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068A -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068A
KR20070117068A KR1020060050777A KR20060050777A KR20070117068A KR 20070117068 A KR20070117068 A KR 20070117068A KR 1020060050777 A KR1020060050777 A KR 1020060050777A KR 20060050777 A KR20060050777 A KR 20060050777A KR 20070117068 A KR20070117068 A KR 2007011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vehicle
unit
emergency
emergency di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202B1 (ko
Inventor
조정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6005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20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light guides for distributing the light between several lighting or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6Fall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81Transmission medium
    • B60R2021/01088Transmission medium wire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및 차량의 침수 시 긴급 조난을 알리기 위한 부표를 공중에 띄우고, 긴급 조난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긴급 조난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차량의 상단에 설치되고, 부표가 적재되는 부표함을 개방하는 부표 구동부와, 차량의 주변에 다수의 충돌 센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충돌 센서에 의해 충돌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충돌 감지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 구동부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와, 기준 충돌 세기인 기준 충돌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측정된 충돌 세기가 상기 기준 충돌값 이상이면 상기 부표 구동부를 구동하여 부표함을 개방하고, 상기 에어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에 상기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 시스템, 긴급 조난, 무선, 부표, 에어 펌프, 광섬유

Description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URGENCY RESCUE RELIEF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를 장착한 차량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동작에 따른 차량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및 차량의 침수 시 긴급 조난을 알리기 위한 부표를 공중에 띄우고, 긴급 조난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긴급 조난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의 고장 및 사고 발생 시 안전수칙에 따라, 즉 사고가 발생했음을 후행 차량들에게 알리기 위해 삼각대, 비상 손전등과 같은 장비들을 차량에 구비해야 하고, 실제로 운전중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나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을 켜고, 후방 일정 거리에 삼각대를 세운 후 비상 손전등 등을 흔들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했음을 후행 차량에게 알린다.
그러나 사고 등으로 운전자가 의식이 없거나 사고로 인해 경황이 없는 상황에서 운전자는 안전수칙에 따라 행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상기한 안전장비들을 구비하지 않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안전수칙에 따라 행동을 한다고 해도 운전자가 직접 상기한 수칙들에 따라 행동을 완료하는데 까지는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고속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급추돌 사고 발생하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주변의 운행중인 차량은 급추돌 사고에 대한 유무를 알수가 없서, 고속주행 및 안개 등의 악천우와 야간 운행 시 연쇄추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이 강이나 바다 또는 깊은 산이나 계곡 등에서의 추락 사고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조난 사고 발생 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나 핸드폰이나 전화가 없거나 고장난 경우에는 인근 차량 등을 통하지 않고는 사고 유무를 외부로 알릴 수 없으므로 구조 지연으로 인한 인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후방 차량이 조난당한 차량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더 욱더 심각한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 및 차량의 침수 시 자동 및 수동으로 긴급 조난을 알리기 위한 부표를 공중에 띄우고, 긴급 조난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긴급 조난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차량의 상단에 설치되고, 부표가 적재되는 부표함을 개방하는 부표 구동부와, 차량의 주변에 다수의 충돌 센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충돌 센서에 의해 충돌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충돌 감지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 구동부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와, 기준 충돌 세기인 기준 충돌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측정된 충돌 세기가 상기 기준 충돌값 이상이면 상기 부표 구동부를 구동하여 부표함을 개방하고, 상기 에어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에 상기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충돌 감지부와 입력부와, 조명부와, 에어 펌프 구동부와 위치측정부와, 부표를 적제하고 있는 부표함을 개방하는 부표 구동부와, 무선송신부를 구비하는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긴급 조난 구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부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중에 감지된 충돌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충동값 이상이면 상기 부표 구동부를 제어하여 부표함을 개방하는 과정과, 상기 에어 펌프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수압 감지부와 입력부와, 조명부와, 에어 펌프 구동부와 위치측정부와, 부표와 에어 튜브를 적제하고 있는 부표함을 개방하는 부표 구동부와, 무선송신부를 구비하는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긴급 조난 구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압 감지부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중에 감지된 수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압 이상이면 상기 부표 구동부를 제어하여 부표함을 개방하는 과정과, 상기 에어 펌프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와 에어 튜브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및 침수를 감지하고, 구조를 요청하는 부표를 공중 또는 수면 위로 띄우거나, 차량 고장 시 운전자 또는 다른 탐승자가 수동으로 구조를 요청하는 부표를 공중 또는 수면 위로 띄워 사고나 조난당했음을 제3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지붕 또는 트렁크에 설치되는 부표함에 들어 있으며, 충돌 및 일정 수압의 감지 시 상기 부표함을 개방하면서 상기 부표에 헬륨을 넣어 상기 부표를 공중 또는 수면 위로 띄우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내부에서 상기 부표 내부로 이어지는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부표를 띄움과 동시에 상기 광섬유로 빛을 공급하여 상기 부표가 발광하도록 한다. 상기 광섬유는 상기 부표가 공중 또는 수면 위로 떠올랐을 때 상기 차량 내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서 상기 부표 내부로 이어지는 송신 안테나 및 송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표를 띄움과 동시에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신호는 AM 또는 FM 또는 CDMA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통상 제3자가 많이 청취하는 FM 방식 또는 CDMA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송신장치는 AM 또는 FM 송신기가 될 수도 있으며, 텔레매틱스 장치 또는 핸드폰 등과 같은 CDMA 통신장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표함에 구비되는 관 모향의 에어 튜브를 구비하고, 침수 시 상기 에어 튜브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부표와 함께 수면위로 띄운 다. 상기 에어 튜브의 일단은 차량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수면 위까지 뻗치도록 길게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침수 시 차량 내의 탑승자가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표 및 에어 튜브를 재활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부표 및 에어 튜브의 임의의 위치에 헬륨가스 배출구를 구비하고, 운전자가 수동으로 배출구를 열어 헬륨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돌 및 수압 감지 시 차량의 미등/전조등/비상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를 장착한 차량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부표함(110)이 차량 지붕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동작에 따른 차량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부표함(110)이 개방되고 부표(120)에 헬륨 가스가 주입되어 공중으로 떠오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참조된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이고, 51 및 53은 충돌 센서이며, 61은 수압 센서이다. 도1에서 충돌 센서가 2개인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수압 센서(61)도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충돌 센서(51, 53)는 차량의 충돌을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수압 센서 (61)는 수압을 측정한다.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장치(100)는 상기 충돌 센서(51, 53) 및 수압 센서(61)와 연결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충돌과 일정 수압 이상의 수압이 검출되면 상기 부표함(110)을 개방하고, 상기 부표(120)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여 공중 또는 수면으로 띄우며, 차량의 미등/전조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고,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부표(120) 내부에는 차량 내부로 이어지는 광섬유(121)가 형성되고,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장치(100)의 제어에 의한 부표 작동 시 차량 내부의 빛을 받아 빛을 발산한다. 상기 차량의 빛은 차량 내부의 조명장치가 될 수도 있으며, 수중에서도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방수 처리된 별도의 조명장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표(10) 내부에는 차량 내부로 이어지는 송신 안테나(123)가 형성되고, 상기 부표 작동 시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장치(100)에서 생성된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100)는 제어부(10)와 저장부(20)와 입력부(30)와 조명부(40)와 충돌 감지부(50)와 수압 감지부(60)와 부표 구동부(70)와 에어 펌프 구동부(80)와 무선 송신부(90)와 인터페이스부(95)로 구성된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조난 구호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는 상기 충돌 감지부(50)와 수압 감지부(60)로부터 측정된 충돌값 및 수압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충돌값 및 기준 수압값보다 작은지 큰지를 판단하고, 둘 중 하나라도 기준값보다 크다면 상기 부표 구동부(70)와 에어 펌프 구동부(80)를 제어하여 부표를 띄우고, 조명부(40)를 제어하여 차량의 조명, 즉,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며, 무선송신부(90)를 통해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한다.
저장부(20)는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 및 기준 충돌값 및 기준 수압 그리고 "조난을 당했습니다. 도와주세요" 또는 조난을 당했습니다. 도와주세요. 현재 위치는 000입니다" 등과 같은 긴급 조난 구호 신호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입력부(30)는 부표작동을 수동으로 하기 위한 긴급 조난 구호 버튼 또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긴급 조난 구호 버튼 또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긴급 조난 구호 버튼 신호 또는 스위치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조명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차량의 조명장치, 즉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한다.
충돌 감지부(50)는 차량이 다른 차량 또는 물체와 충돌하거나 절벽 추락 시의 충돌을 감지하고 충돌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수압 감지부(60)는 차량이 강 또는 바다 등에 침수됐을 경우 수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부표 구동부(70)는 일정 세기 이상의 충돌 감지 또는 일정 압력 이상의 수압 측정 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부표함을 개방한다.
에어 펌프 구동부(80)는 상기 측정된 충돌값 또는 수압이 일정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를 주입한다.
GPS 모듈(85)은 다수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들에 의해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무선송신부(9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부(10)로부터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송신부(90)는 AM 또는 FM 또는 CDMA 방식에 의해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AM 또는 FM 방식을 사용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채널로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하고, CDMA 방식인 경우에는 경찰서, 119구조대 등과 같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고,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상대방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FM 방식의 경우 일반인들이 자주 듣는 채널을 통해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송신부(90)는 AM 또는 FM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긴급 조난 구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인터페이스부(95)는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며, 내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등과 같은 위치측정을 수행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장치와 상기 제어부(10)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도 3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내비게이션 기능을 가지는 텔레매틱스 시스템과 상기 인터페이스부(95)를 통해 연동하도록 구성하거나 일체화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0)는 411단계에서 충돌 감지부(50)와 수압 감지부(60)를 모니터링 한다.
제어부(10)는 상기 충돌 감지부(50) 및 수압 감지부(60)의 모니터링 중 413단계와 415단계와 417단계에서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충돌값 이상의 충돌이 감지되는지 기준 수압 이상의 수압이 감지되는지 아니면 입력부(30)로부터 긴급 구난 구호(SOS) 버튼 또는 스위치 신호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제어부(10)는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기준 충돌값 이상의 충돌이 감지되면 421단계로 진행하고, 415단계에서 측정된 수압이 상기 기준 수압이상이면 429단계로 진행하며, 417단계에서 긴급 조난 구호 버튼 신호 또는 스위치 신호가 입력하면 상기 42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1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는 부표함(110)을 개방하고 423단계에서 에어 펌프 구동부(80)를 구동하여 부표에 헬륨가스를 주입하고, 425단계에서 조명부(40)를 제어하여 차량의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고, 427단계에서 저장부(20)로부터 긴급 조난 구호 음성데이터를 리드하고, 상기 GPS 모듈(85) 또는 인터페이스부(95)를 통해 외부 내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텔레매틱스 시스 템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입력받은 위치데이터를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음성데이터에 삽입하여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무선송신부(90)를 통해 송신한다.
반면, 상기 429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는 421단계와 423단계와 동일하게 429단계와 431단계에서 부표함을 개방하고 헬륨가스를 부표에 주입한다.
상기 431단계 후 제어부(10)는 기준 수압 이상의 수압이 측정되었으므로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여 433단계에서 에어 펌프 구동부(80)를 통해 에어 튜브에 헬륨가스를 주입하여 에어 튜브를 작동시킨다.
상기 에어 튜브 작동 후 제어부(10)는 435단계로 진행하여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고, 437단계로 진행하여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무선송신부(90)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부표를 공중으로 띄워 사고 및 조난을 알릴 수 있으므로, 차량의 연쇄 추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부표를 공중 또는 수면 위로 띄우고, 무선으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하므로 주변 사람 또는 구조대 등에서 조난 사실을 알리기 쉽고, 조난 사실을 안 주변의 제3자 또는 구조대가 조난 위치의 파악이 용이하므로 구호가 용이하고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침수 시 에어 튜브에 의해 차량 내부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구조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7)

  1.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차량의 상단에 설치되고, 부표가 적재되는 부표함을 개방하는 부표 구동부와,
    차량의 주변에 다수의 충돌 센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충돌 센서에 의해 충돌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충돌 감지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 구동부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와,
    기준 충돌 세기인 기준 충돌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측정된 충돌 세기가 상기 기준 충돌값 이상이면 상기 부표 구동부를 구동하여 부표함을 개방하고, 상기 에어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에 상기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압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수압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가 기준 수압을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압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수압이 상기 기준 수압 이상이면 상기 부표 구동부를 제어하여 부표함을 개방하고 상기 에어 펌프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에 상기 헬륨 가스를 주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함에 차량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차량 내부와 연결된 에어 튜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된 수압이 상기 기준 수압 이상일 경우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 주입 시 상기 에어 튜브로 헬륨 가스를 동지에 주입하여 상기 에어 튜브를 수면 위로 띄움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내부와 상기 차량 내부로 길게 형성되는 광섬유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여 작동 시 상기 차량 내에서 발산되는 빛을 받아 상기 광섬유를 통해 빛을 발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내부와 상기 차량 내부로 길게 형성되는 광섬유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여 작동 시 상기 차량 내에서 발산되는 빛을 받아 상기 광섬유를 통해 빛을 발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된 충돌 세기가 상기 기준 충돌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상기 부표 내부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부표가 공중으로 떠오름에 따라 상기 안테나도 공중으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된 수압이 상기 기준 수압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가 무선주파수(FM) 송신 방식에 의해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위성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긴급 구난 구호 신호에 상기 현재 위치를 포함하여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정부가 위성위치확인 시스템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긴급 조난 구호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긴급 조난 구호 버튼 조작 시 긴급 조난 구호 버튼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긴급 조난 구호 버튼 신호 입력 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표 구동부를 구동하여 부표함 을 개방하고, 상기 에어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에 상기 헬륨 가스를 주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를 띄울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차량의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는 조명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14. 충돌 감지부와 입력부와, 조명부와, 에어 펌프 구동부와 위치측정부와, 부표를 적제하고 있는 부표함을 개방하는 부표 구동부와, 무선송신부를 구비하는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긴급 조난 구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부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중에 감지된 충돌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충동값 이상이면 상기 부표 구동부를 제어하여 부표함을 개방하는 과정과,
    상기 에어 펌프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신호가 무선주파수(FM) 변조되어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수압 감지부와 입력부와, 조명부와, 에어 펌프 구동부와 위치측정부와, 부표와 에어 튜브를 적제하고 있는 부표함을 개방하는 부표 구동부와, 무선송신부를 구비하는 긴급 조난 구호 장치의 긴급 조난 구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압 감지부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중에 감지된 수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압 이상이면 상기 부표 구동부를 제어하여 부표함을 개방하는 과정과,
    상기 에어 펌프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부표와 에어 튜브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전조등/미등/비상등/실내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긴급 조난 구호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조난 구호 신호가 무선주파수(FM) 변조되어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50777A 2006-06-07 2006-06-07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5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777A KR100856202B1 (ko) 2006-06-07 2006-06-07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777A KR100856202B1 (ko) 2006-06-07 2006-06-07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068A true KR20070117068A (ko) 2007-12-12
KR100856202B1 KR100856202B1 (ko) 2008-09-03

Family

ID=3914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777A KR100856202B1 (ko) 2006-06-07 2006-06-07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2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713A (ko) * 2016-12-14 2018-06-22 이재찬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KR20180099413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WO2018159920A1 (ko) * 2017-02-28 2018-09-07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KR20190110805A (ko) 2018-03-21 2019-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CN111114490A (zh) * 2018-10-30 2020-05-08 赖增铨 一种行车安全求救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761B1 (ko) * 2008-07-07 2011-10-12 박수만 차량용 충전식 무선 안전 삼각대
KR101252104B1 (ko) 2013-01-11 2013-04-12 박의종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300U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공기 튜브를 이용한 차량용 위험 표지판
KR100189492B1 (ko) * 1996-12-21 1999-06-01 정몽규 침수차량의 자동 응급장치
KR20020036982A (ko) * 2002-03-28 2002-05-17 김태웅 발광식 수신호용 대형 풍선 장갑
KR20060055779A (ko) * 2004-11-19 2006-05-24 신대철 튜브(풍선)안전삼각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713A (ko) * 2016-12-14 2018-06-22 이재찬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KR20180099413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WO2018159920A1 (ko) * 2017-02-28 2018-09-07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KR20180126433A (ko) * 2017-02-28 2018-11-27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KR20190110805A (ko) 2018-03-21 2019-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US11295558B2 (en) 2018-03-21 2022-04-05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verifying vehicle-scrapping information
CN111114490A (zh) * 2018-10-30 2020-05-08 赖增铨 一种行车安全求救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202B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202B1 (ko) 차량의 긴급 조난 구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427862B (zh) 一种汽车落水预警救生系统与方法
KR101944032B1 (ko)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US20010013835A1 (en) Radar/laser detection device with multi-sensing and reporting capability
US20090207038A1 (en) Electronic flare system and apparatus
US6922137B1 (en) Collision and theft alert system
KR20070086432A (ko) 교통신호모니터 및 운전자경고장치
KR102116563B1 (ko)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US9642223B2 (en) Vehicle wheel assembly illumination lamp
US10564027B1 (en) Escape system for a sinking car and ultrasonic component thereof
CN106604848A (zh) 自动通报装置及自动通报方法
US8600623B2 (en) Control apparatus
KR20120012586A (ko) 다용도엘이디안전삼각대
KR102125151B1 (ko) 침수차량 구조시스템 제어 방법 및 침수 차량 구조시스템
US20120299712A1 (en) Premises-based wireless alert system for automotive tall cargo
CN108430829B (zh) 信号警示灯
KR102134733B1 (ko)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CN111954611A (zh) 背在机车机械用户的背部上的具有内置式加速度计的发信装置
CN108357454A (zh) 一种车辆落水应急装置
CN113799723A (zh) 一种车辆落水救援定位系统及方法
KR20210013829A (ko) 차량용 비상 신호장치
US20190236947A1 (en) Non-obtrusive oncoming emergency vehicle prewarning system
JP2010241383A (ja) 車載用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2358844B1 (ko) 차량사고 알림 장치, 차량사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