이 경첩으로 서로 연결되고, 타측부에 잠금부재가 구비된 제1,2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안내관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안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에 체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체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와 일체로 형성된 링부재가 형성되고, 이 링부재에 체결 고정되는 망으로 형성된 구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안내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체결구의 양끝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에는 온도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에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볼 형상의 망체에 수납한 후에 스크류 형상의 안내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분리되어 별도의 오수받이에 모이게 되고 수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송풍기와 히터의 열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여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내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분의 제거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가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저장부로 떨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터열을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를 통하여 안내관의 토출구를 통하여 공급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잘 이루어지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및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내관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단계별로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 형상의 망체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한 후에 이동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흩어지지 않게 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때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안내관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공간부에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히터의 작동시에 일정 온도가 되면 이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히터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안내관과 히터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저장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내부에 공간부(112)가 형성된 케이스(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킹이 구비되어 닫았을 때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뚜껑(1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되되, 투입구(122)와 토출구(124)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122)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면서 수분이 분리 제거됨과 동시에 건조되어 토출구(124)로 배출되는 안내관(1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120)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되, 투입구(122)는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토출구(124)는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즉, 상기 투입구(122)가 토출구(124)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안내관(120)의 투입구(122)는 상기 케이스(110)의 뚜껑(114)과 연계되게 설치되어 상기 뚜껑(114)의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안내관(120)의 투입구(122)가 개폐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토출구(124)의 하부에는 건조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저장하는 저장부(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토출구(124)와 서로 연통되게 구비된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부에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되는 오물받이(13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10)에는 상기 오물받이(132)에 모인 오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인출구(116)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120)의 도넛 형상 중 제일 하단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된 오수가 상기 안내관(1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오수배출공(126)이 형성되되, 상기 오수배출공(126)에는 오수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물망(126a)에 의해 커버 된다.
여기서, 상기 오수배출공(126)의 하단부에는 오수배출공(126)과 연결관(136)에 의해 연통되는 오수받이(134)가 더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오수받이(134)는 서랍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10)에 이 오수받이(134)가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인출구(116a)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관(120)을 통해 이동되는 중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분리되어 상기 오수배출공(126)으로 배출되고, 이 오수배출공(126)으로 배출된 오수는 상기 오수받이(134)에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오수받이(134)와 연계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별도의 호스(미도시)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오수를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관(120)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14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140)는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 저장하는 저장부(130)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110)에 흡입공(119)이 형성되고, 이 흡입공(119)과 연계되게 히터(140)가 구비되어 히터열을 상기 저장부(130)의 오물받이(132)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되는 흡입공(119)에는 필터(119a)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안내관(120)의 오수배출공(126)과 오수받이(134)를 서로 연결 시켜주는 연결관(136)에는 상기 히터로부터 공급된 히터열을 가이드하는 히터관(142)이 형성되고, 이 히터관(142)은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부(112)를 통과하여 상단부 소정의 위치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36)에 연결되는 히터관(142)은 상기 연결관(136)과 연결된 후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음식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히터관(14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히터관(142)의 끝단부, 즉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부(112) 상단에 위치한 히터관(142)의 끝단부에는 송풍기(144)가 더 구비되어 히터(140)로부터 공급되는 히터열이 안내관(120)의 투입구(122)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오수배출공(126)을 통하여 안내관(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40)와 송풍기(144)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히터(140)로부터 오물받이(132)로 공급된 히터열은 상기 안내관(120)의 토출구(124)를 통하여 역류하면서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이 안내관(120)을 역류하는 히터열은 상기 오수배출공(126)을 통하여 안내관(120)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 히터열은 다시 히터관(142)을 통하여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히터관(142)을 통하여 히터열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부(112)를 통하여 상단부로 이동하여 배출되므로, 이 케이스(110)의 공간부(112)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히터열에 의해 케이스(110)의 공간부(112) 전 체에 히터열이 골고루 가해지게 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120)의 투입구(122)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토출구(12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5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150)은 상기 안내관(120)의 내경과 동일 또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의 가압부재(152)가 구비되고, 이 가압부재(152)의 중앙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1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관(12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에 상기 손잡이(154)를 파지한 상태에서 가압부재(152)를 안내관(120)의 투입구에 삽입 후 밀어주는 방식으로 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동작을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는 순차적으로 토출구(124)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히터열에 의해 건조되어 토출구(124)를 통하여 오물받이(132)에 모이게 되고, 모인 음식물 쓰레기는 오물받이(132)를 케이스(110)로부터 인출하여 처리하면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부(112)에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8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센서(180)는 상기 저장부(130)의 상부에 구비되어 히터(140)로부터 발생되는 히터열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온도감지센서(180)에서 감지한 온도를 케이스(110)의 외측에서 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부에 표시창(미도시)을 더 설치할 수도 있 다.
따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180)를 더 구비함으로써, 히터(140)의 작동시에 히터(140)의 열에 의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설정 온도 이상이 되게 되면 상기 온도감지센서(180)가 이를 감지하여 히터(140)의 작동을 차단하게 되어 화재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관(120)의 내주면에는 코팅층(123)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120)으로 투입되어 오수가 분리되면서 이동하는 음식물이 안내관(12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관(120)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히터열이 순환되는 상태를 보인 전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먼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케이스(110)에 구비된 뚜껑(114)을 개방시킨 후 이 투입구(122)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면 안내관(120)의 내측에 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관(120)의 오수배출공(126)의 상측으로 적층되게 싸인 음식 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분리되어 오수배출공(126)을 통하여 상기 오수받이(134)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에 어느 정도, 즉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관(120)의 하단부에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쌓이기 시작하여 투입구(122)까지 음식물 쓰레기가 쌓이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이동수단(150)의 가압부재(152)를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에 삽입하여 손잡이(154)를 파지한 상태에서 밀어주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이 가압력에 의해 안내관(120)의 토출구(12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관(120)의 토출구(124)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상부로 경사진 안내관(120)의 내측을 통과하거나 정체하여 있는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수분은 오수받이(134)에 모이게 되고, 미쳐 분리되지 않은 수분은 상기 오수배출공(126)을 통과한 후에 완전히 분리되며, 이렇게 수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토출구(124)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안내관(120)의 토출구(124)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토출구(124)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미처 분리되지 못한 수분은 송풍기(144)와 히터(140)의 열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어 상기 오수배출공(126)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내관(120)의 외부로 배출되어 오물받이(132)에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관(1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오수받이(134)에 모인 오수는 상기 오수받이(134)를 케이스(110)의 인출 구(116a)를 통하여 인출 후 처리하면 된다.
한편,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수분이 분리되는 단계에서 상기 히터(140)와 송풍기(144)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히터열은 오물받이(132)를 통하여 상기 안내관(120)의 토출구(124)로 흡입되고, 이 과정에서 안내관(120)에 수용되어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게 되며, 이렇게 순차적으로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으로 역류하여 오수배출공(126)으로 배출된 히터열은 히터관(142)을 통하여 송풍기(144)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에 수용되어 히터열에 의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토출구(124)를 통하여 배출되어 오물받이(132)에 쌓이게 되고, 오물받이(132)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에는 상기 히터(140)의 작동시에 히터열이 가해져 미쳐 건조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하게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144)에 의해 히터관(1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부(112)를 순회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부(112)에 열이 잔류하게 되어 이 열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120)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히터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1차 건조되고, 상기 안내관(120)에서 1차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오물받이(132)에서 건조시키며, 또한 케이스(110)의 공간부(112)에 잔류하는 열기에 의해 안내관(120)을 가열시키게 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전하게 건조되어 오물받이(132)에 모인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오물받이(132)를 케이스의 인출구(116)를 통하여 인출한 후 처리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관(120)을 통하여 이동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분리함과 동시에 건조시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가정이나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배출되는 음식점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더라도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이동수단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음식물 쓰레기 이동수단(160)은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볼 형상의 망체(16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망체(162)는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제1,2망(164)(164a)으로 나누어지고, 이 제1,2망(164)(164a)은 일측부가 경첩(166)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첩(166)의 반대 방향에는 잠금부재(168)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망체(162)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은 후에 잠금부재(168)를 이용 제1,2망(164)(164a)이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상태에서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으로 수용될 때 음식물 쓰레기가 망체(162)에 담긴 상태에서 수분이 분리되고, 또한 건조됨과 동시에 오물받이(132)에 되므로 건조된 물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작용하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를 망체(162)의 제1,2망(164)(164a)을 열고 이 망체(162)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은 후에 잠금부재(168)를 이용하여 제1,2망(164)(164a)을 체결 고정시킨 다음 상기 안내관(120)에 수용시키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가 흐트러지지않고 상기 망체(162)에 담긴 상태로 이동되면서 수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히터열에 의해 건조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망체(162)에 담긴 상태로 건조되어 상기 오물받이(132)로 이동된 망체(162)를 인출시켜 망체(162)의 내측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후에 다시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상기 안내관(120)의 투입구(122)로 투입하는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이동수단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이동수단(170)은 상기 안내관(120)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안내레일(121)이 형성되고, 이 안내레일(121)에 체결되는 가이드홈(175)이 형성된 체결구(174)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174)와 일체로 형성된 링부재(176)가 형성되고, 이 링부재(176)의 내측에 체결 고정되는 망(177)이 형성된 구획체(17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체(172)의 체결구(174)는 상기 안내관(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74)의 연장 끝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가이드홈(17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관(120)의 안내레일(121)에 체결구(174)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체(172)가 이동할 때 곡선으로 형성된 안내관(12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구(174)를 안내관(120)과 동일한 원호의 곡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구획체(172)의 가이드홈(175)을 상기 안내관(120)의 안내레일(121)에 끼운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이웃하는 상기 구획체(172)를 다시 상기 안내관(120)의 안내레일(121)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하여 층층이 음식물 쓰레기를 구획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잘 이동하게 되고, 이웃하는 이동수단(170)인 링부재(176)의 앞쪽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해주게 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수분이 분리됨과 동시에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구획체(172)와 같이 토출구(124)를 통하여 상기 오물받이(132)에 떨어지게 되고, 상기 오물받이(132)에 떨어진 구획체(172)는 다시 상기 안내관(120)의 투입구(122)를 통하여 안내레일(121)에 체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하여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동시에 건조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음식물과 수분을 분리하고 수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건조시켜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건조된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별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내관과 히터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저장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히터열이 순환되는 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의 이동수단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이동수단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0 : 케이스
112 : 공간부 114 : 뚜껑
116, 116a : 인출구 120 : 안내관
122 : 투입구 124 : 토출구
126 : 오수배출공 126a : 그물망
130 : 저장부 132 : 오물받이
134 : 오수받이 136 : 연결관
140 : 히터 142 : 히터관
144 : 송풍기 150, 160, 170 : 이동수단
152 : 가압부재 154 : 손잡이
162 : 망체 164, 164a : 제1,2망
166 : 경첩 168 : 잠금부재
172 : 구획체 174 : 체결구
175 : 가이드홈 176 : 링부재
177 : 망 180 : 온도감지센서

Claims (18)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되, 투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되, 투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는 오수배출공이 형성되고, 이 오수배출공에 그물망이 장착된 안내관과,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안내관을 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안내관의 투입구가 외부로 연통되게 하여 이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를 향하는 투입구와 하부를 향하는 토출구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배출공의 하부에는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오수를 받는 오수받이가 구비되고, 상기케이스에 오수받이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토출구의 하부에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모이는 저장부가 더 구비된 것들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되는 오물받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오물받이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키는 히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안내관의 토출구를 통하여 히터열이 공급되고, 상기 안내 관으로 공급된 히터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히터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음식물 쓰레기가 쌓여 저장되는 저장부 상단에 외측과 연계되게 되고 상기 히터관는 오수받이와 연계되게 구비되며, 상기 히터관의 끝단부에는 송풍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투입구로 수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토출구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안내관의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판형의 가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중앙부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볼 형상의 망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일측이 경첩으로 서로 연결되고, 타측부에 잠금부재가 구비된 제1,2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안내관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안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에 체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체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와 일체로 형성된 링부재가 형성되고, 이 링부재에 체결 고정되는 망으로 형성된 구획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안내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체결구의 양끝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에는 온도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에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80026300A 2008-03-21 2008-03-2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8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00A KR100982544B1 (ko) 2008-03-21 2008-03-2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00A KR100982544B1 (ko) 2008-03-21 2008-03-2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34A KR20090100834A (ko) 2009-09-24
KR100982544B1 true KR100982544B1 (ko) 2010-09-15

Family

ID=4135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300A KR100982544B1 (ko) 2008-03-21 2008-03-2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5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004B1 (ko) * 2000-06-16 2002-12-12 대영공업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119889A (ko) * 2006-06-16 2007-12-21 임재숙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004B1 (ko) * 2000-06-16 2002-12-12 대영공업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119889A (ko) * 2006-06-16 2007-12-21 임재숙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34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8585302A (zh) 一种环保用生活污水处理设备
KR20041000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8254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07164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23358B1 (ko) 싱크대에 적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9007541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필터조립체
KR1008536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186965B1 (ko) 음식 폐기물 여과건조장치 및 그 방법
JP4341850B1 (ja) 集合住宅用生ごみ処理活用システム
KR20038868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09374B1 (ko) 음식물쓰레기 옥외 배출 및 수거 장치
KR1008256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9308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N218516238U (zh) 一种污水处理器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90026593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81109B1 (ko)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이 별도로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건조기
CN208517152U (zh) 一种环保用生活污水处理设备
KR20150058584A (ko) 배수 재순환식 냉동식 음식물 처리기
KR100766014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0249135Y1 (ko)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 처리장치
KR20020083304A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