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536A -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536A
KR20070118536A KR1020070055901A KR20070055901A KR20070118536A KR 20070118536 A KR20070118536 A KR 20070118536A KR 1020070055901 A KR1020070055901 A KR 1020070055901A KR 20070055901 A KR20070055901 A KR 20070055901A KR 20070118536 A KR20070118536 A KR 20070118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ductor
antenna element
high frequency
automob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후미 후나츠
아키오 나가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9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in or on other locations inside the vehicle or vehicl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과제
감도를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를 제공한다.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안테나 도체가,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1),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2), 제 1 접속 도체 (3)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를 구비하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1)과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2) 와 제 1 접속 도체 (3) 로 U 자 형상의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1) 와 급전부 (8) 가, 제 2 접속 도체 (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1) 와 제 1 접속 도체 (3) 와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로 루프부가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 유리 안테나, 안테나 도체

Description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A HIGH FREQUENCY GLASS ANTENNA FOR AN AUTOMOBILE}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급전부 (8) 및 어스부 (7) 근방의 창유리판 (12) 부분을 도 2 의 대략 상방으로부터 본 구조도.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예 1 에 있어서의, 주파수-안테나 이득 특성도.
도 6 은 예 1 에 있어서의, 주파수-F/B 비 특성도.
도 7 은 예 1 에 있어서의, P-안테나 이득 특성도.
도 8 은 예 1 에 있어서의, P-F/B 비 특성도.
도 9 는 예 2 에 있어서의, 주파수-안테나 이득 특성도.
도 10 은 예 2 에 있어서의, 주파수-F/B 비 특성도.
도 11 은 예 2 에 있어서의, P-안테나 이득 특성도.
도 12 는 예 2 에 있어서의, P-F/B 비 특성도.
도 13 은 도 1, 2, 4 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 는 예 3 에 있어서의, 주파수-안테나 이득 특성도.
부호의 설명
1 :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2 :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3 : 제 1 접속 도체
4 : 제 2 접속 도체
5 :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
6 : 루프 형성 엘리먼트
7 : 어스부
8 : 급전부
9 : 접지 도체
12 : 창유리판
12a : 차내측 유리판
12b : 차외측 유리판
13 : 창유리판 (12) 의 둘레 가장자리부
18 : 대향 전극
18a : 급전점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70395호
본 발명은, 일본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470∼770MHz), 일본내 UHF 대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470∼770MHz) 또는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698∼806MHz) 의 수신에 적합한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로서, 창유리판에 대략 U 자 형상의 안테나 도체를 설치하고, 안테나 도체의 2 개의 선단부 중 어느 한 쪽에 급전점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도 1∼4 를 참조)
그러나, 이 종래예에서는, 안테나 도체의 구성이 단순하고, 공진 주파수가 1개밖에 없어, 일본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대의 광대역에 대응하지 못하여, 평탄성을 갖는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 의 도 6 에는, 대략 U 자 형상의 안테나 도체의 선단부 근방에 루프부를 설치하여, 광대역화시키고자 하는 양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예에서도 광대역화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 은, 본 발명의 선출원의 출원일 (2006년 6월 12일) 에 있어서, 공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전술한 결점을 해소하여, 종래 공지되어 있지 않은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안테나 도체 및 안테나 도체의 급전부가 자동차용의 창유리판에 설치되어 있고, 급전부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지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에 있어서,
안테나 도체가,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제 1 접속 도체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제 2 안테나 엘리먼트는 제 1 접속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제 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제 1 접속 도체로 U 자 형상, 대략 U 자 형상, J 자 형상 또는 대략 J 자 형상의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중 적어도 일방과 급전부가,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중 적어도 일방과 급전부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제 1 접속 도체 및 급전부에서 선택되는 것 중 하나 이상과 루프 형성 엘리먼트로 루프부가 구성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중 적어도 일방과 급전부가, 제 2 접속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제 1 접속 도체, 제 2 접속 도체 및 급전부에서 선택되는 것 중 하나 이상과 루프 형성 엘리먼트로 루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 나를 제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를 첨부된 도면에 나타내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유리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1 은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2 는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3 은 제 1 접속 도체, 4 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 5 는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 (도 1 에서는 상측의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를 나타내고 있다), 8 은 급전부, 12 는 자동차용의 창유리판, 18 는 대향 전극, 18a 는 대향 전극 (18) 에 형성되어 있는 급전점이다. 이하, 제 1 안테나 엘리먼트를 간단하게 제 1 엘리먼트라고 하고, 제 2 안테나 엘리먼트를 간단하게 제 2 엘리먼트라고 한다.
이하의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향은 도면 상에서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하고, 도 1 은 차 외부에서 볼 때이다. 도 1 에 있어서, 창유리판 (12) 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 도체는, 제 1 엘리먼트 (1), 제 2 엘리먼트 (2), 제 1 접속 도체 (3)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극 안테나 및 쌍극 안테나의 2 종의 양태가 있고, 도 1 에 나타내는 양태는, 단극 안테나이다. 단극 안테나에서는, 급전부 (8) 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 (도시 생략) 에 보내진다. 쌍극 안테나에서는, 급전부 (8) 와 어스부 사이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 (도시 생략) 에 보내진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안테나 도체 및 급전부 (8) 에 대한 설명은, 단극 안테나 및 쌍극 안테나 공통의 설명으로 하고, 접지 도체 (9) 및 어스부 (7) 에 대한 설명은, 쌍극 안테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창유리판 (12) 은, 접착층을 통하여 접착되는 2장의 유리판을 구비하는 적층 창유리판이다. 그 2 장의 유리판은 각각 차내측 유리판과 차외측 유리판이다. 제 1 엘리먼트 (1), 제 2 엘리먼트 (2), 제 1 접속 도체 (3),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급전부 (8)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 (4) 가, 상기 차내측 유리판과 차외측 유리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양태의 예를 들면, 예를 들어, 제 1 엘리먼트 (1), 제 2 엘리먼트 (2), 제 1 접속 도체 (3), 루프 형성 엘리먼트, 급전부 (8)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 (4) 중 하나 이상이, 상기 2 장의 유리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일방에 접착층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급전부 (8) 에 대향하는, 상기 적층 유리판의 차내측의 면 (차내측 유리판의 차내측의 면) 의 부위에 대향 전극 (18) 이 설치되어 있고, 급전부 (8) 의 수신 신호가 용량 결합 및 전자 결합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대향 전극 (18) 에 전송된다. 또한, 대향 전극 (18) 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진다. 또한, 급전부 (8) 로부터 대향 전극 (18) 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 1 엘리먼트 (1), 제 2 엘리먼트 (2), 제 1 접속 도체 (3),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급전부 (8)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 (4) 가, 차내측 유리판의, 접착층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창유리판 (12) 은 적층 유리판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창유리판 (12) 은 1 장의 유리판이어도 된다. 창유리판 (12) 이 1 장의 유리판인 경우에는, 통상, 창유리판 (12) 의 차내측의 면에,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 (4) 가 설치되고, 대향 전극 (18) 은 불필요하고, 급전부 (8) 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엘리먼트 (1) 와 제 2 엘리먼트 (2) 는 제 1 접속 도체 (3) 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1 엘리먼트 (1) 와 제 2 엘리먼트 (2) 와 제 1 접속 도체 (3) 로 U 자 형상, 대략 U 자 형상, J 자 형상 또는 대략 J 자 형상의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엘리먼트 (1)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가, 급전부 (8) 에 제 2 접속 도체 (4) 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엘리먼트 (1)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중 적어도 일방이 급전부 (8) 에 제 2 접속 도체 (4) 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엘리먼트 (1)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중 적어도 일방이 급전부 (8) 에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엘리먼트 (1), 제 1 접속 도체 (3)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에 의해 루프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양태이어도 된다.
제 1 엘리먼트 (1)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중 적어도 일방과, 급전부 (8) 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엘리먼트 (1), 제 1 접속 도체 (3) 및 급전부 (8) 에서 선택되는 것 중 하나 이상과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로 루프부가 구성된다.
제 1 엘리먼트 (1)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중 적어도 일방과, 급전부 (8) 가, 제 2 접속 도체 (4) 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엘리먼트 (1), 제 1 접속 도체 (3), 제 2 접속 도체 (4) 및 급전부 (8) 에서 선택되는 것 중 하나 이상과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로 루프부가 구성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접속 도체 (3) 와는 반대측의 제 1 엘리먼트 (1) 의 선단부가 제 2 접속 도체 (4) 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선단부 근방이 제 2 접속 도체 (4) 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2 접속 도체 (4) 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접속 도체 (3) 와는 반대측의 제 1 엘리먼트 (1) 의 선단부 또는 선단부 근방이 급전부 (8) 에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에 있어서, 제 1 엘리먼트 (1) 는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 (5) 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직선 부분을 가지고 있고, 그 직선 부분은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 (5) 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다. 여기서,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란 창유리판이 끼워 넣어지는 차체의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로서 차체 어스가 되어야 할 부분을 말하고, 예를 들어,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엘리먼트 (1) 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제 1 접속 도체 (3) 와는 반대측에 급전부 (8) 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접속 도체 (3) 의 소정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제 1 엘리먼트 (1) 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가 급전부 (8) 측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다. 급전부 (8) 의 근방에서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가 급전부 (8) 측을 향하여 구부러지거나, 또는, 곡절하여, 제 1 엘리먼트 (1) 의 급전부 (8) 측의 선단부 또는 선단부 근방과 접속되어, 이 접속점이 제 2 접속 도체 (4) 를 통하여 급전부 (8) 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접속점이 직접적으로 급전부 (8) 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차 내부에서 볼 때) 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게, 제 1 엘리먼트 (1), 제 2 엘리먼트 (2), 제 1 접속 도체 (3),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및 급전부 (8) 가, 차내측 유리판과 차외측 유리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게, 대향 전극 (18) 도 차내측 유리판의 차내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고, 급전점 (18a) 이 대향 전극 (18) 에 형성되어 있다.
차내측 유리판의 차내측의 면의 대향 전극 (18) 근방에는, 어스부 (7) 에 설치되어 있다. 대향 전극 (18) 과 어스부 (7) 사이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진다. 어스부 (7) 에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접지 도체 (9) 가 접속되어 있다. 급전부 (8) 와 어스부 (7) 사이의 최단 간격이, 2∼30㎜ 인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 13 은 창유리판 (12) 의 둘레 가장자리부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급전부 (8) 및 어스부 (7) 가, 모두, 창유리판 (12) 의 좌상측의 코너부(角部)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접지 도체 (9) 의 주요부가, 좌측의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어스부 (7) 로부터 하방을 향해 신장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창유리판 (12) 은 1 장의 유리판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1 장의 창유리판 (12) 의 차내측의 면에,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 (4) 가 설치되고, 그 차내측의 면에 급전부 (8) 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어스부 (7)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접지 도체 (9) 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급전부 (8) 와 어스부 (7) 사이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루프부의 임의점과, 그 임의점 이외의 다른 루프부의 점을 접속시키는 단락용 안테나 엘리먼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안테나 이득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도 2 에는 루프부를 등면적 또는 대략 등면적으로 분할하고 있는 단락용 안테나 엘리먼트 (11) 가 나타나 있다. 도 2 에 있어서, 단락용 안테나 엘리먼트 (11) 는, 제 1 엘리먼트 (1) 의 직선 부분과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양태를 채용하면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의 중고역의 안테나 이득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도 3 에서는, 급전부 (8) 및 어스부 (7) 의 근방의 창유리판 (12) 의 부분을 도 2 의 대략 상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창유리판 (12) 이 적층 유리판인 경우에는, 창유리판 (12) 이 차내측 유리판 (12a), 차외측 유리판 (12b), 및, 차내측 유리판 (12a) 과 차외측 유리판 (12b) 사이에 개재하는 합성 수지제의 중간막 (16) 을 구비하고 있다. 차내측 유리판 (12a) 과 차외측 유리판 (12b) 은, 중간막 (16) 에 의해 접착되고, 중간막 (16) 은 접착층으로서 기능한다.
도 3 에서는, 안테나 도체의 모든 부분을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안테나 도체 및 급전부 (8) 가 차내측 유리판 (12a) 의 중간막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안테나 도체 및 급전부 (8) 가 차외측 유리판 (12b) 의 중간막 (16) 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엘리먼트 (1), 제 2 엘리먼트 (2), 제 1 접속 도체 (3),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급전부 (8)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 (4) 중 하나 이상이, 상기 2 장의 유리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일방에 접착층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도체 및 급전부 (8) 가 중간막 (16) 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평면도 (차 내부에서 볼 때) 이다. 도 4 에 있어서, 제 1 엘리먼트 (1) 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제 1 접속 도체 (3) 와는 반대측에 급전부 (8) 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접속 도체 (3) 의 소정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제 1 엘리먼트 (1) 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가 급전부 (8) 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다. 급전부 (8) 의 근방에서 제 1 엘리먼트 (1) 와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가 합류하여, 직접적으로 급전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급전부 (8) 의 근방에서 제 1 엘리먼트 (1) 와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가 합류하여, 합류된 후 제 2 접속 도체를 통하여 급전부에 접속되어도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창유리판 (12) 의 좌상 코너부 근방에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및 대향 전극 (18) 이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 도체 및 급전부 (8) 가 차내측 유리판과 차외측 유리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대향 전극 (18) 은 차내측 유리판의 차내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3 은 도 1, 2, 4 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실시형태이다. U 자 형상, 대략 U 자 형상, J 자 형상 또는 대략 J 자 형상의 도체 패턴을 턴 도체 패턴이라고 할 때, 도 1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엘리먼트 (1) 의 일부와 제 2 엘리먼트 (2) 와 제 1 접속 도체 (3) 로 턴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안테나 도체의 횡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턴 도체 패턴의 양태는 도 13 에 나타내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엘리먼트 (1) 와 제 2 엘리먼트 (2) 의 일부와 제 1 접속 도체 (3) 로 턴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엘리먼트 (1) 의 일부와 제 2 엘리먼트 (2) 의 일부와 제 1 접속 도체 (3) 로 턴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제 1 접속 도체 (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엘리먼트 (1) 가 신장 된 후, 또한, 제 1 엘리먼트 (1) 는 턴 도체 패턴의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신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1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엘리먼트 (1) 는 턴 도체 패턴의 외측 방향으로 직각 또는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신장되어 있다.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접속 도체 (3) 로부터 멀어지는 방 향으로 제 2 엘리먼트 (2) 가 신장된 후, 추가로 제 2 엘리먼트 (2) 가 턴 도체 패턴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신장되고 있다. 이러한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안테나 도체의 횡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본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 1 엘리먼트의 길이가, (1/2)·(359/4)∼(3/2)·(359/4)㎜ 인 것이, 일본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대에 있어서, 중심 주파수로부터 저역의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7·(359/4)∼1.3·(359/4)㎜ 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0.8·(359/4)∼1.2·(359/4)㎜ 이다. 또한, 359㎜ 는, 일본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대에 있어서의 현행 사용 주파수대 (470∼600MHz) 의 중심 주파수 (535MHz) 의 유리에 있어서의 파장이다.
제 1 엘리먼트 (1) 의 길이, 제 1 접속 도체 (3) 의 길이 및 제 2 엘리먼트 (2) 의 길이의 총합의 길이가 (3/2)·(359/4)∼(9/2)·(359/4)㎜ 인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1·(359/4)∼3.9·(359/4)㎜ 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2.4·(359/4)∼3.6·(359/4)㎜이다.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의 중심 주파수에 있어서의 공기 중의 파장을 λ0 이라고 하고, 유리 파장 단축률을 k 라고 하며, k=0.64 로 하고, λg0·k 로 하고, 제 1 엘리먼트 (1) 가 루프부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포함되어 있고, 제 1 엘리먼 트 (1) 의 주요부와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의 주요부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경우에는, 제 1 엘리먼트 (1) 의 주요부와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의 주요부 사이의 간격 P 가, 0.0065λ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 P 가 0.0065λg 이상이면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의 저역 및 고역의 안테나 이득이 향상되어,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의 고역의 F/B 비가 향상된다. 이 범위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161λg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0.0242λg 이상이다.
여기서, 제 1 엘리먼트 (1) 의 주요부란, 제 1 엘리먼트 (1) 의 도체 길이의70% 이상의 길이인 부분을 말한다.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의 주요부란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의 도체 길이의 70% 이상의 길이인 부분을 말한다. 도 1,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엘리먼트 (1) 가 가지고 있는 직선 부분이, 제 1 엘리먼트 (1) 의 주요부이다.
제 1 엘리먼트 (1) 가 루프부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포함되어 있고, 제 1 엘리먼트 (1) 와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사이의 평균 간격이, 0.0065λg 이상인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161λg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0.0242λg 이상이다.
제 2 엘리먼트와 상기 루프 형성 엘리먼트 사이의 평균 간격이, 0.0065λg 이상인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161λg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0.0242λg 이상이다.
제 1 엘리먼트 (1) 와 제 2 엘리먼트 (2) 사이의 간격이, 0.0565λg∼0.170 λg 인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791λg∼0.147λg 이다.
도 1,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접속 도체 (3) 의 형상이, 반원, 대략 반원, 반타원 또는 대략 반타원의 호이며, 이와 같이 하는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접속 도체 (3) 의 형상이, 직선, 곡선과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형상 등이어도 된다.
도 1,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급전부 (8) 가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이고, 급전부 (8) 의 길이 방향이, 제 1 엘리먼트 (1) 의 주요부의 신장 방향 또는 길이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고, 이와 같이 하는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급전부 (8) 의 길이 방향이, 제 1 엘리먼트 (1) 의 주요부의 신장 방향 또는 길이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급전부 (8) 의 길이 방향의 최대 폭이, 0.0727λg∼0.218λg 인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범위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102λg∼0.189λg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향 전극 (18) 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대향 전극 (18) 의 길이 방향의 최대 폭이, 급전부 (8) 의 길이 방향의 최대 폭의 1.03∼1.5 배인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1∼1.3 배이다.
급전부 (8) 및 대향 전극 (18) 이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이고, 급전부 (8) 의 길이 방향과 대향 전극 (18) 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고, 대향 전극 (18) 에 급전점 (18a) 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향 전극 (18) 의 중심보다, 제 1 엘리먼트 (1) 측에 급전점 (18a) 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단극 안테나 및 쌍극 안테나의 2 종의 양태가 있고, 도 1 에 나타내는 양태는, 쌍극 안테나이다. 도 1 에 있어서,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접지 도체 (9) 및 접지 도체 (9) 용의 어스부 (7) 가 창유리판 (12) 에 설치되어 있고, 급전부 (8) 와 어스부 (7) 사이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진다. 도 1 에 있어서, 접지 도체 (9) 및 어스부 (7) 를 설치하지 않고, 급전부 (8) 의 수신 신호를 수신기에 보내도록 하는 양태가 단극 안테나이다. 이후의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 도체 및 급전부 (8) 에 대한 설명은, 단극 안테나 및 쌍극 안테나 공통의 설명으로 하고, 접지 도체 (9) 및 어스부 (7) 에 대한 설명은, 쌍극 안테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창유리판 (12) 이 전방부(前部) 창유리판인 경우에는, 창유리판 (12) 은 수평 방향에 대해, 18∼42°, 특히, 24∼40° 경사져 있는 것이 F/B 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 도체, 제 2 접지 도체 (4), 급전부 (8), 어스부 (7) 및 접지 도체 (9) 중 하나 이상에, 위상 조정용의 도체, 안테나 성능의 조정용의 도체 또는 안테나 성능의 미세 조정용의 도체 등을 부설해도 된다.
대향 전극 (18) 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축케이블 (도시 생략) 의 내부 도체가, 급전점 (18a) 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 전극 (18) 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축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급전부 (8) 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스부 (7)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어스부 (7)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동축케이블은 수신기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또한, 동축케이블을, 급전부 (8) 및 어스부 (7) 에 접속하는 수단은, 납땜 등에 의해 직접 접속하는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해도 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가 설치되는 창유리판 (12) 은, 전방부 창유리판, 후방부 창유리판, 사이드 창유리판 및 루프 창유리판 등 어떠한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창유리판 (12) 으로서, 적층 유리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전방부 창유리판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제 2 접지 도체 (4), 접지 도체 (9) 및 어스부 (7) 는, 은페이스트 등의, 도전성 금속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창유리판 (12) 에 프린트하고, 베이킹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그러나, 이 형성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구리 등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선상체 또는 박상체를, 창유리판 (12) 에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 그 내부 또는 그 표면에 도체층을 형성한 합성 수지제 필름을 창유리판의 차내측 표면, 차외측 표면 또는 적층 유리판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판 사이에 설치하고, 이 도체층을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제 2 접지 도체 (4), 접지 도체 (9) 및 어스부 (7) 로 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창유리판 (12) 의 면 상에 유전체막인 은폐막을 형성하고, 이 은폐막 상에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제 2 접속 도체 (4), 대향 전극 (18), 접지 도체 (9) 및 어스부 (7) 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설치해도 된다. 은폐막은 흑색 세라믹막 등의 세라믹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창유리판 (12) 의 차외측에서 보았을 경우, 은폐막에 의해, 은폐막 상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 도체 등의 부분이 차폐되므로, 차 외부에서 보아 안테나 장치가 보이지 않는 디자인이 우수한 창유리판 (12) 이 된다. 중간막 (16) 의 재질로는, 폴리비닐부티랄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각종 개량이나 변경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 도면을 따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차에 장착된 전방부 창유리판을 이용하여,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 나를 제작하였다 (예 1). 또, 도 4 에 있어서, 도 4 의 안테나 도체 대신에, 도 1 에 나타내는 안테나 도체의 형상을 채용한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예 2). 또한, 자동차에 장착된 전방부 창유리판을 이용하여, 도 13 에 나타내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예 3).
전방부 창유리판으로서 적층 유리판을 이용하였다. 이 적층 유리판의 중간막 (16) 의 재질로는, 폴리비닐부티랄을 이용하였다.
도 4, 13 에 나타내는 예는, 단극 안테나이므로, 이하의 예 1∼3 에 있어서, 접지 도체 (9) 및 어스부 (8) 는 설치하지 않았다.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에 대해서는, 적층 유리판을 전방부 창유리판으로서 이용하여, 이 적층 유리판의 차외측의 면 (적층 유리판을 구성하는 2 장의 유리판의 사이는 아니다) 에, 구리박을 점착제로 접착하여 형성하였다. 대향 전극 (18) 에 대해서는, 이 적층 유리판의 차내측의 면에 구리박을 점착제로 접착하여 형성하였다.
전방부 창유리판은, 수평 방향에 대해, 예 1, 2 : 38.5°, 예 3 : 31°, 각각 경사시켰다. 예 1, 2 에 있어서, 제 1 엘리먼트 (1) 및 제 2 엘리먼트 (2) 는, 수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하였다.
전방부 창유리판의 자동차로의 장착에 대해서는,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 (5) 가 전방부 창유리판의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내측으로, 예 1, 2 : 약 10㎜, 예 3 : 약 30㎜, 각각 들어가도록 하였다.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 (5) 와 전방부 창유리판 사이에 접착제 (두께:약 5㎜) 가 개재하는 구조로, 전방부 창유리판을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 (5) 에 장착하였다.
이하의 각 예에 있어서, 수평편파에 대해 측정하였다. 측정 주파수에 대해서는, 473∼575MHz 에서는 6MHz 마다 측정하고, 587∼767MHz 에서는 18MHz 마다 측정하였다.
동축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급전점 (18a ; 도 13 에서는 도시 생략) 에 접속하고, 그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전방부 창유리판의 근방의 차체 (금속부) 에 접속하였다.
안테나 이득은, 자동차 전방을 0 「제로」° 로 하고, 자동차 좌 방향을 +90° 로 하고, 자동차 후방을 +180°로 하는 경우, 수평 방향의 -90°∼+90°(자동차 정면 (Front)) 의 안테나 이득 평균치 (1°마다) 로 하였다. 후술하는, 모든 특성도에 대해, 상기 안테나 이득의 측정 사양을 적용한다.
F/B 비란, 자동차 전방을 0 「제로」°로 하고, 자동차 좌 방향을 +90°로 하고, 자동차 후방을 +180°로 하는 경우, 수평 방향의 -90°∼+90°(자동차 정면 (Front)) 의 안테나 이득 평균치 (1°마다) 와, 수평 방향의 +90°∼+270° (자동차 배면 (Back)) 의 안테나 이득 평균치 (1°마다) 의 차이를 말한다.
F/B 비가 작으면, 자동차 정면 방향과 자동차 배면 방향의 안테나 이득의 차이가 작고, 수평 방향에 있어서, 무지향성에 가까운 지향성이 된다. 그 반대로, F/B 비가 크면, 자동차 정면 방향으로 강한 지향성을 갖게 된다. 평균 안테나 이득의 계산에는, 면적 평균 산출법을 적용하였다. 후술하는 특성도에 대해, 상기 F/B 비의 측정 사양을 적용한다.
이하의 예 1∼3 의 공통되는 치수는 이하와 같다.
안테나 도체의 도체폭 또는 제 2 접속 도체 (4) 의 도체폭 0.4㎜,
전방부 창유리판의 두께 4.76㎜,
차내측 유리판의 두께 2㎜,
차외측 유리판의 두께 2㎜,
중간막 (16) 의 두께 0.76㎜.
「예 1 (실시예)」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에 대해 측정하였다. 주파수-안테나 이득 특성을 도 5 에 나타내고, 주파수-F/B 비 특성을 도 6 에 나타내었다. P 는 0 (제로)㎜, 10㎜, 20㎜, 30㎜ 로 변화시켰다. P-안테나 이득 특성을 도 7 에 나타내고, P-F/B 비 특성을 도 8 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7, 8 에 있어서, P 가 0 (제로)㎜ 인 점은, 루프 형성 엘리먼트 (6) 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각 부의 치수는 이하와 같다.
L1 80㎜,
제 1 엘리먼트 (1) 의 도체 길이 (직선 부분 + 급전부 (8) 근방의 곡선 부분) 85㎜,
L2 (제 2 엘리먼트의 도체 길이 : 직선 부분) 130㎜,
L3 (대향 전극 (18) 의 좌단부와 급전점 (18a) 의 중심 사이의 간격) 10㎜,
제 1 접속 도체 (3 ; 반원 부분) 의 도체 길이 55㎜,
W1 35㎜,
W2 17.5㎜,
D1 8㎜,
D2 50㎜,
급전부 (8 ; W5×W3) 12×45㎜,
대향 전극 (18 ; W5×W4) 12×55㎜,
전방부 창유리판 1594 (가로의 최대 길이)×772 (세로의 최대 길이)㎜.
「예 2 (실시예)」
도 4 에 있어서, 도 4 에 나타내는 안테나 도체 대신에, 도 1 에 나타내는 안테나 도체의 형상을 채용한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였다. 주파수-안테나 이득 특성을 도 9 에 나타내고, 주파수-F/B 비 특성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P-안테나 이득 특성을 도 11 에 나타내고, P-F/B 비 특성을 도 12에 나타내었다. 제 2 접속 도체 (4) 는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한다.
L2, D1, D2, P, L3, 제 1 접속 도체 (3 ; 반원 부분) 의 도체 길이, W1, W2, 급전부 (8) 의 치수, 대향 전극 (18) 의 치수 및 전방부 창유리판의 치수는, 예 1 과 동일한 치수로 하였다. 각 부의 치수는 이하와 같다.
L1 (도 1 에서는 제 1 엘리먼트 (1) 의 도체 길이) 80㎜,
제 2 접지 도체 (4) 의 도체 길이 10㎜.
「예 3 (실시예)」
차 내부에서 보았을 때에, 전방부 창유리판의 좌우 중앙으로부터 우측에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안테나 도체, 급전부 (8) 및 대향 전극 (18) 을 설치하였다. 대향 전극 (18) 은 대향 전극 (18) 의 중심이 급전부 (8) 의 중심에 입체적으로 겹쳐지도록 전방부 창유리판의 차내측의 면에 설치하였다. 급전점은 대향 전극 (18) 의 중심에 형성하였다. 주파수-안테나 이득 특성을 도 14 에 나타내었다. 전술하지 않는 치수는 이하와 같다.
L4 50㎜,
L5 35㎜,
L6 57㎜,
L7 39㎜,
W1 30㎜,
P 10㎜,
θ 61°,
급전부 (8 ; W5×W3) 10×45㎜,
대향 전극 (18 ; W6×W4) 14×55㎜,
D1 10㎜,
전방부 창유리판의 좌우 중앙과 급전부 (8) 의 최단 간격 140㎜,
전방부 창유리판 1540 (가로의 최대 길이)×1164 (세로의 최대 길이)㎜.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일본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UHF 대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및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유럽 연합 지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또는 중화 인민 공화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자동차용 유리 안테나에 이용된다. 그 외, 일본의 FM 방송대 (76∼90MHz), 미국의 FM 방송대 (88∼108MHz), 텔레비전 VHF대 (90∼108MHz, 170∼222MHz), 자동차 전화용의 800MHz대 (810∼960MHz), 자동차 전화용의 1.5GHz대 (1.429∼1.501GHz), UHF대 (300MHz∼3GHz),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의 GPS 신호 (1575.42MHz), VICS (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도로 교통 정보 통신 : 2.5GHz) 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ETC 통신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 논스톱 자동 요금 수수 시스템, 노측 무선 장치의 송신 주파수 : 5.795GHz 또는 5.805GHz, 노측 무선 장치의 수신 주파수가 5.835GHz 또는 5.845GHz), 전용 협역 통신 (DSRC :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915MHz대, 5.8GHz대, 60GHz대), 마이크로파 (1GHz∼3THz), 밀리미터파 (30∼300GHz), 자동차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300∼450MHz), 및, SDARS (Satellite Digital Audio Radio Service (2.34GHz, 2.6GHz)) 의 통신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 도체가 루프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복수의 공진 주파 수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창의 시야 및 미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가 일본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일본내 UHF 대의 아날로그텔레비전 방송 또는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등과 같은 광대역의 방송 주파수대일지라도, 높은 안테나 이득 및 높은 F/B 비이며, 평탄성을 갖는 안테나 이득 및 F/B 비를 얻을 수 있다. 또, 안테나 도체 및 급전부에 의해 점유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창유리판으로서 적층 유리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도체를 적층 유리판을 구성하는 2 장의 유리판 사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방부 창유리판용의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로서 적합하다.

Claims (30)

  1. 안테나 도체 및 안테나 도체의 급전부가 자동차용의 창유리판에 설치되어 있고, 급전부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지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로서,
    안테나 도체가,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제 1 접속 도체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제 2 안테나 엘리먼트는 제 1 접속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제 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제 1 접속 도체로 U 자 형상, 대략 U 자 형상, J 자 형상 또는 대략 J 자 형상의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중 적어도 일방과 급전부가,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제 2 접속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중 적어도 일방과 급전부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제 1 접속 도체 및 급전부에서 선택되는 것 중 하나 이상과 루프 형성 엘리먼트로 루프부가 구성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및 루프 형성 엘리먼트 중 적어도 일방과 급전부가, 제 2 접속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제 1 접속 도체, 제 2 접속 도체 및 급전부에서 선택되는 것 중 하나 이상과 루프 형성 엘리먼트로 루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 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가 상기 급전부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접속 도체와는 반대측의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선단부 또는 선단부 근방이 급전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가 급전부에 제 2 접속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접속 도체와는 반대측의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선단부 또는 선단부 근방이 제 2 접속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는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직선 부분을 가지고 있고,
    그 직선 부분은 그 창의 차체 개구 가장자리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 1 접속 도체와는 반대측에 상기 급전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접속 도체의 소정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상기 루프 형성 엘리먼트가 급전부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고,
    급전부의 근방에서 루프 형성 엘리먼트가 급전부측을 향해 구부러지거나, 또는, 곡절하여,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급전부측의 선단부 또는 선단부 근방과 접속하고, 직접 또는 상기 제 2 접속 도체를 통하여 급전부에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 1 접속 도체와는 반대측에 상기 급전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접속 도체의 소정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상기 루프 형성 엘리먼트가 급전부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고,
    급전부의 근방에서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루프 형성 엘리먼트가 합류하여, 직접 또는 상기 제 2 접속 도체를 통하여 급전부에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 자 형상, 대략 U 자 형상, J 자 형상 또는 대략 J 자 형상의 도체 패턴을 턴 도체 패턴이라고 할 때,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일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엘리먼트와 상기 제 1 접속 도체로 턴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거나,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제 2 안테나 엘리먼트의 일부와 제 1 접속 도체로 턴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거나,
    또는,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일부와 제 2 안테나 엘리먼트의 일부와 제 1 접속 도체로 턴 도체 패턴을 구성하고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 자 형상, 대략 U 자 형상, J 자 형상 또는 대략 J 자 형상의 도체 패턴을 턴 도체 패턴이라고 할 때,
    상기 제 1 접속 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가 신장된 후, 추가로 제 1 안테나 엘리먼트는 턴 도체 패턴의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신장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 자 형상, 대략 U 자 형상, J 자 형상 또는 대략 J 자 형상의 도체 패턴을 턴 도체 패턴이라고 할 때,
    상기 제 1 접속 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안테나 엘리먼트가 신장된 후, 추가로 상기 제 2 안테나 엘리먼트가 턴 도체 패턴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신장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의 임의점과, 그 임의점 이외의 다른 루프부의 점을 접속하는 단락용 안테나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0. 제 1 항에 있어서,
    어스부가 상기 창유리판에 설치되어 있고,
    어스부는 급전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급전부와 어스부 사이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지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접지 도체가 상기 창유리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어스부는 접지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와 상기 어스부 사이의 최단 간격이 2∼30㎜ 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길이가, (1/2)·(359/4)∼(3/2)·(359/4)㎜ 이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길이,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길이 및 상기 제 2 안테나 엘리먼트의 길이의 총합의 길이가 (3/2)·(359/4)∼(9/2)·(359/4)㎜ 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공기 중의 파장을 λ0 이라고 하고, 유리 파장 단축률을 k 라고 하며, k=0.64 로 하고, λg0·k 로 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가 상기 루프부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포함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주요부와 상기 루프 형성 엘리먼트의 주요부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주요부와 루프 형성 엘리먼트의 주요부 사이의 간격이 0.0065λg 이상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주요부가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도체 길이의 70% 이상의 길이이고,
    루프 형성 엘리먼트의 주요부가 루프 형성 엘리먼트의 도체 길이의 70% 이상의 길이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6.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공기 중의 파장을 λ0 이라고 하고, 유리 파장 단축률을 k 라고 하며, k=0.64 로 하고, λg0·k 로 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가 상기 루프부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포함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상기 루프 형성 엘리먼트 사이의 평균 간격이 0.0065λg 이상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7.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엘리먼트와 상기 루프 형성 엘리먼트 사이의 평균 간격이 0.0065λg 이상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8.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공기 중의 파장을 λ0 이라고 하고, 유리 파장 단축률을 k 라고 하며, k=0.64 로 하고, λg0·k 로 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와 상기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사이의 간격이 0.0565λg∼0.170λg 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19.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가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이고,
    급전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의 주요부의 신장 방향 또는 길이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원하는 방송 주파수대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공기 중의 파장을 λ0 이라고 하고, 유리 파장 단축률을 k 라고 하며, k=0.64 로 하고, λg0·k 로 하고,
    상기 급전부의 길이 방향의 최대 폭이 0.0727λg∼0.218λg 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1.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형상이, 반원, 대략 반원, 반타원 또는 대략 반타원의 호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2.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판이, 접착층을 통하여 접착되는 2 장의 유리판을 구비하는 적층 창유리판이며,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 1 접속 도체, 상기 루프 형성 엘리먼트, 상기 급전부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상기 제 2 접속 도체가, 상기 2 장의 유리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급전부에 대향하는, 그 적층 유리판의 차내측의 면의 부위에 대향 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급전부의 수신 신호가, 용량 결합 및 전자 결합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대향 전극에 전송되고,
    또한, 대향 전극의 수신 신호가 수신기에 보내지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 2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 1 접속 도체, 상기 루프 형성 엘리먼트, 상기 급전부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상기 제 2 접속 도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2 장의 유리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일방에 접착층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이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이고,
    상기 대향 전극의 길이 방향의 최대 폭이, 상기 급전부의 길이 방향의 최대 폭의 1.03∼1.5 배인,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 및 상기 대향 전극이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이고,
    급전부의 길이 방향과 대향 전극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고,
    대향 전극에는 급전점이 형성되어 있고, 대향 전극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안테나 엘리먼트측에 급전점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6.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도체의 형상 및 치수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대의 수신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7.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도체가 합성 수지제 필름의 내부 또는 그 표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 합성 수지제 필름이 상기 창유리판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8.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전파의 주파수가, 470∼770MHz 의 사이에 존재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29.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전파의 주파수가, 698∼806MHz 의 사이에 존재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30.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급전부 및 상기 안테나 도체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용의 창유리판.
KR1020070055901A 2006-06-12 2007-06-08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KR20070118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2171 2006-06-12
JPJP-P-2006-00162171 2006-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536A true KR20070118536A (ko) 2007-12-17

Family

ID=3882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901A KR20070118536A (ko) 2006-06-12 2007-06-08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85323A1 (ko)
KR (1) KR20070118536A (ko)
CN (1) CN1010901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3812A (zh) * 2015-04-08 2017-02-22 法国圣戈班玻璃厂 天线玻璃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491A (en) * 1992-01-31 1995-05-16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Automotive window glass antenna
EP0559196B1 (en) * 1992-03-06 1997-08-20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Automotive window glass antenna
JPH06177625A (ja) * 1992-10-06 1994-06-24 Central Glass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3910490B2 (ja) * 2002-05-29 2007-04-2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テナ構造体
US6822613B2 (en) * 2002-07-03 2004-11-23 Asahi Glass Company, Limited High frequency wave glass antenna for an automobile
JP2005130415A (ja) * 2003-10-27 2005-05-19 Central Glass Co Ltd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KR101269252B1 (ko) * 2004-07-21 2013-05-2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0171A (zh) 2007-12-19
US20070285323A1 (en) 2007-12-13
CN101090171B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0017B2 (en) Multi-element cavity-coupled antenna
JP4803004B2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及び窓ガラス板
US5973648A (en) Radio antenna arrangement with a patch antenna for mounting on or adjacent to the windshield of a vehicle
EP2421090B1 (en) Vehicle glass antenna, vehicle window glass, and vehicle glass antenna feeding structure
US9118114B2 (en) Window glass for vehicle and antenna
US8217845B2 (en) High frequency glass antenna for automobiles
KR20120034722A (ko) 차량용 창 유리 및 안테나
JP4946639B2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
JP5115359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及び車両用窓ガラス板
JP2005236656A (ja) 円偏波用アンテナ
JP5003627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及び車両用窓ガラス
JP2008278481A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及び自動車用の窓ガラス板
JP2004088748A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
JP2000286625A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
US20080129635A1 (en) Method of operating a patch antenna in a higher order mode
US7663563B2 (en) High frequency wave glass antenna for an automobile and window glass sheet for an automobile with the same
CN107453027B (zh) Gps,glonass和sdars频带的cpw馈电修改套筒单极
JP2023547508A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KR20070118536A (ko)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JP2002368514A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2008278447A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及び自動車用の窓ガラス板
JP2007174513A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
JP2008278447A5 (ko)
JP5499810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及び車両用窓ガラス
JP2006310953A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