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703A -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이를 포함한 하우징 및 오디오및/또는 비디오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이를 포함한 하우징 및 오디오및/또는 비디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703A
KR20070119703A KR1020077023745A KR20077023745A KR20070119703A KR 20070119703 A KR20070119703 A KR 20070119703A KR 1020077023745 A KR1020077023745 A KR 1020077023745A KR 20077023745 A KR20077023745 A KR 20077023745A KR 20070119703 A KR20070119703 A KR 20070119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dspeaker
sound
frequency range
radial surf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엠. 이. 코리넨
Original Assignee
피에스에스 벨기에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에스 벨기에 엔브이 filed Critical 피에스에스 벨기에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119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라우드스피커(5) 및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라우드스피커(7)를 갖는 프레임(3)을 포함한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1) - 주파수 범위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를 가짐 - 를 개시한다. 제1 라우드스피커는 최대 1000 m2의 제1 방사면(5a)을 갖고, 제2 라우드스피커는 제2 방사면(7a)을 갖고, 제1 방사면의 중앙 영역(5b)과 제2 방사면의 중앙 영역(7b)은 서로 수직 거리 d에 위치한다. 고품질 사운드를 얻기 위해, 파라미터 fc 및 d는 다음 값을 갖는다: 750 Hz < fc < 3000 Hz이고, d > 2.λfcfc는 fc에서 재생된 사운드의 파장임)이며, 750 mm < d <3000 mm이다.
사운드, 라우드스피커, 크로스오버 주파수, 사운드 파장, 방사면

Description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이를 포함한 하우징 및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A MULTIPLE LOUDSPEAKER DEVICE}
본 발명은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라우드스피커 및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라우드스피커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분야에서는, 이상적인 라우드스피커를 왜곡이나 압축 없이 20 Hz 내지 20 kHz 범위의 완전(full) 가청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아주 작은 맥동 점음원(point source)에 의해서만 근사화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단일의 완전범위(full-range) 라우드스피커는 항상 성능면에서 절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이유로,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라우드스피커와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라우드스피커인 2개의 라우드스피커의 구성을 이용하여, 각각의 라우드스피커가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는 고품질 오디오를 재생한다. 최근 교시 내용에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라우드스피커를 서로 가깝게 배치하여, 이상적인 완전범위 점음원에 근사화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가 이상적인 것은 아니고, 크로스오버 주파수 근방에서 음향 위상, 레벨 및 전력 불규칙성을 나타내어, 재생된 사운드에서 블러(blur)와 컬러레이션(coloration)을 일으킨다. 본원에서, "크로스오버 주파수"란 용어는, 제1 라우드스피커의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및/또는 음향적으로 감소된 사운드 레벨과 제2 라우드스피커의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및/또는 음향적으로 감소된 사운드 레벨이 같고, 제1 및 제2 라우드스피커의 결합체(combination)의 음압 레벨이 상기 결합체로부터 적어도 3 미터 떨어진 거리에서의 측정 시 사실상 균형을 이루는 주파수를 의미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전기적 필터는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제1 스피커(트위터) 또는 제2 스피커(우퍼)에 적절한 주파수들을 전달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들에서 사운드 레벨을 줄이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유사한 장치에 비해 품질이 개선된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는,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라우드스피커 및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라우드스피커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주파수 범위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를 갖고, 제1 라우드스피커는 최대 1000 mm2의 제1 방사면을 갖고, 제2 라우드스피커는 제2 방사면을 가지며, 제1 방사면의 중앙 영역과 제2 방사면의 중앙 영역은 적어도 사용 동안에 서로에 대해 수직 거리 d 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여기서, 750 Hz ≤ fc ≤ 3000 Hz이고, d ≥ 2.λfc이며, λfc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재생된 사운드의 파장이며, d는 최소 750 mm 내지 최대 3000 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장치에 적용된 수단은 새로운 설계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바람직하게는, 제2 라우드스피커의 사운드와 제1 라우드스피커의 직접음(direct sound) 간의 간섭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맥에서, 본원에 개시된 "직접음"이란 용어는 반사 없이 음원으로부터 직접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는 사운드를 의미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라우드스피커로부터 일정한 최소 거리 d만큼 떨어져 있는 제2 라우드스피커의 위치로 인해, 간섭의 감소를 얻을 수 있다. 명확히 하기 위해, 정상 사용 상태에서 제1 라우드스피커는 제2 라우드스피커 위에 위치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마루 등의 격벽 근방에 제2 라우드스피커를 배치함으로써, 양쪽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가 서로 교차하는 장소들에서 확산음(diffuse sound)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본원의 "확산음"이란 용어는 반사 후에 음원으로부터 직접적이지 않게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는 사운드를 의미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장치의 음질은 유사한 최신 라우드스피커 장치에 비해 선명도, 명료도 및 홀로그래픽 이미징의 관점에서 개선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장치는 오디오 재생뿐만 아니라 TV,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사운드 강화를 위한 고충실도(high fidelity) 장치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은 멀티웨이 라우드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련된 최신 설계 및 성능 제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1000 Hz ≤ fc ≤ 2000 Hz이고, d ≥ 3.λfc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000 Hz ≤ fc ≤ 1500 Hz이다.
제2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범위인 저주파수 범위는 공진 주파수에서 크로스오버 주파수까지 확장된다. 제2 라우드스피커는 20 Hz 내지 10 kHz(통상, 50 Hz 내지 5 kHz)인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1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범위인 고주파수 범위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위쪽으로 확장된다. 제1 라우드스피커는 500 Hz 내지 100 kHz(통상, 800 Hz 내지 40 k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거실 마루에 가깝게 위치한 한 쌍의 상술한 제2 라우드스피커 및 상기 제2 라우드스피커 위에 필요한 거리 d만큼 떨어져 위치한 한 쌍의 상술한 제1 라우드스피커를 갖는 스테레오포닉 구성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루 근방 영역에 국한된 저주파수 성분과 더 높은 위치에 국한된 고주파수 성분에서 재생된 스테레오 사운드(음악) 이미지의 예상되는 분리 대신에, 놀랍게도, 스테레오 사운드 이미지는 재생된 사운드의 주파수 성분에 관계없이 제1 라우드스피커의 바로 아래(또는 근방) 수직면에 매우 안정되게 위치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더욱 놀랍게도, 명료도, 스테이징(staging), 균일도 및 투명도의 관점에서 사운드 재생의 초고음질이 얻어지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 이미징의 진정한 센세이션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의 특정 파라미터로는 1 kHz의 크로스오버 주파수; 한 쌍의 제1 라우드스피커와 한 쌍의 제2 라우드스피커 간의 1 m의 수직 거리 d; 및 유효 직경이 30 mm인 돔형상 멤브레인을 각각 갖는 제1 라우드스피커의 이용이 있다.
완전성을 위해, 본원에서는 제1 라우드스피커가 현재의 원리에 따라 제2 라우드스피커에 가깝게 설치되지만, 기타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고 동일 필터와 동일 컴포넌트를 사용한다면, 상술한 구성의 홀로그래픽 능력이 완전히 없어진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스테레오 이미지를 제외하면, 제2 라우드스피커 위에 필요한 거리 d만큼 떨어져 위치한 상술한 제1 라우드스피커와 거실 마루에 가깝게 위치한 상술한 제2 라우드스피커를 갖는 모노포닉 구성을 이용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장치의 실시예는 제1 라우드스피커의 제1 방사면이 원형 외곽선을 갖고 최대 35 mm의 직경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이유 때문에, 직접 방사면은 돔 형상 멤브레인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원칙적으로, 이 하우징은 상기 문단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인식에 기초하고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제2 라우드스피커(들)이 제1 라우드스피커(들)과의 간섭이 없거나 최소의 간섭만이 존재하는 거리만큼 제1 라우드스피커(들)에 대해 위치해야 한다는 사항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은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라우드스피커와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라우드스피커의 세트를 포함하고, 주파수 범위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를 규정하고, 제1 라우드스피커는 하우징의 제1 위치(바람직하게는, 정면)에 설치되며 최대 1000 mm2의 제1 방사면을 갖고, 제2 라우드스피커는 하우징의 제2 면(제1 면이 아님)에 설치되며 제2 방사면을 갖고, 제1 방사면의 중앙 영역과 제2 방사면의 중앙 영역은 적어도 사용 동안에 서로에 대해 수직 거리 d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여기서, 750 Hz ≤ fc ≤ 3000 Hz, 바람직하게는 1000 Hz ≤ fc ≤ 2000 Hz, 더욱 상세하게는 1000 Hz ≤ fc ≤ 1500 Hz이고, 150mm ≤ d ≤ 1000 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그 하우징의 구현예의 바람직한 파라미터는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9에서 공식화 및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의 각각의 특별한 놀라운 특징은, 제1 라우드스피커(들)이 직접음 필드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고, 제2 라우드스피커(들)이 반사 후에 얻어진 필드인 확산음 필드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구성된 라우드스피커 구성을 갖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은 장치 자체의 하우징이거나 서브하우징의 일 유형일 수 있다. 원리를 적용한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음질은 하이엔드(high-end) 레벨을 갖는다. 본원의 문맥에서, 비디오 장치는 모니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과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독일의 실용 또는 종속 특허(German Gebrauchsmuster) 번호 제83 04 832호에서는 TV 장치 내의 라우드스피커 구성을 개시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공지된 구성은 모노 사운드 재생의 경우에 2개 이상의 라우드스피커와 스테레오 사운드 재생의 경우에 3개 이상의 라우드스피커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된 구성은 고주파수 라우드스피커 및 서브우퍼로 지칭되는 저주파수 라우드스피커를 포함하고, 중간 주파수 라우드스피커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고주파수 라우드스피커 및 (만일 존재한다면)중간 주파수 라우드스피커는 TV 장치의 정면 벽 부분으로부터 방사되지만, 40 내지 200 또는 300 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서브우퍼는 공기 구멍(air opening)을 이용하여 TV 장치의 뒤쪽 또는 아래쪽으로부터 방사한다. 따라서, 공지된 TV 장치에서 적용되는 공지된 라우드스피커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적용되는 라우드스피커 구성과 사운드 양태면에서 거의 유사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독일의 실용 또는 종속 특허 번호 제16 87 888호에서는 고주파수 사운드 시스템 및 저주파수 스피커 또는 광대역 시스템을 갖는 라우드스피커 박스를 개시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고주파수 사운드 시스템은, 앞쪽뿐만 아니라 뒤쪽과 같은 기타 방향으로도 약 1000 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사운드를 방사하도록 설계 및 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적용된 고주파수 사운드 시스템은 복수의 방사면을 갖는 특별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특히, 공지된 라우드스피커 박스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구조와 본질적으로 다르다.
본 발명의 청구항을 참조하면, 청구항에서 규정된 여러 특징들의 조합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상세한 예시적인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의 상술한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을 쉽게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V 수상기에 적용된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1)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1)는 받침대(3a) 및 기둥(3b;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 형상 기둥)을 포함하는 프레임(3)을 갖는다. 받침대(3a)의 용도는 마루 등과 같은 한쪽 면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기둥(3b)의 상부 끝에는 트위터로도 지칭되는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방사면(5a)을 갖는 제1 라우드스피커(5)가 제공된다. 기둥(3b)의 하부 끝은 받침대(3a)에 고정된다. 받침대(3a)에는 우퍼로도 지칭되는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방사면(7a)을 갖는 제2 라우드스피커(7)가 제공된다.
트위터(5)는 돔 형상 멤브레인을 갖는 통상의 이용 가능한 트위터일 수 있지만, 그 방사면의 유효 직경이 최대 35 mm(바람직하게는, 그보다 더 적음)일 것을 추가적으로 요구한다. 본 예에서, 유효 방사면의 직경이 30 mm이다. 스피커 구성의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는 1.5 kHz이다. 트위터(5)의 주파수 범위는 900 Hz 내지 30 kHz이고, 우퍼(7)의 주파수 범위는 60 Hz 내지 5 kHz이다. 트위터(5)와 우퍼(7) 간의 최소 요구 거리인, 트위터(5)의 중앙 영역(5b)로부터 우퍼(7)의 중앙 영역(7b)까지 측정한 수직 거리 d는 각각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재생된 사운드의 파장 λfc의 적어도 2배이거나, 달리 표현하면, d ≥ 2.λfc이다. 본 예에서, d는 900 mm이다.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파장 λfc는 공기 중의 음속(약 340 m/s)과 크로스오버 주파수 fc의 비율, 또는 달리 표현하면,
Figure 112007074044505-PCT00001
(m 단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구성에서, 수직 거리 d는 1.1 m이다.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관련한 다음 설명에서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동일 참조 부호를 사용할 것이라는 것을 주목해 야 한다.
도 2에 개시된 실시예는 한쪽 면 상에 고정하기 위한 다리(9)를 갖는 받침대(3a) 및 기둥(3b)을 갖는다. 받침대(3a)에는 상기 면 반대쪽에 위치한 방사면(7a)을 갖는 우퍼(7)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3b)은 라우드스피커 장치의 정면에 있는 청취자를 향해 사운드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면(5a)이 제공되는 트위터(5)를 갖는다.
도 3에 개시된 실시예는 트위터(5)를 수용하는 기둥(3b) 및 수개의 우퍼(7)를 포함한 받침대(3a)를 갖는다.
도 4에 개시된 실시예는 트위터(5) 및 우퍼(7)를 수용하는 직사각형 박스 형상 구조로 구성된 지지체(support) 또는 프레임(3)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운드 효과를 얻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위터(5) 각각은 최대 1000 mm2의 제1 방사면(5a)을 갖고, 모든 경우에 있어서, 거리 d ≥ 2.λfc이고 750 mm ≤ d ≤ 3000 mm이며, 750 Hz ≤ fc ≤ 3000 Hz이다. 스테레오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해, 2개,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의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라우드스피커와 제2 라우드스피커는 각각이 2개 이상의 적당한 스피커로 구성된 유닛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10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 라우드스피커(101)는 그 정면(103a)에 스크린(104)을 갖는 TV 수상기의 TV 하우징(103)으로 구성된다. 본 예에서, 라우드스피커 하우징(101)은 2개의 트위터(105) 및 2개의 우퍼(107)의 라우드스피커 세트를 포함한다. 트위터(105)는 TV 하우징(103)의 정면(103a)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는 방사면(105a)을 가지므로, 정면(103a)으로부터 사운드를 방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우퍼(207)는 그 방사면(107a)이 TV 하우징(103)의 배면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사용 동안에 그 배면으로부터 사운드를 방사하게 된다. 라우드스피커 하우징(101)에 설치된 라우드스피커 세트는 다음 추가적인 요건들을 실현한다: (1) 트위터(105)의 방사면(105a) 각각은 최대 1000 mm2의 크기를 갖고, (2)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는 750 Hz 내지 3000 Hz의 범위에 존재하고 있으며, (3) 한쪽의 트위터(105)와 다른 한쪽의 우퍼(107)는 150 mm 내지 1000 mm 범위의 수직 거리 d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트위터(105)는 돔 형상 트위터이고, 1000 Hz ≤ fc ≤ 1500 Hz이다. 본 예에서, 거리 d는 350 mm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201;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장치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201)는 스탠드(202) 및 스탠드(202)에 의해 지지되며 스크린(204a)을 갖는 평면 스크린 TV 수상기(204)를 갖는다. TV 수상기(204)는 스탠드(202)에 정지식 또는 회전 가능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장치(201)에는 2개의 트위터(205) 및 2개의 우퍼(207)를 포함한 라우드스피커 구성이 제공된다. 트위터(205)는 TV 수상기(204)의 프레임부(204b)의 상위 레벨에 설치되고, 우퍼(207)는 스탠드(202)의 프레임부(202a)의 하위 레벨에 설치된다. 따라서, 우퍼(207)는 마루 영역 근방에 위치한다. 트위터(205)의 방사면(205a)과 우퍼(207)의 방사면(207a) 모두는 장치의 정면 또는 그 근방에, 즉, 평면 스크린(204a)과 사실상 일치하는 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장치(201)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더 갖는다: (1) 트위터(205)는 최대 1000 mm2의 방사면(205a)을 각각 갖고, (2)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는 750 Hz 내지 3000 Hz의 값을 가지며, (3) 트위터(205)의 중앙 영역(205b)은 우퍼(207)의 중앙 영역(207b)으로부터 수직 거리 d에 위치하고, 여기서, 수직 거리 d는 최소 2.λfc이고, λfc란 용어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재생된 사운드의 파장이며, 750 mm ≤ d ≤ 3000 mm이다.
본 실시예에서, 방사 면적은 490 mm2이고, fc는 1700 Hz이며 d는 1000 mm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서브우퍼는 또한 베이스 주파수(bass frequency)만을 재생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우퍼의 주파수 범위는 서브우퍼의 공진 주파수 내지 약 200 Hz일 수 있다.

Claims (28)

  1.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라우드스피커 및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라우드스피커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로서 - 상기 주파수 범위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를 가짐 - ,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는 최대 1000 mm2의 제1 방사면을 갖고, 상기 제2 라우드스피커는 제2 방사면을 갖고, 상기 제1 방사면의 중앙 영역과 상기 제2 방사면의 중앙 영역은, 상기 장치를 사용 중인 것으로 고려할 때, 서로 수직 거리인 거리 d에 위치하고,
    750 Hz ≤ fc ≤ 3000 Hz이며,
    d ≥ 2.λfc이고, 여기서, λfc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재생된 사운드의 파장이며, d는 최소 750 mm 내지 최대 3000 mm인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1000 Hz ≤ fc ≤ 2000 Hz이고, d ≥ 3.λfc인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1000 Hz ≤ fc ≤ 1500 Hz인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 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수 범위는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까지 확장되는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범위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로부터 확장되는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의 상기 제1 방사면은 원형 외곽선 및 최대 35 mm의 직경을 갖는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우드스피커는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 아래에 위치하는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의 상기 제1 방사면은 돔 형상 멤브레인의 일부인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지 1개의 제1 라우드스피커와 1개의 제2 라우드스피커만이 존재하는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10. 스테레오 또는 스테레오 유사 사운드 재생을 위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중 적어도 2개의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시스템.
  11.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라우드스피커와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라우드스피커의 세트를 포함한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으로서 - 상기 주파수 범위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를 규정함 - ,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위치하며 최대 1000 mm2의 제1 방사면을 갖고, 상기 제2 라우드스피커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이 아닌 제2 면에 위치하며 제2 방사면을 갖고, 상기 제1 방사면의 중앙 영역과 상기 제2 방사면의 중앙 영역은 적어도 사용 동안에 서로에 대해 수직 거리 d에 위치하고,
    750 Hz ≤ fc ≤ 3000 Hz이고, 여기서 d는 150 mm 내지 1000 mm인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12. 제11항에 있어서, 1000 Hz ≤ fc ≤ 2000 Hz인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13. 제12항에 있어서, 1000 Hz ≤ fc ≤ 1500 Hz인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수 범위는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까지 확장되는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범위는 상기 크 주파수로부터 확장되는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면은 원형 외곽선 및 최대 35 mm의 직경을 갖는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17.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우드스피커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벽에 설치되는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18.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의 상기제1 방사면은 돔 형상 멤브레인의 일부인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지 1개의 제1 라우드스피커와 1개의 제2 라우드스피커만이 상기 세트를 구성하는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20.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레오 또는 스테레오 유사 사운드 재생을 위해 유사 라우드스피커 세트를 더 포함하는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 우징.
  2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의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로 구성된 라우드스피커 구성, 또는 제10항의 독립형 다중 라우드스피커 시스템, 또는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중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을 갖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
  22. 고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1 라우드스피커 및 저주파수 범위에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제2 라우드스피커를 포함한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가 제공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로서 - 상기 주파수 범위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fc를 가짐 - ,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는 최대 100 mm2의 제1 방사면을 갖고, 상기 제2 라우드스피커는 제2 방사면을 갖고, 상기 제1 방사면의 중앙 영역과 상기 제2 방사면의 중앙 영역은, 상기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를 사용 중인 것으로 고려할 때, 서로 수직 거리인 거리 d에 위치하고,
    750 Hz ≤ fc ≤ 3000 Hz이며,
    d ≥ 2.λfc이고, 여기서, λfc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재생된 사운드의 파장이며, d는 750 mm 내지 3000 mm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1000 Hz ≤ fc ≤ 2000 Hz이고, d ≥ 3.λfc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1000 Hz ≤ fc ≤ 1500 Hz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수 범위는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까지 확장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범위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로부터 확장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
  27.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의 상기 제1 방사면은 원형 외곽선 및 최대 35 mm의 직경을 갖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
  28.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우드스피커는 상기 제1 라우드스피커 아래에 위치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장치.
KR1020077023745A 2005-03-17 2006-01-02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이를 포함한 하우징 및 오디오및/또는 비디오 장치 KR200701197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2091.5 2005-03-17
EP05102091 2005-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703A true KR20070119703A (ko) 2007-12-20

Family

ID=3638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745A KR20070119703A (ko) 2005-03-17 2006-01-02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이를 포함한 하우징 및 오디오및/또는 비디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59572A1 (ko)
EP (1) EP1864548B1 (ko)
JP (1) JP4897785B2 (ko)
KR (1) KR20070119703A (ko)
CN (1) CN101142849A (ko)
WO (1) WO20060978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399A (ko) * 2016-08-18 2018-02-28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18964A (en) * 2006-07-13 2008-04-16 Pss Belgium Nv A loudspeaker system having at least two loudspeaker devices and a unit for processing an audio content signal
JP2010028583A (ja) * 2008-07-22 2010-02-04 Sharp Corp 音声再生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10082583A (ko) 2008-10-28 2011-07-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오디오 스피커 장치
JP2022536741A (ja) 2019-06-11 2022-08-18 エムエスジー 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グループ, エルエルシー 統合型視聴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6718A (en) * 1967-04-17 1970-09-01 David L Beatty Portable speaker assembly for large areas
DE8304832U1 (de) 1983-02-22 1983-06-0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Fernsehgeraet mit internem tieftonlautsprecher
JPH0698237B2 (ja) * 1989-06-08 1994-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US5185801A (en) 1989-12-28 1993-02-09 Meyer Sound Laboratories Incorporated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transient behavior of a two-way loudspeaker system
JP3371161B2 (ja) * 1993-10-01 2003-01-27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
US5642429A (en) * 1995-04-28 1997-06-24 Janssen; Craig N. Sound reproduction system having enhanced low frequency 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tics
US5844176A (en) * 1996-09-19 1998-12-01 Clark; Steven Speaker enclosure having parallel porting channels for mid-range and bass speakers
JPH10200983A (ja) * 1997-01-09 1998-07-31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0050382A (ja) * 1998-07-28 2000-02-18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1202157A (ja) * 2000-01-20 2001-07-27 Nec Yonezawa Ltd 複数のスピーカーを備えた携帯可能な情報処理装置
JP2003111190A (ja) * 2001-10-01 2003-04-11 Foster Electric Co Ltd ドーム型トゥイ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システム
EP1714525A1 (en) * 2004-01-30 2006-10-25 THOMSON Licensing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399A (ko) * 2016-08-18 2018-02-28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4548A1 (en) 2007-12-12
EP1864548B1 (en) 2015-07-08
US20080159572A1 (en) 2008-07-03
JP2008533897A (ja) 2008-08-21
JP4897785B2 (ja) 2012-03-14
CN101142849A (zh) 2008-03-12
WO2006097857A1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4900B2 (en) Speaker system
US8638959B1 (en) Reduced acoustic signature loudspeaker (RSL)
US6343134B1 (en) Loudspeaker and horn with an additional transducer
JPH0610525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用スピーカ
US6625289B1 (en) Stereo loudspeaker system
MX2012004806A (es) Sistema de altavoz, dispositivo de visualizacion de video y receptor de television.
US7590257B1 (en) Axially propagating horn array for a loudspeaker
US7676054B2 (en) Contoured passive radiator and loudspeaker incorporating same
US5754663A (en) Four dimensional acoustical audio system for a homogeneous sound field
US8249268B2 (en) Woofer-less and enclosure-less loudspeaker system
US6038326A (en) Loudspeaker and horn with an additional transducer
KR20070119703A (ko) 다중 라우드스피커 장치, 이를 포함한 하우징 및 오디오및/또는 비디오 장치
JP5215299B2 (ja) 少なくとも2つのスピーカ装置と、音声コンテンツ信号を処理するための1つのユニットとを有するスピーカシステム
US8917881B2 (en) Enclosure-less loudspeaker system
JP2010504655A (ja) ツイーターアレイを有する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システム
JP2010504655A5 (ko)
KR102166407B1 (ko) 라우드 스피커
US20130101146A1 (en) Compact stereo loudspeaker for wall mounting
US5943431A (en) Loudspeaker with tapered slot coupler and sound reproduction system
FI90711C (fi) Televisiovastaanotin
US20240163594A1 (en) Television arrangement
KR100590229B1 (ko) 5.1채널 서라운드 스피커 시스템
KR20050019356A (ko) 전대역 무지향 스피커 시스템
JPH04332298A (ja) スピーカ装置
JP2000354285A (ja) 次世代スピ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